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스트로헤리즈

Castrojeriz
카스트로헤리즈
·군
View of Castrojeriz, 2010
카스트로헤리즈의 모습, 2010
Official seal of Castrojeriz
좌표: 42°17′16″N 4°8′20″W / 42.28778°N 4.1389°W / 42.28778; -4.13889
자치 공동체Castile and León 카스티일과 레온
Flag of Burgos 부르고스
코마르카오드라피수에르가
설립됨882
정부
시장비트리츠 프란체스 페레스
면적
• 합계136km2(53제곱 mi)
표고
804m(2,638ft)
인구
(2018)[1]
• 합계803
• 밀도5.9/km2(15/sq mi)
우편번호
09110
지역 번호947
웹사이트카스트로헤리즈 시의회

카스트로헤리즈 또는 카스트로게리즈는 부르고스 주, 카스티야 이레온(스페인) 자치구에 위치한 지방 및 자치 단체로, 오드라 피스게르가 자치구, 부르고스의 사법구, 동명의 마을 협의회장, 전 카스트로제리즈 사법구의 수장이었다.

카미노 데 산티아고[2] 프랑스 길이세인트 제임스의 길을 따라 인기 있는 정류장으로, 이 도시를 종방향으로 1500m 이상 가로지른다.[3][4]

역사

이 마을은 피수르가에 합류하기 직전에 오드라 강을 따라 위치해 있다. 역사적으로 1785년과 1833년 사이에 부르고스 자치구를 형성한 14개 자치구 중 하나인 카스트로제리츠 사법구의 수장이었다. 1787년 플로리다블랑카 인구조사에서 그것은 일반 시장이 있는 마르케사 데 카마라사 소유주로서 영주권의 관할 하에 놓였다.

Old San Esteban de Castrojeriz church - a pilgrim boarding place

전 카스트럼 시게리치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 마을은 카미노 강을 따라 다른 마을들처럼 배치되어 있다. 이 도로에는 몇 개의 교회와 주목할 만한 건물들이 있다. 폐허가 된 성이 있는데, 그 성은 많은 역사를 가지고 있다. 이 마을은 9세기 말 아랍인들을 상대로 요새를 방어했던 무뇨 백작(또는 누뇨 누녜스)이 세운 마을이다.[4] 그 전에는 셀티베리안, 로마, 비시가트 요새였다.

974년 카스티야의 가르시아 페르난데스 백작이 카스트라예리즈 헌장을 수여했는데, 카스티야에서 최초로 허가된 헌장으로 간주된다.

길가에 집들이 즐비한 자코베 도시주의의 한 예로서, 순례길에서 가장 길다.[4] 카미노 데 산티아고에서 중요한 무대로서 이 길을 따라 여러 개의 병원이 있었다.

라틴 십자가 대신 타우 십자(타우)를 스포츠하는 유람선이 있는데, 아마도 마을 변두리에 수도원과 병원을 두고 있던 안토니아인들으로 고통받는 환자들을 치유하고 보살피던 훈장을 떠올리게 하는 것일 것이다. 성화라고도 불리는 앤서니 파이어는 현재 호밀에 곰팡이 기생충을 섭취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진 질병이다.

인구

2010년 1월 1일 현재 자치구의 인구는 882명이고, 이 중 447명이 남성이고 435명이 여성이다.[5]

핵별 인구

주민(2000년) 주민(2010년)[6] 메모들
카스트로헤리즈 600 567
히네스트로사 74 56
타바네라 0 0 미포함
발보닐라 72 71
발룬퀴라 63 41
빌라실로스 112 103
빌라베타 75 44

헤리티

마을

  • 비엔 드 인터레스 문화
  • 카테고리: Connusto 히스토리코(이력 그룹 또는 세트)
  • 관찰: 카미노 데 산티아고(Camino de Santiago)의 필수 부품으로, 12월 23일 법령 324/99로 구분된다.
  • 날짜 - 시작: 1974년 12월 20일 - 선언: 1974년 12월 20일 - BOE 선언: 1975년 1월 31일

카스트로헤리츠의 성

  • 비엔 드 인터레스 문화
  • 날짜 — 시작: 1949년 4월 22일 — 선언: 1949년 4월 22일 — BOE 선언: 1949년 5월 5일

1359년 카스티야의 왕 페르디난드 4세의 딸이자 아라곤의 왕 알폰소 4세의 아내인 카스티야의 여왕 엘레노르가 이곳에서 그녀의 조카 페드로의 명령에 의해 살해되었다.

