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롤라인, 안돼

Caroline, No
카롤린
CarolineNo single BW.jpg
툰의 바다 악보 커버
싱글 바이 브라이언 윌슨
B측"Summer Means New Love"
방출된1966년 3월 7일 (1966-03-07)
녹음된1966년 1월 31일 ~ 2월 9일
스튜디오서부, 할리우드
장르.
길이2:15
라벨캐피톨
작곡가
프로듀서브라이언 윌슨
브라이언 윌슨 독신 연대기
카롤린
(1966)
"Gettin' Hungry"
(1967)
라이센스 오디오
유튜브"캐롤린, 노"
오디오 샘플

'캐롤린, 노'는 1966년 3월 7일 데뷔 솔로 음반으로 발매된 미국 뮤지션 브라이언 윌슨의 곡이다.토니 애셔와 함께 쓰여진 이 가사는 그의 나이, 이전의 연애 관심, 그리고 그녀의 결백함을 잃은 것에 대해 반성하는 환멸에 빠진 남자를 묘사하고 있다.음악적으로는 재즈 화음베이스 플루트, 12현 전기 기타, 음소거 하프시코드 등 특이한 악기 조합으로 구분된다.이 곡은 나중에 비치 보이즈의 앨범 펫 사운드의 마무리 곡으로 등장했다.

이 말은 애셔의 캐럴 아멘이라는 이름의 과거 여자친구에 의해 영감을 받았다.그는 처음에 타이틀 구절을 "Carol, I know"로, 윌슨에 의해 "Caroline, No"로 잘못 들었다.윌슨이 논쟁을 벌인 다른 보고서들은 이 노래가 자신과 그의 전 학교 친구인 캐롤 마운틴, 또는 그의 당시 부인인 메릴린에 관한 것이라고 다양하게 암시하고 있다.애셔는 이 노래의 자극제가 '열혈성 성인'으로 성장한 '달콤한 소녀들'에 대한 윌슨의 실망감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윌슨은 1966년 초 웨스턴 스튜디오에서 하프시코드, 플룻, 기타, 베이스, 비브라폰 등을 다양하게 연주한 세션 뮤지션 12명과 함께 이 곡을 제작했다.그 타악기들 중 일부는 바닥에서 망치로 때린 빈 물냉이 항아리를 포함했다.윌슨은 그의 목소리가 더 젊게 들리기 위해 믹스를 반음 한 음으로 빠르게 했다.앨범 버전은 윌슨의 개가 짖는 소리와 지나가는 기차 소리로 구성된 비뮤지컬 태그를 포함하도록 편집되었다.

B-side 'Summer Mays New Love'로 발행된 'Caroline, No'는 미국에서 32위로 정점을 찍었고 영국에서는 차트 작성에 실패했다.판매 부진을 완화하기 위해, 캐피탈은 "슬롭 존 B"를 비치 보이즈의 다음 싱글로 재빨리 발표했다.윌슨은 나중에 펫 사운즈에서 가장 좋아하는 곡이자 그가 작곡한 가장 훌륭한 곡들 중 하나로 "Caroline, No"를 꼽았다.2004년에는 롤링스톤 '역대 최고의 500곡' 순위에서 214위에 올랐다.티모시 B. 슈미트, 엘리엇 이스턴, 에릭 카르멘, They Maybe Giants, 글렌 프레이 등이 이 곡을 커버한 아티스트들이다.

배경

"캐롤린, No"는 브라이언 윌슨토니 애셔가 썼는데, 아마도 "Wantn't It Be Nice"[3]를 쓴 지 며칠 안 되었을 것이다.윌슨은 아셔가 자신의 음악에 그 말만을 제공했다고 주장했지만, 아셔는 '캐롤린, No'[4][nb 1]를 포함해 펫 사운드에 최소 3곡의 음악적 아이디어를 낸 것에 대해 스스로 공로를 인정하였다.그러나 그는 윌슨에게 이 주제에 대해 "그는 항상 잃어버린 순수성에 대한 노래를 쓰고 싶었다"고 말했다. 그녀는 성숙함에 따라 달라지는 어린 소녀인데, 어떻게 된 일인지 뭔가가 없어졌다.[5]윌슨의 2016년 회고록에는 "캐롤린, 노"를 "Wilson이 작곡한 [Tony]의 신곡"과 "Writting the music"[6]으로 묘사하고 있다.그의 1991년 회고록에는, 제안된 서정시 주제를 논의한 후, Asher는 "테이프를 집으로 가져왔고, 내 컨셉을 장식했으며, 단어를 완성했다"[7]고 쓰여 있다.

