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라 다운스
Lila Downs리라 다운스 | |
---|---|
![]() 멕시코에서의 다운스 공연(2018) | |
배경 정보 | |
출생명 | 아나 라일라 다운스 산체스 |
태어난 | 1968년 9월 19일 ) |
기원 | 멕시코 오악사카 주 트락시아코 |
장르 | |
계기 |
|
년 활동 | 1990-현재 |
레이블 | |
웹 사이트 | liladowns |
아나 라일라 다운스 산체스(Ana Lila Downs Sanchez, 1968년[1] 9월 19일생)는 멕시코의 싱어송라이터 겸 배우다. 그녀는 멕시코 전통음악과 대중음악을 두드리는 것뿐만 아니라, 자신만의 작곡과 다양한 장르의 다른 사람들의 작품을 공연한다.[2] 그녀는 또한 멕시코 고유의 영향을 통합했고 믹스텍, 자포텍, 마야, 나후아틀, 푸레페차 등 많은 토착 언어로 노래를 녹음했다. 오악사카에서 태어나 자란 그녀는 주로 오악사카에 의해 예술 연구소에서 공부했고 잠시 미네소타 대학에 다녔다가 음악적 경력에 집중하기 위해 퇴학했다. 그녀는 곧 오악사카 시의 전통 음악계에서 공연하기 시작했다.
그녀의 첫 앨범인 Ofrenda는 1994년에 발매되었다. 1999년 다운스는 그녀의 데뷔 스튜디오 앨범인 La Sandunga로 유명해졌고, 이것은 비판적이고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었다. 2001년 음반 보더(Border)로 세계적인 성공을 거두고 2000년대 초 멕시코와 중남미의 음악계에 등장한 바 있다(Decade). 다운스의 7집 앨범인 Pecados y milagros(2011년)는 대부분의 주요 시장에서 앨범 차트 1위를 차지했으며 차트 1위를 기록하는 월드 뮤직 앨범을 만들었다. 그녀의 8집 앨범인 "발라스 이 초콜릿"은 2015년에 발매되었다. 그녀의 9집 앨범인 "Salon Largriamas y Deseo"는 2017년에 발매되었다.
다운스는 학교에서 공연을 하기 시작했고, 전통 음악, 라틴어, 미국의 영향력으로, 그리고 춤에 대한 그녀 자신의 독창적인 반전으로 그녀의 보컬 능력을 보여주었다. 스페인어 원어민 다운스도 믹스텍과 영어를 유창하게 구사한다.[3] 그녀의 행동주의를 통한 다운스는 다른 많은 토착 멕시코 언어들뿐만 아니라 믹스텍 언어들을 보존하기 위해 많은 시간을 보냈다.
차벨라 바르가스, 메르세데스 소사, 루차 빌라, 암파로 오초아의 영향을 받은 릴라 다운스는 전통적이고 정통적인 패션을 통해 음악 산업에 대한 화려하고 다양하며 뛰어난 공헌을 인정받고 있으며, 이 중 대다수는 멕시코 토착민들의 스타일, 문화, 유산을 바탕으로 하고 있으며, 그녀의 관습을 통해 보여진다.rmances와 music video. 그녀의 업적은 그래미상 1개, 라틴 그래미상 3개다.
음악적 경력 외에도, 그녀는 인도주의적 대의와 정치적 행동주의, 특히 라틴 아메리카 원주민들의 문제를 다룬다.
전기
라일라 다운스는 1968년 9월 19일 멕시코 오악사카 주 틸시아코에서 태어났다.[1] 그녀는 믹스텍 카바레 가수인 아니타 산체스와 미네소타 출신의 스코틀랜드계 미국인 예술영화학 교수인 앨런 다운스의 딸이다. 다운스는 어릴 때부터 음악에 관심을 보였다. 8살 때 그녀는 목장과 다른 멕시코 전통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4] 그녀는 마리아치스와 함께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14살에 그녀는 부모님과 함께 미국으로 이주했다. 그녀는 로스앤젤레스에서 음성을 공부했고 그녀의 아버지가 그녀를 완벽하게 도와준 영어를 배웠다. 그녀가 16살이었을 때, 그녀의 아버지는 돌아가셨고, 그녀는 그녀의 어머니와 함께 그녀의 고향 마을 Tlaxiaco로 돌아가기로 결심했다.
어느 날 그녀가 믹스텍 산맥의 한 상점에서 일하고 있을 때 한 남자가 들어와 아들의 사망진단서를 번역해 달라고 부탁했다. 그녀는 그가 국경을 넘어 미국으로 들어가려다가 익사했다고 읽었다. 이것은 그녀에게 깊은 영향을 미쳤고 그녀의 일에 계속 영향을 끼쳤다. 그녀는 보더라는 제목의 2001년 발매에 대한 NPR 인터뷰에서 이 문제에 대해 이야기했다.[5]
비록 오늘 다운스는 그녀의 출신을 자랑스러워하지만, 그녀의 아메리카 원주민 뿌리에 대해 수치심을 느꼈던 때가 있었다. "인도인의 피가 섞여 있어서 창피했어. 어머니가 공개 석상에서 언사를 해 당황했다고 말했다. 이로 인해 그녀는 대학을 중퇴하고, 머리를 금발로 염색하고, 밴드 'The Greating Dead'를 따라다니는 등 자신을 찾는 길로 들어섰다. 얼마 후 다운스는 멕시코 남부의 도시인 오악사카에 돌아와 어머니의 자동차 부품 가게에서 일하면서 미래의 남편이자 음악적 협력자인 테너 색소폰 연주자 폴 코헨을 만났다.[6]
다운스는 미네소타 대학에서 인류학을 공부했고 뉴욕의 목소리를 공부했다. 이후 그녀는 학업을 마치기 위해 멕시코의 오악사카 과학 예술 연구소에 다녔다.
