카이로게니자
Cairo Geniza좌표:30°00′21″N 31°13′52″E/30.0058°N 31.2310°E

게니자(Genizah)라고 대칭되는 카이로 게니자는 이집트의 푸스타트나 올드 카이로에 있는 벤 에즈라 시노고그(Ben Ezra Synagogue)의 게니자(Genizah)나 창고에 보관되어 있던 약 40만[1] 건의 유대인 원고 조각과 파티미드 행정 문서를 모은 것이다.이 필사본들은 유대인 중동과 북아프리카 역사의 1,000년 연속(870CE ~ 19세기)을 개략적으로 묘사하고 있으며, 세계에서 가장 크고 다양한 중세 필사본들을 수집하고 있다.게니자 본문은 다양한 언어로 쓰여져 있는데, 특히 히브리어, 아랍어, 아라마어 등은 주로 송편과 종이에 쓰이지만 파피루스와 천에도 쓰이고 있다.게니자는 성서, 탈무디치, 후기 랍비니치 작품 등 유대교 교서를 수록한 것 외에(작가의 원작 중 일부) 북아프리카와 동부 지중해 지역의 경제문화생활, 특히 10~13세기 동안의 생활상을 상세히 보여준다.현재 케임브리지 대학 도서관, 미국 유대신학대학원, 맨체스터 대학 도서관, 상트페테르부르크의 안토닌 카이로 지니자 컬렉션 등 다수의 도서관 사이에 분산되어 있다.올드 카이로 동부의 바사틴 공동묘지에서 일부 추가 파편이 발견되었으며, 수집품에는 19세기 후반 카이로에서 구입한 많은 오래된 문서들이 포함되어 있다.[2]
검색 및 현재 위치

이 수집품에 주목한 최초의 유럽인은 분명히 1752년 또는 1753년 벤 에즈라 회당을 방문하여 카이로 게니자에 대해 보고한 사이먼 판 겔데렌(하인리히 하이네이의 위대한 귀족)이었다.[3]1864년 나그네로 학자인 야곱 사피르가 회당을 방문하여 이틀 동안 게니사를 답사하였다. 그러나 그는 어떤 구체적인 유의사항도 밝히지 않은 채 귀중한 물건들이 준비되었을 가능성이 있다고 제안했다.[4]1896년 스코틀랜드 학자들과 쌍둥이 자매 아그네스 S. 루이스와 마가렛 D. 깁슨은[5] 이집트에서 그들이 관심의 대상으로 여겼던 게니자의 파편을 가지고 돌아와, 솔로몬 셰히터에게 캠브리지에 있는 "그들의 참을 수 없을 정도로 호기심이 많은 광견병 친구"에게 보여주었다.[6]이미 게니자는 알고 있었지만 그 의의는 모르고 있던 셰히터는 즉시 물질의 중요성을 인식했다.케임브리지의 동료이자 친구인 찰스 테일러의 재정적인 도움을 받아 셰히터는 이집트로 원정을 떠났고, 그곳에서 랍비 족장의 도움을 받아 게니자 회의실의 내용 중 더 큰 부분을 분류하고 제거했다.[7]아그네스와 마가렛은 시나이(5년 만에 4번째 방문)로 가는 길에 함께 그곳에 갔고, 아그네스가 보고한 회의실을 "단순히 형언할 수 없다"[8]고 그들에게 보여주었다.