가사

내용

["캐롤린 넘버"는 한번 망쳐놓았거나 한 번 병아리와 함께 게이머트를 달리게 되면 그것을 되찾을 방법이 없다는 이야기다.살면서 가끔 그런 짓을 하려면 대단한 용기가 필요하다…….그냥 서운해서 슬픈 노래를 썼어.

—Brian Wilson, 1989[8]

가사는 늙고 이전의 연애 관심사와 결백함을 잃은 한 남자를 빗대어 "긴 머리가 어디로 갔나?내가 알던 그 여자 어디 있어?어떻게 그 행복한 빛을 잃을 수가 있지?"[9]음악사학자 찰스 그라나타는 "캐롤린, 왜?"라는 대사가 주인공이 " 관계가 끝났는지" 확신이 없다는 것을 암시한다고 쓰고 있다.그는 그녀를 탓하지 않고, 대답할 수 없는 질문들이 쇄도해 고민하며 조바심을 낸다."[9]작가 제임스 페론은 "관계의 종말에 대한 책임은 파트너에게 있다"고 해석하면서 "그녀는 그가 아니라 변화한 사람이다"라고 말했다.[10]노래가 끝날 때쯤, 가수는 "그때 내가 널 너무 사랑하게 만들었던 것들"을 다시 가져오기 위해 함께 일할 수 있냐고 묻고는 "오, 캐롤라인, 안돼"[11]라고 애원한다.

윌슨은 나중에 이 가사가 "프레디 스콧의 'Hey Girl'[1963년 음반]과 매우 흡사한 진짜 눈물겨운 노래"[12]라고 평했다.음악학자 필립 램버트는 이 곡이 윌슨의 이전 작곡 작품인 "You Still Believe in Me"와 "The Little Girl I Once Knowed"[3]에 의해 확립된 테마의 연속이라고 밝혔다.그의 묘사에서 주인공은 "엄청나게 가슴이 아프고 환멸을 느낀다" "어린 시절의 복잡함이 아니라 젊은 시절의 순수함으로 돌아가기를 갈망한다 - 역방향으로 '좋지 않을까'" 라고 말했다.[13] 그라나타는 "소란스러운 곡조"가 대부분의 비치 보이즈 히트곡의 "대척"을 나타낸다고 제안했다.[14]

영감

애셔에 따르면, 노래로 이어진 그들의 토론은 "처음 여자를 만났을 때 얼마나 멋져 보이고, 언제 헤어질지 알고 있을 때 얼마나 끔찍해"[15]를 중심으로 진행되었다고 한다.그는 이 노래가 원래 더 행복한 노래라고 말했지만, 윌슨이 이 노래를 더 슬픈 방향으로 옮겼는데, 그 이유는 윌슨이 "어린 소녀들이 얼마나 다정한 성인으로 나타났는지 보고 슬퍼했기 때문이다"[16][17]이라고 말했다.다른 곳에서는 아셔가 이 노래의 자극에 대해 "더 단순한 시절로 돌아갈 수 있기를 바라는 브리안의 바람, 모든 것이 재미있고 부담이 거의 없었던 시절로 다시 돌아갈 수 있기를 바라는 그의 바람"[18][19]이라고 풀이했다.윌슨의 1991년 회고록에는 이 곡이 고등학교 동창인 캐롤 마운틴과의 과거 열성에서 유래된 것이라고 적혀 있다.쓰여져 있다,

나는 토니에게 캐롤 마운틴에 대한 나의 고등학교 시절 짝사랑에 대해 회상하며 "만약 내가 그녀를 오늘 봤다면, 나는 아마, 그녀가 무언가를 잃었다고 생각할 것이다, 왜냐하면 그녀는 자라면서 사람들에게 그렇게 되기 때문이다."라고 한숨을 내쉬었다.그러나 그 노래는 [첫 번째 아내] 마릴린과 내가 겪은 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우리는 어렸고, 마릴린과 는 스물네 살에 가까워졌지만, 나는 우리가 인생의 무거운 진지함 속에서 젊음의 순수함을 잃었다고 생각했다.[7]