25살에 다운스는 학업과 음악 공부를 마친 후 Tlaxiaco로 돌아가기로 결심했다. 폴 코헨은 항상 그녀의 음악적 모험을 격려했고, 그녀는 요도유시의 사관생도라는 그룹 타악기에 가입했다. 폴 코헨이 미국에서 사업을 했기 때문에 그녀는 미네소타와 오악사카 양쪽에서 살기 시작했다.[7]
다운스는 미네소타에 머무는 동안 라 트로바 세라나라는 그룹을 결성해 미국 내 라틴계 커뮤니티에서 큰 인기를 얻으며 자포텍 가치와 문화에 대한 노래를 불렀다. 멕시코로 돌아오자마자 그녀는 미국의 색소폰 연주자 폴 코헨의 지원으로 오악사카 시는 물론 필라델피아 시와 미국의 캘리포니아 주의 술집, 식당, 클럽에서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다. 그녀는 많은 긍정적인 비판적인 평가를 받았고, 이로 인해 그녀는 멕시코를 광범위하게 여행하기로 결정했다.[7]
경력
1994-1996: 첫 앨범
1994년 릴라 다운스는 독립적으로 그녀의 첫 앨범인 Ofrenda를 만들었다. 이것은 모두 오악사카와 멕시코의 전통가곡 모음집이었고, 스페인어, 믹스텍어, 자포텍어(오악사카의 고유어)로 부른 가사가 가사로 작곡된 노래였다. 이 자료는 오악사칸 문화 연구소의 지원 하에 독자적으로 제작되었다.[8] 이 앨범은 LP나 카세트에서 상업적인 성공을 거두지 못했기 때문에 그녀는 CD로 버전을 발매한 적이 없다.
1996년 다운스는 오악사카 시의 유명한 카페 바에서 라이브 세션을 기록했다. 이 음반에 다운스는 컨트리 음악과 재즈뿐만 아니라 전통 테마의 해석을 지지하는 유명한 음악가들과 함께 했다.[9] 이 작품으로 다운스와 그녀의 음악은 멕시코 공화국의 여러 지역에 알려지게 되었고, 이것이 CD로 발매된 그들의 첫 앨범이었다. 제한된 프로모션과 적은 수의 복사본만 만들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앨범은 큰 영향을 미쳤다. 이 CD는 현재 절판되었으며, 비록 리라 다운스의 공식 음반 목록 중 일부로서 구할 수 없지만, 디지털 형식으로 찾을 수 있다.
1997-1999: 라 산둥가
1997년에 릴라 다운스는 "트레이스"라고 불리는 두 번째 레코딩을 만들었는데, 그녀는 이 레코드를 통해 La Sandunga, Tree of Life and Border와 같은 후기 앨범에 포함될 재료를 연주했다. 그것은 그녀의 전통적인 레퍼토리에 있는 광범위한 품목들의 편집이지만, 그 전임자와 마찬가지로 상업적인 배포가 없었기 때문에 이 디스크 또한 현재 절판되었다.
다운스가 레이블 나라다 프로덕션과 계약한 1999년에야 상업적 성공을 거두었고, 앨범 라 산둥가(La Sandunga)로 국제적으로 이름을 알렸다. 1년 전에 녹음된 이 자료는 멕시코 음악의 선두에 섰고, 그녀의 앨범은 전통 음악의 소리와 현대 리듬의 소리를 재즈, 블루스, 볼레로로서 융합한 최초의 앨범 중 하나이다. 이 앨범은 스페인어와 믹스텍어로 불렸으며, 라일라 다운스와 폴 코헨이 엑스켄다 문화협회의 지원을 받아 제작하였다.[10] 이러한 성공으로 다운스는 멕시코 영화 '그린 스톤즈'의 사운드 트랙에 참여하여 멕시코, 미국, 스페인, 프랑스, 영국, 독일 등의 국가에서 큰 인기를 얻어 전 세계적으로 50만 대 이상이 팔렸다.
1999-2000: 생명의 나무/유투 타타
다운스의 다음 앨범인 Tree of Life는 2000년에 발매되었다. 이 앨범으로 다운스의 명성은 영국, 스위스, 캐나다 그리고 특히 미국의 다른 시장에도 계속해서 퍼졌다. 이 작품은 다운스가 그녀의 토착적인 과거로 눈을 돌리는 것을 발견했고, 이 앨범에는 이전의 히스패닉 사운드와 악기가 수록되어 있다. 앨범에 수록된 곡들 중 몇 곡은 믹스텍, 자포텍, 나후아틀 등 멕시코 고유 언어로 불려진다. 2000년 10월 그녀는 '삶의 나무/아르볼 데 라 비다'라고 불리는 두 달간의 투어를 시작했는데, 이 투어에는 중남미, 유럽, 미국에서의 콘서트가 포함되어 있었다. 투어는 멕시코에서 시작되어 스페인에서 끝났다.
