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커리 도노휴

Zachary Donohue
재커리 도노휴
2016 트로페프랑스에서의 허벨과 도노휴
풀네임재커리 타일러 도노휴
태어난 (1991-01-08) 1991년 1월 8일 (33세)
하트포드
고향매디슨
높이6 ft 3 in (1.91 m)
피겨스케이팅 경력
나라미국
파트너매디슨 허벨
코치마리 프랑수아 뒤브뢰일
파트리스 라우존
로맹 하게나우어
스케이트 클럽랜싱 스케이팅 클럽
갓부아 센터
스케이트를 타기 시작했습니다.2001
은퇴한2022
메달기록
피겨 스케이팅: 아이스댄스
미국을 대표하여
올림픽 경기 대회
Silver medal – second place 2022 베이징 팀.[a]
Bronze medal – third place 2022 베이징 아이스댄싱
세계 선수권 대회
Silver medal – second place 2018년 밀라노 아이스댄싱
Silver medal – second place 2021 스톡홀름 아이스댄싱
Silver medal – second place 2022 몽펠리에 아이스댄싱
Bronze medal – third place 2019 사이타마 아이스댄싱
사대륙 선수권 대회
Gold medal – first place 2014 타이베이 아이스댄싱
Bronze medal – third place 2020 서울 아이스댄싱
그랑프리 파이널
Gold medal – first place 2018-19 밴쿠버 아이스댄싱
Bronze medal – third place 2019-20 토리노 아이스댄싱
월드 팀 트로피
Gold medal – first place 2019 후쿠오카 팀.

재커리 타일러 "자크" 도노휴(, 1991년 1월 8일 ~ )는 미국의 전 아이스 댄서입니다. 매디슨 허벨과 함께 그는 2022년 동계 올림픽 메달리스트 2회, 세계 메달리스트 4회, 2018년 그랑프리 파이널 챔피언, 2014년 4대륙 챔피언, 미국 국내 챔피언 (2018–2019, 2021) 3회입니다.

Piper Gilles와 함께, Donohue는 2008년부터 2009년까지 ISU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에서 3개의 메달을 획득했습니다.

개인생활

도노휴는 1991년 1월 8일 코네티컷주 하트포드에서 태어나 코네티컷주 매디슨에서 자랐습니다.[1][2] 그는 고등학교 때까지 홈스쿨링을 받았습니다.[3]

Donohue와 Hubbell은 그들의 파트너십 초기에 낭만적으로 관계를 맺었지만, 결국 그들은 그들의 경쟁적인 경력에 집중하기로 선택했습니다.[4]

2022년 6월 11일, Donohue와 호주의 아이스 댄서 Chantelle Kerry는 약혼했습니다.[5] 그들은 2022년 9월 18일 호주 시드니에서 결혼식을 올렸습니다.

초기경력

Donohue는 2001년에 스케이트를 배우기 시작했습니다.[2] 2005-2006 시즌에는 사라 베일리와 경쟁했습니다. 다음 시즌, 그는 케일린 파티투치와 함께 스케이트를 탔습니다. 동부지역선수권대회에서 초보 5위를 차지한 그들은 2007년 미국선수권대회에 진출하지 못했습니다.

도노휴는 2008년 동부 지역 선수권 대회에서 릴리 라마와 함께 주니어 부문 5위를 차지했습니다. 그들의 결과는 2008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 진출하기에는 부족했습니다.

질레스와의 파트너십

2010년 세계주니어선수권대회 길스와 도노휴

도노휴는 2008-2009 시즌을 앞두고 파이퍼 길스와 팀을 이루었습니다. 국제 무대에 데뷔한 그들은 체코 오스트라바에서 열린 2008-09 국제빙상경기연맹(ISU) 주니어 그랑프리 대회에서 금메달을 획득했습니다. 그들은 남아프리카 케이프타운에서 두 번째 과제로 은을 받았습니다. 2008-09 시즌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할 수 있는 자격을 얻었지만, 대회 전 질레스의 부상으로 기권했습니다. 그들은 2009년2010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주니어 동메달을 땄습니다.

질스/도노휴는 2010년 세계 주니어 선수권 대회에서 미국 대표로 선발되어 34개 팀 중 9위를 차지했습니다. 그들은 2010년 5월에 결별을 발표했습니다.[6] 몇 년 후에 파트너십이 끝났음을 되돌아보면서, 길레스는 그녀와 도노휴가 "매우 비슷했다 – 매우 감정적이고 추진력이 있었다 – 하지만 그것은 우리에게 효과가 없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우리는 그것이 효과가 있도록 노력했고, 또다시 그것은 우리 둘 중 누구에게도 적합한 파트너십이 아니었습니다."[7]

Aronow와의 파트너십

2010년에 Donohue는 Alissandra Aronow와 팀을 이루었습니다. 그들은 미시간 캔톤에서 이고르 슈필밴드마리나 주에바의 코칭 팀 아래 훈련을 받았고 시니어 랭킹에서 경쟁했습니다. 그들은 2011년 미국 선수권 대회 직후에 파트너십을 종료했습니다.

허벨과 도노휴

2011-2012시즌

2011년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의 허벨과 도노휴

2011년 5월 12일, 미국 피겨 스케이팅은 도노휴와 매디슨 허벨의 새로운 파트너십을 발표했습니다.[8] 그 둘은 Pasquale Camerlengo, Anjelika Krylova, 그리고 Natalia Annenko-Deller의 지도 아래 디트로이트 스케이트 클럽에서 훈련하기로 결정했습니다.[9]

허벨/도노휴는 2011년 네벨혼 트로피에서 국제 무대에 데뷔하여 금메달을 획득했습니다.[10][11] 2012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딴 후, 그들은 두 개의 국제빙상경기연맹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도록 선발되었습니다; 콜로라도 스프링스에서 열린 2012년 4대륙 선수권 대회에서 5위를 차지했고, 프랑스 니스에서 열린 2012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10위를 차지했습니다.

