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리스티나 카레라
Christina Carreira크리스티나 카레라 | |||||||||||||||||||||||||||||
---|---|---|---|---|---|---|---|---|---|---|---|---|---|---|---|---|---|---|---|---|---|---|---|---|---|---|---|---|---|
![]() 2018년 세계주니어선수권대회 카레이라/포노마렌코 선수단 | |||||||||||||||||||||||||||||
개인정보 | |||||||||||||||||||||||||||||
국가 대표 | 미국 | ||||||||||||||||||||||||||||
이전 국가(ies)가 대표함 | 캐나다 | ||||||||||||||||||||||||||||
태어난 | 캐나다 퀘벡 몬트리올 | )2000년 4월 3일 ||||||||||||||||||||||||||||
거주지 | 미국 미시건주 파밍턴힐스 | ||||||||||||||||||||||||||||
높이 | 1.65m(5ft 5인치) | ||||||||||||||||||||||||||||
파트너 | 앤서니 포노마렌코 | ||||||||||||||||||||||||||||
이전 파트너 | 시몬-피에르 말렛-파켓 | ||||||||||||||||||||||||||||
코치 | 스콧 모이어 | ||||||||||||||||||||||||||||
전 코치 | 이고르 슈필밴드, 파스칼레 카메룬고, 그레그 주얼린, 파비안 부르자트, 이반 데샤르딘스 | ||||||||||||||||||||||||||||
전 안무가 | 이고르 슈필밴드, 파스칼레 카메룬고 | ||||||||||||||||||||||||||||
스케이팅 클럽 | 뉴욕의 스케이팅 클럽 | ||||||||||||||||||||||||||||
교육장소 | 온타리오 주 런던 | ||||||||||||||||||||||||||||
이전 교육 장소 | 노비, 미시간 주 퀘벡 주 몬트리올 | ||||||||||||||||||||||||||||
스케이트를 타기 시작했다. | 2003 | ||||||||||||||||||||||||||||
ISU 개인 최고 점수 | |||||||||||||||||||||||||||||
합계합계 | 191.55 2019 CS 아시안 트로피 | ||||||||||||||||||||||||||||
쇼트 댄스 | 78.40 2019 CS 아시안 트로피 | ||||||||||||||||||||||||||||
프리댄스 | 113.36 2019 CS 네벨혼 트로피 | ||||||||||||||||||||||||||||
메달 기록
|
크리스티나 카레라(Christina Carreira, 2000년 4월 3일 출생)는 캐나다 태생의 아이스댄서로서 미국을 위해 경쟁하고 있다.스케이팅 파트너 앤서니 포노마렌코와 함께 2022년 4대륙 동메달리스트, 2018 로스틸콤컵 동메달리스트, ISU 챌린저 시리즈 6회 메달리스트, 2020년 미국 국가대표 퓨터 메달리스트다.
월드 주니어 메달리스트(은메달, 2017년 동메달), 2017 JGP 파이널 은메달리스트, 2018 미국 주니어 전국 챔피언 등 2차례다.
사생활
카레이라는 2000년 4월 3일 캐나다 퀘벡 주 몬트리올에서 태어났다.[1]프랑스어가 그녀의 모국어다.[2]2013년 봄, 그녀는 미국 미시간 주 노비로 이사했다.
카레이라는 2018년 5월 영주권을 신청할 수 있는 '특출한 능력을 가진 엘리언'으로 인정해달라는 탄원서를 냈다.[3]이 청원은 지난 8월 기각됐으며 이 판결은 "당신의 직접적인 상은 받지 않는다"고 주장했다.그들은 스포츠 팀의 일원으로서 당신의 성과에 대해 상을 받았다.[W]e는 이러한 영예를 국가 또는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상이나 노력 분야의 우수성에 대한 상으로 간주하지 않는다.[3]그녀는 10월에 그 결론을 "전혀 비이성적"이라고 설명하면서 소송을 제기했다.[4]카레이라는 2019년 초 소송을 취하했다.[5]
Carreira는 2020년 8월에 미국 영주권을 받았다.[6]
경력
초년
Carreira는 2003년에 스케이트 타는 법을 배우기 시작했다.[1]그녀의 첫 코치는 이반 데샤르딘스였다.[7]그녀는 2006년부터 2013년까지 사이먼-피에르 말렛-파켓과 경쟁했다.그 2인조는 청소년 레벨에서 초보자를 거쳐서 지역 타이틀을 획득했다.퀘벡을 대표하여, 그들은 2012년 전국 챔피언이 되었다.그들은 2013년 캐나다 선수권 대회에서 초보자 순위 5위를 차지했다.