2001-2003: 보더/라 라인아
2001년 EMI Music이 발매한 보더(Border)는 다운스의 첫 번째 앨범으로 영어로 부른 노래를 수록했다. 이 앨범은 미국과 멕시코에서 동시에 발매되었다. 다운스는 이 앨범으로 전통 민속 음악, 힙합, 락, 칠레나 등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통합했다. 여기에는 15곡, 스페인어 11곡, 영어 3곡, 마야어 1곡이 포함됐다. 이 앨범은 전반적으로 좋은 평을 받았고 세계 음악 "톱 차트"에서 7위를 차지했다.[11] 이민, 아메리카 원주민 한계화, 악탈 대학살에 대한 솔직한 논의로 논란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12] 이것은 특히 정치인과 교회로부터 비난을 받았다.[13]
이 앨범의 첫 싱글 앨범은 치아파스 시인 제이미 사빈스의 시인 "Mi corazon me recuerda"에서 발매되었다. 음악에 맞춰 멕시코 음악 차트에서 중간 정도의 성공을 거두었다. 스페인에서는 "La Lorona"라는 곡, 프랑스에서는 "Corazoncito Tirano"라는 곡, 미국에서는 "Medley: Pastures of Fortures/This Land Is Your Land/Land"라는 곡이 싱글로 발매되었다.[14] 후자는 우디 구트리 곡인 'Paters of Fortures'와 'This Land is Your Land'를 수록한 곡과 다운스의 'Land'에 수록된 원곡 가사를 합친 곡이다.
2004-2006: 우나 상어/일혈
리라 다운스의 가장 성공적인 앨범 중 하나인 One Blood는 2004년 4월에 미국, 스페인, 멕시코에서 동시에 발매되었다. 이 앨범의 가사는 이민, 차별 그리고 멕시코 인권 옹호자 디그나 오초아의 경우를 다룬 것이다.[15] '라밤바' '비보리타' '라쿠카라차' 등 전통 노래 외에도 손자로초, 재즈, 록, 포크 등의 장르가 수록돼 있다. 이 앨범에는 13곡, 영어 3곡, 트라이키 1곡, 퓨어페차 1곡, 스페인어 8곡이 수록되어 있다. 가사는 라일라 다운스, 폴 코언, 셀소 두아르테, 호세 마르티가 썼다. 2005년 릴라 다운스는 이 앨범으로[16] "세계 음악의 베스트 앨범" 부문에서 그래미 라티노를 받았고 미국, 멕시코, 스페인, 영국, 독일, 프랑스에서 차트 1위에 올랐다.[17]
2006-2008: 라 칸티나, 코파...
라일라 다운스는 2006년 4월에 출시된 이 프로젝트를 준비하는데 약 1년 6개월이 걸렸다. 이 CD는 멕시코의 란체로 곡들을 그리고 팝, 락, 노르테뇨, 컴비아, 힙합과 같은 음악들을 병합한다. 이 CD에는 15곡이 수록되어 있는데, 그 중 12곡이 리라 다운스가 지은 멕시코 전통 레퍼토리로, 현재까지 가장 잘 알려진 곡인 "La cumbia del mole"의 영문 버전을 수록하고 있다.[18] "La cumbia del mole"은 오악사카에서 멕시코 요리와 전통을 준비하는 것을 말한다. 이 싱글은 멕시코, 미국, 캐나다, 영국의 차트 상위권에 진입하는데 성공했다.[19]
다운스는 2007년 이전 앨범인 La Sandunga, Tree of Life, Border/The Line, One Blood, La Cantina의 곡들이 수록된 스페인어로 현재까지 가장 큰 성공을 거둔 CD를 발매했다. 그것은 간단히 "릴라 다운스의 최고 작품"이라는 타이틀을 얻었고 스페인 마드리드에서 열린 콘서트에서 라이브로 녹음된 13개의 트랙이 담긴 DVD와 함께 나왔다.[20]
2008-2009: Shake Away/Ojo de Culebra
라 칸티나가 출시된 지 2년 후인 2008년 9월 다운스는 유럽, 북미, 호주, 중남미 지역에 오조 데 쿨레브라를 출시했다. 이 앨범은 멕시코, 콜롬비아, 아르헨티나, 스페인 그리고 몇몇 중남미 국가에서 판매 6위에 올랐다. 첫 번째 싱글의 제목은 "오조 드 쿨브라"가 플라멩코 참바오 그룹이 스페인 가수 라마리에 의해 기여했다. 이 노래는 록, 컴비아, 플라멩코와 레게의 몇몇 영향을 합친 것이다.[21] 이 곡은 여러 나라에서[22] 세계 음악 차트의 상위권에 올랐다 두 번째 싱글은 '페로 네그로'로, ska와 록을 합친 곡으로 (전편만큼 국제적인 영향이 크지 않았던) 멕시코 록 밴드 카페 타쿠바의 루벤 알바란 가수가 피처링했다.[23] '리틀맨'(미국에서만 발매)과 '저스티스'는 다음 두 싱글로, 스페인 가수 엔리케 번베리가 참여한 가운데 두 싱글이다. 라울 미돈, 길베르토 구티에레스, 메르세데스 소사 등도 이 앨범에 기여했다.
