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D2299

ID2299
ID2299
이벤트 유형관찰
날짜.2021년 1월 11일
지속몇 분
기구알마
거리90억 광년

ID2299는 90억 광년 [1][2]떨어진 타원 은하입니다.2021년 1월에 발견되어 상세하게 기술되어 있습니다.이는 재앙적인 가스 손실 현상으로 인한 것입니다.이는 오랜 관찰이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오해의 소지가 있거나 제대로 이해되지 않은 메커니즘이 눈앞에 있지 않는 한, 급격한 별 형성을 하는 은하계의 두 번째 부분을 야기하는 재앙적인 합병에 기인합니다.ID2299의 높은 별 형성 속도는 가스가 방출되는 것보다 훨씬 더 큽니다.꼬리가 꼬리의 절반 정도까지 자랐습니다.ID2299는 가스가 너무 많이 손실되어 수천만 년 이상 새로운 별이 형성될 수 있는 활성 상태를 유지할 것으로 추정됩니다.

관찰

이 은하가 처음으로 관측된 것은 칠레의 [3]아타카마 라지밀리미터 어레이(ALMA) 망원경 덕분이다. 이 망원경은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전파망원경이다.[4]천문학자들은 가스가 손실됨으로써 은하의 "죽음"의 극단적인 경우를 관찰했다.유럽우주국(ESA)의 그래프 작성자인 마틴 [4]콘메서에 의해 인상이 만들어졌다.는 가시 파장 및 근시야 파장 코롤러를 가시 방사선에 대해 강도 높은 형태로 나타내며, 파장이 크게 길어져서 현재 장비로는 이를 포착할 수 없다(빨간색 편이).2021년 1월 11일 이 연구는 네이처 천문학 [5][6]저널에 실렸다.

특성.

거리

이 은하의 빛은 지구로부터 90억 광년 떨어진 것으로 보이며, 지구에 도달하는 데 그 시간이 걸렸다.천문학자들이 ID2299를 관찰할 때, 45억 [4]년 전과 같으며, 현재 약 130억 광년 [7]떨어진 것으로 추정됩니다.

맥락

깊은 우주 천체 관측은 각각 평균적으로 수십억에서 수천억 개의 [8]별들로 구성된 약 20억 개의 은하가 존재하거나 존재했음을 강하게 암시합니다.모든 은하에는 가스의 핵심 성분이 있어 별들을 만들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모든 것들이 사라지고 더 이상 생성되지 않을 때, 은하는 존재하지 않게 될 것입니다.이것은 은하가 거의 모든 성간 가스를 잃는 것과 같은 활동을 하지 않는다면 수백억 년 전에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러한 손실은 새로운 별을 창조하는 것을 불가능하게 만든다.

구성.

ID2299는 극단적이고 가능성이 높은 총 가스 손실이 진행 중인 상태에서 관찰되며,[6] 이는 조석 꼬리로 방출된다.꼬리를 형성하는 46%는 연간 [9]10,000M 속도로 증가하고 있습니다.나머지 54% 내에는 연간 약 550M 스타 생산량이 집중된 구역이 있다.비교하자면, 우리 은하수는 현재 매년 [9]3백만 명의 아이를 낳는다.만약 이 리듬이나 비슷한 리듬으로 계속 간다면,[4] 은하는 우주 역사의 극히 일부인 수천만 년 밖에 남지 않았습니다.

설명.

주요 가스 손실은 항성풍, 별의[9] 형성 또는 상대론적 제트 및 초질량 블랙홀과 은하핵의 영향권으로부터의 다른 방출로 인해 모델링되었다.그곳에서 물질이 축적되면 대량의 에너지가 방출되고 은하의 [10]가스를 쓸어버릴 수 있는 강력한 바람이 나타납니다.높은 확률에 대한 ID2299의 데이터는 [9][11]ESA 과학자들에게 은하 충돌이라는 또 다른 메커니즘을 제시합니다.천문학자들은 이 은하를 몇 [6]분 동안만 관찰했을지라도, ID2299의 죽음으로 이어질 이 조석 [6]꼬리는 ID2299의 형태와 운명에 필수적인 두 은하 사이의 재앙적인 충돌의 결과라고 결론지었다.우주의 초기 단계에서는 은하들이 서로 더 가까웠기 때문에 더 많은 합병이 일어났고, 많은 은하들이 각각의 성간 [3]물질을 대량으로 제거했습니다.

만약 이 재앙적인 병합 메커니즘이 작업 그룹의 가설과 매우 유사한 관측과 일치한다면, 우리가 보다 국지적인 [9]우주에서 볼 수 있는 숙주 은하단과 초은하단을 포함하여, 이후에 생존한 은하들의 구성과 분포를 형성하는 데 기여했습니다.

레퍼런스

  1. ^ Ashley Strickland (2021). "A distant galaxy dies". ctvnews.ca. Retrieved 21 February 2021.
  2. ^ Nelly Lesage (2021). "Pourquoi certaines galaxies massive de l'Univers jeune see sont-elles éteintes?". numerama.com. Retrieved 21 February 2021.(프랑스어)
  3. ^ a b Natacha Triou (2021). "Les astronomes assistent à la mort d'une galaxie très lointaine pour la première fois". franceculture.fr. Retrieved 18 February 2021. 저널 데 사이언스 (프랑스어)
  4. ^ a b c d Gaël Lombart (2021). "Voici une galaxie en train de mourir". leparisien.fr. Retrieved 18 February 2021.(프랑스어)
  5. ^ Puglisi, A., Daddi, E., Brusa, M. and al. (2021). "A titanic interstellar medium ejection from a massive starburst galaxy at z=1.4". nature.com. Retrieved 18 February 2021.{{cite web}}: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6. ^ a b c d Puglisi, A., Daddi, E., Brusa, M. and al. (2021). "A titanic interstellar medium ejection from a massive starburst galaxy at z=1.4" (PDF). eso.org. Retrieved 18 February 2021.{{cite web}}: CS1 maint: 여러 이름: 작성자 목록(링크)
  7. ^ BFMTV 사이언스(프랑스어)
  8. ^ Alain Labelle (2016). "2000 milliards de galaxies dans l'Univers". ici.radio-canada.ca. Retrieved 18 February 2021.(프랑스어)
  9. ^ a b c d e "ALMA observe une galaxie lointaine en collision en train de mourir". sciencesetavenir.fr. 2021. Retrieved 18 February 2021.(프랑스어)
  10. ^ Yann Verdo (2021). "Quand les galaxies s'éteingnent". lesechos.fr. Retrieved 18 February 2021.(프랑스어)
  11. ^ 사이언티픽 페이퍼(2021)https://www.almaobservatory.org/en/press-releases/alma-captures-distant-colliding-galaxy-dying-out-as-it-loses-the-ability-to-form-stars/ 참조해 주세요.2021년 2월 22일 취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