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소비자물가지수 구속

United States Chained Consumer Price Index

체인 가중 CPI 또는 체인 연계 CPI로도 알려진 미국 체인지 소비자 물가지수(C-CPI-U)는 미국 소비자 물가지수의 대안으로 노동통계국이 만든 소비재와 서비스의 가격 수준을 시계열 측정값이다. 상품마다 가격이 다른 비율로 바뀌면 상대 가격이 하락한 제품을 더 많이 구매하고 상대 가격이 오른 제품을 덜 구매해 구매 패턴을 조정한다는 취지다. 이것은 보고된 생활비를 줄이지만, 생활비에는 변화가 없다; 그것은 단순히 미시경제적인 "위헌효과"를 회계처리하는 한 방법이다. "고정 중량" CPI는 또한 그러한 대체물을 고려하지만, 그 바구니에서 지속적인 조정을 통해서가 아니라, 그것이 나타내는 "상품 바구니"의 주기적인 조정을 통해 그렇게 한다. 사슬에 묶인 CPI를 연방 혜택에 적용하는 것은 연방 적자 축소를 위해 논란의 여지가 있는 제안이었다.

배경

현재 노동통계국은 38개 도시 지리적 영역에서 211개 다른 종류의 상품과 서비스의 매월 평균 가격을 계산하고 있으며, 총 8,018개의 다른 기초지수를 산출하고 있다. 이들로부터 전국의 상품과 서비스의 범주 또는 소비자 집단에 따라 다른 가중치를 사용하여 상위 지수를 이러한 기초 지수의 가중 평균으로 구한다. 모든 도시 소비자(CPI-U)를 위한 소비자 물가지수(CPI)를 얻기 위해 하나의 가중치를 사용한다. 또 다른 방법은 도시 임금 근로자와 사무직 근로자를 위한 CPI를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CPI-U와 CPI-W의 가중치는 현재 짝수 연도마다 1월에 업데이트되어 소비자들이 그들의 생활비가 인플레이션만큼 빨리 오르는 것을 막기 위해 그들의 구매 패턴을 바꿀 것이라는 생각인 "위헌 편향"으로 수정된다.

"위헌적 편견"을 이해하려면, 예를 들어 Granny Smith 사과의 가격을 고려해보라. 만약 그 사과들의 가격이 Red Damic 사과 가격보다 더 빨리 상승하거나 Granny Smith의 가격이 Red Damic 사과 가격보다 더 느리게 하락한다면, 소비자들은 Red Damic 사과들을 더 많이 구매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이 "하위" 대체 편향은 현재의 CPI-U와 CPI-W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만약 그 가격이 상승한다면, 사과는 오렌지의 그것보다 더 빨리 증가하거나, 사과 가격이 오렌지의 가격보다 더 천천히 하락한다면, 평균적으로 소비자들은 더 적은 사과와 더 많은 오렌지를 구입함으로써 반응할 것이다. 이는 그들이 구매하는 상품의 "시장 바구니"를 변화시킨다. 이러한 "상위 수준" 대체는 최대 2년 후가 될 수 있는 다음 조정까지는 전통적인 CPI에서 회계처리되지 않지만, 체인 CPI (C-CPI-U)에 다음 달에 영향을 미친다.

이익에 미치는 영향

다양한 공공 및 민간 조직은 사회 보장 프로그램과 세법 규정의 경우 CPI 데이터를 생활 조정 비용 조정(Cost of Living Adjustments, COLA)은 CPI 데이터를 사용한다. 현재 대부분의 프로그램은 CPI-U 또는 CPI-W에 인덱싱되어 있다.[1]

소비자 물가의 변동은 생활비 조정과 같은 이슈를 결정하는 데 사용되기 때문에 인플레이션에 대한 공식적인 추정치를 낮추면 근로자와 퇴직자에 대한 지급액이 감소할 것이다. 조정대상자가 경험하는 물가상승률보다 공식적인 조정이 크면 불로소득을 받고, 실제 물가상승률보다 낮으면 불이익을 받고, 임금이나 퇴직급여를 지급하는 자에 대한 비용은 보완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이를 넘어 세금 코드의 다양한 임계값도 CPI에 인덱싱된다. 이러한 임계값이 더 느리게 증가하면 세금 수령액이 증가할 가능성이 높다.[1]

체인으로 묶인 CPI의 적용은 정부 편익 증가율을 줄여 미국 연방 예산 적자를 줄이는 수단으로 제시됐다. 모멘트 오브 진리 프로젝트는 체인된 CPI로 이전하면 사회보장예금의 약 3분의 1이 절감되고 연방 세입 증가(더 느리게 증가하는 과세표준과 같은 인플레이션 지수화된 세금 조항을 통해)의 3분의 1이 절감되며 첫 10년 동안만 약 3,900억 달러의 적자를 줄일 수 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다른 지출 프로그램들의 조합으로 인한 저축과 부채에 대한 이자 감소.[2] 의회예산국은 체인으로 묶여 있는 CPI로 전환하면 3,400억 달러를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2014년 대신 2015년부터 체인으로 묶여 있는 CPI를 적용하고 "저소득 보호"와 함께 적용하면 2,300억 달러를 절감할 수 있을 것이다.

