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를 드 코닌크

Charles De Koninck
샤를 드 코닌크

태어난(1906-07-29)1906년 7월 29일
벨기에 토르후트
죽은1965년 2월 13일 (1965-02-13) (58세)
이탈리아 로마
모교가톨릭 루뱅 대학교
시대20세기 철학
지역서양 철학
학교라발 토미즘
주된 관심사
자연철학, 정치이론, 과학철학, 수학철학, 형이상학, 논리학, 신학

샤를 드 코닌크 MSRC(Charles De Koninck MSRC, 1906년 7월 29일 ~ 1965년 2월 13일)는 벨기에계 캐나다인 토머스주의 철학자 및 신학자였다. 퀘벡 라발대 철학과장으로서 프랑스 캐나다의 가톨릭 철학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영어 캐나다미국의 가톨릭 철학자들에게도 영향을 미쳤다. 프랑스어와 영어로 된 많은 책과 글을 저술한 그는 자연철학, 과학철학, 수학철학, 정치철학 등 다양한 철학 분야에 공헌하였으나 신학, 특히 마리학에도 저술하였다.

드 코닌크는 이른바 라발 철학파의 창시자로 데 코닌크의 수집된 작품을 영어로 번역한 랄프 매키너니를 비롯한 다수의 철학자들을 지도했다.

조기생활과 교육

드 코닌크는 벨기에 토르후트에서 태어났으며, 둘 다 토르후트 원주민인 루이 드 코닌크와 마리 베르플랑케의 아들이다. 1914년, 드 코닌크 가족은 미국으로 이민을 갔고, 그곳에서 루이스 드 코닌크는 미시건 주 디트로이트에서 건설업자와 건설업자로 일했다.[1]

1921년 찰스는 교육을 마치기 위해 벨기에로 돌아왔다. 그는 처음에 오스틴드에서 학교를 다녔고, 그곳에서 주로 수학, 화학, 물리학을 공부했지만, 라틴어, 그리스어, 네덜란드어, 영문학에서도 폭넓게 읽었다.[2] 그 후 그는 가톨릭대학교 루바인에서 철학을 공부했고 그곳에서 토미스트가 되었다. 디트로이트 대학에 입학한 후 루바인으로 돌아와 아서 에드딩턴 경의 과학철학에 관한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우등으로 취득했다.[3]

경력

1934년, 드 코닌크는 퀘벡에 있는 라발 대학교에서 일하기 시작했고, 그 다음해에 그는 전 교수가 되었고, 그의 여생 동안 유지했던 직책이었다.[4] 1939년과 1956년 사이에 그는 라발에서 철학 교수로 재직했다.[5][6]

캐나다 왕립 협회의 일원으로서, De Koninck와 그의 가족은 그들의 퀘벡 시 거주지에서 많은 유명한 사람들을 초대하고 즐겁게 해주었는데, 그 중 안투안생텍쥐페리와 그의 작가 겸 예술가인 아내 Consuelo Suncin은 1942년 봄 캐나다에서 5주간 체류하는 동안 이 지역에 머물렀다. 생텍쥐페리가 만난 드 코닌크스의 여덟 살 난 아들 토마스코닌크는 그의 유명한 중편소설 어린왕자의 외계인 방문객에게 영감을 주었을지도 모른다.[7][8]

자연철학

드 코닌크는 철학적 연구의 상당 부분을 자연의 철학에 바쳤다.[9] 드 코닌크의 루바인 대학 졸업 경력은 그로 하여금 아서 에드딩턴 경의 철학에 대해 스스로 과학 철학자였던 페르난드 르누아르테의 산하에 논문을 쓰도록 이끌었다.[10] 그의 논문은 상대성 이론과 양자 이론의 최근 발전에 의해 형성된 고전적 토머스 철학과 에드딩턴의 과학 철학을 비교하려고 시도했다.

드 코닌크의 초기 철학과 실험과학의 관계에 대한 견해는 자크 마리타인의 그것과 유사한 분리주의 노선을 따랐지만, 그의 사고방식의 후발전은 현대과학을 형이상학의 "변형적 확장"과 보다 근접하게 자연철학의 "변형적 확장"으로 묘사했다.[11] 드 코닌크는 그의 경력에 걸쳐 고전적인 아리스토텔레스 철학과 토머스 철학과 양자적 인데터민주의, 생물과학, 수학물리학의 기초, 수학철학의 중첩된 문제를 다룬 기사를 실었다. 자연과 과학의 철학에서 그의 사상을 가장 쉽게 소개할 수 있는 것은 1959년 <할로우 유니버스>라는 제목의 컬렉션으로 출판된 그의 휘든 강의들이다. 3개의 강의에서 드 코닌크는 현대 수학("심볼한 건설의 세계, 또는 두 개는 두 번 넘어간다"), 물리학("정신적 건설과 경험의 시험"), 생물학("생명 없는 생물학의 세계")의 세 가지 현대 과학 질문의 철학적 기반, 내용, 시사점을 다룬다. '컴퓨터로 재구성한'이라는 책의 에필로그는 텅 빈 우주의 주제를 수학, 물리학, 생물학의 영역에서 인간 자신의 설명으로 확장한다. 학자 레슬리 아머는 "알고 있는 존재로서의 우리의 위치는 드 코닌크에게 자연과 아는 존재는 함께 갈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서로 없이는 이해할 수 없도록 설계되어 있다는 것을 제안한다"[12]고 주장한다.

