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드체크
Card check![]() |
카드체크(card check, multiple sign-up이라고도 함)는 교섭단체에 소속된 직원의 과반수가 노조의 대표직을 희망한다는 내용의 인가서 양식, 즉 '카드'에 서명하는 노조로 구성되는 방식이다. 1935년 국가노동관계법(NLRA)이 법으로 제정된 이후, 카드 체크는 국가노동위원회(NLRB)의 선거 과정의 대안이 되어 왔다. 카드 검사와 선거는 모두 중앙노동위원회가 감독한다. 차이점은 카드 가입으로 직원들이 노조를 원한다는 내용의 승인 카드에 서명하고, 카드를 NLRB에 제출하며, 직원의 50% 이상이 카드를 제출하면 고용주가 노조를 인정하도록 한다는 점이다. NLRA 선거절차는 NLRB가 허가증 제출 후 비밀투표를 실시하는 추가 조치다. 두 경우 모두 고용주는 승인카드나 개별 종업원이 투표하는 방법을 공시하는 정보를 보지 못한다.
현행법 및 제안법
현재 미국 내 특정 사업장에서 노동자가 조합을 결성하는 방식은 가입 후 선거 과정이다. 그 안에서 노조를 요청하는 직원의 최소 30% 이상의 서명이 담긴 청원이나 허가증을 중앙노동위원회(NLRB)에 제출하면, 그 후 비밀투표용지를 확인하고 명령을 내린다. 두 가지 예외가 존재한다. 조합원 50% 이상이 조합원을 요청하는 인허가 카드에 서명하면 사업주는 자발적으로 비밀투표 절차를 포기하고 조합만 인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예외는 최후의 수단으로서, 만약 고용주가 공정한 선거를 할 가능성이 없는 불공정한 노동 관행을 했을 경우 50% 이상이 고용주에게 카드를 서명했다면, 고용주에게 노조를 인정하도록 명령할 수 있다.
제안된 직원자유선택법(EFCA)에 따르면 경총이 50%가 넘는 직원이 허가증을 서명한 것을 확인하면 비밀투표용지 선거는 생략되고 자동으로 노동조합이 구성된다. 2005년 미 의회에 도입됐다가 2007년과[1] 2009년 재도입된 EFCA는 비밀투표제 없이 직원 과반수가 카드체크를 통해 대표직을 승인하면 NLRB가 공식 교섭대표로서의 노조의 역할을 인정하도록 규정하고 있다.[2][3] EFCA에 따르면, 30% 이상 50% 이하의 직원이 청원이나 승인 카드에 서명할 경우, NLRB는 여전히 노조 대표를 위한 비밀 투표를 명령할 것이다.
역사
카드 체크는 새로운 것이 아니다. 국가노동관계법이 통과된 이후 교섭단위의 직원 과반수가 사업주와 단체교섭 의사를 표시하는 카드를 찍으면 노동자들이 노동조합을 결성하는 것이 합법적이었다. 최근 법률 검토 기사에 따르면, 중앙노동위원회는 초창기 "카드 체크에 대한 고용주와 합의가 있었을 때 기록에 인증했다"고 밝혔다. 이어 "태프트-하틀리법이 통과되기 전인 1947년 마지막 해에는 646건의 대표 청원서가 카드 체크 절차를 통해 비공식적으로 해결됐다"고 덧붙였다.[4]
1969년, 얼 워런 대법원장은 카드 체크 사용을 지지하는 미국 대법원에 다수 의견을 전달했다. 워렌은 "법 시행 이후 대부분의 경우 노동조합이 협상의무를 이행하기 위해 이사회 선거의 승자로 인증될 필요가 없다는 것이 인정되었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노조라고 불리는 파업이나 파업 투표에 의해, 또는 여기와 같이, 노동자의 과반수가 단체 교섭을 목적으로 노조를 대표하도록 승인하는 것에 의해, 설득력 있는 지지를 보여줌으로써."NLRB 대 지셀 패킹 [5](1969년) 대법원은 일관되게 카드 검사에 찬성한다는 판결을 내렸고 워렌은 NLRB 대 브래드포드 염색 동의 (1940년);[6] 프랭크 브라더스 브라더스 (Franks Bross)에서 사전 확언을 인용했다. Co. v. NLRB,[7] (1944년); United Mine Workers 대 Aclosan Flooring Co.[8] (1956년)
지원
카드 체크 지지자들은 그것이 노동자들이 노조에 가입하는 것을 더 쉽게 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고용자유선택법 도입에 수반하는 그의 발언에서, 전 미국 하원 교육노동위원회 위원장 조지 밀러(D-Calif.) 의원은 NLRB 선거제도의 한계를 다음과 같이 기술했다.