제안 및 논쟁의 역사

1996년 소비자물가지수연구자문위원회(보스킨 위원회)는 1996년 CPI-W(사회보장 조정 시 사용)가 물가상승률을 1.1% 초과 추정했다고 추정했다. BLS는 CPI-U와 CPI-W를 변경하여 대응하였고, CPI-W는 상위 대체 편향을 보상하기 위한 조정을 포함하였으며, 매년 1월 짝수 연도를 실시하였다. 2002년 BLS는 대체 편향에 대한 월별 조정을 더 자주 제공하는 체인 CPI(Cained CPI)를 만들었다.[5]

사슬에 묶인 CPI의 지지자들은 책임 있는 연방 예산[6] 위원회헤리티지 재단을 포함한다.[7] 심슨-볼레스, 도메니치-리블린, 6강 등 적자를 줄이기 위해 마련된 각종 초당적 위원회 권고안에도 포함돼 있다.[8]

오바마 대통령은 2012년과 2013년 재정절벽 협상의 일환으로 예산 부족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사슬에 묶인 CPI를 사회보장혜택에 적용하자고 거듭 제안했다. 이 입장은 민주당과 사회보장 옹호 단체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에게 논란이 되었다.[9]

일부에서는 인플레이션 지표를 체인 CPI로 변경하면 사회보장부가보장소득과 같은 프로그램에 따른 혜택의 증가를 부적절하게 줄일 수 있다는 이유로 이 조치에 반대하고 있다.[10] 반대론자들로는 AARP[11] 미국공무원연맹, AFL-CIO, 사회보장공단이 있다.[12] 그들은 현재의 노인용 CPI가 노인들이 젊은 사람들보다 더 많은 의료 서비스를 구입하고, 의료용 인플레이션이 나머지 경제에서 인플레이션을 초과했기 때문에 노인들이 경험하는 인플레이션을 과소평가하고 있다고 주장한다.[13]

의회예산국은 1998년 생활조정비용에 사용된 CPI 측정지표가 "생활비보다 더 빨리 상승한다"[6][14]고 밝혔다.

책임 연방 예산 위원회에 따르면, "체인된 CPI로 이동하면 범주 간 대체에 대한 소비자 반응을 다루기 위해 지출 가중치와 공식을 업데이트하는 최상급 [체인] 지수를 사용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다."[6]

체인 CPI는 2000년 이후 평균적으로 CPI-U 및 CPI-W보다 0.25 - 0.3% 포인트 낮았다. 변경 반대자들은 차이가 작지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사회보장을 위한 COLA 지출의 감소는 장기간에 걸쳐 볼 때 더 커지게 된다는 점에 주목한다.[6]

반대론자들은 또한 사회보장제도와 같은 퇴직급여를 조정하기 위해 CPI-W를 사용하는 것은 노인들이 도시 임금 근로자나 사무직 근로자와 다른 소비 패턴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15]노인들의 인플레이션을 제대로 추정하지 못한다고 주장한다. 예를 들어, 노인들은 모든 도시 소비자(CPI-U 및 C-CPI-U 연구)와 도시 임금 근로자와 사무직 근로자(CPI-W 연구)의 의료 서비스를 대략 두 배 정도 소비하고 있으며, 의료 물가 상승률은 나머지 경제 대부분에서 의료 서비스 물가 상승률을 초과하고 있다. 이를 조정하기 위해 BLS는 노인 소비자 물가 지수(CPI-E)를 계산한다.[16]

그러나 지수로서의 CPI-E에는 여러 가지 결함이 있다. 첫째로, 그것은 매우 작은 표본 크기를 다루고 있으며, 실제로는 자체 지수보다는 CPI-U의 일부분에 불과하다.[2] 더 중요한 것은, CPI가 의료 비용 인플레이션을 적절히 측정하는지 여부에 대한 상당한 논란이 있다는 것이다. CBIO는 설명하듯이, "실제로 젊은 사람들보다 노인들을 위한 생활비가 더 빠른 속도로 증가하는지" 불분명하다. 일부 연구에서는 BLS가 의료의 질 향상률을 과소평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개선이 연간 1% 이상 의료의 실제 가격을 낮추는 것일 수 있다고 제시하고 있다. 만약 그렇다면, 모든 버전의 CPI는 특히 CPI-E에 대한 과장된 표현이 큰 생활비 증가를 과대평가한다."[17]

