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벨라 바르가스

Chavela Vargas
샤벨라 바르가스
Chavela Vargas in 2009
2009년 샤벨라 바르가스
배경 정보
생년월일이자벨 바르가스 리자노
태어난(1919-04-17) 1919년 4월 17일
코스타리카, 헤레디아 주, 산호아킨플로레스
죽은2012년 8월 5일(2012-08-05) (93세)
멕시코 모렐로스 주 쿠에르나바카
장르란체라
직업싱어송라이터, 여배우
액티브 년수1961– 2012

이자벨 바르가스 리자노(Isabel Vargas Lizano, 1919년 4월 17일 ~ 2012년 8월 5일)는 코스타리카와 멕시코의 가수이다.그녀는 특히 멕시코 목장 연주로 유명했지만, 그녀는 또한 다른 장르의 라틴 아메리카 음악에 기여한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그녀는 아메리카와 유럽에서 영향력 있는 통역가였으며, 페드로 알모도바르와 같은 인물들의 뮤즈였고, 그녀의 잊혀지지 않는 연기로 갈채를 받았고,[1] "la voz aaSpera de la ternura"는 '상냥함의 거친 목소리'로 불렸다.라틴 레코딩 예술 과학 아카데미는 2007년에 그녀에게 라틴 그래미상을 수여했다.

초기 생활과 경력

2006년 스페인 콘서트 중 바르가스

그녀는 코스타리카 호아킨플로레스에서 이자벨 바르가스 리자노로 태어났고, 프란시스코 바르가스와 헤르미니아 리자노의 딸이다.1919년 7월 15일 마리아 이사벨 아니타 카르멘 데 헤수스라는 이름으로 세례를 받았다.그녀는 어려웠던 어린 시절을 보냈다: 그녀의 부모님은 이혼했고 그녀는 삼촌의 보살핌을 받았고 그녀는 소아마비에 걸렸다.그녀는 이사벨의 애칭차벨라로 통했다.17세 [2]때, 그녀는 음악 경력을 쌓을 기회가 없어 고국을 버리고 연예 산업이 발달하고 있는 멕시코로 피난처를 찾았다.그곳에서 그녀는 70년 이상 거주했고 멕시코 [citation needed]국적을 취득했다.

수년간 그녀는 거리에서 노래를 불렀지만, 30대에 전문 [3]가수가 되었다.젊은 시절에는 남장을 하고, 시가를 피우고, 술을 많이 마시고, 총을 들고 다녔으며, 노년까지 공연할 때 입었던 특유의 붉은색 조롱고로 유명했다.바르가스는 이질적인 정상성을 부정하는데 급진적이었다.그녀가 남자처럼 옷을 입는 것을 선호했기 때문에, 바르가스의 부모는 반항적으로 여성스럽지 않은 딸을 [4]손님들로부터 숨겼다.

바르가스는 그녀만의 독특한 스타일로 칸시온 농가를 불렀다.이 농장은 남자의 시각에서 마리아치 반주로 불려졌다.Chavela는 기타와 목소리만으로 이런 노래를 솔로곡으로 불렀습니다.그녀는 종종 노래에서 극적인 긴장감을 이끌어내기 위해 멜로디의 템포를 늦췄고, 그래서 그것들은 하찮게 유머러스하게 받아들여질 수 있었다.

1950년대 말, 그녀는 국제 관광의 중심지인 아카풀코에서 공연한 덕분에 예술계에서 유명해졌다. 그녀는 레스토랑 라 펄라의 샴페인 룸에서 노래를 불렀다.그녀의 첫 번째 앨범인 "Noche de Bohemian Night"는 1961년 멕시코 랑체라 [5]음악의 선두 가수이자 작곡가 중 한 인 호세 알프레도 히메네즈의 전문적인 지원으로 발매되었습니다.그녀는 결국 80개 이상의 [6]앨범을 녹음했다.바르가스는 1950년대, 1960년대, 그리고 1970년대 전반 멕시코, 미국, 프랑스[7], 스페인에서 순회공연을 하며 큰 성공을 거두었고 후안 룰포, 아구스틴 라라, 프리다 칼로와 그녀의 남편 디에고 리베라, 돌로레스,[1] 그리고 지메데포함한 당대의 많은 저명한 예술가들과 친했다.바르가스는 다양한 레즈비언 관계를 가진 것으로 알려졌으며, 프리다 칼로, [8]아바 가드너와 불륜 관계였다는 소문이 있다.비록 그녀의 가사가 여성들에게 보내졌지만, 바르가스는 그녀의 2002년 자서전 And If You Want to Know My Past (Y si si quieres saber de [8]mi pasado)에서 81세가 될 때까지 공개되지 않았다.