현재의 노조 결성 과정은 크게 깨지고 노조에 반대하는 사람들에게 편향되어 있기 때문에 노동자들은 노조 결성을 위해 말 그대로 그들의 일자리를 위태롭게 해야 한다. 비록 이것이 불법이지만, 조직화 추진에 직면해 있는 고용주의 4분의 1이 노조를 지지하는 최소한 한 명의 노동자를 해고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실제로 노조 지지자 활동 중인 직원들은 합법적인 노조 활동으로 해고될 가능성이 5분의 1에 달한다. 슬프게도, 많은 고용주들은 노조를 반대하는 캠페인에서 스파이, 위협, 협박, 괴롭힘, 그리고 다른 불법 활동에 의존한다. 보호 활동에 관여했다는 이유로 해고 노동자들을 해고하는 등 불법 행위에 대한 처벌은 매우 약해서 법 위반자들을 저지하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다.
고용주들이 법을 어기지 않을 때에도, 그 과정 자체는 노조 지지자들에 대항하여 갑판을 쌓는다. 고용주는 노동자들이 받을 수 있는 정보를 통제하고, 근로자들이 근무 시간 중에 노조 반대 회의에 참석하도록 강제할 수 있으며, 노동자들이 노조 반대 메시지를 전달하는 감독관들과 만나도록 요구할 수 있으며, 노조가 승리하면 회사가 문을 닫을 것이라는 암시를 줄 수도 있다. 반면 노조 지지자들의 직원 출입은 크게 제한돼 있다.
고용자 자유 선택법[다수 가입에 대한 규정]은 시스템에 공정성을 더해줄 것이다.
버락 오바마는 이 법안을 지지한다. 당시 직원자유선택법의 원조 공동 후원자였던 Sen. 오바마는 2007년 발의 때 동료들에게 법안 통과를 촉구하며 다음과 같이 말했다.
나는 이 법안을 지지한다. 왜냐하면 공동 번영과 안보의식을 회복하기 위해서, 우리는 일하는 미국인들이 공정하고 자유로운 절차 하에서 조직할 권리를 행사하고 우리나라가 창출하는 부의 공정한 몫을 흥정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하기 때문이다. 현재 작업장을 조직하는 과정은 너무 많은 근로자들이 그렇게 할 수 있는 능력을 부정하고 있다. 직원 자유선택법은 직원 과반수가 조합에 가입할 수 있는 대체과정을 구속력 있게 할 것을 제안하고 있다. 현재 고용주들은 대다수의 근로자들이 서명한 결정을 받아들일 수 있지만 법에 구속되지는 않는다. 그 선택은 노동자와 노동자에게만 맡겨져야 한다.
AFL-CIO는 회사가 관리하는 비밀투표가 실제로 절차를 덜 민주적으로 만든다고 주장하면서 다음과 같이 말하고 있다.
사람들은 현재의 NLRB 선거 제도를 비밀 투표라고 부르지만, 사실 그것은 우리 사회의 다른 곳에서 행해지는 어떤 민주 선거와도 같지 않다. 기업이 모든 권력을 쥐고 있기 때문에 정말 경영진이 통제하는 선거 과정이다. 그들은 노동자들이 받을 수 있는 정보를 통제하고 노조 조직화를 시도하는 사람들을 위협하고 괴롭히고 강요하고 심지어 해고함으로써 그 과정을 일상적으로 독살한다. 노조에 반대하기 위해 감독관의 비방을 받거나 노동자들이 노조에 투표할 경우 그들의 직업과 생계를 잃을 수 있다는 말을 듣고 자유로운 선택을 할 수 있는 직원은 없다.
반대
카드 검사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이것이 비밀 투표권을 박탈한다고 주장한다. 그들은 또한 비록 대다수의 카드 서명자들이 비밀투표가 불필요하다는 것을 암시할 수 있지만, 서명자들은 협박과 압력으로 서명을 강요 받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가입과 비밀투표 사이의 기간 동안 고용주들도 마찬가지일 수 있다. 미국 상공회의소 등 많은 경제단체들이 카드 체크 시행에 반대하고 있다. 웹 사이트에서 다음을 참조하십시오.
현행법에 따르면, 노동자들은 연방정부에서 감독하는 민간 단체 선거에서 노조 가입에 찬성하거나 반대하는 투표를 할 기회가 있다. 카드체크에 따르면 시설 종사자의 50% 이상이 카드에 서명할 경우 정부가 노조를 인증해야 하고, 설령 노동자가 원하더라도 개인투표가 금지된다. 사적인 카드 체크에서 투표하는 대신 공공 장소에서 서명하도록 강제함으로써 노동자들에게 협박과 강요의 문을 열어준다. 유권자의 70% 이상이 사선거가 카드 체크보다 낫다는 데 동의한다.[9]
전국음식점업협회는 홈페이지에 카드 검사에 반대하는 3가지 사항을 기재하고 있다.
1. 카드 체크 과정은 강요의 위험을 증가시킨다. 노조가 일터를 조직하려 할 때 직원들은 노조나 경영진, 또는 둘 다로부터 어떻게 투표해야 하는지에 대한 협박과 압박에 직면하기도 한다. 강제력으로부터 직원들을 보호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연방에서 감독하는 사적인 발톱 과정을 계속 사용하는 것이다.