2012-2013 시즌

허벨/도노휴는 2012년 핀란드 트로피에서 동메달을 획득했고 두 개의 그랑프리 대회에 출전했습니다. 그들은 2012년 스케이트 캐나다 인터내셔널에서 5위를 했고, 2012년 트로피 에릭 봄파드에서 4위를 했습니다. 2013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4위를 한 후, 그들은 국제빙상경기연맹 선수권 대회에 선발되지 않았습니다.

2013-2014 시즌: 사대륙 금

2013년 6월 뇌진탕을 입은 후,[12] 허벨은 6주간의 요양 기간을 보냈습니다.[13] 그녀는 부상의 원인을 "인정할 수 없을 만큼 고통스럽고 집중력이 부족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2바퀴를 돌고 3바퀴를 돌다가 발뒤꿈치에서 떨어졌습니다."[13]

허벨/도노휴는 2013년 네벨혼 트로피에서 금메달을 획득했고, 2013년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4위를 차지했으며, 2013년 스케이트 캐나다 인터내셔널에서 첫 그랑프리 메달인 동메달을 획득했습니다. 2014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4위를 차지한 후, 그들은 2014년 4대륙 선수권 대회에 배정되었고, Piper Gilles/Paul Poirier에 앞서 금메달을 획득했습니다. 허벨/도노휴는 2014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처음으로 대체 선수로 출전했지만 메릴 데이비스/찰리 화이트가 기권했을 때 자리를 잡지 못했고 허벨은 왼쪽 엉덩이에[14] 라브럼이 찢어져 2014년 3월 수술을 받았습니다.[12]

2014-2015시즌

허벨/도노휴는 2014년 스케이트 캐나다 국제 대회와 2014년 트로피 에릭 봄파드 대회에서 모두 동메달을 획득했고, 그리고 2015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습니다. 그들은 중국 상하이에서 열린 2015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10위를 차지했습니다.

2015년 4월 13일, Hubbell/Donohue는 Marie-France Dubreuil, Patrice Lauzon과 함께 몬트리올의 Centre Gadbois에서 훈련을 시작했다고 발표했습니다.[15]

2015-2016시즌

2015년 11월, Hubbell/Donohue보르도에서 열린 2015 Trophée Eric Bompard에서 캐나다의 Piper Gilles/Paul Poirier에 앞서 1위를 차지한 결과 금메달을 획득하며 첫 그랑프리 우승을 차지했습니다. 2015년 11월 파리 테러로 대회 이틀째가 취소됐습니다. 2015년 NHK 트로피에서 동메달을 획득한 후, 두 사람은 첫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여 6위를 차지했습니다.

허벨/도노휴는 2016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동메달을 획득했습니다. 그들은 타이페이에서 열린 2016년 4대륙 선수권 대회에서 4위, 보스턴에서 열린 2016년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6위를 차지했습니다.

2016-2017시즌

2017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두 부문에서 모두 3위를 차지한 허벨/도노휴는 3년 연속 전국 동메달리스트로 남아 있습니다. 2월, 그들은 한국 강릉에서 열린 2017 4대륙 선수권 대회에서 쇼트 댄스 4위, 프리 6위, 종합 4위를 차지했습니다.

3월, 허벨/도노휴는 핀란드 헬싱키에서 열린 2017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짧은 춤으로 작은 동메달을 획득했습니다. 그들은 프리 댄스에서 10위를 한 후 종합 9위로 떨어졌습니다.

2017-2018 시즌: 세계 은

허벨/도노휴는 2017 CS US 인터내셔널 클래식에서 골드로 시즌을 시작했습니다. 2017 스케이트 캐나다 인터내셔널에서 동메달, 2017 NHK 트로피에서 은메달을 획득한 후, 그들은 3연속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했습니다. 그들은 일본 나고야에서 열린 대회에서 4위를 차지했습니다.

2018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허벨/도노휴는 쇼트 댄스에서 마이아, 알렉스 시부타니에 이어 2위, 프리 댄스에서는 매디슨 초크/에반 베이츠에 이어 2위를 차지했습니다. 그들은 시부타니스 팀에 0.19, 초크/베츠 팀에 0.52의 차이로 첫 국내 타이틀을 획득했습니다. 모든 아이스 댄싱 메달리스트들은 미국 올림픽 팀에 이름을 올렸습니다.

허벨/도노휴는 단체전에는 선발되지 않고 아이스댄스 개인전에 출전하였습니다. 쇼트 댄스에서, 그들은 훈련 동료인 테사 버츄 / 스콧 모이어 / 가브리엘라 파파다키스 / 기욤 시저론에 이어 3위를 차지했고, 시부타니스 팀에 0.02점 앞섰습니다. 프리 댄스에서 도노휴는 미끄러지는 동작 가운데 양손을 내려 놓았는데, 이는 기술적인 추락에 해당합니다. 그 결과, 그들은 자유 무용에서 5위를 했고, 동메달리스트인 시부타니스에 4.90점 뒤진 종합 4위를 했습니다.[16][17]

3월, Hubbell/Donohue는 밀라노에서 열린 2018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두 부문에서 모두 2위를 차지하며 은메달을 획득했습니다.

2018-2019 시즌: 세계 동메달

U.S. Classic에서의 우승으로 시즌을 다시 시작하면서, Hubbell과 Donohue는 연속적그랑프리 대회인 2018 Skate America와 2018 Skate Canada International에 배정되었습니다. 그들은 두 경기에서 모두 금메달을 획득하여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한 첫 번째 팀이 되었습니다. 스케이트 캐나다 인터내셔널에서 우승한 후, 허벨은 "우리는 어려운 상황에서 챔피언이 되기 위해 도전하고 싶었고, 우리는 시즌 초반에 두 번 연속으로 그랑프리를 하는 것이 정말 어려울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18]라고 관찰했습니다. 그랑프리 파이널에서 그들은 두 프로그램에서 모두 1위를 차지했고 우승을 차지했습니다.[19]

2019년 US 선수권 대회에서 복귀한 Chock/Bates와 맞붙어 2연패를 달성했습니다.[20] 그들은 2019년 4대륙 선수권 대회에서 개인 최고 기록으로 리듬 댄스 부문 1위를 차지했습니다.[21] 프리 댄스에서, 그들은 고정된 리프트가 아닌 것으로 간주된 후, 고정된 리프트에서 베이스 레벨만 받는 것을 포함하여, 여러 번의 실수 후에 예상치 못하게 4위로 떨어졌습니다. 그 결과, 그들은 Chock/Bates, Kaitlyn Weaver/Andrew Poje, 그리고 Gilles/Poirier 뒤에서 시상대를 마쳤습니다.[22] 허벨은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분명히 우리는 세계보다 여기서 그런 일이 일어나기를 원합니다."[23]

