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귀 전쟁
Chiang-Gui War장귀 전쟁 | |||||||
---|---|---|---|---|---|---|---|
제1차 중부평원전쟁의 일부 | |||||||
![]() | |||||||
| |||||||
호전성 | |||||||
신광시파 | |||||||
지휘관과 지도자 | |||||||
리종렌 바이충시 황사홍 후종시 도위 | 장개석 천지탕 탕성지 류지 장파쿠이 한후주 | ||||||
힘 | |||||||
200,000 | 400,000 |
치앙귀 전쟁(중국어: 蔣桂戰爭)은 1929년 3월부터 6월까지 지속된 광시(廣西)의 군벌군을 상대로 치앙카이셰의 민족주의 정부 간 군사적 충돌이었다. 이후 같은 해 11월과 12월에 대립하는 두 파벌 사이에 제2차 치앙귀-전쟁이 일어났다.[1][2]
배경
1927년 말 우한과 난징의 민족주의 정부가 대립하였다. 리종렌이 이끄는 광시 집단은 가까스로 난징국정에 충실한 주요 집단의 하나가 되었다. 왕징웨이가 주재하는 경쟁자 우한정부에 대한 장개석 정권의 난징정권의 성공과 쉬저우 캠페인의 실패는 허잉친을 비롯한 중요한 장군들이 치앙의 편에 섰다는 것을 의미했다. 친치앙군은 정치뿐 아니라 우한-난징 전쟁에서 우한 정부-로얄군 지도자 탕성지를 격파하기도 했다. 이 내전 기간 동안 광시파(난징정부에 대한 충성)는 왕에게 충성하는 당나라 군대를 물리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 동시에 이들 부대의 상당수는 구아그시 일족에 흡수되어 군사력을 확충하고 남중국에서 가장 강력한 군사 일족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리종렌의 위력이 크게 높아져 궈민탕 강자로 치앙카이셰크의 지도력에 도전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같은 해 11월 17일 장파쿠이(張 f jointly)와 황치샹(黃 qang)이 공동으로 조직한 장개석(張 kai石)을 상대로 쿠데타를 시도하였는데, 장개석(張 f石)은 당시까지 치앙의 신임을 받던 군사로 난징의 정부를 전복시키고 칸톤에 새로운 국정을 수립하려 하고 있었다. 이 사건에 뒤이어 리의 반대파 배제 계획은 좌절되었지만, 그의 집단은 북방 원정 기간 동안 여전히 세력을 확장하고 남부 지역을 통제하는 데 성공했다.
1928년 KMT 군벌들은 북방 원정 2기 치앙, 리종렌(광시), 옌시산(산시), 펑위샹(구민준)과 기타 군벌의 미성년자 총 40만 명의 병력을 발진시킨다. KMT는 펑톈 일족의 군대를 격파하고 북중국을 향해 거침없이 진격했다. 장즈올린은 중국 동북부로 돌아와 KMT 원정군과 평화에 도달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을 시작했는데, 이 과정에서 장쩌민을 배신자로 본 일본 우방국들이 짜증을 내며 그를 공격해 죽였다. 왜구의 손에 아버지가 죽었다는 것은 젊은 장술리앙이 펑톈 일족의 총사령관으로 그를 대신했다는 것을 의미했다. 일본인들의 살해 위협과 KMT와의 거래를 하지 말라는 압박에도 불구하고, 장은 치앙과 거래를 했고 난징을 중국의 유일한 정부로 인정했다. 펑톈 일당은 국가혁명군에 통합되어 동북군으로 재창당하였다. 이로써 북방 원정은 막을 내렸다. 장은 중국 동북부(만주의 역사적 지역)를 계속 지배하겠지만 동시에 난징 국가 정부를 중국의 최고 권위로 인정하곤 했다.
북방 원정이 끝날 무렵 광시 일파는 극도로 강력하여 허베이성으로 확대되었다. 난징국정이 통일한 후 4대 파벌은 각각 북방 원정 때 포로로 잡힌 여러 지방을 점령한 수십만 명의 병력을 거느리고 있었다. 장개석의 주도하에 난징 정권은 연합군의 패거리들을 무장해제하고 단일 정부를 중심으로 권력을 강화하려는 의도로 '화해 회의'를 열었다.
