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보 1
Candidate 1![]() 2021년 ESO의 초대형 망원경의 NEAR 계측기로 촬영한 후보 1의 발견 이미지. | |
검출[1] | |
---|---|
검출자 | K. 와그너 등 |
검출일 | 2021 |
다이렉트 이미징 | |
지정 |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Ab, 켄타우루스자리 리길 b, C1 | |
궤도 특성 | |
1.1AU | |
최대 360 d | |
기울기 | ~70° |
별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A |
물리적 특성 | |
평균 반지름 | 3.3-7R지구 |
덩어리 | ~20-50M지구 |
후보 1(C1 또는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Ab라고도 함)은 2021년 2월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A 주변에서 직접 촬영된 확인되지 않은 외계 행성 후보이다.만약 외계행성으로 확인된다면, 이 행성은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A에서 약 1년 주기로 약 1.1AU 떨어진 곳에서 공전하게 될 것이며, 해왕성과 토성의 절반 정도의 질량을 갖게 될 것이며, 따라서 가스 [1]거대 행성이 될 것이다.이 행성 후보는 아직 외계 행성 신호로 확인되지 않았으며, 그 성질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관찰이 필요하다.
역사
Breakthrough Watch Initiative의 천문학자들은 중적외선 외계 행성 [2]영상촬영을 위해 새로 개발된 시스템을 사용하여 생명체 거주 지역 후보를 직접 촬영했다.수년 전 관측 결과 이 별이 배경별일 가능성은 배제되었다.연구팀은 "센타우루스자리 [3]알파 거주 가능 영역 내 저질량 행성 이미지 생성"이라는 제목의 Nature Communications지의 출판물에서 이 외계 행성 후보 발견을 발표했다.그러나 관측호는 길이가 100시간밖에 되지 않아 신호가 행성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에 충분하지 않으며, 황도대 먼지인지 기구 인공물인지도 모른다.
행성의 "탐지"는 극히 초기 단계이며, 행성 후보 [4]지위에 대해서도 물체가 적합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물리적 특성
후보 행성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지만, 관측 결과에 근거해 추측할 수 있는 몇 가지 특징이 있다.이 행성의 궤도경사각은 지구의 관점에 대해 약 70°이며, 이는 센타우루스자리 알파계 전체의 관점과 일치합니다.검출 알고리즘 때문에, 그것은 해왕성의 질량 근처 어딘가에 있을 것이고, 7보다 크지는 않을 것이다.REarth 그 질량은 반경방향의 한계치인 ~50을 초과할 것이기 때문에M단, 반지름은 3.3보다 작습니다Earth.[5]REarth 서류에 기재된 서명을 제출하지 않습니다.이 큰 질량 때문에, 바위가 있을 가능성은 매우 낮고 해왕성 크기의 행성일 가능성이 높다.이것이 행성인지, 먼지 구름인지, 짧은 관측 호 때문에 단순한 인공물인지 판단하기 위해 후속 관찰이 필요합니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 ^ a b Wagner, K.; Boehle, A.; Pathak, P.; Kasper, M.; Arsenault, R.; Jakob, G.; Käufl, U.; Leveratto, S.; Maire, A.-L.; Pantin, E.; Siebenmorgen, R. (2021-02-10). "Imaging low-mass planets within the habitable zone of α Centauri". Nature Communications. 12 (1): 922. doi:10.1038/s41467-021-21176-6. ISSN 2041-1723.
- ^ "Astronomers' hopes raised by glimpse of possible new planet". the Guardian. 2021-02-10. Retrieved 2021-02-12.
- ^ Gough, Evan (2021-02-11). "Possible Super-Earth in the Habitable Zone at Alpha Centauri". Universe Today. Retrieved 2021-02-12.
- ^ 센타우루스자리 알파 행성 이미지 생성
- ^ Zhao, L.; Fischer, D.; Brewer, J.; Giguere, M.; Rojas-Ayala, B. (January 2018). "Planet Detectability in the Alpha Centauri System". Astronomical Journal. 155 (1): 12. arXiv:1711.06320. Bibcode:2018AJ....155...24Z. doi:10.3847/1538-3881/aa9bea. S2CID 118994786. Retrieved 29 December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