허벨/도노휴는 2019년 세계선수권대회 리듬댄스에서 4위를 차지했지만 프리댄스에서 알렉산드라 스테파노바/아이반 부킨을 제치고 종합 3위에 올라 동메달을 획득했습니다. 허벨은 "올 시즌 우리의 가장 강력한 경기력"이라며 "최선의 경기력과 우리가 통제할 수 없는 나머지를 하는 것이 목표였고, 그것이 정말 우리가 이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24] 그들은 2019년 월드 트로피에서 금메달을 획득한 팀 USA의 일부로 시즌을 마쳤습니다.[25]

2019-2020 시즌: 사대륙 동메달

뮤지컬을 주제로 한 리듬 댄스를 위해, 허벨과 도노휴는 허벨의 오랜 목표인 마릴린 먼로 프로그램의 스케이트를 타는 것을 선택했습니다.[26] Hubbell/Donohue는 그랑프리에서 같은 종목에 연속 배정되었습니다. 그들은 리듬 댄스에서 개인 최고점 84.97점으로 1위, 프리 댄스에서 은메달리스트 스테파노바/버킨의 프리 댄스 점수보다 0.08점 뒤진 124.58점으로 2위를 차지한 후, 총 209.55점으로 스케이트 아메리카 2관왕이 되었습니다. Donohue는 행사 당시 기관지염을 앓고 있었고 다음 주에 있을 다음 대회까지 "두 개의 작동하는 폐"를 갖기를 바란다고 말했습니다.[27] 그 다음 주 2019 스케이트 캐나다 인터내셔널에서 그들은 리듬 댄스에 이어 아슬아슬하게 선두를 달리며 질레스/포이리에를 0.63 포인트 앞섰습니다.[28] 그들은 프리 댄스에서 2위를 했고, 은메달을 땄는데, 이것은 상당한 역전패로 여겨졌습니다.[29]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한 허벨/도노휴는 리듬댄스 부문에서 2위를 차지했습니다.[30] 스케이트 캐나다 인터내셔널 이후 프로그램 요소 중 9개를 수정한 후 프리 댄스에서 3위를 차지하며 종합 동메달을 획득했습니다.[31]

3연패를 노리는 2020년 미국선수권대회에 출전한 그들은 핀스텝 패턴에서 한 지점에서 도노휴가 약간 균형을 잃고 그들의 리프트는 레벨 3에 그치는 리듬댄스에서 2위를 차지했습니다.[32] 그들은 또한 프리 댄스에서도 2위를 차지했는데, 그들의 댄스 스핀에서 잘못된 방향을 마주하고 나온 후 고전을 면치 못해서, 허벨은 그것이 "즐거움이 아니라 아마도 가장 힘든 공연 중 하나일 것"이라고 언급했습니다. 그들은 Chock/Bates에 이어 은메달을 땄습니다.[33]

4대륙 선수권 대회에서 전년도의 아쉬움을 딛고 돌아온 허벨/도노휴는 비록 Chock/Bates에 불과 0.03점의 차이로 이겼고, 3위로 Gilles/Poirier에 2.03점 앞섰습니다.[34] 프리 댄스에서는 둘 다 트위즐 순서에서 실수를 범해 3위로 순위가 떨어져 동메달을 목에 걸었습니다. 허벨은 이후 "이번 시즌 우리의 자유로운 춤은 우리에게 매우 힘든 것이었다"[35]고 인정했습니다. 그들은 몬트리올에서 열리는 세계 선수권 대회에 출전하도록 배정받았지만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취소되었습니다.[36]

2020-2021 시즌: 세계 은

허벨과 도노휴는 전 훈련 파트너이자 더블 올림픽 챔피언인 스콧 모이어를 새 시즌 안무가 중 한 명으로 영입해 전년도에 잃어버린 추진력을 되찾기 위해 계획했는데, 이는 스케이트 캐나다에서의 패배 이후 프로그램에 대한 자신감을 잃은 탓이라고 분석했습니다.[37] 국제빙상경기연맹(ISU)이 해외여행을 최소화하기 위해 주로 훈련 장소를 기준으로 그랑프리를 배정한 가운데, 허벨/도노휴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2020 스케이트 아메리카에 배정돼 국경을 넘어 출전했습니다.[38] 그들은 이 대회에서 3년 연속 우승했습니다.[39]

Hubbell/Donohue도 라스베가스에서 열린 2021년 미국 선수권 대회를 위해 다시 미국으로 돌아왔습니다. 그들은 리듬 댄스에서 부상으로 스케이트 아메리카에 출전하지 않은 Chock/Bates에 0.44점 뒤진 2위를 차지했습니다.[40] 그들은 프리 댄스에서 깨끗하게 스케이트를 타며 우승했고, Chock/Bates는 트위즐 에러로 3번째 국내 타이틀을 가져갔습니다.[41] 그들은 스톡홀름에서 열리는 2021 세계 선수권 대회의 미국 팀에 지명되었습니다.[42]

세계선수권대회는 관중 없이 거품 속에서 치러졌고, 허벨/도노휴의 훈련 파트너들과 세계선수권대회 4회 우승자 파파다키스/자이저론은 질병과 훈련 시간 부족을 이유로 참석을 거부해 매우 경합적인 시상대로 이어졌습니다.[43] 허벨/도노휴는 리듬 댄스에서 러시아의 시니치나/카살라포프에 2점 뒤지고 초크/바테스에 근소한 차이로 앞서 2위를 차지했습니다.[44] 그들은 프리 댄스에서 시니치나/카살라포프, 캐나다의 질레스/포이리에에 이어 3위를 차지했지만, 질레스/포이리에에 0.36점 차이로 종합 2위를 유지하며 두 번째 은메달을 획득했습니다.[45] 그들의 배치는 2022년 동계 올림픽에서 Chock/Bates의 미국 아이스 댄스 팀의 네 번째 출전 자격 3장과 합쳐졌습니다.[46]