싱글 "블랙 매직 우먼"은 유럽과 미국, 캐나다에서 중간 정도의 성공을 거두었고 싱글 "고요한 썬더"는 이후 영국 시장에서 호평을 받았다. 2009년 10월, 라일라 다운스는 고향과 출생지인 멕시코 트락시아코 외곽에 있는 명패로부터 영예를 안았으며, 믹스텍의 언어를 보존한 공로로 도시의 열쇠도 수여받았다.[24]
2010–현재: Lila Downs y la Mistiosa, Pecados y Milagros
Lila Downs y la Mistiosa en Paris – Live a FIP는 다운스의 두 번째 라이브 앨범으로 2010년 4월 13일 스페인과 프랑스에서 발매되었으며, 2009년 프랑스 파리의 Radio France 스튜디오 105에서 녹음되었다. 그것은 미국에서 2010년 5월에 발매되었고 다른 대부분의 나라에서는 7월에 발매되었다. 그것은 비평가들로부터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았다. 리라 다운스 y la Mistiosa en Paris는 DVD로 라이브 콘서트를 편집한 버전으로 멕시코에서 발매되었고 음악 체인 믹스업에서 3주 연속 Gender World Music 판매 1위를 차지했다.[25] 비록 그 앨범은 거의 홍보를 받지 못했지만 멕시코 차트에서 중간 정도의 성공을 거두었다. 멕시코 텔레비전 네트워크 채널 22가 실시한 2010년 최고의 앨범에 대한 조사에서, 이 앨범이 1위에 올랐다.[26]
페카도스 이 밀라그로스(Sins and Miracles)는 2011년 10월 18일 발매된 멕시코 싱어송라이터 릴라 다운스의 일곱 번째 스튜디오 앨범이다.[27] 앨범 표지는 2011년 9월 14일에 발매되었다.[28]
이 앨범은 빌보드 200에서 52위로 데뷔하여 차트에서 4번째로 높은 정점을 기록했다. 또한 빌보드 탑 라틴 앨범 차트에서 1위에 데뷔하여 3주 연속 그 자리를 지켰다. 이 앨범은 미국에서 60,000장 이상 팔렸고 전 세계적으로 290,000장 이상 팔렸다.[29] 이 앨범은 멕시코 시티와 뉴욕에서 녹음되었다. 다운스는 이 앨범을 "전통적인" 노래와 "라티노" 노래와 함께 "강한 록 측면"을 가지고 있다고 음악적으로 묘사하고 있다. Celso Duarte는 첫 번째 싱글 "Palomo del comalito"에 수록된 앨범에 등장하는 여러 공동작업자 중 한 명이다.
다른 콜라보레이션으로는 래퍼 일리야 쿠리아키와 발데라마스, 셀소 피냐, 토토 라 맘포시나 등이 있다. 다운스는 2017년 2월까지 멕시코와 미국, 그리고 전 세계에서 멕시코에서 시작된 신스 앤 미라클 투어 공연을 하고 있다.[30]
2012년 2월 18일 뉴욕시 엘 뮤소 델 바리오에서[31] 열린 콘서트에서 관객들은 이 콘서트가 HBO에 의해 녹음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32]
2015년, 리라 다운스는 제14회 독립 음악상 심사위원에 참여했고, 그렇게 함으로써 다가오는 독립 음악가들의 활동을 돕는 데 도움을 주었다.
다운스는 2017년 5월 26일 소니뮤직 멕시코/라틴 산하에 살론, 라그리마스 이 데세오 ]를 출시했다. 앨범의 첫 번째 싱글은 "펠리그로사"였고, 여름 동안 "Urge"가 그 뒤를 이었다. 그녀의 다음 국제 투어는 2017년 3월 말 미국 서부 해안에서 시작되었고, 멕시코, 유럽, 중남미에서 일련의 공연이 이어졌다. 이 앨범은 2017년 1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의 라틴 그래미에서 '베스트 컨버전셜 팝 보컬'로 라틴 그래미상을 받았다.
2021년 8월 과테말라 출신 싱어송라이터 사라 쿠루치치와 함께 세계 토착민의 날을 맞아 발표한 '푸에블로스'라는 곡으로 협연했다.[33]
뮤지컬 투어
2005-2006: 원 블러드 투어
원 블러드 앤드 보더(2001년, 2004년) 앨범의 성공으로 원 블러드 투어가 열렸고 다운스는 3개 대륙에서 30회의 국제 공연을 펼쳤다.[34] 다운스가 대중들로부터 호평을 받았던 이번 투어에는 필리핀, 일본, 중국, 이집트, 아프가니스탄 등의 나라들이 포함됐다.[35] 2007년 5월 다운스는 오악사카와 멕시코시티에서 열린 콘서트에서 그 투어의 문서로 DVD 컬렉션을 출판했다; 이 DVD는 13개의 라이브 트랙과 다큐멘터리를 포함하고 인터뷰, 앨런 다운스(릴라의 아버지)의 단편 영화, 비디오와 같은 특집들을 포함하고 있었다.
2008-2009: 쉐이크 어웨이 투어
2008년 9월, 4대륙에서 열린 오조 드 쿨브라 월드 투어가 시작되었고, 멕시코 예술가에게는 가장 성공적인 투어가 되었다.[36] 중남미에서는 멕시코가 가장 많은 콘서트(총 21회)를 가진 나라였으며, 2009년 10월 30일 투어가 공식적으로 종료되어 멕시코시티의 조칼로에서 무료 콘서트를 열었으며,[14] 콜롬비아와 코스타리카가 각각 3회 콘서트를 가졌다.