"엘 푸에르치"라고 불리는 집

  • 비엔 드 인터레스 문화
  • 날짜 — 시작: 1949년 4월 22일 — 선언: 22/04/1949 — BOE 선언: 1949년 5월 5일

  • 비엔 드 인터레스 문화
  • 날짜 — 시작: 1949년 4월 22일 — 선언: 22/04/1949 — BOE 선언: 1949년 5월 5일

산후안 성당

  • 비엔 드 인터레스 문화
  • 날짜 — 시작: 1980년 11월 21일 — 선언: 1990년 6월 29일 — BOE 선언: 1990년 7월 3일

이 건물은 여러 혈통을 묻기 위해 세워졌다. 여기에는 다음과 같은 주요 관심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

  • 16세기 클로이스터 - 세 개의 갤러리나 판다가 아직도 남아 있다. 무데자르 스타일의 커피 천장에 점성술 참조가 있는 천장을 갖추고 있으며, 1426년에서 1476년 사이에 카스트로헤리즈의 영주였던 고메즈 산도발족의 팔로 장식되어 있다. 기둥의 수도에는 템플 기사단의 도장이 찍혀 있다.
  • 남쪽 통로에 위치한 후안 곤잘레스 갈로가 지은 장례 예배당 - 16세기다. 제단은 암브로시우스 벤슨에게 귀속된 12개의 패널로 구성되어 있다.
  • 카스트로-무지카 채플, 북쪽 통로의 첫 번째 구역에 위치 - 후안과 페드로 헤네스트로사에 의해 지어졌다. 1527년에 죽은 디에고 무히카의 고딕 양식이 있다. 그것은 움푹 들어간 흉상과 그의 팔로 장식된 석관으로 묘사된다.
  • 18세기 로코코 양식의 황금 소나무로 지어진 주 제단이다. 그것의 건설은 시내의 산안톤 컨벤트를 위해 [7]산안토니오 기사단장과 감감반장 다미안 가르시아 올로키에 의해 명령되었고, 1777년 산안토니오 훈장이 몰타 훈장에 정식 애착을 갖자 산후안 교회로 옮겨졌고, 마침내 1791년 해체되었다.
  • 난간이 있는 성가대와 고딕식 전차가 있는 계단이 있다.

이글레시아 데 누에스트라 세뇨라 델 만자노

산안톤 수녀원의 유적

산안톤 수녀원의 폐허에 아치형태를 그려라.

바로 바깥쪽에는 카스티야의 페드로 1세 왕궁과 정원이었던 카스트로제리즈가 세인트의 병원 형제들이 운영하는 산안톤 고대 수도원의 폐허다. 카미노 산티아고를 따라 온 환자들을 돌보는 일에 헌신한 앤소니, 특히 세인트라고 불리는 병을 앓고 있는 환자들을 돌보는 일에 헌신했다. 앤소니의 불, 성스러운 불, 병든 불. 현재는 순례자들이 드나든 터널을 형성한 아치만 남아 있다.

이 수도원은 왕실의 보호를 받고 있었고, 그래서 교회 앞쪽과 금고 열쇠에 왕실의 볏이 있다. 12세기(1146년) 알폰소 7세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산안토니오 아바드의 왕립 세노도퀴오(王立 xen)[8]로 알려져 있다. 현재의 폐허는 14세기 것이다. 그 병원은 카스티야 왕관과 포르투갈의 여러 영지에 있는 산 안토니오 훈장 총사령부의 본부였기 때문에 매우 중요했다. 안토니아 승려들이 여러 가지 물건을 축복하기 위해 행한 의식은 유명했고, 그 의식은 많은 축하가 있었다. 그 질서의 상징은 타우 십자가였다.

유명한 사람들

참고 항목

참고 및 참조

  1. ^ Municipal Register of Spain 2018. National Statistics Institute.
  2. ^ "Descripción de la Etapa 13 del Camino de Santiago Francés" (in Spanish). Retrieved 18 May 2013.
  3. ^ "Camino" (in Spanish).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1 June 2013. Retrieved 18 May 2013.
  4. ^ a b c "Castrojeriz". Retrieved 18 May 2013.
  5. ^ "INE: Población por municipios y sexo".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September 2013. Retrieved 18 May 2013.
  6. ^ 노멘클라토르 INE
  7. ^ 루치아노 휘도브로 세르나. (1942) 운나바로 일루스트레. 엘 코멘다도르 시장다미안 가르시아 올로키 빈시페비아나 매거진
  8. ^ 제노도키오는 카미노 산티아고를 따라 유럽에서 온 순례자들과 같은 외국인, 낯선 사람들을 접대했던 병원이다.

참고 문헌 목록

  • Abásolo Álvarez; José Antonio (1978). Carta arqueológica de la provincia de Burgos: partidos judiciales de Castrojeriz y Villadiego . Diputación Provincial de Burgos, D.L. ISBN 84-7009-061-5.
  • Nadal Subías, Eva & Pérez Grijalbo, Rodrigo (2004). Valores naturales del camino de Santiago a su paso por Castrojeriz. Adeco-Camino, D.L. BU-376.- 2004. ISBN 84-96230-04-X.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