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어로 된 곡절
Circumflex in French![]() |
다음 시리즈의 일부 |
프랑스어 |
---|
역사 |
문법 |
맞춤법 |
음운론 |
곡절(ˆ節)은 프랑스어 맞춤법에 사용되는 5개의 분음부 중 하나이다. 모음 a, e, i, o, u에 나타날 수 있다(예: p)
액센트 서커플렉스라고 불리는 곡선은 프랑스어로 세 가지 주요 기능을 가지고 있다.
- a, e, o의 발음에 영향을 미친다. i와 u에도 쓰이지만 발음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그것은 종종 언어적 진화의 과정에서 침묵하게 되고 맞춤법에서 떨어진 문자, 흔히 s의 역사적 존재를 나타낸다.
- 두 개의 동음이의어(예를 들어 sur "on" 대 sûr "sure")를 구별하기 위해 덜 자주 사용된다.
그리고 어떤 말로 하면, 그것은 단순한 정형화된 관습이다.
첫 번째 사용법
이 곡예사는 16세기에 처음으로 프랑스어로 쓰여졌다. 고대 그리스어에서 차용한 것으로, 예리한 억양과 묵직한 억양을 합친 것이다. 문법학자 자크 두부아(Sylvius로 알려져 있음)는 자신의 글에서 그리스어 기호를 사용한 것으로 알려진 최초의 작가다.
프랑스 르네상스의 몇몇 문법학자들은 언어에 관한 논문에서 디아크리트어의 정확한 용법을 규정하려고 시도했다. 현대적인 곡절 억양 사용은 18세기나 19세기에 표준화되었다.
자크 두부아 (실비우스)
실비우스는 이른바 "거짓 디프통"을 나타내기 위해 곡선을 사용했다. 실비우스 시대에 사용된 초기 현대 프랑스어는 모든 진정한 이중성을 음성 단음성으로 통합했다. 즉, 순수한 모음 음으로 시작과 끝 양쪽의 발음이 비교적 고정되어 있고, 새로운 발음을 향해 미끄러지거나 내려가지 않는 음이었다. He justifies its usage in his work Iacobii Sylvii Ambiani In Linguam Gallicam Isagoge una, cum eiusdem Grammatica Latinogallica ex Hebraeis Graecis et Latinus authoribus (An Introduction to the Gallic (French) Language, And Its Grammar With Regard to Hebrew, Latin and Greek Authors) published by Robert Estienne in 1531. 라틴어로 쓰여진 프랑스어에 대한 문법적 조사의 일종인 이 책은 고대 언어와 현대 프랑스어를 비교하는 것에 크게 의존하고 있으며 그의 언어의 구체적인 내용을 설명했다. 그 당시 모든 언어학술은 고전 라틴어와 그리스어를 모델로 삼았다. 실비우스는 그의 타이포그래픽 컨벤션 리스트에서 다음과 같은 곡절들을 제시한다.[1]
, , , , , , , diphthongorum notae, ut , , , , , ^ r ^ r pid est maius, penus, mihi, causa, flos, pro.
Translation: , , , , , , , are representations of diphthongs, such as , , , , l r u { 또는 라틴어로 maihi, mi, causausa, flos, pro, pro.
실비우스는 그 곡절이 순전히 그래픽적인 관습이라는 것을 꽤 알고 있었다. 그는 이 쌍둥이가 당시에도 단음절로 전락했음을 보여주었고, 역사적으로 쌍둥이가 되어온 두 글자를 하나의 음운으로 "합인"하기 위해 곡선을 사용하였다. 인접한 두 모음이 독립적으로 발음될 때 실비우스는 프랑스어로 트레마라고 불리는 디아레시스를 사용하자고 제안했다. 실비우스는 t ^ 프랑스어 발음: trais의 경우 t r ] je traid의 경우 [tʁa.i]))는 대조적이다. 그러나 이러한 집단들조차 참된 diphthongs(영어 try /traɪ/ 등)를 나타내지 않고 오히려 간섭음 없이 따로 발음하는 인접 모음들을 나타내었다. 프랑스어에는 더 이상 진정한 이중성이 없기 때문에, 디아레시스만으로도 모호한 모음 쌍을 구별하기에 충분했을 것이다. 그의 곡예는 전혀 불필요했다. 그렇게 해서 세레마는 프랑스어 맞춤법에 표준화가 되었고 실비우스의 곡절 사용은 결코 인기를 끌지 못했다. 그러나 문법학자는 당시의 중요한 맞춤법 문제를 지적했었다.