아셔는 마운틴에 대해 들은 적이 없다고 회상하며 자신의 가사는 브로드웨이 댄서가 되기 위해 뉴욕으로 건너간 캐롤 아멘이라는[20] 전 고등학교 여자 친구로부터 영감을 받았다고 말했다.[18]"이동이 있은 지 얼마 되지 않은 해에 내가 그녀를 방문하기 위해 동쪽으로 갔을 때, 그녀는 급진적으로 변해 있었다.네, 그녀는 머리를 잘랐었습니다.하지만 그녀는 훨씬 더 세속적인 사람이었지, 더 나쁜 것은 아니었어."[18]그는 처음에 제목 구절을 "Carol, I know"라고 생각했다.그러나 말을 할 때 윌슨은 이것을 "캐롤린, 아니"라고 들었다.혼선이 해결된 후, 이 두 사람은 새로운 타이틀이 이 곡에 특히 가슴 아픈 퀄리티를 가져다준다고 느끼면서 새 타이틀을 지키기로 결정했다.[21][19]

1996년 인터뷰에서 이 곡에 대한 질문을 받은 마릴린은 트랙이 녹음될 때까지 "너무 많이 들었다"고 말했고 윌슨은 아세테이트를 집으로 데려왔다.그녀는 윌슨의 "첫사랑은 캐롤이라는 소녀를 위한 것"[22][nb 2]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기 때문에 이 노래가 듣기 어렵다는 것을 인정했다.마릴린은 가사에 대한 반응에 대해 "얼마나 강렬한지 준비가 되지 않았다……. 낭만적인 관점에서 보면, 그 당시 내가 생각하고 있던 사고방식이다.그리고 나서, 머리칼을 잘랐기 때문에, 나에 관한 것이라고 생각했다…….그는 늘 여자아이를 얼마나 긴 머리칼로 여성스럽게 유지하느냐에 대해 이야기하곤 했다."[22]그러나 1994년 윌슨은 이 대사를 "머리를 잘랐던 소녀를 알고 있었을 것"[23]이라고 아셔에게 돌렸다.

Wilson은 2005년 인터뷰에서 이 곡이 "누구에 대해 쓴 것이 아니다"라고 말했다.방금 캐롤라인이라는 이름을 썼어."[12]브루스 존스턴은 "캐롤린"이 실존 인물이라는 사실을 부인하며 "이 노래는 사실 브라이언 자신과 브라이언의 내면의 질적 죽음에 관한 것이었고 매우 중요한 내용이었다"고 말했다.그의 순수함.그도 그걸 알고 있어."[24][nb 3]1976년 브라이언의 형 데니스는 이 곡이 "브라이언이 고등학교 때 정말 사랑했던 소녀에 관한 것"이라고 말하면서 다른 주장을 했다.몇 년 후에 다시 그녀를 보았고, 그 모든 것이 그에게 되돌아왔고, 그는 그 노래를 작곡했다."[8]애셔는 전기작가 데이비드 리프에게 윌슨이 "사랑스런 소녀들"과 그의 아내의 여동생을 염두에 두고 있다고 말했다.[26]

구성

윌슨은 '캐롤린, No'를 글렌 밀러의 음악과 비교했다(사진)

'캐롤린, No'는 AABA 형태와 모호한 톤의 중심을 담고 있다.[27]대부분의 곡은 D major의 키에 가장 가깝고, 다른 부분은 G major major나 B minor를 암시한다.[13]어떤 화음도 단순(주요 또는 단조) 3중창은 아니다.[28]구절은 AMadd6(또는 Fm6
5
)과 Em을4
2
번갈아 가며, 이 절이 끝날 때까지, 처음에는 GM9로6
4
, 다음에는 GM9로 나타나지만, 이 곡은 새로운 톤의 D 다리로 선회한다.[13]
램버트는 다음과 같은 글을 써서 이 곡에 대한 분석을 끝냈다.