리라 다운스는 투어에 참여하지는 않았지만 독일 라이브 어스에 출연해 3곡을 연주했고 2008년 말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열린 하모니 페스티벌에서 노래를 불렀다.[37]
2010: 블랙 매직 우먼 투어
2010년 3월, 라일라 다운스는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3회 매진된 공연으로 시작된 월드 투어 블랙 매직 우먼 투어를 발표했다.[38] 이 투어에는 미국 아시아와 유럽의 여러 나라들이 참가했는데, 그 중 많은 나라들이 참석 기록을 깼다. 그 투어는 공식적으로 2010년 11월 17일 오악사카 시티의 스퀘어 댄스에서 막을 내렸는데, 그녀는 약 7천 명의 관객을 모았다.[39]
2011-2014: Pecados y Milagros 월드 투어
페카도스 y 밀라그로스 월드투어는 2011년 10월 3일 가수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한 7번째 스튜디오 앨범 '페카도스 y 밀라그로스'를 응원하는 리라 다운스의 네 번째 뮤지컬 투어였다. 라일라 다운스는 페카도스 이 밀라그로스라고도 알려진 "신들과 기적"이 멕시코 도시와 관련된 마약 관련 폭력에 대해 이야기하는 이면에서 그녀의 의미를 설명한다. https://www.pri.org/stories/2011-11-07/what-mexican-singer-lila-downs-pecados-y-milagros-says-about-drug-violence
2015-2017: 발라스 초콜릿 월드 투어
발라스 이 초콜릿 월드 투어는 라일라 다운스의 다섯 번째 콘서트 투어로, 8번째 스튜디오 앨범 발라스 이 초콜릿(Balllets and Chocolate (스페인어))을 홍보했다. 3월 26일 플라자 콘데사(Plaza Condesa)에서 멕시코시티에서 동명 투어의 새 음악 앨범 레퍼토리를 선보이며 시작되었다. 2015년 스페인은 캐나다(카르타헤나, 바르셀로나, 발렌시아, 마드리드 등), 파라과이, 칠레, 아르헨티나(멘도자, 부에노스아이레스, 코르도바 등), 볼리비아, 에콰도르, 미국(뉴욕시, 마이애미, 할리우드, 로스앤젤레스, 스텝 등 20여 개 도시) 등 큰 성공을 거두고 있다. 2016년에 그녀는 런던, 스페인, 아르헨티나, 페루에 있을 것이다. 2016년 8월, 릴라 다운스는 캘리포니아 산타바바라에서 열린 제21회 산타바바라 마리아치 페스티벌에서 아이다 쿠에바스, 마리아치 솔 드 멕시코, 마리아치 누에보 테칼리틀란, 마리아치 레이나 드 로스엔젤레스와 함께 공연을 했다.
2019–현재: 알칠레 투어
알 칠레 월드 투어는 다운스의 여섯 번째 월드 투어다. 2019년과 2020년 멕시코, 미국, 스페인, 콜롬비아, 칠레에서 콘서트를 보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다운스는 코로나바이러스 대유행으로 2021년까지 대부분의 콘서트를 취소하거나 연기할 수 밖에 없었다.
연기
다운스는 Frida, Fados, Hasta el Ultimo trago corazon과 같은 영화들에서 작은 부분을 차지해왔다; 후자는 그 장르의 다양한 지수를 포함하는 멕시코 음악에 관한 다큐멘터리다. 다운스는 2011년 말과 2012년 초 뉴욕과 브로드웨이의 퍼블릭 시어터에서 초연된 로라 에스퀴벨의 책을 바탕으로 뮤지컬 '코모 아구아 파라 초콜릿'의 작곡과 편곡에 힘썼다. 톰 구스타프슨이 연출한 미국 영화 마리아치 그링고 촬영에 참여해 멕시코 여배우 아드리아나 바라자, 마사 히가레다, 캐나다 배우 숀 애쉬모어와 호흡을 맞췄다. 이 영화는 2012년에 개봉되었다.[needs update]
사운드트랙
다운스는 2001년 멕시코 영화 피에드라스 베르데스의 사운드 트랙에 초청되어 '칸시온 믹스테카'를 공연했고, 2002년 영화 프리다의 사운드 트랙에 참여하여 제75회 아카데미 시상식에서 'Burn It Blue'[40]를 노래했다. 2005년에 그녀는 "Donde estás papa"라는 노래로 영화 "Melquiades Estraada"의 사운드 트랙에 참여했다. 다운스는 또한 리얼 우먼 해브 커브와 토르티야 수프와 같은 영화들을 위한 다른 사운드 트랙에도 참여했다. 카를로스 사우라의 영화 파도스(2007)에서 포르투갈어로 잊을 수 없는 버전의 "Foi na Travessa da Palha"를 부른다.[41]
사생활
그녀는 경력 초기부터 파트너 겸 예술 감독인 폴 코헨과 관계를 맺고 있다. 언론에서는 이 커플의 사생활과 아이를 가질 수 없다는 추측이 무성했다.[42][43]
2010년 6월 다운스는 자신의 웹사이트를 통해 폴 코헨과 함께 몇 년간 부모가 되려고 노력한 끝에 베니토 딕술라디라는 아이를 입양했다고 발표했다.[44] 그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여행하는데 보내지만 현재 멕시코 시티와 오악사카의 코요아칸에 거주하고 있다.