2014-2015 시즌
2014년 4월 카레라는 미국의 아이스댄서 앤서니 포노마렌코와 팀을 이루었다.두 사람은 미국을 대표하기로 했다.뉴욕 레이크 플라시드에서 카레이라를 보고 결국 좋은 경기가 될 줄 알았던 것은 포노마렌코의 어머니 마리나 클리모바였다.[8]주니어 그랑프리(JGP) 데뷔는 2014년 9월 체코 오스트라바에서 5위, 에스토니아 탈린에서 4위를 차지했다.그들은 2015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주니어 종목에서 5위를 했다.
2015-2016 시즌
2015년 JGP 시리즈에서 경쟁한 카레이라/포노마렌코는 라트비아 리가에서 4위를 차지했고, 이후 폴란드 토루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그들은 2016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4위로 가장 높은 메달을 받았다.
2016-2017 시즌:주니어 세계 첫 메달
카레이라/포노마렌코는 JGP 두 종목에서 모두 은메달을 획득했고 12월 프랑스 마르세유에서 열린 JGP 파이널에서 4위를 차지했다.이들은 지난 1월 2017년 미국선수권대회에서 은메달을 따내며 쇼트 3위, 프리 2위를 차지했다.쇼트 6위, 프리 3위에 오른 이들은 지난 3월 대만 타이베이에서 열린 2017 세계주니어선수권대회에서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8]
2017-2018 시즌: 주니어 월드 실버
레이크플래시드 아이스댄스 인터내셔널 외에도, 카레이라/포노마렌코는 일본 나고야에서 12월에 열린 JGP 파이널에서 2위를 차지하며 2017년을 마감했다.다음 달 그들은 2018 미국 피겨 스케이팅 선수권 대회에서 새로운 미국 주니어 챔피언이 되었다.그들은 3월에 열린 2018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8-2019 시즌:그랑프리 1차 메달
파스칼레 카메룬고는 2018-2019시즌을 앞두고 코칭팀에 합류했다.[9]시니어 국제 무대에 데뷔한 카레이라/포노마렌코는 솔트레이크 시티에서 열린 2018 CS US 클래식에서 매디슨 허벨/자커리 도노휴에 이어 2위를 차지하며 은메달을 목에 걸었다.그들은 이어서 2018 CS 네벨혼 트로피에서 동메달을 땄다.그랑프리 데뷔전인 2018 헬싱키 그랑프리에서는 카레이라/포노마렌코가 5위를 차지했다.두 번째 과제에서 그들은 2018 로스틸콤 컵에서 동메달을 땄다.[10]그랑프리 결선에 이어 2018 CS 탈린 트로피에서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카레이라/포노마렌코는 5위를 차지한 2019 미국 선수권대회에서 시즌을 마감했다.[11]
2019-2019 시즌
챌린저 시리즈를 시작으로 카레이라/포노마렌코는 미국 클래식 2회 연속 은메달과 네벨혼 트로피에서 두 번째 동메달을 획득했다.그들은 11월에 열린 아시아 오픈 트로피 최종 챌린저 대회에서 두 부문에서 모두 1위를 차지하며 금메달을 땄다.