2021-2022 시즌: 올림픽 메달과 세계 은메달

허벨/도노휴는 2021-22 시즌을 마지막으로 은퇴를 선언했습니다.[47] 그들은 2021년 US 클래식에서 개막전 과제로 우승했는데, 그 시즌에는 챌린저 시리즈에 포함되지 않았습니다.[48]

Hubbell/Donohue는 2021 Skate America에서 국내 주요 라이벌 Chock/Bates와 경쟁을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금메달을 차지하기 위해 두 부문에서 모두 이겼고, 그 대회에서 4회 연속으로 Chock/Bates를 1.31점 차이로 이겼습니다. 도노휴는 이후 "우리의 마지막 스케이트 아메리카이자 우리에게 4연승을 한 것에 대해 압도적인 감사를 표하며, 특히 라이브 시청자를 확보할 수 있다는 것은 매우 큰 의미가 있다"고 말했습니다.[47][49] 그들은 2021년 중국컵에 두 번째 그랑프리로 배정되었지만 취소 이후 2021년 그란 프레미오 이탈리아로 재할당되었습니다.[50] 훈련 파트너인 Papadakis/Cizeron도 이 대회에 참가한 가운데, Hubbell/Donohue는 은메달리스트로 추정되며, 프리 댄스 안무 리프트에서 프로그램 후반에 실패했음에도 불구하고 두 부문에서 모두 2위를 차지했습니다. 허벨은 이후 "마지막에 우리가 실수를 했지만 가끔 공중으로 뛰어오르기도 하고, 파트너의 가랑이를 때리기도 한다"고 농담을 던졌습니다.[51] 그들의 결과는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할 자격을 얻었지만 오미크론 변종으로 인한 제한으로 인해 취소되었습니다.[52]

2022년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타이틀 방어를 노렸던 허벨/도노휴는 실수로 리듬 댄스 부문에서 2위를 차지해 초크/베츠에 2.55점 차로 뒤졌습니다. 그들은 프리 댄스에서 우승했지만 종합 2위에 머물렀습니다. 허벨은 "우리는 여기 미국 선수권 대회에서 현재처럼 느껴지는 경기로 선수 생활을 끝내고 싶었고, 우리 둘 다 우리가 스케이트를 타는 방식에 매우 만족합니다. 제 생각에 우리는 우리가 거기에 내놓은 것에 만족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었습니다."[53] 그들은 이후 미국 올림픽 팀에 이름을 올렸습니다.[54]

허벨/도노휴는 올림픽 단체전 리듬댄스 부문의 미국 진출자로 2022년 동계 올림픽을 시작했습니다. 그들은 개인 최고 기록인 86.56점을 기록하여 이 부문에서 우승을 차지했고, 미국 팀에서 10점을 획득했으며, 특히 세계 챔피언인 ROC의 시니치나/카츠알라포프를 압도했습니다.[55] 결과에 만족한 도노휴는 "이런 식으로 우리 올림픽을 여는 것은 정말 영광스러운 일"이라고 말했습니다.[56] 미국팀은 은메달, 허벨과 도노휴의 첫 올림픽 메달을 획득했습니다.[57] 아이스 댄스 종목에서, 그들은 또 다른 새로운 개인 최고 점수 87.13점으로 리듬 댄스에서 3위로 마쳤습니다.[58] 프리 댄스 3위, 연장 리프트 감점에도 불구하고 동메달을 획득했습니다.[59]

허벨과 도노휴는 몽펠리에에서 열린 2022 세계 선수권 대회에서 경쟁 경력을 마무리했습니다.[60] 그들은 개인 최고 점수 89.72점으로 훈련 동료 파파다키스/자이저론에 3.01점 뒤진 2위를 차지했습니다.[61] 프리 댄스에서 그들은 총점에서 개인 최고 기록(222.39) 뿐만 아니라 또 다른 개인 최고 기록(132.67)을 세우며 3번째 세계 은메달을 획득했습니다. 파파다키스/시저론이 금메달을, 초크/베이츠가 동메달을 따면서 시상대 전체는 몬트리올 아이스 아카데미 소속 선수들로 구성되었습니다. 허벨은 "우리는 우리의 마지막 순간을 위해 서로를 위해 최선을 다하고 싶다는 것을 알고 있었고, 그것에서 평화를 찾았습니다. 우리는 그저 매우 행복합니다."[62]

프로그램

허벨과 함께

계절 쇼트댄스 프리댄스 전시회
2021–2022
[63]
2020–2021
[64]

벌레스케

2019–2020
[65]

스타 탄생:

  • 새로운 소녀이다.
    핀란드로

2018–2019
[66]

로미오와 줄리엣이요.


2017–2018
[68][2][69]
  • 삼바: 르 뱀
    젬으로
  • 룸바: 쿠안도칼리엔타엘솔
    Talya Ferro 지음
  • 삼바: 삼반도 (로스 리트모스 칼리엔테스)



2016–2017
[3][74]
  • 블루스: 필링 굿
    니나 시몬 공연
  • 힙합: 힙합 메들리
    여러 예술가들에 의해서

"사랑" 메들리:

  • I Wanna Dance with Somebody
    부트스트랩별
  • 사랑에 빠지는 것을 어쩔 수 없어요
    잉그리드 마이클슨의
  • 에너티브 잇
    부트스트랩별


  • 케는 헤초콘 미비다를 가지고 있습니다.
    에바 루이즈 지음

2015–2016
[76][77]
  • 왈츠: 할렐루야
    k.d. lang이 공연한
  • 3월: 할렐루야 행진
    칼 휴고의

2014–2015
[12][78][79]
위대한 개츠비:
  • 레이 미 다운
    샘 스미스의
2013–2014
[3][79][80]

  • 숨바꼭질
    이모겐 힙별
  • 왓차 세이
    제이슨 데룰로 지음
2012–2013
[3][79][81][82]
타이타닉:
제임스 호너 지음
  • 왈츠
  • 존 라이언의 폴카
2011–2012
[3][79][83]
  • 라틴 메들리