사회활동주의
다운스는 그녀의 경력 내내 사회 활동가였고 그녀의 문화적 정체성과 사회적 고통의 눈에서 뿌리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했다. 예를 들어, 그녀는 열정적으로 노래하고, 멕시코 오악사카에 있는 그녀의 집에 대해 감탄한다. 그녀의 음악은 노래를 통해 믹스텍 유산을 기념함으로써 특히 오악사카 토착민들에 대한 학대나 오해와 같은 토착민에 관련된 많은 사회적으로 중요한 문제들을 끌어낸다.[45] 그녀의 앨범은 사회적으로 의미가 있으며, 특히 그녀의 앨범인 One Blood나 Una Sangre는 디그니피파다 등의 곡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 곡은 디그니피파다 오초아의 암살에 관한 노래다. 디그나 오초아는 변호사였고 사회 활동가였으며 다운스는 그녀의 이야기를 앨범 One Blood에 실었다.[46]
다운스는 정치인이냐는 질문에 "권력에 관심이 없어 정치인이 되고 싶지 않다"면서 "그 대신 음악을 통해 사회를 지지하고 변화시키고 싶다"고 말했다.[47] 2009년 10월 9일 다운스는 멕시코를 대표하는 여배우 살마 하이에크와 함께 원드롭 재단의 세계적인 물 보존 캠페인 행사에 참여했다. 이들은 시르케 뒤 솔레일, 샤키라, U2, 앨 고어 전 부통령 등 '세계 정상급' 인사들과 함께 공연했다.
기부금
- 2003년 그녀는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12인조 소녀 밴드 콘서트에 초대되어 그녀는 오페라 카르멘의 하바네라, 오페라 투란도트의 "시그노어, 아스콜타!", 오페라 투란도트의 "시그노어, 아스콜타!", 그리고 오데를 불러 팀 셰프와 함께 기쁨을 나눴다. 그녀는 또한 "El Quinto regimiento"라는 곡으로 "Spain in my heart: Spanish Civil War"라는 앨범에 참여했다.
- 2004년에 그녀는 "랄랄랄로 (Don't you don't believe My Child)"라는 노래에서 악의 축에서 나온 자장가 앨범 "Ragnabies from the Evil"에서 아프간 가수 Kulsoom Sy Gulam과 공동 작업했다.
- 2005년 그녀는 갈리시아 밴드 루아르 나 루브르와 함께 갈리시아에서 공연한 "도밍고 페레이로"의 앨범 Saudade를 협연했다.
- 2006년에 그녀는 브라이언 린치와 에디 팔미에리 앨범 심파티코와 함께 "Que seria la vida"라는 곡을 공동 작업했다.
- 2007년, 그녀는 "로코"라는 곡의 Tanguito 앨범에서 아르헨티나 밴드 Los Calzones Rotos와 협력했다. 그녀는 또한 "Amorcito corazon"이라는 곡으로 앨범 "Homenaje a Pedro Invante: 50 aniversario"를 공동 작업했다. 그리고 그녀는 파라과이의 음악가 셀소 두아르테와 함께 "페테네라"라는 곡의 앨범 "De sur a sur/From bouth"에서 협연했다.
- 2008년 Los Cojolites 앨범 No Tiene Fin에서 멕시코 가수 Celso Pina의 앨범 Sin Fecha de Caducidad의 "La Herlinda"와 "El Pescador"에서 노래를 불렀다. 그녀는 또한 "사이렌의 노래: "La cumbia del mole"이라는 노래와 함께 저항할 수 없는 목소리. 그녀는 "La bruja"라는 곡으로 미국 음악가 댄 제인스의 "Nueva York!" 앨범에 참여했다.
- 2009년에는 바스크 가수 케파 준케라의 앨범에 참여하여 유스케라에서 "하우르트소 폴리티아"를 공연하였다. 그녀는 또한 메르세데스 소사의 앨범 칸토라 2권에서도 "Razon de Vivir"를 불렀다. 같은 해 그녀는 멕시코 음악가 에르네스토 아나야의 앨범 《화팡게안도》에 수록된 "엘 로라"라는 곡을 작업하기도 했다. 그녀는 영국 듀오 1 자이언트 리프의 앨범 'What About Me?'에 Huun Huur Tu와 함께 'Come to the edge', Carlos Santana와 함께 'Solita sin soledad'로 동등하게 참여했다. 그녀는 "Sweetheart: 우리가 가장 좋아하는 아티스트들이 좋아하는 사랑 노래를 부른다"라는 노래에 참여했다. 또한 브라질 뮤지션 Guilherme Monteiro와 함께 "Retrato de un forro"라는 곡에 수록된 앨범 "Air"에 수록되었다. 그리고 '아모르테노'라는 곡에 스페인 가수 로시오 더칼의 사후 앨범 '듀에토스'에 참여했다.
- 2010년 릴라 다운스는 그의 앨범 "The March of the Living"에서 멕시코의 싱어송라이터 베니 이바라("Calaveras")와 듀엣곡을 불렀다. 이 곡은 이 앨범의 두 번째 싱글곡이었다. 그녀는 또한 로베르토 알라그나의 앨범 "파시온"에서 "Historia de un amor"를 불렀다. 그녀는 자신의 앨범 "Por mi culpa!"에서 멕시코 가수 차벨라 바르가스와의 듀엣곡 "바모노스"를 불렀다. 차벨라 바르가스 이 수스 아미고스" 그녀는 또한 The Chieftains와 함께 The Chieftains와 함께 "La eguana"라는 곡에 수록된 "San Patricio"라는 앨범에서 The Chieftains와 협력했다.