전반적으로, 이 곡은 경쟁적인 톤 동맹이 포함된 "신만이 알고 있다"에서 들리는 종류의 톤 회피가 특징인데, 그것은 "말하지 마라"의 그것과 같지 않다. 이 곡은 하나의 키가 일관되게 암시되지만 결코 강하게 확인되지는 않는다.한편, 「캐롤린 노」 선율은 그 생명력을 빼앗긴 아치적 동기처럼 반직구적 중상층 이웃들로 가득 차 있다.구절은 F와 G♭(가장 두드러지게 시작과 끝 부분)에 번갈아 고정되며, 브리지에서 이러한 음절은 상위 음성 선도의 구조적 기능을 수행한다("하트"에 G♭, "크라이"에 F", "슬픔"에 Fwhy).노래가 끝날 때, 이러한 음악적 요소들은 단순히 플루트-바스 플루트 듀엣(옥타브스)으로 반복되어 시조의 멜로디를 재탄생시키고, 폐쇄감이나 해상도를 전혀 제공하지 않는다.[13]

펫 사운드의 단 두 트랙 중 하나로 보컬 부분(다른 곡은 '말하지 마'[29]이다)만 있다.이 계측기는 하프시코드와 베이스 플룻을 보다 전형적인 팝/록 악기와 결합하여 램버트의 추정에 재즈적 영향을 반영하는 사운드를 만들어 낸다.[3]짐 푸실리는 "여러 면에서 재즈 곡이다.그런 화음 중에는 재즈 화음도 있다."[2]윌슨은 다리에 대해 "선율과 화음은 글렌 밀러... 글렌 밀러 타입의 다리"라고 말했다.[30]페론은 이 멜로디가 "넓은 테시투라 변화와 넓은 멜로디 간격"에 관여하지만, 1966년 다른 주요 팝 아티스트들의 녹음과는 달리 '카롤린, No'를 완전히 울리게 만드는 것은 대부분 악기라고 보았다.[10]

그라나타는 이 협정을 윌슨의 "계몽적인 정점"이라고 언급했다.그는 "정말 그 차이를 만드는 것은 플룻과 [삭소폰]인데, 매혹적인 빛으로 멜로디를 불어넣어 주지만, 이 타악기가 "연주의 경쾌한 느낌을 확장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이라고 언급했다.[31]애셔는 윌슨에게 베이스 플룻의 합성을 간청했다고 말했다.[2]윌슨은 "페이드 아웃은 1944년의 기록과도 같았다"고 평했다.페이드아웃의 플룻을 들어라."[30]

생산

단일녹음

브라이언에게 무슨 일이 생긴 게 틀림없어.나는 그가 매우 슬퍼보였던 것을 기억할 수 있다.그는 내가 자기 얼굴을 확인하는 것을 포착했을 때, 일종의 깊고 설명할 수 없는 슬픈 표정으로 나를 돌아보곤 했다.나는 그가 그런 모습을 전에 본 적이 없다.하지만 그는 음악에 만족했다.말로 표현할 수 없는 어떤 감정의 표현인 것 같았다.별로 곡조도 없고, 그냥 분위기일 뿐이야.

—Studio musician Carol Kaye, recalling the "Caroline, No" session date[32]

'캐롤린, No'는 1966년 1월 31일 할리우드의 웨스턴 스튜디오에서 녹음되었다.[23]기본 트랙은 기타, 베이스, 플룻, 타악기 등을 다양하게 연주한 12명의 음악가가 녹음했다.[33]앞서 윌슨이 최종 편곡을 선택하기 전에 기악기 소개를 했다: 딱딱한 타악기 망치로 바닥에서 부딪힌 빈 스파클렛츠 물냉장주그.[34][23] 17 테이크가 필요했고, 그 후 윌슨이 리드 보컬과 추가 악기를 녹음했다.[23]'너는 여전히 나를 믿어줘'처럼 엔지니어브릿츠가 2월 9일 이전이나 그 이전에 모노[35] 마스터를 믹스하면서 그의 보컬은 '라이브투테이프'로 더블 트랙됐다.[33]

'캐롤린, No'는 윌슨의 밴드 동료들이 투어 중이었고 음반 완성을 서두르는 바람에 추가 보컬이 나오지 않는 경우가 종종 있다.전기 작가 마크 딜런에 따르면, 관련 문서들은 윌슨이 원했다면 멤버들이 녹음할 수 있었고, 이 노래에 기여할 수 있었다는 것을 암시한다.[29]Asher는 그것이 Beach Boys 노래라는 인상을 받은 적이 없다는 것을 기억했다.이 커플의 다른 콜라보레이션과는 달리, 윌슨은 그의 밴드 동료들이 부를 보컬 부분을 피아노로 보여주지 않았다.[36]

마스터링 과정에서 윌슨은 아버지 머리의 조언에 따라 세미 으로 트랙을 빠르게 달렸는데, 그는 목소리가 더 젊게 들려주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그렇게 함에 있어서, 이 곡의 템포는 6% 증가했고, 키는 C에서 C로 상향 조정되었다.[37]

