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티앙 바우수스
Christian Boussus![]() 1927년 크리스티안 바우수스 | |
풀네임 | 자크 크리스티앙 부수스 |
---|---|
국가(스포츠) | ![]() |
태어난 | 프랑스, 혜르 | 1908년 3월 5일
죽은 | 2003년 8월 (95세)[1] 노이리쉬르세느, 프랑스 |
프로 전향 | 1926년(126년) |
은퇴한 | 1953 |
재생 | 왼손잡이[2](1핸드 백핸드) |
싱글 | |
최고 순위 | 제9호(1930년, A) 월리스 마이어스)[3] |
그랜드 슬램 싱글 성적 | |
호주 오픈 | 4R(1928, 1935년) |
프랑스 오픈 | F(1931) |
윔블던 | SF(1928년)[2] |
US 오픈 | 4R(1928, 1931년) |
2배 | |
그랜드 슬램이 2배 이상 결과를 낳다 | |
프랑스 오픈 | F(1932)[4] |
윔블던 | QF(1929)[5] |
혼합 복식 | |
그랜드 슬램 혼합 복식 결과 | |
호주 오픈 | W(1935년)[2] |
프랑스 오픈 | F(1938년) |
윔블던 | QF(1938년)[6] |
크리스티앙 부수스(Christian Bousus, 1908년 3월 5일 ~ 2003년 8월)는 1920년대와 1930년대에 성공을 거둔 프랑스의 왼손잡이 테니스 선수이다.
테니스 경력
그는 1920년대 후반에 17세의 나이로 1926년 프랑스 복식 코트 토너먼트에 출전하면서 아마추어 테니스를 시작했고, 그는 프랑스의 베테랑 르네 라코스테와 [7]팀을 이루어 우승했습니다.그는 1928년[8] 퍼시픽 사우스웨스트 챔피언십에서 미국인 [9]앤 하퍼와 함께 혼합 타이틀 트로피를 차지했지만 2위를 차지했다.같은 해에 그는 뒤셀도르프와 데이비스컵 팀 동료 장 [10]보로트라에서 처음으로 실외 복식 우승을 차지하였다.그는 [11]1929년에 처음으로 단식 우승을 차지했다.그는 [1][12]1929년, 1930년, 1931년, 1932년 데이비스컵에서 4번 우승을 차지한 프랑스 팀에 속했다.팀원들은 "사총사"로 알려지게 되었고 Bousus는 "5총사"[13]였다.그는 마침내 1934년 사총사가 은퇴했을 때 데이비스 컵에서 뛸 기회를 얻었다.1941년 비시 프랑스에서 열린 제2차 세계 대전 동안, 그는 비공식적인 프랑스 오픈 복식 타이틀을 파트너인 베르나르 데스트레모와 함께 차지했는데, 이것은 ITF에 [14]의해 인정받지 못한 업적이다.같은 해에 그는 "L'Appel du stade"[15]라는 영화에 출연했다.전후 그는 1949년부터[16] 1952년까지 프랑스 데이비스 컵 팀의 주장, 1953년부터 [17]부주장이 되었다.그의 지도력 첫 해에 프랑스는 15년 만에 1949년 데이비스컵 결승에 진출했다.클럽 레벨의 단체전에서 그는 [18]파리의 Racing Club de France를 대표했다.
바우수스는 1931년 프랑스 챔피언십 결승에서 장 보로트라에게 패했다.1932년, 그와 마르셀 베르나르는 프랑스 챔피언십 복식 결승에서 앙리 코셰와 자크 브루농에게 [4]패했다.그는 1928년과 1935년에 호주 챔피언십에서 두 번 뛰었고, 그해 혼합 복식에서 우승하여 그의 유일한 그랜드 슬램 타이틀을 거머쥐었다.1927년부터 1953년까지 프랑스선수권대회에 19번 출전했는데 이는 파브리스 상토로(20), 프랑수아 자우프레(20)[19]에 이어 역대 세 번째로 많은 출전 기록이다.바우수스는 함부르크에서 열린 독일 선수권(1930, 1931년)과 영국 하드 코트 선수권(1931년)[7][20]에서 두 번 우승했다.그는 1934년,[21] 1935년[22],[2] 1936년,[23] 1937년 연속으로 프랑스 테니스 선수 1위에 올랐다.