질레스와 함께

계절 오리지널 댄스 프리댄스
2009–2010
[84][85]

알프레드 히치콕 영화:
2008–2009
[84][86]

경쟁사의 하이라이트

GP: 그랑프리; CS: 챌린저 시리즈; JGP: 주니어 그랑프리

허벨과 함께

국제적[48]
이벤트 11–12 12–13 13–14 14–15 15–16 16–17 17–18 18–19 19–20 20–21 21–22
올림픽 네번째 세번째
월드 10일 10일 6일 9일 두번째 세번째 C 두번째 두번째
사대륙 5일 첫 번째 네번째 네번째 네번째 세번째
GP 최종 6일 5일 네번째 첫 번째 세번째 C
GP 컵 오브 차이나 C
GP 프랑스. 네번째 세번째 첫 번째 두번째
GP 이탈리아 두번째
GP NHK 트로피 세번째 두번째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6일 네번째 두번째 첫 번째 첫 번째 첫 번째 첫 번째
GP 스케이트 캐나다 5일 세번째 세번째 세번째 첫 번째 두번째
CS US 클래식 첫 번째 첫 번째 첫 번째 첫 번째
CS 골든 스핀 첫 번째
CS 핀란드 세번째 WD 두번째
네벨혼 트로피 첫 번째 첫 번째
US 클래식 첫 번째
전국적[3]
U.S. Champ. 세번째 네번째 네번째 세번째 세번째 세번째 첫 번째 첫 번째 두번째 첫 번째 두번째
중서부 종파. 첫 번째
ISP 포인트 챌린지. 첫 번째
단체전
올림픽 두번째 T
첫번째 P
월드 팀 트로피 첫번째 T
세번째 P
TBD = 할당됨, WD = 철회됨, C = 이벤트 취소됨
T = 팀 결과; P = 개인 결과. 단체전 결과에 한해 메달을 수여합니다.

아로나우와 함께

국가의
이벤트 10-11
U.S. Champ. 열한번째
미드웨스턴 세크. 두번째
레벨: N = Novie; J = Junior

질레스와 함께

국제적[87]
이벤트 08–09 09–10
주니어 월드 9일
JGP 독일. 세번째
JGP 헝가리 네번째
JGP 남아프리카 공화국 두번째
JGP 체코 첫 번째
전국적[84]
U.S. Champ. 제3J 제3J
미드웨스턴 세크. 두번째 J
J = 주니어 레벨; WD = 탈퇴

라마와 함께

국가의
이벤트 07–08
이스턴 세크. 제5제이
레벨: N = Novie; J = Junior

파티투치와 함께

국가의
이벤트 06–07
이스턴 세크. 5번째 N
레벨: N = Novie; J = Junior

상세결과

ISU 선수권 대회에서만 수여하는 쇼트프로그램과 프리프로그램의 소규모 메달.