지니자 파편들은 현재 세계 여러 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다.케임브리지의 테일러-셰히터 컬렉션은 지금까지 단일 컬렉션으로는 가장 큰 것으로 19만3000개(선반 마크 13만7000개)에 가까운 파편이다.[9]유대신학교 도서관에는 4만3000여 점의 파편이 더 있다.[10]맨체스터에 있는 존 라이랜드 대학 도서관에는 현재 디지털화되어 온라인 아카이브에 업로드되고 있는 11,000개 이상의 조각들이 소장되어 있다.옥스퍼드 대학의 보들리언 도서관에는 2만 5천 개의 지니자 폴리오가 소장되어 있다.[11]
케임브리지의 웨스트민스터 대학은 1896년 루이스와 깁슨에 의해 퇴적된 1,700개의 파편을 보관했다.[12]2013년 옥스퍼드 보들리언 도서관과 케임브리지 대학 도서관 등 두 개의 옥스브리지 도서관이 120만 파운드에 웨스트민스터 소장품을 판매한 후 이를 구입하기 위한 기금을 모으기 위해 협력했다.두 도서관이 이 같은 모금 활동을 위해 협력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11][12]
내용 및 중요성

카이로 게니자에서 발견된 많은 파편들은 2천년 CE의 초기 세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으며, 19세기 작품들뿐만 아니라 초기 물품들도 상당히 많이 있다.게니자의 필사본에는 세속적인 글뿐만 아니라 신성하고 종교적인 자료도 많이 포함되어 있다.게니자 소재는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문학 단편 중 가장 인기 있는 부문은 소송문, 성서 및 관련문헌, 랍비닉문학 등이다.철학적, 과학적, 신비적, 언어적 저술이 있는 자료도 있다.비문학 항목 중에는 법률 문서와 사서가 있다.학교 운동과 상인들의 통장, 그리고 다양한 종류의 공동체 기록도 발견되었다.[13]
게니조트(게니조트 평판)의 일반적인 관행은 주기적으로 내용물을 제거해 공동묘지에 묻는 것이었다.이 문서들 중 많은 것들이 히브리 문자를 사용하여 아라마어로 쓰여졌다.유대인들은 히브리어를 하나님의 언어로, 히브리 문자를 하나님의 문자 그대로 쓰는 것으로 여겼기 때문에 본문은 목적을 다한 지 오래되어도 파괴할 수 없었다.[14]게니자에서 자료를 쓴 유대인들은 현대 사회의 문화와 언어를 잘 알고 있었다.그 문서들은 이 시대의 구어 아랍어가 어떻게 사용되고 이해되었는지 보여주는 증거로서 귀중한 것이다.그들은 또한 이 문서들을 만든 유대인들이 그들의 현대 사회의 일부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들은 농사를 포함한 이슬람교와 기독교 이웃들과 같은 무역을 실천했고, 재산을 사고 팔고 빌렸다.
950년에서 1250년 사이의 기간 동안 사회와 경제사를 재구성하기 위한 이러한 자료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유대학자 쉘로모 도브 고이틴은 이 시기에 약 3만 5천 명의 개인을 대상으로 한 지수를 만들었다.여기에는 약 350명의 "약속자들"이 포함되었는데, 그 중 마이모니데스와 그의 아들 아브라함, 200명의 "더 잘 알려진 가족" 그리고 450명의 직업과 450명의 상품에 대한 언급이 포함되어 있었다.그는 이집트, 이스라엘, 레바논, 시리아(그러나 다마스쿠스나 알레포는 아님), 튀니지, 시칠리아, 그리고 심지어 인도와의 무역까지 다룬 자료를 확인했다.언급된 도시들은 중앙아시아의 사마르칸트에서부터 서쪽으로 모로코 세빌과 시질마사, 북쪽의 아덴에서 콘스탄티노플에 이르는 범위, 유럽은 지중해 항구도시인 나르본, 마르세유, 제노바, 베니스로 대표될 뿐만 아니라 키예프와 루엔까지도 가끔 언급된다.[15]
특히 건물 유지 보수를 위한 노동자들에게 지급한 다양한 지급 기록과 이와 유사한 형태의 지급 기록들은 인용된 화폐 단위와 자료의 다른 측면들을 해석하는데 어려움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중세 초기의 이슬람 세계에서 가장 큰 일 임금 기록들을 수집했다.[citation needed]이들은 대부분 프랑스 학자들에 의해 이 같은 측면이 연구된 1930년대 이후 중세 이슬람경제에 대한 논의에서 변함없이 인용되어 왔다.[citation needed]
카이로 게니자에 있는 많은 물건들은 완전한 원고가 아니라 오히려 한두 잎의 조각으로 되어 있는데, 그 중 상당수는 스스로 훼손된 것이다.마찬가지로, 한 권의 원고의 페이지도 종종 분리되었다.서너 개의 다른 현대 도서관에서 소장된 한 원고의 페이지를 발견하는 것은 드문 일이 아니다.반면 비문학적인 글들은 시간이 흐르면서 그 가치를 상실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여전히 다소 온전하게 남아 있는 가운데 게니자(Genizah)에 남게 되었다.[13]
자료에는 방대한 수의 책이 수록되어 있는데, 대부분이 단편들로, 유대교 신앙 저술의 일부와 쿠란의 파편 등 거의 28만 장에 가까운 잎사귀로 추정된다.성서학자들에게 특히 관심이 있는 것은 시라크의 불완전한 원고 몇 권이다.셰히터는 다마스쿠스 문서의 파편 2점을 발견했는데, 그 파편들은 초기 원고에 있던 다른 파편들이 나중에 쿰란에서 발견되었다.