당시 광시 일당은 광시 정치부 회장인 리지센의 지지를 받았으며, 그의 군대는 후베이 성에서 천진을 잇는 광시 성, 후난 성, 후베이 성, 산하이 고개를 관할했다. 광시 일당은 NRA 4군을 통제하며, 16개 군단과 6개 독립 부대를 마음대로 보유하고 있으며 20만 명 이상의 군인을 보유하고 있다. 광시 일족의 지도자 리종렌은 왕징웨이 평행정부 몰락으로 지방에 남겨진 권력공백에 이어 4군단 총사령관과 우한정치국장을 지냈다. 이 외에도 리지셴은 당시 광시를 지배했으며 오랫동안 광시의 신뢰할 수 있는 정치적 동맹국이었다. 반면 치앙카이셰크 1군단은 50만 명 이상의 병사를 보유하고 있으며 장난(江南)의 땅을 장악하고 있다. 게다가, 장개석은 공식적으로 중국의 대통령인데, 이것은 그에게 매우 명백한 정치적 이점을 준다. 산시 성, 허베이 성 북부, 베이징과 톈진 시를 관할하는 산시성 일파의 지도자 겸 제3군 사령관인 옌시산도 20만 명의 병사를 마음대로 거느렸다. 그리고 구민준(九民 second)의 지도자 겸 제2군단 총사령관인 펑위샹(angangang)은 40만 명의 병력을 거느리고 서북부와 허난(河南) 등지의 상당 부분을 장악하고 있다.
1929년 1월 1일 국가군사위원회가 설치되었다. 1929년 회의의 시작에서 4대 파벌은 군대가 더 적은 통치를 하고 더 이상 가장 큰 군사적, 정치적 이익을 추구할 판결을 보내지 않기를 바랐다. 그 후의 결과는 회의의 결렬이었지만, 각 파벌의 결의는 하루빨리 분열로 재편되어야 하고, 4 파벌의 총강도는 60만 명 이내로 유지되어야 하며, 중앙정부가 쿼터를 20만 명 할당하고, 다른 파벌은 10만 명 내외로 유지되어야 했다. 이후 이어진 총회에서 여러 파벌 간의 갈등으로 인해 모순이 고조되었으나, 회의 후 각 파벌들은 회의의 결의에 따라 병력을 재편성하기 시작했다.
후난 사건
1928년 초 광시 일파는 후난 성첸이 가택 연금하여 후난성 후난성 후난성 후난성 후난성 후난성 후난성(後南省) 국가 정부를 통제하였다. 그러나 루와 그는 극도로 따뜻해졌고 이해관계가 달랐다. 1929년 2월 루 디핑은 비밀리에 장개석에게 투표했다. 치앙과 우한 정치부는 루의 사병 부대에 다량의 탄약과 무기를 공급했다. 우한 정치부의 의장으로서 이것은 즉시 리종렌의 눈에 띄었다. 2월 21일 광시, 시아웨이, 후종시, 예치 등의 신장군들은 이 상황에 극도로 긴장했다. 두 사람 모두 리종렌의 동의를 얻지도 않았고, 바이충전 중위와 다투지도 않았지만, 오히려 우한 지방정부를 대신하여 난징의 중앙정부에 알리기에 급급했다. 그는 후난 루 디핑 지방정부 주석과 그의 임무에 대한 해임을 발표했다. 같은 날 시아웨이와 예기는 목사를 창사로 이끌고 루 디핑을 무장해제했다. 후난성 정부의 루 디핑(Lu Diping) 대통령은 추방되었다.
리종렌은 정부와의 관계를 유지하려고 했고, 그의 가족도 난징에 살았다. 이 소식을 들은 리종렌은 상하이 대중의 양보를 피해, 그리고 자신의 안전을 극도로 염려했기 때문에 재빨리 난징을 피했다. '중앙정치회의 결의 위반'이라는 명분으로 지방정치지부는 관할구역의 특정인사를 임의로 임명·지정할 수 없다. 장개석은 광시 일족을 공격할 준비를 하는 군대를 동원한다.
지난 3월 광둥 정벌의 리지센 회장이 난징 북부로 건너가 치앙과 광시 일파의 갈등을 중재했으나 도착하자마자 장개석에게 체포돼 이 문제에 개입했다는 이유로 반역죄로 기소되었다. 광둥어 장군 첸지젠과 천밍슈는 장개석을 지원하기로 했다. 광둥-구이저우 정치동맹이 해체되었다. 3월 21일, 난징 정권은 반역죄로 기소된 리종렌, 바이충시, 리지셴과 그들의 동맹국들을 KMT에서 추방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장개석은 광시 일파가 지배하는 영토를 포기하지 않고 해산하고 리와 바이가 당국에 자수할 경우 침략을 사용할 준비를 한다. 펑위샹과 옌시샨은 상황을 관찰하고 장개석을 비난했다. 광시 일파는 불리한 입장에 있다.