부분 은퇴 및 무대 복귀

바르가스는 그녀의 자서전에서 [9]"지옥에서 보낸 15년"이라고 묘사했던 알코올 중독과의 15년간의 싸움으로 인해 공연에서 은퇴했다.샤벨라는 과음과 강렬한 생활습관을 유지할 수 없었다.1970년, "알코올 중독의 아지랑이에 잠긴" 그녀는 자신이 누구인지도 모른 채 건강을 되찾아준 한 원주민 가족에게 끌려갔다.2003년, 그녀는 뉴욕 타임즈에게 25년 [10]동안 술을 마시지 않았다고 말했다.

바르가스는 1991년 무대로 돌아와 [1]멕시코시티 코요아칸에 있는 보헤미안 나이트클럽 "엘 하비토"에서 공연을 했다.그녀의 경력은 라틴 아메리카, 유럽,[10] 미국에서 공연하면서 국제적인 명성을 회복하기 시작했다.바르가스는 2003년 83세의 나이로[11] 카네기 홀에서 스페인 감독 페드로 알모도바르의 요청과 승진으로 데뷔했다.

섹슈얼리티와 커밍아웃

오랫동안 공공연한 [12]비밀로 여겨졌던 그녀는 2002년 [13]자서전에서 81세의 나이에 레즈비언으로 공개적으로 나왔다.그녀의 커밍아웃은 그녀의 팬들에게 놀라지 않았다.몇 년 동안 바르가스는 [14]노래의 성별을 바꾸는 것을 거부했다."팔로마 네그라"에서 바르가스는 한 여성이 밤새 파티를 하고 그녀의 [14]마음을 아프게 했다고 비난한다.바르가스 자신은 젊은 여성으로서 칼로가 벽화가 디에고 리베라와 [15][16]결혼하는 동안 프리다 칼로와 바람을 피웠다는 주장이 있었다.1988년부터 1993년까지 그녀는 변호사 Alicia Elena Pérez Duarte[17][18]사귀었다.

성별 퍼포먼스와 남성성

바르가스는 1940년대에 바지, 샤로 슈트, 솜브레로, 과야베로, 판초 등을 포함한 보다 남성적인 옷을 입었기 때문에 그녀의 성별 수행력은 서양의 2진법을 반영하지 못했다.샤벨라에서 바르가스는 "그녀는 여자처럼 옷을 입지도, 머리를 스타일하지도,[19] 화장을 하지도 않는다"는 말을 들은 것을 기억한다. 20세기 중반 멕시코는 바르가스와 그녀의 음악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왜냐하면 그녀의 성별 표현과 성적 성향은 그녀의 경력 내내 끊임없이 의심받았기 때문이다.로저 랭커스터, 조셉 캐리어, 스테판 오를 포함한 인류학자.머레이는 라틴 [20]아메리카의 성별과 성별의 교차점을 연구했고, 그들은 "성적 패턴은 성별 [21]관계만큼이나 정치적, 사회적, 경제적 흐름에 의해 쉽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주장한다.바르가스는 공개적으로 레즈비언으로 밝혀졌고 그녀의 음악은 묘한 사랑, 기쁨, 그리고 가슴앓이를 반영했다.Emma Perez는 멕시코 음악 산업에서 불가사의함을 형성하는 바르가스의 역할에 대해 언급하고 "멕시코 대중 음악, 메스티자 레즈비언의 주관성, 욕망, 그리고 [22]성감을 위한 공간/장소"라고 불렀다.뿌리 깊은 동성애 혐오증과 종교적 근본주의가 있었던 전통 국가에서 성공을 거두는 가운데 그녀의 음악을 통해 그녀의 성에 관여하는 바르가스의 능력은 콘차 부이카 같은 LGBTQ 아티스트와 릴라 다운스, 유제니아 레온, 산타 세실리아, 줄리엣 베네가스 등과 같은 다른 라틴 여성 아티스트들에게 길을 열어주었다.

