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를로 오데스칼치

Carlo Odescalchi
하느님의 종

카를로 오데스칼치
페라라 대주교
사비나 주교
아버지
Cardinal Carlo Odescalchi (1785–1841) by AX Trail.jpg
아그네스 자비에 트레일이 그린 유화 초상화
참조페라라, 그럼 사비나
임명됨1823년 3월 10일, 그리고 1833년 4월 15일
기타 게시물몰타 군사령부 대공전
주교·정교회의 현
주문
서품1808년 12월 31일
성결1823년 5월 25일
줄리오 마리아 델라 소말리아 추기경, 주세페 델라 포르타 로디아니 추기경, 로렌초 지롤라모 마테리 추기경 등이 맡았다.
생성 추기경1823년 3월 10일
교황 비오 7세
순위추기경 주교
개인내역
태어난1785년 3월 5일
로마, 교황청
죽은1841년 8월 17일 (1841-08-17) (56세)
모데나(독립국가)
국적교황의 국가
디노미네이션가톨릭의

카를로 오데스칼치(Carlo Odescalchi, 1785년 3월 5일 ~ 1841년 8월 17일)는 이탈리아의 왕자 겸 신부, 페라라 대주교, 가톨릭 교회추기경, 로마 교구 총독이었다. 교황 비오 7세그레고리 16세의 긴밀한 협력자였던 그는 1838년 예수회 신자가 되기 위해 자신의 작위를 포기했다.[1]

초년기

A relative of Benedetto Odescalchi, who reigned as Pope Innocent XI from 1676 until 1689, Carlo was born in Rome, the second son of the noble Baldassare Erba-Odescalchi, a Prince of the Holy Roman Empire and Duke of Syrmia in the Kingdom of Hungary, and his wife Valeria Caterina Giustiniani,[2] who also belonged to a family of nobles.

카를로는 처음에는 아버지로부터 집에서 교육을 받았으나, 1798년부터 1800년까지 헝가리 왕국의 신학교에서 공부했는데, 헝가리에서는 프랑스 초대 집정관 나폴레옹 보나파르트의 침략군으로부터 도망친 후, 그 가족이 망명 생활을 했다. 그는 1797년 성직자의 편도를 받았고, 결국 1808년 12월 31일에 사제 서품받았고, 다음날인 1월 1일에 첫 미사를 지냈다. 이탈리아에서 더 높은 학문을 마친 그는 1809년에 우트로케 iure 박사학위를 받았다(캐논과 민법 둘 다). 요셉 피그나텔리와 알게 되고 교황 비오 7세의 예수회 복원에 이은 후속으로 이 협회에 입성할 계획을 세웠고, 예비 합격도 받았지만 동생인 비토리아의 저항으로 이 시도를 포기했다. 비오 7세 자신도 비토리아에 동의하고 카를로에게 좀 더 적절한 시기에 들어갈 수 있다고 약속했지만, 3년 후 비토리아의 결혼 후 비오스는 카를로를 지키기로 하고 교황 감사관을 임명했다.

교황 예배 중

비오 7세는 프랑스에서 석방된 후, 1815년 안토닌 콜로레도 발드제의 교황 공관으로 오데스칼치를 올로모우크로 보냈고, 1819년 다시 루돌프합스부르크-로트하링엔에게 추기경 붉은 비레타를 수여했다. 1815년부터 1820년까지 오데스칼치는 오스트리아사크라 로타 로마나 감사관, 교황의 감사관, 성당의 캐논 등을 지냈다. 베드로 대성당.

1823년 3월 10일, 비오 7세는 오데스칼치를 페라라 대주교로 임명하고 산티 아포폴리라는 칭호를 붙여 추기경도 만들었다. 오데스칼치는 다음 5월 25일 줄리오 마리아 델라 소말리아 추기경에 의해 주교로 임명되었고, 주세페 델라 포르타 로디아니와 로렌조 마테이가 공동주교로 재직했다. 그는 1825년 성년라테란 바실리카성문 개방을 위한 교황 공관을 지냈다.

오데스칼치는 1826년 7월 2일 페라라의 대주교직을 사임했다. 그 후 1828년 2월 5일 주교·정기회의 현장으로 임명되었다.

이후 1833년 4월 15일 사비나 추기경(사비나 추기경, 1838년 11월 30일 추기경, 주교 및 정관현직과 함께 사임함)과 다마소 로렌초 추기경(사임 1834년 12월 19일 사임함) 등 두 명의 추기경직에 임명되었다.

1837년 그는 미래의 교황 레오 13세)인 조아치노 페치에 서품되었다.

추기경으로서 오데스칼치는 1823년, 1829년, 1830년-31년 콘클라베스에 참가하였다.

예수회

1837년 오데스칼치는 교황 그레고리오 16세에게 예수회에 입회하기 위해 전관직에서 사직서를 제출했으나 교황은 이를 거절했다. 로마에서 몰타 군사령부대이전을 임명한 그는 이번에도 교황에게 그의 사임을 받아줄 것을 요청했고, 그레고리는 이 일을 이번에 했다. 1838년 추기경 겸 성공회를 퇴위한 오데스칼치는 마침내 12월 6일 예수회 훈장에 들어가 1840년 2월 2일 서약을 공언하며 12월 8일에 그 습관을 들이었다.

3년 동안 그는 이탈리아 북부의 성직자들과 농촌 사절단에 영적인 퇴로를 많이 요구받았다. 그의 사후 서신을 보면 많은 사람들이 그를 성인으로 여겼음을 알 수 있다.

죽음

그는 56세의 나이로 1841년 8월 17일 오전 10시 30분, 당시 독립국가였던 모데나의 산 바르톨로메오 예수회 학교에서 사망하였고, 인접한 산 바르톨로메오 교회에 안장되었다.

구타 과정의 일환으로 1927년 3월 31일에 신체에 대한 표준적인 인식이 이루어졌으며, 구타 과정은 여전히 열려 있다.

참조

  1. ^ Herbermann, Charles, ed. (1913). "Carlo Odescalchi" . Catholic Encyclopedia. New York: Robert Appleton Company.
  2. ^ Miranda, Salvador. "ODESCALCHI, S.J., Carlo (1785-1841)".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OCLC 53276621.

추가 읽기

  • 안토니오 안젤리니, 스토리아 델라파드레 카를로 오데스칼치 델라 콤파냐게수 스크리타안토니오 안젤리니 델라 메데시마 콤파냐, 1855년, 나폴리 페로티, 페로티,
  • 테오필레 베렌지어, 비타델카르디날레 카를로 오데스칼치 모토 종교: (1785년-1841) 티포그라피아 에밀리아나, 베네치아, 1888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