첫 그랑프리인 2019년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그들은 트위즐에 실수가 있은 후 리듬 댄스에서 6위를 차지했다.Carreira는 "우리가 이 프로그램을 실행한 것 중 가장 최악의 시간이었을 것"이라고 말했다.[12]이들은 포노마렌코가 '재위용'이라고 부른 프리댄스 이후 6위에 머물렀다.[13]두 번째 GP 행사인 2019 NHK 트로피에서는 리듬댄스 부문 5위를 기록했지만 프리댄스 부문 리프트 에러가 7위, 전체 6위에 그쳤다.[14]
카레이라/포노마렌코는 2020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리듬 댄스 부문에서 4위를 차지했다.[15]자유무용에서도 4위를 차지했지만 거리 요구사항 위반으로 인해 안무 캐릭터 단계 순서가 무효화 된 경우라면 3위를 차지했을 것이다.메달을 딴 그들은 생애 처음으로 국가 주석단에 섰다.[16]
2020-2019 시즌
카레이라는 비록 여름에 링크장이 재개장할 때 회복되었지만, 봄철 검역 기간 동안 COVID-19 대유행 사태에 대응하여 발을 부러뜨렸다.[17]세계적인 유행병이 국제 여행에 영향을 미치면서, Carreira/Ponomarenko는 미국에서 댄스 팀 훈련을 주로 하는 2020년 스케이트 아메리카에 출전하도록 배정되었다.[18]그들은 동메달을 땄다.[19]
1월 10일, 그들은 2021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탈퇴했다고 발표되었다.[20]Carreira는 그것이 그들의 탈퇴를 야기시킨 링크메이트의 긍정적인 COVID 테스트라고 확인했다.[21]
1월 27일, 카레이라는 인스타그램에 그녀와 포노마렌코가 오랜 코치인 이고르 슈필밴드를 떠날 것이라고 발표했다.[22]2주 후, 미국 피겨 스케이팅은 카레이라와 포노마렌코가 전 올림픽 챔피언 스콧 모어가 지도한 온타리오 주 런던에 있는 몬트리올의 새로운 온타리오 캠퍼스의 아이스 아카데미에서 훈련하기 위해 이동할 것이라고 발표했다.[23]
2021–2011 시즌:사대륙청동
카레이라/포노마렌코는 2021 CS 롬바르디아 트로피에서 시즌을 시작해 4위에 올랐다.[24]그들은 2021 CS 핀란디아 트로피에서 8위를 했다.[25]
그랑프리에서는 2021년 캐나다 스케이트 인터내셔널에서 카레이라/포노마렌코가 8위를 차지했다.[26]이들은 2021년 프랑스 인테르네이션 드 프랑스 리듬댄스에 이어 4위였으나 리프트 감점 연장 이후 자유무용 7위로 종합 5위로 떨어졌다.[27]
2022년 미국선수권대회에서는 카레이라/포노마렌코가 리듬댄스 5위였으나 프리댄스 이후 7위로 떨어졌다.[28]그들은 1월 말 탈린에서 열린 4대륙 선수권 대회의 팀에 이름을 올렸다.두 부문 모두 3위, 시니어챔피언십 첫 출전에서 동메달을 목에 걸었다.Carreira는 "우리가 최고의 프리댄스로 시즌을 끝낼 수 있어서 행복하다"고 말했다.그래서 우리는 전반적으로 매우 행복하며 다음 4분기로 계속 성장하기를 원한다."[29]
프로그램
(포노마렌코와 함께)
계절 | 리듬댄스 | 프리댄스 | 전시회 |
---|---|---|---|
2021–2022 [30] | |||
2020–2021 [31] |
| ||
2019–2020 [32] |
| ||
2018–2019 [1][33] |
|
| |
쇼트 댄스 | |||
2017–2018 [34] |
|
| |
2016–2017 [35] |
|
| |
2015–2016 [36] |
| ||
2014–2015 [37] |
경쟁력 강조 사항
GP: 그랑프리; CS: 챌린저 시리즈; JGP: 주니어 그랑프리
포노마렌코와 함께
국제[38] | ||||||||
---|---|---|---|---|---|---|---|---|
이벤트 | 14–15 | 15–16 | 16–17 | 17–18 | 18–19 | 19–20 | 20–21 | 21–22 |
사대륙 | 3번째 | |||||||
GP 핀란드 | 5일 | |||||||
GP 프랑스. | 5일 | |||||||
GP NHK 트로피 | 6일 | |||||||
GP 로스틸콤 | 3번째 | |||||||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 6일 | 3번째 | ||||||
GP 스케이트 캐나다 | 8일 | |||||||
CS 아시안 트로피 | 첫 번째 | |||||||
CS 핀란디아 | 8일 | |||||||
CS 롬바르디아 | 4일 | |||||||
CS 네벨혼 | 3번째 | 3번째 | ||||||
CS US 클래식 | 두 번째 | 두 번째 | ||||||
CS 탈린 트로피 | 첫 번째 | |||||||
레이크플래시드 IDI | 두 번째 | |||||||
국제:주니어[38] | ||||||||
주니어 월드스 | 3번째 | 두 번째 | ||||||
JGP 파이널 | 4일 | 두 번째 | ||||||
JGP 오스트리아 | 첫 번째 | |||||||