법정 문서, 법률 문서, 지역 유대인 공동체의 서신(아스칼론의 카라이트 원로들의 서신 등)을 포함한 비문학적인 자료들은 다소 작지만 여전히 인상적이다:고이테인은 그 크기를 "일부 길이의 약 1만 가지 항목으로 추정했는데, 그 중 7천 개가 충분히 자급자족적인 단위들이다.역사적 가치가 있는 문서로 간주되다이 중 절반만 다소 완전하게 보존되고 있다."[16]
게니자에 추가된 문서의 수는 해를 거듭하면서 바뀌었다.예를 들어, 추가된 문서의 수는 1266년에서 1500년 경 사이에 적었는데, 이때 대부분의 유대인 공동체가 카이로 시로 북쪽으로 이동했고, 스페인에서 온 난민들에 의해 지역 공동체가 증가했을 때 1500년 경에 증가하였다.카이로에 카자리아와 키예반 러스의 역사를 새롭게 조명하는 몇 가지 문서, 즉 카자르 통신, 셰히터 편지, 키예프 편지 등을 가지고 온 사람들이었다.[citation needed]게니자는 그 재료에 열심인 서양 학자들에 의해 비워질 때까지 계속 쓰였다.
많은 다른 지니조트들이 구세계, 특히 페루지아의 그것과 같은 이탈리아 지니조트들을 통해 작은 발견들을 제공했다.[17]11세기 아프간 게니자는 2011년에 발견되었다.[18]
카이로 게니자 파편들은 광범위하게 연구되고, 목록화되었으며, 폴 E. 칼에 의해 번역되었다.그의 저서 카이로 게니자는 1958년 블랙웰에 의해 출판되었고, 1959년 2판이 출간되었다.[19]
회계
올드 카이로의 유대인 은행가들은 이중 입력 부기 시스템을 사용했는데, 이것은 이탈리아에서 그러한 형태의 알려진 사용을 앞섰고, 카이로 게니자 사이에서 발견된 AD 11세기 이후의 기록이 남아 있다.[20]
리서치
펜실베니아 대학과 유대 신학대학원 도서관의 카이로 게니자 컬렉션은 주니버스 웹사이트의 시민 과학 프로젝트의 대상이다.프로젝트 지원자들은 카이로 게니자의 디지털화된 파편들을 분류하기 위해 이 파편들에 대한 연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입대했다.[21]
프리드버그 게니자 프로젝트는 모든 게니자 조각과 그것과 관련된 문헌 자료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연구에 매우 중요하다.
참고 항목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카이로 게니자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참조
- ^ 러스토우 2020, 페이지 451. "카이로 게니자 파편을 세는 데는 보편적으로 합의된 방법론이 없다.......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 우리가 갖고 있는 가장 좋은 숫자는 40만 명이라고 말했다.
