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스케이드 하이츠

Cascade Heights
캐스케이드 스프링스 자연보호구역, 캐스케이드 하이츠의 공원

캐스케이드 하이츠는 애틀랜타 남서부에 있는 부유한 동네다. 이곳은 19세기 샌드타운 도로로 알려진 캐스케이드 로드에 의해 2등분되어 있다. 이 도로는 스톤 마운틴에서 차타후슈에 있는 크릭 마을 샌드타운과 거기서 앨라배마까지 이어지는 고대 샌드타운 트레일의 길을 따라간다. 아이러니하게도, 그 이름은 1830년대에 인디언들이 추방된 이후에도 계속되었다.[1]

인도양회 이후 정착이 빠르게 이루어졌고, 벤자민 메이즈 대로를 다시 세웠던 이후 윌리스 밀 로드, 차일드리스 드라이브, 헤링 로드, 도슨 드라이브, 헤드 로드, 세웰 로드 등 초기 개척자들의 이름이 이 지역의 여러 도로들에 새겨져 있다. 19세기 "스톤즈 지구"의 일부인 이 지역에는 백인 농가의 소규모 농장들이 점점이 되어 있었는데, 이 농장들 중 몇 곳만이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노예가 되어 있었다.[2] 남북전쟁이 일어날 무렵 우토이에는 샌드타운 로드가 우토이 크릭을 가로지르는 우체국이 있었지만 우체국, 교회, 제분소 외에는 실질적인 주민센터가 없었다. 우토이 원시 침례교회와 산길리어드 감리교회는 둘 다 1824년에 조직되어 19세기부터 20세기에 걸쳐 번창했다. 19세기에는 1835년부터 1989년까지 벤 힐 근처의 길르앗산 야영장에서 열린 부흥캠프 모임에서 이 지역의 모든 교단에서 수천 명의 교파가 모였다. 우토이 크릭 남쪽 갈림길에 있는 윌리스 밀과 북쪽 갈림길에 있는 헤링스 밀은 옥수수를 갈고 재목을 톱질하는 것뿐만 아니라 교제할 기회에도 중요한 역할을 했다. 목화 진은 또한 현재 캐스케이드 자연 보호구역의 바로 서쪽 지역에서 운영되었고, 또한 그 지역의 거의 모든 사람들이 한 때 혹은 다른 때에 사용했을 것이다.[3]

1864년 초, 연합군의 침공 전망이 현실화되면서 도심에서 아틀란타를 1마일 반 정도 포위한 방어작품이 세워졌다. 1864년 봄 셔먼 장군의 군대 이전에 남부 연합군이 착실히 추진되자, 샌드타운 도로를 따라 도시의 남서쪽으로 한 줄로 건설되는 등 요새를 확장하려는 광란의 시도가 있었다. 케네소 산에서 남부 연합군이 패한 후, 7월 초 연합군의 차타후치 강을 건넌 후, 그 달 말, 도시의 북쪽에 있는 피치트리 크릭 전투, 동쪽에 있는 이른바 애틀랜타 전투, 그리고 7월 27일 서쪽에 있는 에즈라 교회 전투 등 세 차례의 끔찍한 전투가 이어졌다. 8월 동안 유니온 포병대가 도시를 포위했을 때 셔먼이 도시 포위작전을 완료하려고 시도하면서 도시 남서쪽 곳곳에서 교전이 벌어졌다. 8월 4-7일, 연합군과 남부군은 우토이 크릭 전투에서 만나 지금은 캐스케이드 자연 보호구역인 곳에서 싸웠다. 연합군의 손실은 850명으로 집계되었고 남부 연합군은 35명만 사망, 부상, 실종으로 유지되었다.

이 지역은 19세기 내내 대부분 농촌 농지로 남아 있었는데, 캐스케이드 스프링스는 중산층의 증가로 돈을 벌고자 하는 도시 주변의 여러 유적지 중 하나였다. 아마도 폰스 드 레온 스프링스가 가장 성공적이었을 것이다. 하지만 터키풋 크리크 상공의 샌타운 로드(Sandtown Road)를 위한 낡은 포드 근처의 스프링은 캐스케이드 하이츠(Cascade Heights), 즉 단순히 캐스케이드(Cascade)의 기원이었다. 그 샘들은 현재 캐스케이드 봄 자연 보호구역의 북동쪽 구석에 있는 도로에서 쏟아져 나오는 세 개의 작은 폭포를 따라 "캐스케이드"라고 명명되었다. 19세기 말과 20세기 초에 작은 리조트가 그곳에서 개발되었다. 원래의 봄을 감싸고 있는 유달리 고운 봄집 이외에는 거의 남아 있지 않다.

오늘날 캐스케이드라는 용어는 미드타운이라는 용어와 매우 유사하게 공식 지도에서 보여질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넓은 지역을 지칭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늘날 캐스케이드는 북쪽의 I-20, 서쪽의 I-285, 우토이 크릭 남쪽의 능선, 그리고 그린우드 공동묘지 주변의 1954년 이전의 도시 한계에 의해 경계될 수 있다. 세계 대전 사이에 아담스 파크와 비처 힐스가 개발되기 시작하였고, 제2차 세계 대전 이후 이 지역의 옛 농장이 1950년대에 세분화·개발되면서 오듀본 숲, 페이튼 포레스트, 웨스트 마노르, 시웰 마노르, 망금 마노르가 폭발적인 교외 성장을 이루었다. 1953년 이 지역은 애틀랜타 시에 합병되었다.