JGP 벨라루스 | 첫 번째 | |||||||
JGP 체코 하원의원 | 5일 | |||||||
JGP 에스토니아 | 4일 | |||||||
JGP 프랑스. | 두 번째 | |||||||
JGP 라트비아 | 4일 | |||||||
JGP 폴란드 | 두 번째 | |||||||
JGP 러시아 | 두 번째 | |||||||
레이크플래시드 IDI | 두 번째 | 첫 번째 | ||||||
내셔널[33] | ||||||||
미국 챔프. | 제5회 J | 제4회 J | 제2의 J | 제1회 J | 5일 | 4일 | WD | 7일 |
퍼시픽 코스트 | 제3회 J | 제1회 J | ||||||
ISP 포인트 도전. | 3번째 | |||||||
TBD = 할당됨, WD = 철회됨 수준: J = 주니어 |
말렛 파켓과 함께
내셔널 | |
---|---|
이벤트 | 2013–14 |
캐나다 선수권 대회 | 5 N |
N = 초보 수준 |
세부결과
(포노마렌코와 함께)
어르신들
ISU 선수권대회에서만 수여되는 쇼트프로그램과 무료프로그램에 대한 작은 메달. 단체전에서는 팀 성적에 한해 메달을 수여한다. 볼드체로 강조된 현재 ISU 개인 베스트
2021-22 시즌 | ||||
날짜 | 이벤트 | RD | FD | 합계 |
---|---|---|---|---|
2022년 1월 18-23일 | 2022년 4대륙 선수권 대회 | 3 69.35 | 3 106.32 | 3 175.67 |
2022년 1월 3일~9일 | 2022년 미국 선수권 대회 | 5 77.90 | 7 107.92 | 7 185.82 |
2021년 11월 19-21일 | 2021년 프랑스 인터네셔널 | 4 70.74 | 7 105.17 | 5 175.91 |
2021년 10월 29~31일 | 2021년 캐나다국제스케이트 | 8 68.96 | 8 99.80 | 8 168.76 |
2021년 10월 7일-10일 | 2021 CS 핀란디아 트로피 | 6 72.36 | 8 105.91 | 8 178.27 |
2021년 9월 10일-12일 | 2021 CS 롬바르디아 트로피 | 4 69.08 | 6 103.70 | 4 172.78 |
2020-21 시즌 | ||||
날짜 | 이벤트 | RD | FD | 합계 |
2020년 10월 23-24일 | 2020년 스케이트 아메리카 | 3 78.63 | 3 107.15 | 3 185.78 |
2019-20 시즌 | ||||
날짜 | 이벤트 | RD | FD | 합계 |
2019년 11월 22~24일 | 2019 NHK 트로피 | 5 75.25 | 7 107.01 | 6 182.26 |
2019년 10월 30일 – 11월 3일 | 2019 CS 아시안 트로피 | 1 78.40 | 1 113.15 | 1 191.55 |
2019년 10월 18~20일 | 2019년 스케이트 아메리카 | 6 70.41 | 6 110.14 | 6 180.55 |
2019년 9월 25~28일 | 2019 CS 네벨혼 트로피 | 2 76.99 | 4 113.43 | 3 190.35 |
2019년 9월 17일-22일 | 2019 CS US 인터내셔널 클래식 | 2 77.18 | 2 111.29 | 2 188.47 |
2018-19시즌 | ||||
날짜 | 이벤트 | RD | FD | 합계 |
2019년 1월 19~27일 | 2019년 미국 선수권 대회 | 4 75.23 | 5 114.78 | 5 190.01 |
2018년 11월 26일 – 12월 2일 | 2018 CS 탈린 트로피 | 2 69.58 | 1 110.64 | 1 180.22 |
2018년 11월 16일-18일 | 로스틸컴컵 2018 | 2 69.01 | 3 105.20 | 3 174.21 |
2018년 11월 2일-4일 | 2018년 헬싱키 그랑프리 | 4 66.93 | 5 100.35 | 5 167.28 |
2018년 9월 26~29일 | 2018 CS 네벨혼 트로피 | 3 69.56 | 3 107.93 | 3 177.49 |
2018년 9월 12~16일 | 2018 CS US 인터내셔널 클래식 | 2 68.61 | 2 105.43 | 2 174.04 |
참조
- ^ a b c "Christina CARREIRA / Anthony PONOMARENKO: 2018/2019".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9, 2018.
- ^ Walker, Elvin (June 15, 2017). "Ponomarenko Continues a Family Tradition". IFS Magazine.
- ^ a b Keshner, Andrew (October 23, 2018). "Gold medal-winning ice skater sues over U.S. authorities' refusal to deem her 'extraordinary'". MarketWatch.
- ^ "Carreira-v-USCIS-Complaint" (PDF). October 21, 2018.