당시 조합 eu는 두 가지 다른 발음을 나타냈다.
- /y/ sûr 및 mûr에서와 같이, serur, mur( s r 및 m m 또는
- /œ/ as in cœur and sœur, written by Sylvius not only with a circumflex, but a circumflex topped with a macron: and (Sylvius used to denote a hard c before e and i).
실비우스의 제안은 절대 채택되지 않았지만, 그는 프랑스어 맞춤법을 개선하고 모호하게 하기 위해 프랑스어 문법학자들 사이에서 논의의 문을 열었다.
에티엔 도레
에티엔 도렛, 그의 Maniere de vien traduire dune langue en aultre: d'aduantage de la 구두점 de la languue Francoyse, 그리고 desents d'ycelle (1540)[2]에서 다음과 같은 세 가지 메타폴라스를 보여준다.
- 1. 싱코페, 즉 내부 음절의 소멸로, 도렛에 의해 laiˆra, paiˆra, uraiˆra, uraiˆra (laisera), paiera, uraememt (vraiment), donnera. 14세기 이전에는 소위 "mute e"라고 불리는 것이 항상 프랑스어로 직위와 상관없이 슈와(/ə/)로 발음되었다는 것은 주목할 만하다. 예를 들어, paiera는 현대의 [pɛra] 대신에 [pɛra]로 발음되었다. 그러나 14세기에 들어서면서 이 비음향 e는 비록 맞춤법에 머물러 있었지만 공백기에 사라지기 시작하여 음소 상태를 잃기 시작했다. 그러나, Dolet이 인용한 몇몇 싱코프들은 나중에 음소거 e를 다시 도입하게 되었다: 그의 laiˆrra /lɛra/는 현재 /lɛsəra/ 또는 /lɛsra/이고, donˆra /dɔra/는 오늘날 /dɔnra/ 또는 /dɔnra/이다.
- 2. Happlology(동일하거나 유사한 음소의 시퀀스 감소): Dolet은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형태를 인용한다: auous, nauous, auz-vous, n'auez-vous.
- 3. 여성복수(시에서는 두 음절로 발음됨)에서 음소거 e에 이은 에의 수축은 긴밀도 중간보울 /e as/로 실현된다. 단어의 끝에 있는 벙어리 'e'는 17세기까지 슈와로 발음되었다는 것을 기억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펜세[pɑseː], 펜세[pɑseə], 서브오르네[pɑseə]를 위한 ſuborneˆes (suborneˆes)이다. Dolet은 급성 사투리가 수축에 유의하도록 명시한다. 이와 같은 두 개의 모음이 하나의 긴 모음으로 수축되는 것도 다른 말로 볼 수 있는데, aage[aaʒə]의 aˆage[aːə]와 같은 것이다.
따라서 Dolet은 원곡선을 사용하여 분실 또는 무성 음음을 표시하는데, 이 음절은 오늘날에도 여전히 사용되고 있는 용도 중 하나이다. 비록 그가 제안한 모든 사용법이 채택되지는 않았지만, 그의 연구는 프랑스어의 역사적 음성학에 대한 통찰력을 허용했다. Dolet는 이러한 단어들로 자신의 기여를 요약했다: "Ce ſont les precents" [préceptes], "que tu garderas quant quantes de la langue Francoyse". Leſquels au ausi ob oberuont tous diligents Implimeturs : 자동차는 choeses enrichientent fort l'impression, & demſſrenttrent, "que ne faionsons rien par unnozy. 번역: "프랑스어의 억양에 관해서 당신이 따라야 할 것은 이 교훈들이다. 부지런한 모든 프린터들도 이러한 규칙을 준수해야 한다. 왜냐하면 그러한 것들은 인쇄를 매우 풍부하게 하고 운에 맡기는 것이 없다는 것을 보여주기 때문이다."
음소거의 표시
많은 경우에, 곡절은 언어적 진화의 과정에서 침묵하게 된 다음 맞춤법에서 완전히 사라진 음음의 역사적 존재를 나타낸다.