2. 개인 투표는 미국의 기본권이다. 미국의 전체 시스템은 개인의 자유와 민주주의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한다. 만약 의회가 이 제안을 통과시킨다면, 그들은 연방제가 보호하는, 민주적인 선거가 미국 노동자들에게 제공하는 보호장치를 벗겨낼 것이다.
3. 직원의 노조 가입 결정은 비공개로 해야 한다. 직원들은 고용주나 노조 등 어느 누구에게도 노조 내에서 동료들과 함께 조직할 것인지 선택할 권리를 어떻게 행사하는지 밝혀서는 안 된다. 연방에서 감독하는 선거가 아닌 카드 체크 절차로 이동하는 것은 직원들의 사생활을 짓밟는다. 노동자의 노조 가입 결정은 노조, 고용주 또는 동료의 어떠한 강요로부터도 보호되고 비공개로 이루어져야 한다.[10]
존 클라인 R-민 하원의원은 EFCA에 대한 반대 입장을 설명했다.
당신의 고용주, 노조 조직원, 동료 등 모든 사람들이 당신이 어떻게 조합화 문제에 대해 투표하는지를 정확히 알고 있는 시스템이 직원들에게 '자유로운 선택'을 준다는 것을 어떻게 주장할 수 있을지는 도저히 이해할 수 없다. 내가 보기에 노동자가 '선택의 자유'를 보장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사적인 투표용지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 뿐이어서 아무도 어떻게 투표했는지 알지 못한다. 나는 오늘 우리가 어떻게 거기에 앉아 비밀선거에서 노동자의 민주적 투표권을 빼앗고 그것을 '종업원의 자유로운 선택'[11]이라고 부르기 위한 제안에 대해 토론하려고 했는지 이해할 수 없다.
Forbes의 해설가 Brett Josphe는 카드 체크에 대한 그의 반대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최근 해방된 노예들을 보호하기 위해 재건 기간 동안 미국에서 처음 등장한 비밀투표 선거를 끝내는 것은 유권자들의 협박에 상당한 기회를 제공하고 역사적 경제적 취약성이 있는 시기에 노동계를 크게 강화시킬 것이다. EFCA는 비밀투표로 노동자들의 투표권을 박탈하는 것 외에도 경영진과 노동계가 단체교섭협정을 맺을 수 없을 경우 구속력 있는 중재를 의무화할 것이다... EFCA는 기업(및 그 노동자들)의 운명을 정부가 임명한 위원회의 손에 맡기고, 관료들이 자유시장이 생산하지 못할 거래를 위임하도록 근본적으로 권한을 부여할 것이다. 만약 그것이 긍정적으로 들린다면, 기업들이 시장금리보다 더 높은 노동비용과 그들이 감당할 수 있는 것보다 더 높은 노동비용을 흡수하도록 강요했을 때 어떻게 할 것인지 생각해 보라. 그들은 확실히 더 많은 직원을 고용하지 않을 것이다.[12]
2004년 미시간주 소재 친자유시장인 반노조 맥키낙 공공정책센터(Mackinac Centre for Public Policy)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현재 투표과정을 유지할지 아니면 '비공개' 1회로 대체할지 묻는 질문에 노조원의 78%가 현행 비밀투표제를 '비공개' 1회로 유지할 것을 지지한다고 답했다.[13]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카드 체크와 NLRB 비밀 선거 모두에서 고용주는 카드 체크 조합에서 직원의 투표 방식을 볼 수 있지만, 고용주는 승인 카드를 보거나 직원의 투표 방식에 대한 정보를 식별하는 것을 결코 보지 않는다.
참조
- ^ 제110대 국회 2007년 H.R. 800
- ^ H.R. 1409, 제111회 의회에서 2009년 3월 10일 도입
- ^ 2007년 법안은 2007년 3월 1일 하원에서 통과되었다. 이 법은 상원에서 다수 지지를 받았지만 공화당이 주도하는 필리버스터의 위협으로 표결에 부쳐지지 않았다.
- ^ Dillard, Joel; Dillard, Jennifer (June 2007). "Fetishizing the Electoral Process: The National Labor Relations Board's Problematic Embrace of Electoral Formalism". Seattle Journal for Social Justice. 6 (2): 833.
- ^ 395 미국 575, 596–597
- ^ 310 U.S. 318, 33940
- ^ 미국로702번길
- ^ 미국로351번길
- ^ "The Employee Free Choice Act - the "Card Check" Bill". U.S. Chamber of Commer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March 2009.
- ^ "Card-Check Legislation - Government & Legal". National Restaurant Associat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6 November 2008.
- ^ "Former Union Organizer Details Tactics of Manipulating Workers Just to Get a Majority on the Cards". Press Release. Committee on Education and Labor (Minority). 2007-02-0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07-02-28. Retrieved 2007-02-19.
- ^ Joshpe, Brett (2009-01-08). "Fighting Card Check -- And Winning". Forbes.
- ^ "Checking the Premises of "Card Check"". Mackinac Center for Public Policy. July 20,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