Bousus는 1930년과 1935년에 A에 의해 세계 9위에 올랐다. 1931년 '데일리 텔레그래프'의 왈리스 마이어스와 유럽 6호(후자 취리처 스포츠 신문).[3][5][24]
플레이 스타일
1932년 그의 선수생활이 최고조에 달했을 때, 그의 플레이는 영국의 현역 데이비스 컵 선수 나이젤 샤프에 의해 관찰되었는데, 그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그를 프랑스 최고의 왼손잡이라고 묘사했다: "그는 볼리잉을 그의 특기로 하는 만능 경기에 의존한다.그의 경기에는 허리케인의 속도가 전혀 없다.그는 상승할 때 공을 잡고 큰 톱스핀 없이 쉬운 스윙으로 포핸드를 움직인다.그는 이 스트로크에서 좋은 페이스를 얻고 보통 볼리잉 캠페인의 선두주자로서 그것에 의존하고 있다[…]그의 백핸드는 컷 종류이지만, 비록 너무 많은 슬라이스를 가했지만 그는 그것이 그를 강하게 치는 것을 막지 못했다.물론 이 스트로크는 민첩한 발리어를 상대로 좋은 패스 샷을 하는 것이 명백히 어렵기 때문에 한계가 있다.이 날개는 Bousus의 가장 큰 약점입니다. 빠른 속도로 라인을 따라 발리슛을 할 수 있습니다.하지만 손목을 잘 쓰지 않는다.그는 그의 서비스 게임을 더 분석했고 그것이 매우 비정통적이라는 것을 알았다.바우수스는 서브를 하는 동안 라켓을 머리 뒤로 휘두르는 것을 완전히 생략했다.이 스타일은 속도보다 정확도가 더 중요한 오버헤드 스매시에 유용했습니다.이런 서브로 공을 크게 돌려 상대적으로 [7]낮게 잡았다.이후 그는 베이스라인 플레이에 적응했고 [25]경기에서 연속 드롭샷을 활용했다.
사생활
학창 시절에 그는 [26]광고를 공부했다.그의 1930년 시즌은 군 [7]복무를 해야 했기 때문에 중단되었다.아마추어 테니스를 치면서 그는 [27]그동안 타이어 판매원으로 일했다.이후 그는 프랑스 [13]IBM사의 커뮤니케이션 책임자로 임명되었습니다.테니스 스타일과는 별개로 그는 [28][29]코트에서 바지 대신 반바지를 입은 최초의 남자로 알려져 있다.그는 1976년 [30]사망할 때까지 30년 동안 함께 살았던 프랑스 파르푸메 디자이너 제르맹 셀리에와 시민 파트너십을 맺었다.그는 마지막으로 살아남은 머스킷총병인 [13]95세의 나이로 사망했다.그에게는 아마추어 테니스 선수인 형제 롤랑드가 있었는데, 그는 1937년 르 투케 스파 챔피언십 복식 타이틀을 거머쥐었고, 단식과 혼합 대회도 우승했습니다.[31]
그랜드 슬램 결승
싱글 (차점자 1명)
결과 | 연도 | 챔피언십 | 표면 | 상대 | 스코어 |
---|---|---|---|---|---|
손실 | 1931 | 프랑스 선수권 대회 | 점토 | ![]() | 6–2, 4–6, 5–7, 4–6 |
복식(2위 1명)
결과 | 연도 | 챔피언십 | 표면 | 파트너 | 대항마 | 스코어 |
---|---|---|---|---|---|---|
손실 | 1932 | 프랑스 선수권 대회 | 점토 | ![]() | ![]() ![]() | 4–6, 6–3, 5–7, 3–6 |
혼합 복식(1회 우승, 준우승 1회)
결과 | 연도 | 챔피언십 | 표면 | 파트너 | 대항마 | 스코어 |
---|---|---|---|---|---|---|
당첨되다 | 1935 | 호주 선수권 대회 | 잔디 | ![]() | ![]() ![]() | 1–6, 6–3, 6–3 |
손실 | 1938 | 프랑스 선수권 대회 | 점토 | ![]() | ![]() ![]() | 6–2, 3–6, 4–6 |
레퍼런스
- ^ a b Alexis Brézet, ed. (20 August 2003). "Disparition de Christian Boussus" [Christian Boussus is gone]. Le Figaro. Paris, France: Dassault Group. ISSN 0182-5852. Retrieved 15 September 2012.
- ^ a b c d "Net Matches opens here tomorrow". Pittsburgh Post-Gazette. Pittsburgh, United States: Paul Block. 9 (33): 12. 7 September 1935. ISSN 1068-624X. Retrieved 16 September 2012.
- ^ a b 1930년 11월 27일 몬트리올 가제트, "빅 빌 틸든은 헨리 코셰 다음으로 많다"
- ^ a b "Tennis in France". Evening Post. Wellington, New Zealand: Blundell Bros Limited. 113 (126): 10. 30 May 1932. Retrieved 17 September 2012.
- ^ a b Béla Kehrling, ed. (1 October 1931). "Külföldi hírek" [International news] (PDF). Tennisz és Golf. III (in Hungarian). Budapest, Hungary: Egyesült Kő-, Könyvnyomda, Könyv- és Lapkiadó Rt. 18–19: 377. Retrieved 25 January 2012.Béla Kehrling, ed. (10 July 1929). "Wimbledon, 1929" (PDF). Tennisz és Golf. I (in Hungarian). Budapest, Hungary: Bethlen Gábor írod. és Nyomdai R.-T. 5: 118. Retrieved 14 September 2012.
- ^ "Budge's title; Convincing victory; Straight sets" (PDF). The Argus. Melbourne, Australia: Argus Office (28, 661): 16. 2 July 1938. Retrieved 14 September 2012.