- 2012년에는 케빈 요한슨의 앨범 'Baja a la tierra'로 협연했고, 멕시코 가수 나탈리아 라포케이드의 'Mujer Divina' 앨범 'La pugitiva'로 협연했다.
- 2013년, 그녀는 Eugenia Leon, Moeyeni, Betsy Peccanins, Tania Libertad, Cecilia Toussaint와 함께 "De que te cuids"와 "Latino America"에 수록된 앨범 "Ciudadana del munda vol.1"을 공동 작업했다. 그녀는 멕시코 가수 레오넬 가르시아와 '시레나'의 앨범 '토다스 미아스'에서 호흡을 맞췄다. 그녀는 또한 "El liston de tu pelo"라는 곡의 앨범 "Como te voy a olvidar"에서 멕시코 그룹 Los Anngeles azules와 협력했다. 그녀는 스페인 밴드 참바오와 함께 "파펠레스 모짜도스"라는 곡에 수록된 앨범 "세계의 10개 아뇨"에서 협력했다. 그녀는 "Tu voz"라는 곡에 멕시코 밴드 La Sonora Santanera의 "Grandes éxitos de las Sonoras, con la mas grande, La Sonora Santanera"라는 앨범에 참여했다.
수상 및 인정
다운스는 그래미상, 5개의 라틴 그래미상, 루나스 델 감사관을 포함한 여러 개의 상을 받았다. 그녀는 최근 그녀의 경력을 위해 멕시코시티의 감사관 나시오날 외곽에 위치한 명예의 거리에서 그녀의 스타를 공개했다. 그녀의 마지막 앨범 'Balas Y Chocolate'는 2015년 월드뮤직에서 최고의 해 중 하나로 아이튠즈에 등재되었고, 영국 선데이 타임즈 최고의 앨범 중 하나였으며, 2016년 6월호의 표지에 실렸던 송라인즈 매거진에서 올해의 베스트 앨범으로 선정되었다. 그녀의 가장 성공적인 곡으로는 "Tengo medo de culebra", "Estrella oscura", "La lorona", "La cumbia del mole" y "Ojo de culebra" 등이 있다. 2017년 11월, 라일라의 최신 앨범인 "Salon Largrias y Deseo"가 라스베이거스의 라틴 그래미에서 베스트 앨범 Pop Trassic을 수상했다.
음반 목록
앨범
- 오렌다 (1994년)
- 아줄라오: 인비보콘 릴라 다운스 (1996)
- 라 산둥가 (나라다 1999년)
- 생명의 나무 (유투타타타) (나라다 2000)
- 국경 (라라 리네아) (나라다 2001)
- One Blood (Una Sangre) (Narada 2004)
- 라 칸티나 (나라다 2006년)
- The Best Of/El Alma de Lila Downs [CD] (EMI 2008)
- 셰이크 어웨이(Ojo de Culebra)(맨해튼 레코드 2008)
- Lila Downs y La Mistiosa in Paris – Live a FIP[CD(Harmonia Mundi-Global Village Europe/미국; 전 세계의 다양한 라벨), (CD + DVD EMI 멕시코)(2010)]
- 페카도스 y 밀라그로스(2011년)
- 발라스 이 초콜릿(2015년)
- 살론, 라그리마스 이 데세오(2017년)[48]
- 알 칠레(2019년)
- 심파티코(예술가)공유, 2007)
니냐 파스토리, 솔리다드 파스토리티와 함께
- 레이즈(2014년)
DVD
- 로테리아 칸타다(2006)
- Lila Downs [CD+DVD](EMI 2008)의 [CD+DVD] (EMI 2008)
참고 항목
참조
- ^ a b
- "Lila Downs – "La Cultura Oaxaqueña Hecha Mujer"". Viveoaxaca.org. Retrieved 16 December 2017.
- "Universal Music France – Infos et exclus sur vos artistes préférés". Universalmusic.fr. Retrieved 26 May 2017.
- ^ Varga, George (16 April 2017). "Lila Downs traces her musical diversity and social activism to her days as a Deadhead". The San Diego Union-Tribune. Retrieved 16 April 2017.
- ^
- Bernard, Lori (18 March 2004). "Lila Downs". AllMusic. Retrieved 4 March 2012.
- Collette, Mark (18 April 2008). "Lila Downs". NPR. Retrieved 4 March 2012.
- ^ [1] 2010년 1월 25일 웨이백머신에 보관
- ^ Downs, Lila (26 August 2001). "Lila Downs: 'Border'". Npr.org. Retrieved 15 April 2015.
- ^ "the digital folklife lila downs". Thedigitalfolklife.org. Retrieved 15 April 2015.
- ^ a b "Los tres mundos de Lila Downs .: ITESO MAGIS profesiones + innovación + cultura". Magis.iteso.mx (in Spanish). Retrieved 15 April 2015.
- ^ [2] 2012년 5월 29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 ^ [3] 2011년 10월 20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 ^ 라일라 다운스의 산둥가 제작사 Xquenda Productions "La Sandunga"
- ^ "Lile Downs : beyond the border". Highbeam.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3 October 2006. Retrieved 15 April 2015.
- ^ 라일라 다운스는 액티얼의 살인에 대해 "더 라인"에서 말한다.