'공통재' 논란

헨리 그르니에, 루이 라찬스와 함께 드 코닌크는 개인주의에 대한 토미스트의 저명한 비평가였다.[13] De Koninck's Over The Primacy of the Common Good: 드 코닌크의 '공통선의 영장성에 관한: 개인주의자들에 대해 개인주의 사상가들은 공동의 선은 개인의 사익에 종속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14][15] 드 코닌크는 그가 염두에 두고 있는 개인주의자들의 이름을 짓지 않았지만, 이브 시몬과 나는 이름을 지었다. 에슈만은 자크 마리타인을 생각하고 있다고 추측했다. 이브 사이먼은 드 코닌크가 그 사람에게 공익을 종속시키는 것에 대해 거절한 것에 동의했지만, 그것이 마리테인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니라고 부인했다. 반면 에슈만은 그 사람에게 공익을 종속시키는 것을 옹호하며 이것이 사실 마리타인이 가르쳐준 것이라고 주장했다.[16][17]

주요 도서

  • 르 코스모스, 퀘벡 프로 원고, 1936년.
  • Ego Sapientia, Montréal/Québec, Fides/éditions de l'Université Laval, 1943(스페인어로 번역됨)
  • 데 라 프리무테 뒤비엔 코뮌은 레스 페르소나니스트에 대항한다. 르 원칙페 드 로드레 누보, 몬트레알/퀘벡, 피데스/제네시스 드 l'Université Laval, 1943.
  • 1954년에 듀 필스
  • 할로우 유니버스, 런던, 옥스포드 대학 출판부, 1960년(스페인어로 번역되어 프레스 드 l'Université Laval에서 프랑스어로 갈음)
  • 1962년 파리 누벨레스 에덴세이션 라틴스칸데일라메디아.
  • Tout Homme Est Mon Prochain, Québec, Press de l'Université Laval, 1964.

참조

  1. ^ Geoffrey M. Vaughan (11 May 2018). Leo Strauss and His Catholic Readers. CUA Press. p. 50. ISBN 978-0-8132-3043-6.
  2. ^ Stuart Brown; Diane Collinson; Robert Wilkinson (10 September 2012). Biographical Dictionary of Twentieth-Century Philosophers. Routledge. p. 172. ISBN 978-1-134-92796-8.
  3. ^ Ernest L. Fortin (2007). Ever Ancient, Ever New: Ruminations on the City, the Soul, and the Church. Rowman & Littlefield. p. 176. ISBN 978-0-7425-5920-2.
  4. ^ William A Wallace (1996). The Modeling of Nature: Philosophy of Science and Philosophy of Nature in Synthesis. CUA Press. p. 227. ISBN 978-0-8132-0860-2.
  5. ^ "Charles De Koninck". 엘리자베스 A의 캐나다 백과사전. Trot : CS1 maint: 타이틀 (링크) CS1 maint:bot: 2010년 1월 6일 검색된 원본 URL 상태(링크)
  6. ^ Louis Balthazar; International Council for Canadian Studies (1998). Images of Canadianness: Visions on Canada's Politics, Culture, Economics. University of Ottawa Press. p. 81. ISBN 978-0-7766-0489-3.
  7. ^ 노르만드 프로벤처는 "토마스 코닌크: l'homme aux 1001 질문"이라고 말했다. 라 프레세 2015년 3월 22일.
  8. ^ "어린왕자는 퀘벡시 교수에게서 영감을 받았는가?" 2016년 2월 15일 글로벌 뉴스. 바이 라켈 플레처
  9. ^ Royal Society of Canada (1965). Mémoires Et Comptes Rendus de la Société Royale Du Canada. Royal Society of Canada. p. 81.
  10. ^ Revue philosophique de Louvain. Éditions de l'Institut Supérieur de Philosophie. 1965. p. 186.
  11. ^ 브룽가르트 (2016), 페이지 1-24.
  12. ^ 레슬리 아머 "Charles De Koninck의 철학" in: De Koninck(2008) 페이지 23.
  13. ^ 마리 마르틴-허바드, "Incursion personnaliste chez les thomistes canadianiens-franscaes des Années 1930 et 1940 : l'exemple de Franois Hertel"
  14. ^ Aquinas Guilbeau (2016). Charles de Koninck's Defense of the Primacy of the Common Good. University of Fribourg (Switzerland).
  15. ^ Francesca Aran Murphy (2004). Art and Intellect in the Philosophy of Etienne Gilson. University of Missouri Press. p. 243. ISBN 978-0-8262-6238-7.
  16. ^ Lawrence Dewan (2008). Wisdom, Law, and Virtue: Essays in Thomistic Ethics. Fordham Univ Press. p. 279. ISBN 978-0-8232-2796-9.
  17. ^ Ralph McInerny (1 November 1988). "6". Art and Prudence: Studies in the Thought of Jacques Maritain. University of Notre Dame Press. ISBN 978-0-268-00619-8.

추가 읽기

  • 존 G. 브룽가르트, "Charles De Koninck and the Sapiential Personality of Natural 철학", 미국 가톨릭 철학 분기별 90.1(2016): 1–24. doi:10.5840/acpq20161570.
  • 찰스 드 코닌크의 작품. 제1권(편집 번역), 레슬리 아머의 소개와 토머스 코닌크의 전기, 노트르담 대학 출판부, 2008년
  • 찰스 드 코닌크의 작품. 제2권(편집 번역), 노트르담 대학 출판부, 2009년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