갈등
치앙과 리의 갈등 이후 허베이성에 주둔하고 있는 광시파에 충성하는 부대는 바이충시의 지휘를 받았다. 원래 바이충시가 바오딩으로 진격하여 진푸 도로를 남쪽으로 타고 쉬저우로 향할 것으로 생각되었고 난킨은 장개석을 타도하려는 공세로 후베이로부터 공격을 받을 것으로 생각되었으나 그의 사역은 주로 고대 당성지(唐城之)의 일부였다. 치앙은 당성지가 일본에서 중국으로 돌아갈 수 있도록 허락하고 허베이 성 탕산으로 보내 바이충시가 편찬한 구과 2개 사단을 지휘하게 했다. 당성지가 고대 부서에 끼친 영향으로 바이충시가 군대의 통제력을 잃게 되었다. 다행히도 국가혁명군 제36국군 사령관 랴오 레이는 바이에가 항복하고 배를 타고 허베이에서 도망쳤다는 사실을 알려주었다. 광시(廣西)에 충성하는 병사들로 구성된 국가혁명군 제13군 장교는 남쪽으로 물러날 수밖에 없었고, 나머지는 당성지(唐聖地) 출신 전우인 리핀시안이 편찬했다.전쟁은 아직 공식적으로 발발하지 않았지만 허베이성에 대한 광시 일파의 영향력은 가라앉았다. 바이충시는 도망쳐 홍콩으로 피신할 작정이었다. 치앙은 해군에게 배를 멈추라고 명령했다. 명령을 따르지 않으면 그의 군대는 그를 침몰시킬 것이다. 그러나 이 소식이 누설되자 리종렌은 일제가 바이충시에게 원조선을 보내 홍콩에 도착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털어놓았다. To support Wuhan, Li Zongren sneaked to Guangxi to organize, together with the three armies of Xia Wei, Tao Wei and Hu Zongqi, the group's fourth army in Shanghai, an anti-Chiang offensive that intended these troops to be deployed in Huangpu and Wuxue, however, due to complications, Li Zongren and Bai Chongxi were unable to return to Wuhan to comm그리고 새로운 광시군. 황소전은 광시에 남았고 광동군은 이 분쟁에서 양면성 때문에 북쪽으로 갈 수 없었다. 광시의 새로운 부하들이 충돌했다.
3월 28일, 치앙은 주피데를 주장, 난창의 5개 사단을 지휘하여 우창-창사 철도를 점령하는 임무를 맡기고 광시로부터의 철수를 차단한다. 차잉은 안후이와 후베이 국경에 있는 다른 여단의 5개 사단을 류지로 하여금 지휘하게 하여 우한을 공격하게 하였고, 한푸주는 남부 허난에서 5개 사단을 지휘하였다. 3월 31일 장개석의 총공격명령. 이어 후난의 허젠도 장개석에게 떨어졌다. 광시파 내에서는 후종탕, 도수, 리밍루이, 유즈오바이 등이 동의하지 않았다. 4월 3일, 기준 리 밍루이의 아파트가 정원에 있었고, 샤오간은 거절당했다. 유주펑, 양텐휘 등이 장개석과 접촉한 후, '내전'에 참가하지 않겠다고 선언하고 군대를 철수시켰다. 광시 동부와 후베이 동부의 새로운 방어선 격차로 이어졌다. 광시 일당은 어쩔 수 없이 우한(武漢)을 떠나 후베이(湖北)로 후퇴했다. 동시에 리종렌과 바이충시는 연속적으로 홍콩에 도착하여 광저우에서 서쪽으로 광시(廣西)로 돌아와 광시에 남아 있던 황사오유를 만났다. 그러나 후베이의 상황은 돌이킬 수 없다.
4월 11일, 정부는 새로운 광시제도의 '죄'를 재조명하는 '구이 군서'를 발행하고, 구이군 병사들에게 저항의 포기를 촉구했다. 구이쥔의 군사는 뿔뿔이 흩어졌다. 시아웨이, 타오웨이, 후종치 등 각 부처는 우한(武漢)을 떠나 후베이(湖北) 서쪽을 철수하고, 샤시(ashi西), 이창(李ang) 등지에 포위되었다. 시아웨이, 타오웨이, 후종치, 예치 등은 각각 장중종에게 접근하여 결국 사임하고 해외로 나갔다. 구이린의 신군은 후베이(湖北)에 집결했다. 4월 25일 치앙은 광시에 대한 공세를 명령했다. 지앙은 또한 리종렌과 바이충전에도 가서 해외로 나갔고, 황사오유는 광시에 머무를지 모르지만 광시는 리밍루이와 유주빙의 지배를 받게 된다. 신구이린은 이 상태가 매우 까다로워서 받아들여지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으며, 군대를 동원하여 싸울 것이다.