허벨과 함께

2021-22시즌
날짜. 이벤트 RD FD
2022년 3월 21일 ~ 27일 2022년 세계 선수권 대회 2
89.72
2
132.67
2
222.39
2022년 2월 12일~14일 2022년 동계 올림픽 3
87.13
3
130.89
3
218.02
2022년 2월 4일~7일 2022년 동계 올림픽 단체전 1
86.56
투티
2022년 1월 3일~9일 2022년 미국 선수권 대회 2
89.39
1
136.20
2
225.59
2021년 11월 5일~7일 2021년 그란 프레미오 이탈리아 2
84.79
2
123.11
2
207.90
2021년 10월 22일~24일 2021년 스케이트 아메리카 1
83.58
1
125.96
1
209.54
2021년 9월 15일~18일 2021년 US 클래식 1
84.06
1
123.24
1
207.30
2020-21시즌
날짜. 이벤트 RD FD
2021년 3월 22일 ~ 28일 2021년 세계 선수권 대회 2
86.05
3
128.66
2
214.71
2021년 1월 11일 ~ 2021년 1월 21일 2021년 미국 선수권 대회 2
89.66
1
134.90
1
224.56
2020년 10월 23일~24일 2020년 스케이트 아메리카 1
85.30
1
126.09
1
211.39
2019-20시즌
날짜. 이벤트 RD FD
2020년 2월 4일 ~ 9일 2020년 4대륙 선수권 대회 1
85.95
3
122.77
3
208.72
2020년 1월 20일 ~ 26일 2020년 미국 선수권 대회 2
86.31
2
130.88
2
217.19
2019년 12월 4일~8일 2019-20 그랑프리 파이널 2
82.72
3
125.21
3
207.93
2019년 10월 25일~27일 2019년 스케이트 캐나다 국제 대회 1
83.21
2
123.10
2
206.31
2019년 10월 18일 ~ 20일 2019년 스케이트 아메리카 1
84.97
2
124.58
1
209.55
2018-19시즌
날짜. 이벤트 RD FD
2019년 4월 11일 ~ 14일 2019년 월드 팀 트로피 3
82.86
3
127.11
1T/3P
209.97
2019년 3월 18일~24일 2019년 세계 선수권 대회 4
83.09
3
127.31
3
210.40
2019년 2월 7일~10일 2019년 4대륙 선수권 대회 1
81.95
4
119.71
4
201.66
2019년 1월 19일 ~ 27일 2019년 미국 선수권 대회 1
84.56
1
131.32
1
215.88
2018년 12월 6일~9일 2018-19 그랑프리 파이널 1
80.53
1
124.82
1
205.35
2018년 10월 26일 ~ 28일 2018년 스케이트 캐나다 국제 대회 1
80.49
2
120.27
1
200.76
2018년 10월 19일 ~ 21일 2018년 스케이트 아메리카 1
78.43
1
122.39
1
200.82
2018년 9월 12일 ~ 16일 2018 CS US 클래식 1
79.11
1
118.31
1
197.42
2017-18시즌
날짜. 이벤트 SD FD
2018년 3월 21일 ~ 24일 2018년 세계 선수권 대회 2
80.42
2
116.22
2
196.64
2018년 2월 19일~20일 2018년 동계 올림픽 3
77.75
5
109.94
4
187.69
2018년 1월 5일~7일 2018년 미국 선수권 대회 2
79.10
2
118.02
1
197.12
2017년 12월 7일 ~ 10일 2017-18 그랑프리 파이널 4
74.81
4
112.59
4
187.40
2017년 11월 10일~12일 2017년 NHK 트로피 2
76.31
2
112.04
2
188.35
2017년 10월 27일 ~ 29일 2017년 스케이트 캐나다 인터내셔널 3
76.08
2
113.35
3
189.43
2017년 9월 13일 ~ 17일 2017년 CS US 클래식 1
71.15
1
107.65
1
178.80
2016-17시즌
날짜. 이벤트 SD FD
2017년 3월 29일 ~ 4월 2일 2017년 세계 선수권 대회 3
76.53
10
101.17
9
177.70
2017년 2월 15일 ~ 19일 2017년 4대륙 선수권 대회 4
73.79
6
107.03
4
180.82
2017년 1월 14일 ~ 22일 2017년 미국 선수권 대회 3
79.72
3
111.70
3
191.42
2016년 12월 8일 ~ 11일 2016-17 그랑프리 파이널 5
72.47
6
107.12
5
179.59
2016년 11월 10일~13일 2016 트로페 드 프랑스 3
66.77
2
107.81
2
174.58
2016년 10월 21일 ~ 23일 2016년 스케이트 아메리카 3
68.78
2
106.99
2
175.77
2016년 10월 6일 ~ 10일 2016 CS 핀란드 트로피 2
65.31
2
100.45
2
165.76
2016년 9월 14일 ~ 18일 2016년 CS US 클래식 1
64.82
1
102.08
1
166.90
2015-16 시즌
날짜. 이벤트 SD FD
2016년 3월 28일 ~ 4월 3일 2016년 세계 선수권 대회 7
68.44
6
108.37
6
176.81
2016년 2월 16일 ~ 21일 2016년 4대륙 선수권 대회 3
69.36
3
102.93
4
172.29
2016년 1월 15일 ~ 24일 2016년 미국 선수권 대회 3
71.10
3
107.71
3
178.81
2015년 12월 10일 ~ 13일 2015-16 그랑프리 파이널 5
66.21
6
96.99
6
163.20
2015년 11월 26일 ~ 29일 2015년 NHK 트로피 2
66.57
3
100.92
3
167.49
2015년 11월 13일~15일 2015 트로페 에릭 봄파드 1
64.45
1
2015년 9월 16일 ~ 20일 2015년 CS US 클래식 1
61.08
1
92.54
1
153.62
2014-15시즌
날짜. 이벤트 SD FD
2015년 3월 23일 ~ 29일 2015년 세계 선수권 대회 11
61.43
10
95.13
10
156.56
2015년 1월 18일 ~ 25일 2015년 미국 선수권 대회 3
65.43
3
99.31
3
164.74
2014년 12월 4일~6일 2014 CS 골든 스핀 2
66.40
1
100.34
1
166.74
2014년 11월 21일 ~ 23일 2014 트로페 에릭 봄파드 3
60.19
3
91.92
3
152.11
2014년 10월 31일 ~ 11월 2일 2014년 스케이트 캐나다 국제 대회 3
59.29
3
88.94
3
148.23
2013-14 시즌
날짜. 이벤트 SD FD
2014년 1월 20일 ~ 25일 2014년 4대륙 선수권 대회 2
61.05
1
97.20
1
158.25
2014년 1월 5일~12일 2014년 미국 선수권 대회 4
66.69
4
101.58
4
168.27
2013년 10월 24일 ~ 27일 2013년 스케이트 캐나다 국제 대회 3
60.92
3
92.28
3
153.20
2013년 10월 18일 ~ 20일 2013년 스케이트 아메리카 4
60.71
4
92.27
4
152.98
2013년 9월 26일 ~ 28일 2013년 네벨혼 트로피 2
56.53
1
90.58
1
147.11
2012-13 시즌
날짜. 이벤트 SD FD
2013년 1월 20일 ~ 27일 2013년 미국 선수권 대회 4
67.75
4
100.11
4
167.86
2012년 11월 15일 ~ 18일 2012 트로페 에릭 봄파드 4
56.54
2
88.69
4
145.23
2012년 10월 26일 ~ 28일 2012년 스케이트 캐나다 국제 대회 4
54.84
6
80.32
5
135.16
2012년 10월 4일 ~ 7일 2012년 핀란드 트로피 3
58.44
3
91.86
3
150.30
2011-12시즌
날짜. 이벤트 SD FD
2012년 3월 26일 ~ 4월 1일 2012년 세계 선수권 대회 8
59.56
10
84.39
10
143.95
2012년 2월 7일~12일 2012년 4대륙 선수권 대회 5
49.93
5
79.27
5
129.20
2012년 1월 22일 ~ 29일 2012년 미국 선수권 대회 3
57.56
3
94.04
3
151.60
2011년 10월 21일 ~ 23일 2011년 스케이트 아메리카 6
49.71
3
81.33
6
131.04
2011년 9월 21일 ~ 24일 2011년 네벨혼 트로피 2
54.82
1
84.19
1
139.01

메모들

  1. ^ 2024년 1월 29일 CAS는 발리에바에게 도핑 방지 규정 위반으로 2021년 12월 25일로 소급하여 4년 자격을 박탈했습니다. 2024년 1월 30일, 국제빙상경기연맹(ISU)은 미국을 금으로, 일본을 은으로 업그레이드하기 위해 메달을 재할당했지만, 이 결정은 아직 IOC의 승인을 받지 못했습니다.