앨범 태그

"캐롤린, 아니" 뒤에 들리는 기차라고 알려진 부엉이

윌슨은 "캐롤린, 아니"를 따라갈 비뮤지컬 태그로 펫 사운드를 끝내기를 원했다.[38]3월 22일,[33] 그는 자신의 개 바나나 비글바이마라네르 루이의 짖는 소리를 포착하기 위해 서양으로 돌아왔다.[39]이 세션에서 녹음된 대화를 통해 브라이언은 앨범 표지를 위해 웨스턴 스튜디오 3에서 칼의 소유인 말을 촬영하는 것을 고려했다고 밝혔다.[40]브라이언이 브리츠에게 물었다. "척, 우리가 모든 것을 망치지 않는다면... 없이 말을 여기로 데려올 수 있을까?" 그러자 분명히 놀란 브릿지가 "미안해?"라고 대답하자 브라이언은 "축복해, 이제 말은 길들여졌고 모든 것이!"[41][39]라고 애원했다.윌슨의 개들이 앨범 타이틀에 영감을 주었다.[42]

"Caroline, No"의 앨범 버전이 사라지면서, 윌슨의 짖는 개와 지나가는 기관차 기차의 소리 속으로 빠져들게 되는데, 후자는 1963년 효과 앨범 Mr. D's Machine("캘리포니아 에디슨에서 #58, 올빼미")에서 샘플로 추출한 것이다.[39]올빼미(SP 6461)는 1898년부터 1965년까지 샌프란시스코와 로스앤젤레스 사이의 야간 운행 스케줄을 가진 남태평양 철도 열차였다.[43]그것은 철도 건널목에 가까워질 때 G7(도플러 효과의 결과)으로 변하는 B77 트리코드의 경적을 울리고 있다.음악학자 대니얼 해리슨은 "자동차에 관한 노래로 유명한 그룹에 의해 이 효과가 기록되었다는 아이러니가 거의 없다"[44]고 쓰고 있다.

그라나타는 2003년 펫 사운드에 관한 책에서 윌슨이 왜 이런 식으로 앨범을 끝내기로 선택했는지 "아무도 기억하지 못한다"고 보도했다.[38]윌슨은 1996년 인터뷰에서 "나는 내가 무엇을 생각하고 있었는지 잘 모르겠다.나는 그 질문에 대답할 수 없다. …녹음기를 가져다가 그들의 짖는 소리를 녹음했다.그리고 우리는 내려가서 음향 효과 테이프를 살펴봤고 기차를 찾았다.그래서 그냥 다 합친 거야."[45]

해제

1966년 브라이언 윌슨

1966년 3월 7일, 캐롤린, 노(Summer Days 기악 "Summer Mays New Love"로 후원)는 윌슨의 첫 솔로 음반으로 캐피톨 레코드사에서 발행되었다.[46]음악사학자 키스 배드먼에 따르면, "브라이언과 가까운 사람들은 그 디스크가 괴물처럼 히트할 것이라고 확신했다"고 한다.[46]마릴린의 기억에서 "의사당에 있는 모든 사람들은 그것이 너무 좋았기 때문에 싱글이 되어야 한다고 말했고, 배경 보컬이 없었기 때문에 그들은 '이것은 정말 비치 보이즈 노래가 아니니까 브라이언 윌슨 싱글로 발매하는 것이 어떻겠냐'고 말했다.[22]

반대로 전기 작가 스티븐 게인즈는 캐피톨이 "새로 히트하지는 않았다"고 썼지만 "브라이언이 곧 발매될 앨범을 완성하도록 격려하기 위해"라는 곡을 발표했다.[47]아셔는 윌슨이 밴드 동료들로부터 이 곡이 '비치 보이즈(Beach Boys)'가 아니라는 비판을 받은 것이 그가 자신의 이름으로 싱글 앨범을 발매하게 된 계기가 됐다고 회상했다.[29]세션 뮤지션 스티브 더글라스는 인터뷰에서 윌슨이 솔로 음반으로 싱글 앨범을 내도록 "정말 선동"해왔다고 말했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문제를 야기시킨 것"이라고 말했다.[48][49]