5월 5일 광시 일당은 '나라를 구하기 위한 보호당' 설립을 발표하고 장개석 반대 운동에 나섰다. 그는 먼저 칸톤을 공격하기 위해 주도권을 잡을 계획이다. 5월 15일 북방의 펑위샹은 광시 일족과 협조하여 장개석을 공격할 수 있는 상황과 파병 가능성을 논의하자고 제의하였다. 그러나 그의 동료인 시유산 한후유는 이 생각에 반대하여 펑은 결국 참여하지 않았다. 5월 중순 광시(廣西)의 부대는 두 가지 방법으로 광시(廣西)에 입성하여 광시(廣西)성군을 격파하고 광시(廣西)성에 입성하였다. 장개석은 후난, 구이저우, 윈난 등의 부대를 동원하여 광시성에 대한 공세를 펼친다. 치앙에 충성하는 광시 일족과 광동군은 바이무 지역에서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광시 일족의 광저우 침공은 격퇴되었다. 패거리 부대는 어쩔 수 없이 동명의 광시 성으로 후퇴했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구이린과 류저우에서 패거리 세력은 샹준, 치쥔, 치쥔을 물리치고 전선을 장악했다. 같은 달, 쇼난 구이린이 추진한 핵심부 후난성; 우저우성 허현 윈난성 윤주성의 천광둥 자오칭 공격.
장개석은 재빨리 리밍루이, 유주바이와 양텐구이로부터 구 광시 일당군을 동원하여 광저우로 남하하고, 서쪽으로 나아가 광시를 공격했다. 리, 유, 양군은 리, 유, 유, 유 부대의 강한 싸움으로 우저우와 기핑을 재빨리 사로잡았다. 위윈웨이는 도시를 떠나 광시성은 싸움을 계속할 수 없게 된다.
광시성은 룽저우에서 온 적에게 3전선에서 공격을 받았다. 6월에는 리종렌, 바이충시, 황사오시옹이 쓰러졌다. 리종렌, 바이 등은 홍콩, 사이쿵, 하이퐁 등지로 피신했다. 6월 27일, 리밍루이와 그의 부대는 난닝으로 들어간다. 광시(廣西)의 신파(新派)는 패퇴했고, 치앙은 리밍루이(李明ru), 유주펑(劉u), 양텐휘(陽天ui)를 임명하여 광시(廣西) 지방을 다스렸다. 전쟁은 치앙의 승리로 끝났었다.
결과 및 영향
석 달 동안 지속된 장구 전쟁은 장개석의 승리로 끝났다. 우한-난징 전쟁과 '제2차 북방 원정' 이후 광시 일파는 줄곧 세력을 확장해 왔으며, 이번 전쟁은 광시 지방을 비롯한 모든 지배권을 상실하는 심각한 타격이었다. 기본적으로 모든 군대는 소실되었다. 6월에는 뉴구이린의 3대 지도자인 리종렌, 바이충시, 황샤오유가 홍콩으로 피신할 수밖에 없었다. 이 전쟁으로 리, 바이, 황은 광시(廣西)로 돌아와 조직 개편을 하고 불과 6개월 만에 새로운 전쟁을 시작하겠지만 치앙은 라이벌 패당을 완전히 약화시켰다. 그러나 광시 일파의 정치적 영향력은 예전 같지 않을 것이다.
광시 일족의 몰락으로 펑위샹과 옌시산, 치앙의 갈등이 격화되면서 펑, 옌, 리의 연합군이 지난 세기 가장 피비린내전 중 하나에서 치앙과 대결하게 되는 중앙 평원전쟁이 일어났다.
리밍루이, 유주펑, 양텐휘가 광시(廣西)를 맡은 후, 서남부의 덩샤오핑(鄧小平)이 지휘하는 공산 게릴라 세력이 확대되었다. 불과 3개월 후 장나라는 광시에 군대를 파견하여 리, 유 등을 비능률적으로 생각한다는 이유로 제명했으나 광시의 정세는 혼란에 빠졌다. 리밍루이 등은 이후 공산당에 망명해 덩샤오핑과 협력했다. 양텐후이, 저우주황, 인청강이 광시 일족의 장교들에게 연설한 후 다시 리종렌을 따라다니며 재편을 도왔다.
참조
- ^ 中國大百科全書·軍事I [Encyclopedia of China Military I] (in Chinese). Shanghai: Encyclopedia of China Publishing House. May 1989. ISBN 7500002440.
- ^ Chen Bulei (1 June 1978). 蔣介石先生年表 [The chronology of Lord Chiang Kai-shek] (in Chinese). Taipei: Biographical Literature Publishing House.
참고 문헌 목록
- 리종렌은 탕득이 1988년 2월 초판인 "리종렌씨의 추억"을 썼다고 진술했다. 광시: 광시족의 집.
- 모지, 첸 풀린, 제1판 1991년 8월, 《신구이린의 이야기》, vol. 광시인민출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