참고문헌

  1. ^ "Zach Donohue". teamusa.org.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2, 2018.
  2. ^ a b c "Madison HUBBELL / Zachary DONOHUE: 2017/2018".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9, 2018.{{cite web}}: CS1 maint: 잘못된 URL (링크)
  3. ^ a b c d e f "Madison Hubbell / Zach Donohue". IceNetwork.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1, 2018.{{cite web}}: CS1 maint: 잘못된 URL (링크)
  4. ^ Mark, Julian (February 18, 2022). "Over a decade, two figure skating partners have been through it all: A romance, a breakup and now, Olympic medals". Washington Post.
  5. ^ Kerry, Chantelle (June 18, 2022). "June 11, 2022 💍💙 Some photos from our small Sydney engagement party today 😍" (Instagram).
  6. ^ "U.S. Figure Skaters Announce Off-season Changes". U.S. Figure Skating. May 7, 2010.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31, 2014.
  7. ^ Wein, Aya Leia (November 1, 2019). "In Conversation with Piper Gilles". Edges of Glory.
  8. ^ "Madison Hubbell and Keiffer Hubbell Announce End of Partnership". U.S. Figure Skating. May 12,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4, 2012.{{cite news}}: CS1 maint: 잘못된 URL (링크)
  9. ^ Rutherford, Lynn (July 27, 2011). "Hubbell, Donohue hope to put a spell on judges". IceNetwork.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20, 2018. Retrieved July 27, 2011.
  10. ^ Flade, Tatjana (September 22, 2011). "Zhiganshina and Gazsi dance to lead at Nebelhorn". GoldenSkate. Retrieved September 22, 2011.
  11. ^ Flade, Tatjana (September 24, 2011). "Hubbell and Donohue capture gold at Nebelhorn Trophy". GoldenSkate. Retrieved September 24, 2011.
  12. ^ a b c Thayer, Jacquelyn (October 28, 2014). "Hubbell & Donohue Ready for Reinvention". ice-danc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30, 2014.
  13. ^ a b Rutherford, Lynn (February 2, 2016). "Concussions in figure skating: How they happen". IceNetwork.com.
  14. ^ "Davis and White Elect Not to Compete at 2014 World Championships". U.S. Figure Skating. March 3,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1, 2015. Retrieved March 4, 2014.
  15. ^ "Hubbell, Donohue to train with Dubreuil, Lauzon" (Press release). U.S. Figure Skating, IceNetwork.com. April 13, 201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3, 2018. Retrieved April 22, 2018.
  16. ^ "Athlete Profile - Zachary DONOHUE". pyeongchang2018.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0, 2018.{{cite web}}: CS1 maint: 잘못된 URL (링크)
  17. ^ Slater, Paula (February 20, 2019). "Virtue and Moir capture second Olympic gold; make history". Golden Skate.
  18. ^ "Hubbell and Donohue win second consecutive Grand Prix at Skate Canada". Golden Skate. October 27, 2018.
  19. ^ Flett, Ted (December 9, 2018). "USA's Hubbell and Donohue dominate Ice Dance for Grand Prix gold". Golden Skate.
  20. ^ Mammoser, Scott (January 27, 2019). "Hubbell and Donohue defend U.S. ice dance title". Golden Skate.
  21. ^ Slater, Paula (February 8, 2019). "Hubbell and Donohue grab lead at Four Continents". Golden Skate.
  22. ^ Rutherford, Lynn (February 12, 2019). "Four Continents Reporter's Notebook: Not-so-stationary lift yields shock result in ice dance". NBC Sports.
  23. ^ Slater, Paula (February 10, 2019). "Chock and Bates take surprise gold in Ice Dance at Four Continents". Golden Skate.
  24. ^ Slater, Paula (March 23, 2019). "Papadakis and Cizeron defend World title". Golden Skate.
  25. ^ Slater, Paula (April 13, 2019). "Team USA wins fourth World Team Trophy gold". Golden Skate.
  26. ^ Slater, Paula (October 19, 2019). "Hubbell and Donohue: 'We have so much progress to make'". Golden Skate.
  27. ^ Slater, Paula (October 20, 2019). "Hubbell and Donohue win second consecutive Skate America gold". Golden Skate.
  28. ^ Slater, Paula (October 26, 2019). "Hubbell and Donohue dance to lead at 2019 Skate Canada". Golden Skate.
  29. ^ Slater, Paula (October 27, 2019). "Canada's Gilles and Poirier snag Skate Canada title". Golden Skate.
  30. ^ Slater, Paula (December 6, 2019). "Papadakis and Cizeron lead after Rhythm Dance in Torino". Golden Skate.
  31. ^ Slater, Paula (December 8, 2019). "Papadakis and Cizeron reclaim Grand Prix title". Golden Skate.
  32. ^ Slater, Paula (January 24, 2020). "Chock and Bates dance to lead in Greensboro". Golden Skate.
  33. ^ Slater, Paula (January 26, 2020). "Chock and Bates reclaim U.S. National title in Ice Dance". Golden Skate.
  34. ^ Slater, Paula (February 6, 2020). "Hubbell and Donohue take narrow lead at Four Continents". Golden Skate.
  35. ^ Slater, Paula (February 7, 2020). "Chock and Bates defend title at Four Continents". Golden Skate.
  36. ^ Ewing, Lori (March 11, 2020). "World figure skating championships cancelled in Montreal". CBC Sports.
  37. ^ "Madison Hubbell, Zachary Donohue turn to a legend for final Olympic ice dance run". NBC Sports. October 21, 2020.
  38. ^ "2020 Skate America". International Figure Skating. October 20, 2020.
  39. ^ Slater, Paula (October 26, 2020). "Hubbell and Donohue defend Skate America title for third consecutive win". Golden Skate.
  40. ^ Slater, Paula (January 15, 2021). "Near-tie for Chock and Bates & Hubbell and Donohue at US Nationals". Golden Skate.
  41. ^ Slater, Paula (January 17, 2021). "Hubbell and Donohue take back title at US Nationals". Golden Skate.
  42. ^ "U.S. Figure Skating Announces Men's, Pairs and Ice Dance Selections for World Team". U.S. Figure Skating Fan Zone. U.S. Figure Skating. January 17, 2021.
  43. ^ Flade, Tatjana (March 18, 2021). "Ice Dance world title up for grabs in Stockholm". Golden Skate.
  44. ^ Slater, Paula (March 26, 2021). "Sinitsina and Katsalapov dance to lead at Worlds". Golden Skate.
  45. ^ Slater, Paula (March 27, 2021). "Sinitsina and Katsalapov strike gold in Stockholm". Golden Skate.