이 싱글을 홍보하기 위해 브라이언, 칼 윌슨, 러브, 그리고 존스턴은 미국 전역의 방송국마다 23초 동안 "고맙다"는 라디오 장소를 여러 개 녹음했는데, 이 라디오 방송국이 이 음반을 재생하고 "히트"를 만들어 준 것에 감사했다.[46]캐시 박스는 이 싱글을 "전 여자 친구와 필사적으로 다시 만나고 싶어 하는 불행한 한 친구에 대한, 느리게 움직이는 부드러운 노래"[50]라고 묘사했다.이 싱글은 발매 한 달여 만에 미국 빌보드 탑40에서 37위로 데뷔했으며, 결국 7주간의 차트 체류 기간 동안 32위로 정점을 찍었다.[51]배드먼은 캐피탈이 "캐롤린, No"[52]의 비인기적인 공연을 덮기 위해 "슬롭 B"를 단품으로 재빨리 발행했다고 말한다.영국에서는 지난 4월 '캐롤린, No'가 발행돼 차트 작성에 실패했다.[53]2000년 인터뷰에서 윌슨은 솔로 앨범이 더 잘 나왔으면 펫 사운드를 냈을까라는 질문을 받았는데, 그는 "아마 그랬을 거야, 그래, 안 그랬을 거야"[54]라고 대답했다.나중에 다시 묻자 그는 "아니, 그냥 그거 하고 싶었어.'캐롤린 노'는 다른 남자들보다 내 목소리에 더 잘 맞아 ..."[55]

펫 사운드는 5월 16일 "캐롤린, No"를 마지막 트랙으로 하여 발매되었다.[56]노먼 조플링은 레코드 미러의 앨범에 대한 자신의 자화자찬에서 이 곡이 LP의 베스트 트랙인 "매우 슬프고 매우 로맨틱하다"고 극찬했다.사실 끔찍하게 슬프다."그러나 그는 "음향 효과로 인해 시간이 많이 걸리고 힘들었을 것"이라며 "음향 효과로 인해 분위기가 망가졌다"고 밝혔다.그런 음악적 발전에 대해 비치보이 팬들이 고마워하지 않을 테니 안타깝다."[57]

레거시

윌슨은 나중에 "캐롤린, 노"가 그가 가장 좋아하는 펫 사운드 트랙이라고 말했다. "내가 부른 발라드 중 가장 예쁜 발라드"지독하게 예쁜 노래."[30]1995년 인터뷰에서 그는 "아마 내가 쓴 노래 중 최고일 것 같다"[36]고 말했다.데니스는 아버지 머리가 '캐롤린, No.'를 들으면 산산조각이 나곤 했다고 말했다.[8]다른 곡들만큼 세련되지 못했을 뿐이다."[36]켄트 저널리스트는 1975년 이 곡을 "논의할 수 없이 아름다운 [브리안]이 작곡한 곡 중 가장 아름다운 곡"[24]으로 인정했다.2001년 '캐롤린, 노'는 록의 백페이지 '역대 가장 가슴 아픈 100대 레코드' 순위에서 55위에 올랐다.[58]2003년에는 롤링스톤 '역대 최고의 500곡' 순위에서 214위에 올랐다.[59]

1966년 가을, 윌슨은 친구 스탠리 샤피로의 제안에 따라 행동하면서 캐롤 마운틴과의 재연을 시도했다.샤피로에 따르면 윌슨은 자신의 주소를 알려준 부모님을 찾을 때까지 호손-잉글우드 지역에 있는 모든 마운틴에 전화를 걸었다.그 후 윌슨은 샤피로와 함께 로렐 웨이에 있는 그의 집으로 그녀를 데려올 작정인 채 차를 몰고 마운틴의 집으로 갔으나, 그 노력에는 실패했다.[60][nb 4]윌슨은 회상하듯이 마운틴에게 계속 전화를 걸었는데, "약에 취한 소리 같은 것은 아니었지만, 그것은 매우 이상했다.그는 새벽 3시에 전화해서 음악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어했다.나는 정말 괴짜였다. 나는 '뭐?누구?'라고 말하고 그에게 내 남편과 이야기하게 했을 것이다.그러나 그것은 전혀 부적절한 것이 아니었다."[63]