바르가스의 라이브 공연과 음악은 그녀의 사생활에 대한 열정적이면서도 미묘한 언급이었다."그녀는 종종 남자들에 의해 쓰여진 사랑 노래의 대명사를 "그녀"에서 "그"로 바꾸기를 거부했기 때문에, 그녀는 자연스럽게 그녀의 음악과 공연을 통해 남성성에 대한 구조적인 개념에 도전했다. 하지만 그녀는 또한 많은 사람들이 그녀를 "[23]희귀한 사람"이라고 묘사하는 것에 주목하면서 현대의 성별 비둘기 홀을 피하는 경향이 있었다."바르가스의 예술성은 그녀의 기묘한 경험과 퍼포먼스에 의해 결정되었는데, 그것은 그녀가 널리 축하받고 받아들여지기 훨씬 전에 가지고 있던 이미지였다.

바르가스의 작곡은 기묘한 청중들에게 큰 반향을 불러일으켰다.스미스소니언 미국역사박물관의 라틴아메리카 문화음악 큐레이터인 마르벳 [24]페레즈는 NPR과의 인터뷰에서 바르가스의 노래 "마코리나"에 대한 자신의 감정에 대해 "여성이 부를 수 있는 노래보다 더 이상한 노래는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그 노래는 'Ponme la mano qui, Macorina'라고 쓰여 있다. "여기 손 올려, 마코리나."그리고 그녀가 노래를 부를 때마다, 그녀는 성욕과 욕망과 관능성을 가미해서 왜 그녀가 노래하는지, 왜 노래하는지, 누구에게 노래하는지 알 수 있었습니다.여자한테 [25]불러준 거예요.바르가스는 그녀의 무대에서의 공연과 그녀의 남성적인 성별 공연을 통해 관객들을 사로잡았고, 이는 사후에 그녀의 절제된 [26]기묘한 유산의 일부가 될 것이다.

20세기 남성적인 원초 가수로서의 경험은 소외와 증오로 이어졌고, 이는 더 많은 지지자를 [12]모으기 어렵게 만들었다.반면에, 그녀의 팬들은 그녀의 해석과 신체 사이의 불안정하고 코드화되었지만 부인할 수 없는 연관성을 인식하고 있다.[22]바르가스를 사랑했던 사람들은 그녀의 성전환 스타일과 음악에서 탁월함을 보았고, 그녀의 외모는 일반적으로 받아들여지지 않았지만 그녀는 성공하고 성공할 수 있었다.

영화 출연

바르가스는 La flor de mi secreto포함한 알모도바르의 많은 영화에 노래와 비디오로 출연한다.그러나 그녀는 1967년 영화 '라 솔다데라'[1]와 같은 영화에 출연한 적이 있지만 연기는 그녀의 야망이 아니라고 말했다.바르가스는 또한 프리다에 출연하여 "La Llorona" (울고 있는 여자)[16]를 불렀다.그녀의 클래식곡인 "팔로마 네그라" (블랙 도브)도 영화의 사운드 트랙에 포함되었다.그녀는 알레한드로 곤살레스 이냐리투바벨에 출연하여 프랭크 도밍게스의 볼레로인 "Tu me acostumbraste" ("[27]당신이 익숙해졌어요")를 불렀다.

2017년 2월 10일, 전기 영화 샤벨라가 데뷔했다.캐서린 건드다레샤 여사가 감독을 맡은 이 영화에는 [28]페드로 알모도바르, 엘레나 베나로흐, 미겔 보세출연한다.

죽음과 유산

Chavela Vargas는 호흡기 질환으로 몇 주 동안 병원에 입원했었다.그녀는 멕시코 쿠에르나바카에서 죽었다.그녀의 공식 페이스북에 따르면, 그녀의 마지막 말은 "나는 내 마음 속에 멕시코와 함께 떠난다"였다.

2013년 4월 17일, 구글은 구글 [29]두들과 함께 그녀의 94번째 생일을 축하했다.

2019년 8월, 바르가스는 "자신의 [30][31][32]분야에서 중요한 공헌을 한" LGBTQ 사람들을 주목하는 샌프란시스코 카스트로 인근 지역유명 산책로레인보우 아너 워크에 헌액된 영예자 중 한 명이었다.