- ^ Goitein, Shelomo Dov.지중해 협회: 카이로 게니자의 문서에 묘사된 아랍 세계의 유대인 공동체.6권.버클리:캘리포니아 대학교 출판부, 1967-1993. ISBN0-5202-2158-3.
- ^ Ghosh, Amitav (1992). In an Antique Land. New York: Vintage Books. p. 81. ISBN 0-679-72783-3.
- ^ Ghosh(1992), 페이지 83.
- ^ Hoffman, Adina; Cole, Peter (2011). Sacred Trash: The Lost and Found World of the Cairo Geniza. Schocken Books. p. 3. ISBN 978-0-8052-4258-4.
- ^ Soskice, Janet (2009). The Sisters of Sinai: How Two Lady Adventurers Discovered the Hidden Gospels. New York: Vintage Books. p. 220. ISBN 978-1-4000-3474-1.
- ^ Ghosh (1992년), 페이지 88ff.
- ^ 소스키스(2009) 페이지 230, 232
- ^ "The Cairo Genizah Collection". Cambridge Digital Library. Retrieved 23 September 2013.
- ^ "Library Special Collections". www.jtsa.edu. Retrieved 2021-07-28.
- ^ a b "Historic rivals join forces to save 1,000 years of Jewish history". Bodleian Libraries. 8 February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April 2013. Retrieved 23 February 2013.
- ^ a b "Appeal to buy Lewis-Gibson Genizah Collection". BBC News Online. Retrieved February 18, 2013.
- ^ a b Brody, Robert (Spring 1999 – Winter 2000). "Cataloguing the Cairo Genizah". Judaica Librarianship. 10 (1–2): 29–30. doi:10.14263/2330-2976.1149.
- ^ Roberts, Martin (2014). Defending the Bible against "Christians". WestBow Press. pp. 52–53. ISBN 9781490824086. Retrieved 7 January 2021.
- ^ 고이틴.지중해 학회, 제1권, 23페이지 23.
- ^ 고이틴.지중해 협회, 제1권, 페이지 13
- ^ "The Fragments of Hebrew Manuscripts discovered in the binding of books in the Biblioteca del Dottorato of the University of Perugia". University of Perugia. Retrieved 23 February 2013.
- ^ "Ancient manuscripts indicate Jewish communities once thrived in Afghanistan". CBS. 3 January 2013. Retrieved 4 December 2013.
- ^ Kahle, Paul E. (1959). The Cairo Geniza (2nd ed.). Blackwell. ISBN 9780835779616. Retrieved 2014-01-10.
- ^ "국제 변경 에이전트로 중세 무역상: 논평"마이클 스코기, 회계사학 저널 21권, 1위(1994년 6월), 페이지 137–143
- ^ "Zooniverse". Scribes of the Cairo Geniza. Retrieved 15 September 2017.
원천
- Rustow, Marina (2020). The Lost Archive Traces of a Caliphate in a Cairo Synagogue.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ISBN 978-0-691-18952-9. OCLC 1132420189.
추가 읽기
- 호프만, 아디나 & 콜, 피터(2011) 신성한 쓰레기: 카이로 게니자의 분실물 보관소 세계
- Anthony Julius, "카이로 유대인의 비밀스러운 삶", Book Review, 2011년 5월 27일.
- 1965년, The Testaments of Time, Knopf, 1965년.제16장 제2길
외부 링크
- 프리드버그 지니자 프로젝트
- Princeton Geniza Project 웹 사이트
- 유대인 중세생활의 창
- 케임브리지 대학교 테일러-셰히터 지니자 연구단
- 펜/캠브리지 지니자 파편 프로젝트
- 케임브리지 디지털 도서관의 테일러-스케터 컬렉션
- 주니버스 플랫폼을 이용해 문서를 필사하는 카이로 게니자 프로젝트의 서기관
- 카이로 게니자: Stefan Reif, 2010, 페이지 7 – 12에 의한 이슬람 세계 유대인 백과사전 발견의 일반 조사 및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