- ^ 카스텔라노스, 2001; 74: "오악사카의 "라 라이나"의 라일라 다운스의 이주 및 한계화에 대한 해석으로 그녀는 여러 번의 검열을 겪게 되었다.
- ^ a b "Archived cop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May 2016. Retrieved 3 May 2016.
{{cite web}}
: CS1 maint: 타이틀로 보관된 사본(링크) - ^ '디그니파이'에서 다운스는 변호사 디그나 오초아에 대해 이야기한다.
- ^ [4] 2011년 8월 11일 웨이백머신에 보관
- ^ [5] 2011년 2월 13일 웨이백머신에 보관
- ^ "Jacintario – La cantina de Lila Downs". Filmica.com. 22 February 1999. Retrieved 15 April 2015.
- ^ BBC. "Awards for World Music 2007 - Lila Downs". BBC.co.uk. Retrieved 15 April 2015.
- ^ La Jornada (31 July 2008). "Reunidos, los mejores conciertos y temas en El alma de Lila Downs – La Jornada". Jornada.unam.mx. Retrieved 15 April 2015.
- ^ 유튜브의 오조 데 쿨라 다운스와 라마리(참바오)
- ^ "Lila Downs – BBC Music". Bbc.co.uk. Retrieved 15 April 2015.
- ^ "Letra de Perro Negro (Lila Downs) de Café Tacuba". Musica.com. Retrieved 15 April 2015.
- ^ [6] 2011년 10월 17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 ^ [7] 2011년 11월 26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 ^ "Lila Downs arrasa en sondeo de Canal 22". Eluniversal.com.mx. 23 December 2010. Retrieved 15 April 2015.
- ^ "News : Single and album announcement". Lila Down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7 January 2013. Retrieved 15 January 2012.
- ^ "New album cover Pecados y Milagros / The Sun Comes Out". Lila Downs.com. Retrieved 15 January 2012.
- ^
- "Lila downs recibe certificaciones por sus altas ventas". Twitter. Retrieved 15 January 2012.
- Comunicación e Información, SA de CV (25 February 2014). "Toledo y Flores ilustran nuevo álbum de Lila Downs". Proceso.com.mx (in Spanish). Retrieved 15 April 2015.
- ^ [8] 2011년 9월 26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 ^ [9] 2012년 2월 17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 ^ "Neighborhood Concert: Lila Downs - Saturday, February 18, 2012". Carnegie Hall.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rch 2016. Retrieved 15 April 2015.
- ^ Cavero, Natalia Puertas (4 August 2021). "Lila Downs and Sara Curruchich collaborate for the International Day of the World's Indigenous Peoples". AL DÍA News. Retrieved 5 November 2021.
- ^ "Lila Downs tickets – Lila Downs Tour Dates on StubHub!". Stubhub.com. Retrieved 15 April 2015.
- ^ 유튜브에서 onتگییییا on on on on on on on on on on on on on on on on on on on on on on on.
- ^ "UOL MÚSICA – Ojo de culebra – Lila Downs". Sion.com. Retrieved 15 April 2015.
- ^ "Lila Downs – Ojo de Culebra on Vimeo". Vimeo.com. 18 March 2009. Retrieved 15 April 2015.
- ^ "'El Alma de Lila Downs', de Lila Downs : Musica : Hispavista". Musica.hispavista.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March 2015. Retrieved 15 April 2015.
- ^ "Cerrará Lila Downs en México su gira ´´Black magic woman´´ 2009 :: El Informador". Informador.com.mx. 30 March 2015. Retrieved 15 April 2015.
- ^ "Lila Downs, nominada al Óscar por su música en 'Frida', estará el 12 de marzo en Bogotá – Archivo – Archivo Digital de Noticias de Colombia y el Mundo desde 1.990". Eltiempo.com. 8 March 2008. Retrieved 15 April 2015.
- ^ 유튜브에서 리라 다운스 "Foi na Travessa da Palha"
- ^ "Lila Downs Woos Fans With 'Shake Away'". Npr.org. 18 September 2008. Retrieved 15 April 2015.
- ^ Downs, Lila. "Lila Downs' Cross-Border Musical Influences". Npr.org. Retrieved 15 April 2015.
- ^ [10] 2010년 9월 2일 웨이백머신에 보관
- ^ "Mexican-American Singer Lila Downs". Npr.org. Retrieved 15 April 2015.
- ^ "YouTube". YouTube. Retrieved 26 May 2017.
- ^ "Lila Downs offers music to Mexicans as refuge from violence". Fox News. 7 October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5 November 2011.
- ^ "Salón Lágrimas y Deseo". Amazon.com. 2 June 2017. Retrieved 16 December 2017.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리라 다운스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공식 웹사이트
- 릴라 다운스 앳 올뮤직
- CompulsiveTraveler.tv의 Lila Downs 뮤직비디오
- 라일라 다운스: 국경 너머 메리 암스트롱, 싱 아웃! 제45권 제4호 – 2002년 겨울
- 게르니카 매거진의 조엘 휘트니 인터뷰 "와이즈 라티나"
- 월드뮤직 센트럴에서 리라 다운스의 전기와 음반 목록
- [11][permanent dead link] 매거진 기사 붙여넣기
- "Lila Downs on BBC 뉴스나이트" 2016년 세컨더 커마니 인터뷰
- "Lila Downs: NPR Music Tiny Desk Concert" Lila Downs Tiny Desk Concert 20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