- ^ a b c d Nigel Sharpe (20 March 1932). "Boussus – France's great left-hander". The Straits Times. Singapore, Straits Settlements: Straits Times Press (14): 3. Retrieved 17 September 2012.
- ^ "International Tennis". Evening Post. Wellington, New Zealand: Blundell Bros Limited. 106 (75): 5. 8 October 1928. Retrieved 17 September 2012.
- ^ "Frenchmen victors". Evening Post. Wellington, New Zealand: Blundell Bros Limited. 106 (75): 9. 9 October 1928. Retrieved 17 September 2012.
- ^ "International tennis". Auckland Star. Auckland, New Zealand. 59 (173): 7. 24 July 1928. Retrieved 17 September 2012.
- ^ Paul Dupuy, ed. (13 August 1929). "Boussus remporte son premier championnat" [Boussus gains his first championship title]. Miroir des sports. Paris, France: Le Petit Parisien Press Group. Retrieved 17 September 2012.
- ^ ITF (2010). "2010 Davis Cup Media Guide" (PDF). cyprustennis.com. Nicosia, Cyprus: Cyprus Tennis Association. Retrieved 15 September 2012.
- ^ a b c "Participations célèbres" [Famous participants]. future-bagneres.a3w.fr (in French). Bagnères-de-Bigorre, France: Club de Bagnères-de-Bigorre. Retrieved 15 September 2012.
- ^ "Presentation". racingclubdefrance.net. Paris, France: Racing Club de France. Retrieved 17 September 2012.
- ^ Roger-Viollet (September 1941). "L'Appel du stade". Paris, France: parisenimages.fr. Retrieved 17 September 2012.[영구 데드링크]
- ^ "Finale Coupe Davis Melbourne 2001". fft.fr. Paris, France: Fédération Française de Tennis. 2001. Retrieved 15 September 2012.
- ^ Arthur Shakespeare, ed. (21 May 1953). "Rosewall wins in Paris". The Canberra Times. Canberra, Australia: Federal Capital Press of Australia. 27 (8, 028): 6.
- ^ Marie-Hélène Roukhadzé. "Jean Borotra" (PDF). The Witnesses. Los Angeles, United States: LA84 Foundation. p. 684. Retrieved 17 September 2012.
- ^ François Morinière, ed. (27 May 2009). "Santoro, record égalé" [Santoro, ties record]. L'Équipe. Paris, France: Éditions Philippe Amaury. 64 (20046): 12. ISSN 0153-1069. Retrieved 17 September 2012.
- ^ "Deutsche Tennismeisterschaften". Hamburger Nachrichten (in German). 14 August 1930. p. 13 – via European Library.
- ^ "Boussus First in French Net". The Pittsburgh Press. Pittsburgh, United States: Press Publishing Company. 51 (163): 26. 4 December 1934. Retrieved 15 September 2012.
- ^ "Perry extended to beat Boussus". Pittsburgh Post-Gazette. Pittsburgh, United States: Paul Block. 9 (263): 20. 1 June 1936. ISSN 1068-624X. Retrieved 15 September 2012.
- ^ "Boussus rated at top; Regains First Place in French Tennis—Destremeau Second". The New York Times. 17 December 1937. Retrieved 15 September 2012.
- ^ "무디, 페리가 영국 전문가에 의해 최고 등급을 받았다", 레딩 이글, 1935년 10월 17일.
- ^ "China two down in Davis Cup". The Straits Times. No. 14. Singapore, Straits Settlements: Straits Times Press. 19 May 1939. p. 3. Retrieved 17 September 2012.
- ^ F. J. Perry (17 December 1934). "The quiet Boussus". The Sydney Morning Herald. No. 30251. Sydney, Australia: John Fairfax and Sons. p. 5. Retrieved 15 September 2012.
- ^ Henry McLemore (14 March 1932). "Sports parade". Eugene Register-Guard. Vol. 82, no. 74. Eugene, United States: Alton F. Baker, Sr. p. 4. Retrieved 17 September 2012.
- ^ Alexis Brézet, ed. (1 May 1936). "La mode rebondit aussi à Roland-Garros" [Fashion revives too at the Roland-Garros]. Le Figaro. Paris, France: Dassault Group. ISSN 0182-5852. Retrieved 15 September 2012.[영구 데드링크]
- ^ "Tennis Stars play in Auckland". Auckland Star. Vol. 65, no. 280. Auckland, New Zealand. 26 November 1934. p. 8. Retrieved 17 September 2012.
- ^ Jeannine Mongin. "Mme Cellier Germaine" [Mrs. Germaine Cellier]. parfumeur-createur.com (in French). Versailles, France: Société Française des Parfumeurs (French Society of Parfume Maker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June 2009. Retrieved 15 September 2012.
- ^ K. Kamillom (1 August 1937). Alexis Brézet (ed.). "Si J'étais entraineur de l'équipe de France" [If I was the coach of the French team]. Le Figaro (in French). Paris, France: Dassault Group. ISSN 0182-5852. Retrieved 17 September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