- ^ Radnofsky, Louise (December 11, 2019). "Athletes Seeking Green Cards Find Proving They're Exceptional Has Gotten Tougher Under Trump". The Wall Street Journal.
- ^ Kany, Klaus-Reinhold (October 26, 2020). "2020 Skate America Dance". Ice Skating International.
- ^ Carreira, Christina (March 14, 2017). "Taipei 101: Carreira explores junior worlds host city". IceNetwork.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3, 2018.
- ^ a b Slater, Paula (1 September 2017). "Carreira and Ponomarenko eye 2018 Junior World podium". Golden Skate.
- ^ Harris, Colette A. (September 27, 2018). "Christina Carreira and Anthony Ponomarenko Take Strong Chemistry Into Senior Ranks". U.S. Figure Skating.
- ^ Slater, Paula (November 17, 2018). "Stepanova and Bukin win second consecutive Grand Prix Gold at Rostelecom Cup". Golden Skate.
- ^ Mammoser, Scott (January 27, 2019). "Hubbell and Donohue defend U.S. ice dance title". Golden Skate.
- ^ Slater, Paula (October 19, 2019). "Hubbell and Donohue: 'We have so much progress to make'". Golden Skate.
- ^ Slater, Paula (October 20, 2019). "Hubbell and Donohue win second consecutive Skate America gold". Golden Skate.
- ^ Slater, Paula (November 23, 2019). "Papadakis and Cizeron take NHK Trophy gold with record scores". Golden Skate.
- ^ Slater, Paula (January 24, 2020). "Chock and Bates dance to lead in Greensboro". Golden Skate.
- ^ Slater, Paula (January 26, 2020). "Chock and Bates reclaim U.S. National title in Ice Dance". Golden Skate.
- ^ Sausa, Christie (October 12, 2020). "Carreira and Ponomarenko Look to Leave It All on the Ice at Skate America". U.S. Figure Skating.
- ^ "2020 Skate America". International Figure Skating. October 20, 2020.
- ^ Slater, Paula (October 26, 2020). "Hubbell and Donohue defend Skate America title for third consecutive win". Golden Skate.
- ^ "Entries to the 2021 Toyota US Figure Skating Championships" (PDF). USFSA. January 10, 2021.
- ^ Carreira, Christina (January 10, 2021). "We have been very diligent and careful..." (Instagra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12-24.
- ^ Carreira, Christina (January 27, 2021). "We would like to thank Igor, Pasquale, Adrienne, Natalia, and our entire coaching team in Novi for all the work they've done to get us to the point we are at now" (Instagra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21-12-24.
- ^ "Christina Carreira and Anthony Ponomarenko Announce Coaching Change". U.S. Figure Skating. February 2, 2021.
- ^ "Lombardia Trophy 2021". Federazione Italiana Sport del Ghiaccio.
- ^ Dean, Taylor (October 10, 2021). "Team USA Collects Six Medals in Finland and Austria". U.S. Figure Skating.
- ^ Slater, Paula (October 31, 2021). "Gilles and Poirier win second consecutive Skate Canada title". Golden Skate.
- ^ Slater, Paula (November 20, 2021). "Papadakis and Cizeron take 12th Grand Prix gold in France". Golden Skate.
- ^ Slater, Paula (January 9, 2022). "Chock and Bates edge out teammates for U.S. title". Golden Skate.
- ^ Slater, Paula (January 21, 2022). "Green and Parsons feel 'incredible' after Four Continents win". Golden Skate.
- ^ "Christina CARREIRA / Anthony PONOMARENKO: 2021/2022".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ugust 31, 2021.
- ^ "Christina CARREIRA / Anthony PONOMARENKO: 2020/2021".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3, 2020.
- ^ "Christina CARREIRA / Anthony PONOMARENKO: 2019/2020".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September 29, 2018.
- ^ a b "Christina Carreira and Anthony Ponomarenko". U.S. Figure Skatin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 2018.
"Earlier versions". IceNetwork.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 2018. - ^ "Christina CARREIRA / Anthony PONOMARENKO: 2017/2018".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5, 2018.
- ^ "Christina CARREIRA / Anthony PONOMARENKO: 2016/2017".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1, 2017.
- ^ "Christina CARREIRA / Anthony PONOMARENKO: 2015/2016".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7, 2016.
- ^ "Christina CARREIRA / Anthony PONOMARENKO: 2014/2015".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0, 2015.
- ^ a b "Competition Results: Christina CARREIRA / Anthony PONOMARENKO".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