다른 저작물의 참고 자료

호아킨 사비나의 노래 "Por el boulevard de los Suenos Rotos"는 바르가스에게 [1]바칩니다.니카라과 작가인 Sergio Ramires Mercado는 코스타리카 작가 Yolanda Oremuno의 삶을 소설화한 소설 La Fugitiva를 2011년에 출판했다.라미레즈의 작품에서 오레무노의 삶은 그녀를 만난 세 명의 여성들에 의해 전해진다.많은 비평가들에 따르면, Oremuno의 역사를 말해주는 여성 캐릭터 중 하나는 Chavela Vargas를 닮은 가수이다.그 캐릭터는 그녀 자신의 삶과 욜란다 오류무노에 [33]대한 반복되지 않는 사랑에 대해 이야기한다.

2012년, 예술가 후안 카를로스발레는 멕시코 [34]시티의 센트로 문화 데 에스파냐 엔 멕시코에서 바르가스의 초상화 시리즈를 선보였다.

선택한 음반 목록

  • 코넬 쿠아르토 라라 포스터, 1961년
  • 하시아비다, 1966년
  • 코리도스 데 라 레볼루치온, 1970년
  • 아마네시투스 브라조스, 1973년
  • La Original, 1973년
  • 아나토 보린차노, 1973년
  • 푸에마 20, 1975
  • 1989년 노체 보헤미아
  • 노슈 드 론다, 1989년
  • 피엔사 엔 미 AKA Vuelve, 1991
  • 볼레로스, 1991년
  • 라 요로나, 1994
  • 센티미엔토맥시코 (제1권), 1995년
  • 1995년, 데 멕시코 이 델 문도
  • Le canta a Maxico, 1995
  • Volver, volver, 1996
  • Dos, 1996
  • Grandes Mementos, 1996
  • 마코리나, 1994/1996
  • 샤벨라 바르가스, 1997
  • 파시온 볼레로, 1999년
  • 콜레치온 데오로, 1999
  • 콘라 론달라아모르 데 살티요, 2000
  • Para perder la cabeza, 2000
  • Las 15 Grandes de Chavela Vargas, 2000
  • Grandes Exitos, 2002
  • 파라토다라비다, 2002
  • 디스코그라피아 바시카, 2002
  • 안톨로지아, 2004
  • 소모스, 2004
  • 엔 카네기 홀, 2004년
  • 라 요로나, 2004년, 2004년
  • 큐파이마, 2006/2007
  • Soledad, 2007
  • Piensa en mi, 2009년 Pink Martini의 "풀밭의 화려함"
  • Luz de Luna, San Patricio by The Chieftains, 2010년 Ry Cooder 피처링
  • 뽀미쿨파!, 2010.
  • 루나 그란데, 2012년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a b c d e Boccanera, Jorge, Entrelineas:Dialogos con Jorge Boccanera, ed.마리오 호세 그라비커(부에노스 아이레스:Ediciones Instituto movilizador pondos coperativos C.L., 1999년)
  2. ^ 바르가스(2002년).바르가스는 호르헤 보카네라와의 인터뷰에서 17세에 멕시코에 도착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3. ^ Garrido, Isaac (5 August 2012). "Chavela Vargas Dead At Age 93, Famed Mexican Singer Challenged Catholic And Chauvinist Preconceptions". The Huffington Post. Retrieved 5 August 2012.
  4. ^ "Review: How Costa Rican singer Chavela Vargas defied the rules of the gender game and more in a new documentary". Los Angeles Times. 2017-10-05. Retrieved 2020-12-23.
  5. ^ 디시오나리오 데 라 무시카 에스파놀라 에 히스파노아메리카나.5볼스마드리드:소시에다드 제너럴 드 오토레스 편집레스, 2002.s.v. "바르가스, 샤벨라"
  6. ^ 야브로 베자라노, 이본"샤벨라 바르가스와 국경을 넘는 것:치카나 팜므의 헌정"[sic] 제3장 라틴 아메리카의 섹스와 섹시스 (뉴욕: 뉴욕 대학 출판부, 1997년)
  7. ^ 디시오나리오 데 라 무시카 에스파놀라 에 히스파노아메리카노.5볼스마드리드:소시에다드 제너럴 드 오토레스 편집레스, 2002.
  8. ^ a b "Chavela Vargas: A Legend Of Latin American Song". NPR.org. Retrieved 2020-12-23.
  9. ^ 바르가스 (2002), 페이지 189
  10. ^ a b 멕시코 란체라 가수 차벨라 바르가스, 2012년 8월 6일 사망뉴욕 타임즈.
  11. ^ 바르가스, 차벨라(2006) Chavela at Carnegie Hall, CD 레코딩, Tommy Boy
  12. ^ a b Gund, Catherine & Kyi, Daresha (Directors) (2017). Chavela (Documentary film). Syldavia Cinema.
  13. ^ Siadate, Nazly (August 20, 2012). "Chavela Vargas and Frida Kahlo an Item in '60s-era Mexico?". Pride. Retrieved September 24, 2019.
  14. ^ a b Garsd, Jasmine (August 5, 2012). "Chavela Vargas: A Legend Of Latin American Song". NPR. Retrieved September 24, 2019.