윌슨은 자신의 첫 솔로 앨범 브라이언 윌슨의 1988년 곡 "Baby Let Your Hair Long"에서 "Caroline, No"의 주제를 다시 찾았다.[64]전기작가 피터 에임스 칼린은 "카롤린, 노(No)의 애절한 첫 행을 업데이트했다"고 썼다.순수함과 희망을 되찾을 수 있다는 것을 아는 노련한 베테랑의 목소리가 있어야만."[65]윌슨은 1995년 앨범 "I Just Basn't Made for This Times"로 "Caroline, No"를 다시 녹음했다.티모시 B를 동반한 비치 보이즈. 슈미트, 1996년 앨범 Stars and Stripe vol. 1. Jimmy Webb는 트랙의 오케스트레이션을 쓰기 위해 위촉되었다.딜런은 이 곡이 앨범의 하이라이트라고 극찬했다.[29]

대중문화에서

커버 버전

인원

밴드 기록 보관자 [33]크레이그 슬루인스키야

세션 음악가

손님들

  • 바나나 및 루이 – 짖는 소리(앨범 버전)

기술인력

차트

주간 차트
차트(1966) 피크
포지션
미국 빌보드 핫 100[46] 32

메모들

  1. ^ 다른 두 명은 "내가 아니야"와 "는 이 시간들을 위해 만들어지지 않았어"였다.[4]
  2. ^ 메를린은 브라이언이 "그의 과거를 변함없이 기억하고 있으며 아직도 그것과 그 안에 있는 모든 사람들과 관련이 있다"고 말했다.그리고 그것은 열일곱 살 때 내가 이해하기 어려웠던 또 다른 것이다.너는 이 남자가 너에 대해 말하길 원해, 그리고 옛날 여자 친구들에 대해 모두 얘기하고 있었잖아."[22]
  3. ^ 윌슨의 2016년 회고록에 따르면, 이 노래는 "마릴린에 대한 노래와 비슷하지만, 시간이 흐르면서, 나 또한 나에 대한 노래"라고 한다.토니가 그런 식으로 쓰지 않았다는 걸 알아."[25]
  4. ^ 샤피로는 "생전에 본 것 중 가장 웃긴 일이었다.우리는 폭격으로 제정신이 아니었다.그는 문간에 서서 그녀의 초인종을 울리고 캐롤 마운틴이 그녀의 머리에 롤러를 꽂고 문을 열었다."[61] 마운틴은 윌슨과 함께 떠나는 것을 거절했고, 그녀의 남편이 나타나자, 브라이언은 달리기를 벗고 차로 돌아왔고, 우리 두 사람은 거기서 뛰쳐나왔다.[62]

