캠프 캐럴, 대한민국

Camp Carroll, South Korea
캠프 캐럴
대한민국 경상북도 왜관시 칠곡군
IMCOMCrest3D USAG Daegu current.jpg
유형육군 초소
사이트 정보
주인 미국
대한민국.
제어자United States Department of the Army Seal.svg 미국 육군
사이트 이력
지었다.1959년 5월
사용중1959년 5월 - 현재

캠프 캐럴 육군기지(Camp Carroll Army Base)는 한반도 남동부 왜관마을에 위치하고 있으며 [1]대구시에서 약 20km 떨어져 있다.캠프 캐럴은 북서쪽, 서쪽, 남서쪽의 도시 지역으로 연결되어 있다.북쪽과 동쪽의 기단에는 구릉지대가 있다.농경지(대부분의 논)는 북동쪽과 남쪽으로 기지와 접해 있다.낙동강은 기슭의 남서쪽 부근에 흐른다.캠프 캐럴은 1950년대 [2]후반부터 한반도와 극동에서의 미군 작전의 보급기지였다.종종 "4구역의 왕관 보석"으로 언급되는 이 보석이름은 일등병 찰스 F. 이름을 따서 붙여졌다. 한국 전쟁 중 영웅적 행위로 유공자 십자훈장을 추서받은 캐롤.

캠프 캐럴을 바로 둘러싼 지역은 주로 서비스 사업체(예: 세탁소, 이발소, 술집)로 구성되어 있으며, 많은 군인들이 미국인이고 많은 여성들이 필리핀인이기 때문에 동등하게 미국인들과 필리핀 군중을 위한 접대업소들로 구성되어 있다.도시 자체는 대구와 구미에서 버스로 조금만 가면 된다.

캠프 캐럴은 규모는 작지만 약 1500명의 군인을 수용하고 있다.인구 자체는 미8군 병력, 직원, 도급업자, 한국군 카투사(KATUSA)로 구성되어 있다.창고와 부지가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데, 그 주된 기능 중 하나는 전쟁 예비 물자를 수용하는 것이기 때문이다.캠프 캐럴은 또한 제1방공포병연대 2대대의 본거지이기도 하다.

시설.

캠프 캐럴에는 AAFES 익스체인지, AMCSS(군복판매점), 매점, 실내외 수영장, 볼링장, 도서관, 주민센터, 영화관 등 각종 편의시설도 구비되어 있다.

교통.

군은 대구 캠프워커와 캠프캐럴을 오가는 셔틀버스를 운행하고 있지만 초소와 가장 가까운 민간버스터미널은 구미발 10번과 110번, 대구발 250번으로 갈 수 있다.왜관역은 철도로 무궁화호 열차로 갈 수 있습니다.새마을호는 대구나 서울까지 하루에 한두 번 운행한다.이 역은 KTX 열차가 운행하지 않습니다.

역사

미군과 한국군 병사들은 303고지에 세워진 기념비 기슭에 장미를 꽂았다

캠프 캐럴은 한국전쟁의 가장 악명 높은 만행 중 하나인 303고지의 저녁 그림자에 놓여 있다.제1캐브사단 소속 41명의 병사들이 부산 경계 초기 공산주의 방어선을 돌파하려다 언덕에서 붙잡혔다.증거에 따르면 이 사람들은 묶여서 등에 총을 맞았대요그 직후 유엔군사령부는 왜관 인근 공산군에 1,330톤에 가까운 고폭탄을 투하했고, 인천 상륙 이후 공산군의 후방에 두 번째 전선이 열리면서 제1캐비탈이 303고지를 탈환했다.

왜관 지역에는 40여 년 전 일본군이 대체 기지를 설치한 이래 왜관 일대에 위치한 유일한 군부대다.

논란

2011년 5월, 세 명의 주한미군 참전용사와의 인터뷰에서 1978년에 에이전트 오렌지로 추정되는 약 250 갤런 55 갤런의 화학물질이 캠프 [3]캐럴에 매장되었다고 밝혔다.2011년 5월 22일, 제8군은 1978년에 화학약품, 살충제, 제초제 및 용제가 캠프 캐럴에 묻혀 있었지만 1979년에서 [4]1980년에 걸쳐 물질과 60톤의 먼지를 제거했다고 인정했다.한미 합동조사는 2011년 12월 20일, [5]캠프 캐럴에 오렌지 요원이 묻혀있지 않다는 것을 발견하고 마무리되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미국 공병단http://8tharmy.korea.army.mil/Historical%20Land%20Use%20and%20Background%20Survey%201992 [1.pdf] 역사토지 이용 및 배경조사 - 캠프 캐럴, 한국
  2. ^ 미국 공병단http://8tharmy.korea.army.mil/Historical%20Land%20Use%20and%20Background%20Survey%201992 [1.pdf] 역사토지 이용 및 배경조사 - 캠프 캐럴, 한국
  3. ^ "U.S. Veterans Admit Burying Deadly Chemical in Korea". The Chosun Ilbo. 20 May 2011.
  4. ^ Lee Tae-hoon (23 May 2011). "US Army admits chemical dumping". The Korea Times.
  5. ^ http://8tharmy.korea.army.mil/campcarrolltaskforce.asp

좌표:35°59, 46°N 128°24°58°E/35.996°N 128.416°E/ 35.996, 128.4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