체인으로 묶인 CPI는 더 오래 살지만 전형적으로 남성보다 저축이 적은 여성들에게 불균형한 영향을 끼친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체인으로 묶인 CPI가 퇴역군인과 장애인에게 미치는 영향에 대한 우려도 제기됐다. 퇴역군인과 장애인이 정년 전에 복리후생비를 거둬들이기 때문에 시간이 지날수록 사회보장 및 기타 프로그램에서 더 큰 소득을 잃게 된다는 주장이다. 게다가 체인 CPI는 3만 달러에서 4만 달러 사이의 소득을 가진 사람들이 소득에 대한 인플레이션 조정의 감소에 의해 불균형적으로 영향을 받을 것이기 때문에 퇴보적인 사회 정책으로 묘사되어 왔다.[18]

분배효과

세금 인상분이 있는 세금 단위 비율[when?](현재 정책)
사회 보장 혜택의 평균 감소율

사슬에 묶인 CPI로 이동하면 사회보장 수급자의 하위 60%에 대해서는 사회보장혜택이 3% 감소하고 상위 40% 수혜자의 경우 4% 감소한다(2050년 사회보장국 추정치).[19]

조세정책센터는[who?] 체인 CPI를 변경하면[how?] 소득분배 하위 20%의 30%, 차상위 20%의 70%, 소득분배 상위 60%의 거의 모든 국민이 납부하는 세금이 늘어날 것으로 추정했다[when?].[citation needed]

참조

  1. ^ a b "Using a Different Measure of Inflation for Indexing Federal Programs and the Tax Code" (PDF). Economic and Budget Issue Brief. Congressional Budget Office. February 24, 2010. Retrieved 2013-11-06.
  2. ^ a b The Moment of Truth (March 19, 2013). "Measuring Up: The Case for The Chained CPI". The Committee for a Responsible Federal Budget. Retrieved 2013-05-20.
  3. ^ "Using the Chained CPI to Index Social Security, Other Federal Programs, and the Tax Code for Inflation" (PDF). SSA.gov. Retrieved 2012-12-26.
  4. ^ "The Budget". Office of Management and Budget. April 1, 2013. Retrieved 2013-11-06 – via National Archives.
  5. ^ Arnold, Roger A. (2008-12-12). Macroeconomics. Cengage Learning. pp. 122–. ISBN 9780324785500. Retrieved 14 March 2013.
  6. ^ a b c d Adam Rosenberg, Marc Goldwein (December 12, 2012). "Measuring Up: The Case for the Chained CPI" (PDF). Moment of Truth project. Retrieved 2013-11-06.
  7. ^ "Progressives slam chained CPI plan – Brett Norman". Politico. December 19, 2012. Retrieved 2012-12-26.
  8. ^ "Federal groups oppose shrinking benefits through 'chained CPI'". Washington Post. December 18, 2012. Retrieved 2012-12-26.
  9. ^ Obama's Chained CPI Throws Off Pols and Here's How It Works, retrieved 2013-12-18
  10. ^ "Strengthen Social Security ... don't cut it" (PDF). Huffington Post.
  11. ^ Social Security, the Fiscal Cliff and the Chained CPI, AARP, December 2012, retrieved April 12, 2013
  12. ^ Mullins, Luke (2010-05-20). "Are Seniors Getting Shafted on Social Security? – US News and World Report". Money.usnews.com. Retrieved 2012-12-26.
  13. ^ "Consumer Price Index (CPI)". BLS.gov. 2012-12-14. Retrieved 2012-12-26.
  14. ^ Gramlich, Edward M. (April 29, 1998). "FRB: Testimony, Gramlich: Improving the consumer price index". Federal Reserve Board. Retrieved 14 March 2013.
  15. ^ "Cost-Of-Living Adjustment (COLA) Information For 2013", Cost-Of-Living Adjustment, Social Security Administration, retrieved April 11, 2013
  16. ^ "Consumer Price Index for the Elderly". The Editor's Desk. Bureau of Labor Statistics. March 2, 2012.
  17. ^ Congressional Budget Office (February 24, 2010). "Using a Different Measure of Inflation for Indexing Federal Programs and the Tax Code". Retrieved 2013-05-20.
  18. ^ Chained CPI is Bad for Seniors and for Accuracy, Dollars & Sense, retrieved 2013-06-06
  19. ^ Tax Policy Center (2011-07-07). "Index Tax Parameters with Chained CPI; Baseline: Current Policy; Distribution by Cash Income Level, 2021". Taxpolicycenter.org. Retrieved 2012-12-26.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