페이튼 로드 어페어

1960년대 초반에 그 지역은 주로 백인 동네였다. 아프리카계 미국인 의사(클린턴 E 박사)의 뒤를 이었다. 워너)가 페이튼 포레스트에 있는 집을 샀는데, 이 지역 백인 거주자들은 자신들의 동네가 블록버스터의 희생양이 될 것을 우려했다.[4][5] 블록버스터는 부동산 중개업자들이 백인 거주자의 인종적 공포에서 이익을 얻는 사업 관행이다.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이 이웃으로 이주했을 때, 많은 백인들은 부동산 가치가 자동적으로 폭락할 것이라고 믿었는데, 이는 백인들이 처음 웨스트엔드와 그 다음엔 캐스케이드 하이츠, 아담스 파크, 그리고 나머지 대부분의 애틀랜타 남서부의 다른 지역들을 탈출하면서 동시에 시장에 출시되는 것과 동시에 많은 집들이 시장에 나갔기 때문에 자충수 예언이었다. 부동산 중개업자들은 두려운 집주인들이 그 지역을 벗어나기 위해 종종 손해를 보는 그들의 부동산을 팔았을 때 그들이 벌어들인 수수료의 혜택을 받았다.

1962~1963년 '페이튼 로드 어페어'로 불리게 된 악명 높은 에피소드에서 이반 앨런 애틀랜타 시장은 도시 직원들에게 페이튼 로드와 할란 로드에 바리케이드를 세워 캐스케이드 하이츠의 접근을 제한하도록 지시함으로써 주민들의 블록버스터에 대한 두려움에 대응했다. 고든 로드(현 MLK 드라이브).[5][6][7][8] 그는 애틀랜타[6] 남서부의 백인 주민들(특히 페이튼 로드에서[citation needed] 조금 떨어진 곳에 사는 그의 고급 직원 중 한 명)의 권유에 따라 이 조치를 취했다. 바리케이드가 쳐진 1962년 12월 18일 이후 이 사건은 순식간에 국민적 관심을 끌었다.[9] 장벽은 베를린 장벽에 비유돼 '아틀란타 장벽'[6][7]이라는 별명을 얻었다. 다른 지역의 일부 신문들은 애틀랜타의 모토인 "미워하기엔 너무 바쁜 도시"에 의문을 제기했다. 벽은 1963년 3월 1일 법원이 위헌 결정을 내리면서 허물어졌다.[4][5][6][7] 바리케이드가 철거된 후 백인 주택 소유자들이 인근을 빠져나갔다. 1963년 7월 말까지 페이튼 포레스트에는 백인 주택 소유주 15명만이 남았다.[10]

1960년대 후반까지 캐스케이드 하이츠 인근은 주로 아프리카계 미국인이었지만, 일부 백인들에 대한 두려움에도 불구하고, 주민들의 색깔 외에는 거의 변하지 않았다. 1970년대에 이 지역은 이 도시의 아프리카계 미국인 공동체의 많은 이주자들과 제빵사들의 본거지가 되었고 오늘날에도 여전히 그렇게 남아 있다. 그것은 여러 면에서 애틀랜타 북서부에 널리 알려진 백인 동네의 거울로 유명한 유명인사들이 거주하고 있고, 몇몇의 게이티드 커뮤니티가 있고, 두개의 골프장이 옆에 있다.

저명인사

캐스케이드 하이츠의 주목할 만한 거주자는 다음과 같다.

참조

  1. ^ 제11권 제4호 (1966년 12월)의 존 H. 고프, "샌드타운 트레일"을 참조하라.
  2. ^ 인근 지역의 초기 역사에서 중요한 이들 및 기타 이름 중 많은 것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프랭클린 개럿, 애틀랜타 엔비론(University of Georgia Press, 1954)을 참조하십시오.
  3. ^ 1872년 윌리엄 필립스 "풀턴 카운티 지도"는 남북전쟁 이전부터 제한적인 변화가 있었을 당시 많은 장소, 도로, 재산 소유주들을 기록하고 있다.
  4. ^ a b Ernie Suggs and Tom Benett, "Former Mayor Ivan Allen Jr. dead at age 92; Mayor helped city bridge racial divide", Atlanta Journal-Constitution, Legacy.com, retrieved January 10, 2012
  5. ^ a b c Paul Crater (December 2011), "49 Years Ago This Month: Atlanta's 'Berlin Wall'; December 1962", Atlant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29, 2012
  6. ^ a b c d Tammy H. Galloway (2010), "Ivan Allen Jr. (1911–2003)", The New Georgia Encyclopedia
  7. ^ a b c "Remaining Walls", Ebony, Johnson Publishing Company, pp. 24–25, June 1963
  8. ^ "남쪽: 분단된 도시" 시간. 1963년 1월 18일.
  9. ^ Sacred places: a guide to the civil rights sites in Atlanta, Georgia. p. 159.
  10. ^ White flight: Atlanta and the making of modern conservatism. p. 5.

좌표: 33°43′20″N 84°27′48″w / 33.7222°N 84.4633°W / 33.72222; -84.463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