참조

  1. ^ Roberts, Michael (September 14, 2000). "Brian's Song: Listening to the Distant Echoes of a Pop-Rock Genius". Westword.
  2. ^ a b c 딜런 2012 페이지 99.
  3. ^ a b c 램버트 2007, 235페이지.
  4. ^ a b 게인즈 1986, 페이지 145.
  5. ^ "Interview with Tony Asher". The Pet Sounds Sessions (Booklet). The Beach Boys. Capitol Records. 1997.{{cite AV media notes}}: CS1 maint: 인용 AV 매체 (노트) (링크)
  6. ^ 윌슨 & 그린맨 2016, 페이지 183.
  7. ^ a b 윌슨 & 골드 1991, 페이지 134.
  8. ^ a b c White, Timothy (October 12, 1996). "The Passion of Pet Sounds". Billboard. pp. 45–46.
  9. ^ a b 그라나타 2003, 페이지 110.
  10. ^ a b Perone 2012, 페이지 30.
  11. ^ 그라나타 2003, 페이지 110–111.
  12. ^ a b Sharp, Ken (January 2006). "Christmas with Brian Wilson". Record Collector. United Kingdom. pp. 72–76.
  13. ^ a b c d 램버트 2008 페이지 116.
  14. ^ 그라나타 2003, 페이지 187.
  15. ^ 그라나타 2003, 페이지 86.
  16. ^ Leaf, David, ed. (1990). Pet Sounds (Booklet). The Beach Boys. Capitol Records.
  17. ^ 1978, 페이지 80.
  18. ^ a b c Elliott, Brad (August 31, 1999). "Pet Sounds Track Notes". beachboysfanclub.com. Retrieved March 3, 2009.
  19. ^ a b Asher, Tony (April 4, 1996). "Tony Asher Interview" (Interview). Interviewed by Mike Wheeler. Cabin Essence. Retrieved October 9, 2020.
  20. ^ 딜런 2012, 페이지 97.
  21. ^ 그라나타 2003, 페이지 111.
  22. ^ a b c d "The Observers: Marilyn Wilson". The Pet Sounds Sessions (Booklet). The Beach Boys. Capitol Records. 1997.{{cite AV media notes}}: CS1 maint: 인용 AV 매체 (노트) (링크)
  23. ^ a b c d 배드맨 2004, 페이지 111.
  24. ^ a b Kent, Nick (June 21, 1975). "Brian Wilson: The Last Beach Movie part 1". NME.
  25. ^ 윌슨 & 그린맨 2016, 페이지 191.
  26. ^ 1978쪽 79-80쪽
  27. ^ 램버트 2008, 페이지 115.
  28. ^ 오레건 2014 페이지 197.
  29. ^ a b c d 딜런 2012, 페이지 100.
  30. ^ a b c Mark, Linett (2001). "Track-by-Track Notes". The Pet Sounds Sessions (Booklet). The Beach Boys. Capitol Records.
  31. ^ 그라나타 2003, 페이지 153.
  32. ^ "Carol Kaye". The Pet Sounds Sessions (Booklet). The Beach Boys. Capitol Records. 1997.{{cite AV media notes}}: CS1 maint: 인용 AV 매체 (노트) (링크)
  33. ^ a b c d Slowinski, Craig. "Pet Sounds LP". beachboysarchives.com. Endless Summer Quarterly. Retrieved September 24, 2018.
  34. ^ 그라나타 2003, 페이지 147.
  35. ^ 그라나타 2003, 페이지 127.
  36. ^ a b c 그라나타 2003, 페이지 112.
  37. ^ 그라나타 2003, 페이지 181.
  38. ^ a b 그라나타 2003, 페이지 164.
  39. ^ a b c Runtagh, Jordan (May 16, 2016). "Beach Boys' 'Pet Sounds': 15 Things You Didn't Know". Rolling Ston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16, 2016.
  40. ^ 그라나타 2003, 페이지 165.
  41. ^ 산체스 2014, 페이지 83.
  42. ^ a b 딜런 2012, 페이지 101.
  43. ^ Burns, Adam. "Owl". American Rails. Retrieved November 19, 2020.
  44. ^ 해리슨 2016, 페이지 57.
  45. ^ "Interview with Brian Wilson". The Pet Sounds Sessions (Booklet). The Beach Boys. Capitol Records. 1997.{{cite AV media notes}}: CS1 maint: 인용 AV 매체 (노트) (링크)
  46. ^ a b c d 배드맨 2004, 페이지 121.
  47. ^ 게인즈 1986, 페이지 148.
  48. ^ "Musician Comments: Steve Douglas". The Pet Sounds Sessions (Booklet). The Beach Boys. Capitol Records. 1997.{{cite AV media notes}}: CS1 maint: 인용 AV 매체 (노트) (링크)
  49. ^ 그라나타 2003, 페이지 188.
  50. ^ "CashBox Record Reviews" (PDF). Cash Box. March 5, 1966. p. 16. Retrieved 2022-01-12.
  51. ^ 배드맨 2004, 페이지 121, 130.
  52. ^ 배드맨 2004, 페이지 122.
  53. ^ 배드맨 2004, 페이지 124.
  54. ^ Himmelsbach, Erik (2000). "Brian Wilson: Sounds Unsilenced". Revolver.
  55. ^ Sharp, Ken (January 2, 2009). "Brian Wilson: God's Messenger". American Songwriter.
  56. ^ 배드맨 2004 페이지 134.
  57. ^ Jopling, Norman (July 2, 1966). "The Beach Boys: Pet Sounds (Capitol)". Record Mirror.
  58. ^ "Cry Me A River! The 100 Most Heartbreaking Records of All Time…(100-51)". Rock's Backpages. December 2001.
  59. ^ "The RS 500 Greatest Songs of All Time". Rolling Stone. December 11, 2003. Retrieved November 20, 2020.
  60. ^ 게인즈 1986, 페이지 166.
  61. ^ 게인즈 1986, 페이지 166–167.
  62. ^ 게인즈 1986, 페이지 167.
  63. ^ 칼린 2006년, 페이지 17.
  64. ^ 딜런 2012, 페이지 98.
  65. ^ 칼린 2006, 265페이지.
  66. ^ "Employment". AllMusic. Retrieved April 29, 2011.
  67. ^ Caro, Mark (May 29, 2015). "Brian Wilson, John Cusack on the alchemy of 'Love and Mercy'". Chicago Tribune.

참고 문헌 목록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