  15. ^ Sofia Ruiz-Alfaro PhD (2012) From Chavela to Frida : Loving from the argency, Journal of Honyuality, 59:8, 1131-1144, DOI : 10.1080/00918369.2012.71281818
  16. ^ a b 바르가스, 차벨라, Y si quieres saber de mi pasado, ed. J.C. Vales, 제2판 (Madrid: Santillana Ediciones Generales, 2002)
  17. ^ "Documental mostrará el amor de Chavela Vargas por las mujeres" [Documentary Demonstrates the Love of Chavela Vargas for Women]. El Universal (in Spanish). Mexico City, Mexico. Associated Press. 31 July 20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December 2018. Retrieved 24 April 2022.
  18. ^ Sánchez Olmos, Pablo (25 July 2020). "Chavela Vargas: su pasión por el tequila, las pistolas y su abogada" [Chavela Vargas: Her Passion for Tequila, Pistols and Her Lawyer]. El Mundo (in Spanish). Madrid, Spai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8 September 2020. Retrieved 24 April 2022.
  19. ^ Chavela (2017), retrieved 2022-04-25
  20. ^ Guy, Donna J. (2010-12-09). Moya, Jose C (ed.). "Gender and Sexuality in Latin America". The Oxford Handbook of Latin American History. doi:10.1093/oxfordhb/9780195166217.001.0001. ISBN 978-0-19-516621-7. Retrieved 2022-04-25.
  21. ^ Guy, Donna J. (2010-12-09). Moya, Jose C (ed.). "Gender and Sexuality in Latin America". The Oxford Handbook of Latin American History. doi:10.1093/oxfordhb/9780195166217.001.0001. ISBN 978-0-19-516621-7. Retrieved 2022-04-25.
  22. ^ a b Yarbro-Bejarano, Y (2000). "Crossing the Border with Chavela Vargas: A Chicana Femme's Tribute". Berlin: LOLAPress. Retrieved 2022-04-25.
  23. ^ Fausset, Richard (Aug 6, 2012). "Defiant singer was a cultural force in Mexico". Latina. Retrieved 2022-04-25.
  24. ^ "Marvette Pérez, 1961-2013". National Museum of American History. 2013-08-26. Retrieved 2022-04-25.
  25. ^ Villegas, Jordan (2021-06-14). "The Gender-Bending Costa Rican Singer Who Redefined Ranchera Music". Latina. Retrieved 2022-04-25.
  26. ^ Queer Legacies.
  27. ^ 투미 아코스툼브라스테 - 오데오의 샤벨라 바르가스
  28. ^ IMDB의 Chavela
  29. ^ "Chavela Vargas' 94th Birthday". Google. 17 April 2013.
  30. ^ Barmann, Jay (September 2, 2014). "Castro's Rainbow Honor Walk Dedicated Today". SFist. SFis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10, 2019. Retrieved August 15, 2019.
  31. ^ Bajko, Matthew S. (June 5, 2019). "Castro to see more LGBT honor plaques". The Bay Area Reporter. Retrieved 2019-08-16.
  32. ^ Yollin, Patricia (August 6, 2019). "Tributes in Bronze: 8 More LGBT Heroes Join S.F.'s Rainbow Honor Walk". KQED: The California Report. Retrieved 2019-08-16.
  33. ^ "Sergio Ramírez: política y ficción" (in Spanish). Sigueleyendo. April 8,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1, 2011.
  34. ^ https://www.youtube.com/watch?v=9ruRwQZwUBI 를 참조해 주세요.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