  46. ^ "Communication No. 2388".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pril 1, 2021.
  47. ^ a b Sullivan Hill, Maura (25 October 2021). "Hubbell and Donohue claim fourth straight – and final – Skate America title". Figure Skaters Online.
  48. ^ a b "Competition Results: Madison HUBBELL / Zachary DONOHUE". International Skating Union.
  49. ^ Slater, Paula (October 24, 2021). "Hubbell and Donohue win fourth consecutive Skate America gold". Golden Skate.
  50. ^ "Third ISU Grand Prix of Figure Skating event moves from Chongqing (CHN) to Torino (ITA)".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ugust 27, 2021.
  51. ^ Slater, Paula (November 6, 2021). "Papadakis and Cizeron golden at Gran Premio d'Italia". Golden Skate.
  52. ^ "Figure skating Grand Prix Final cancelled over travel rules". CBC Sports. December 2, 2021.
  53. ^ Slater, Paula (January 9, 2022). "Chock and Bates edge out teammates for U.S. title". Golden Skate.
  54. ^ Levinsohn, Dan (January 12, 2022). "Meet the 2022 U.S. Figure Skating Olympic Team". NBC Sports.
  55. ^ Slater, Paula (February 4, 2022). "Team USA leads Olympic Figure Skating Team Event". Golden Skate.
  56. ^ Rutherford, Lynn (February 4, 2022). "Nathan Chen powers U.S. figure skaters to lead with personal best short program". United States Olympic & Paralympic Committee.
  57. ^ Slater, Paula (February 7, 2022). "ROC wins Olympic figure skating team event". Golden Skate.
  58. ^ Slater, Paula (February 12, 2022). "Papadakis and Cizeron of France score new record high in Beijing". Golden Skate.
  59. ^ Slater, Paula (February 14, 2022). "Papadakis and Cizeron reign in Beijing". Golden Skate.
  60. ^ Campigotto, Jesse (March 22, 2022). "Get ready for a bizarre figure skating world championships". CBC Sports.
  61. ^ Slater, Paula (March 25, 2022). "Papadakis and Cizeron set another record score in the Rhythm Dance". Golden Skate.
  62. ^ Slater, Paula (March 26, 2022). "Papadakis and Cizeron win fifth World title". Golden Skate.
  63. ^ "Madison HUBBELL / Zachary DONOHUE: 2021/2022".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19, 2021.{{cite web}}: CS1 maint: 잘못된 URL (링크)
  64. ^ "Madison HUBBELL / Zachary DONOHUE: 2020/2021".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October 24, 2020.{{cite web}}: CS1 maint: 잘못된 URL (링크)
  65. ^ "Madison HUBBELL / Zachary DONOHUE: 2019/2020".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21, 2020.{{cite web}}: CS1 maint: 잘못된 URL (링크)
  66. ^ "Madison HUBBELL / Zachary DONOHUE: 2018/2019".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2, 2019.{{cite web}}: CS1 maint: 잘못된 URL (링크)
  67. ^ a b c "Music - Stars on Ice". Stars on Ice. April 20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2, 2018.{{cite web}}: CS1 maint: 잘못된 URL (링크)
  68. ^ "Programs". Madison Hubbell & Zachary Donohue Official Website. Retrieved July 5, 2017.
  69. ^ "Hubbell & Donohue reflect on their Olympic season". ice-dance.com. July 17, 2018.
  70. ^ Cloutier, Claire; Ritoss, Robin (May 2, 2018). "Madison Hubbell and Zachary Donohue celebrate their best season yet". Figure Skaters Online.
  71. ^ AbsoluteSkating [@absoluteskating] (March 25, 2018). "#Milano2018 #WorldFigure Exhibition program - music & timing" (Tweet) – via Twitter.
  72. ^ ISU Grand Prix of Figure Skating 2017 Skate Canada International - Gala Exhibition (Television production). Eurosport. October 29, 2017.
  73. ^ a b Chouinard, Samuel (April 8, 2017). "Back at It! Work in Progress for STARS ON ICE USA w/ @splashmadison & @zachtdonohue #believer #imaginedragons #soi17 #icedance #show #program" (Instagram).
  74. ^ "Madison HUBBELL / Zachary DONOHUE: 2016/2017".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0, 2017.{{cite web}}: CS1 maint: 잘못된 URL (링크)
  75. ^ a b "2017 Stars on Ice: In Dreams Tour - Music". Stars on Ic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4, 2017. Retrieved April 15, 2017.
  76. ^ "Madison HUBBELL / Zachary DONOHUE: 2015/2016".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7, 2016.{{cite web}}: CS1 maint: 잘못된 URL (링크)
  77. ^ Klaus-Reinhold Kany (August 20, 2015). "Dance teams head to Montreal in hopes of rebirth". IceNetwork.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August 2015.
  78. ^ "Madison HUBBELL / Zachary DONOHUE: 2014/2015".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0, 2015.{{cite web}}: CS1 maint: 잘못된 URL (링크)
  79. ^ a b c d "Schedule/Programs/Results". Official website of Hubbell and Donohu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February 3, 2016.
  80. ^ "Madison HUBBELL / Zachary DONOHUE: 2013/2014".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28, 2014.{{cite web}}: CS1 maint: 잘못된 URL (링크)
  81. ^ "Madison HUBBELL / Zachary DONOHUE: 2012/2013".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ly 5, 2013.{{cite web}}: CS1 maint: 잘못된 URL (링크)
  82. ^ Berlot, Jean-Christophe (November 15, 2012). "Hubbell, Donohue emphasize passion over points". IceNetwork.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6, 2014. Retrieved November 24, 2012.
  83. ^ "Madison HUBBELL / Zachary DONOHUE: 2011/2012".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April 19, 2012.{{cite web}}: CS1 maint: 잘못된 URL (링크)
  84. ^ a b c "Piper Gilles / Zach Donohue". IceNetwork.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26, 2010.{{cite web}}: CS1 maint: 잘못된 URL (링크)
  85. ^ "Piper GILLES / Zachary DONOHUE: 2009/2010".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y 9, 2010.
  86. ^ "Piper GILLES / Zachary DONOHUE: 2008/2009".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anuary 20, 2010.{{cite web}}: CS1 maint: 잘못된 URL (링크)
  87. ^ "Competition Results: Piper GILLES / Zachary DONOHUE". International Skating Unio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June 20, 2013.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