"s"의 실종
원곡선과 관련된 가장 일반적인 현상은 자음 앞에 /s/와 관련이 있다. 1066년 헤이스팅스 전투 즈음에는 이러한 포스트보컬/s/소리가 많은 단어로 경음 앞에 사라지기 시작하여 18세기까지 유지되었던 선행 모음의 보상적 연장으로 대체되었다.
침묵/s/는 한동안 정형화된 상태로 남아 있었고, 역사적 존재를 그래픽으로 구별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었지만 큰 성공은 거두지 못했다. 특히 17세기 극작가 피에르 코르네유는 그의 희곡의 인쇄판에서 "긴 s"(ſ)를 사용하여 발음할 때 조용한 "s"를 나타내며 /s/소리의 전통적인 형태(템페어, haſte, teſte, teſte vs. peste, funeste, 정숙)를 사용했다.
이 곡절은 아카데미 프랑세즈 사전 1740년 판에 정식으로 소개되었다. 그러나 좀 더 최근에 도입된 신조어에서는 프랑스어 어휘에 발음과 맞춤법 모두에서 /s/를 유지하는 라틴어 기반 단어가 풍부하게 포함되었지만, 역사적으로 진화한 단어는 곡선을 그리기 위해 /s/를 떨어뜨렸을 수도 있다. 따라서, 그 이후 많은 학습된 단어 또는 프랑스어 어휘에 추가된 단어들은 종종 라틴어에서 발음과 /s/의 존재를 모두 유지한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페스트(1080년 처음 등장) → 페테(féte) 그러나:
- 페스틴: 16세기에 이탈리아의 페스티노로부터 빌렸다.
- 페스티비테: 19세기 라틴 페스티비타스에서 차용되었고,
- 축제: 19세기 영국 축제에서 차용한 것은 모두 /s/를 유지하고 있다./ 모두 글과 발음이다. 마찬가지로 관련 쌍의 테테/테스트, 페네테/데페네스트러, 베스티/베스티아어 등.
억양 곡선으로 표시된 's'가 사라지는 더 많은 예는 아래 단어에서 볼 수 있다.
- 앙케트어 "ancestor"
- 후피탈 "ital"
- hôtel "호스텔"
- "숲"을 조성하다.
- R roasttir "구우려고"
- coastte "coast"
- 쁘띠 "paste"
- aoht "8월"
- "성"을 찬송하다.
- 디고우탄트 "disgusting"
- 판타지미 "유령, 유령" (라틴 팬텀에서)[a]
- île "isle"
- "conquest"을 정복하다.
- 임시변통 "최악"
- 바타르 " b"
- "beast"을 베끼다.
- 파샤(이스터의 옛 이름, 라틴 파스카에서 유래)
- 펜테코스트 "펜테코스트"
다른 글자의 실종
곡절은 또한 다른 잃어버린 글자의 잔재 역할을 하는데, 특히 aage → ge; bailler → biller 등과 같이 두 개의 모음이 하나의 음운으로 수축된 공백기의 글자들이다.
마찬가지로 /y/를 발음할 때 이전의 중세 디프통 "eu"는 종종 18세기에는 동음이의어인 deu → dû (divoir vs du = de + le); creu → cr ;; sur → srr (형용사 대 전치사설) 등과 같은 동음이의어를 구별하기 위해 곡선을 원곡선을 취하곤 했다.
- 크러스트먼트 → 크러스트먼트;
- 뮤르 → mûr.
그리스 오메가 표시
고대 그리스어에서 파생된 단어에서 oover o는 /o/:diplôme(Δίλλωωωμα), cnene(νοςςς)으로 발음할 때 그리스 문자 오메가(Ω)의 존재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그리스 오메가 불어로 /o/에 해당하지 않는 경우, comédie /kmedimedi/ (κμμῳδδαα)를 사용하지 않는다.
이 규칙은 산발적인데, 왜냐하면 그러한 단어들은 많은 단어들이 곡절 없이 쓰여지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공리와 구역은 어원(그리스어 ἀξωωωμα와 ώνηηηη and)과 발음(/akszom/, /zon/)에도 불구하고 비음절모음을 가지고 있다. 반면 -ole, -ome, -one(그러나 그리스 오메가까지 거슬러 올라가지는 않음)으로 끝나는 많은 학습된 단어들은 cône, diplôme와 같은 단어들과 유추하여 원곡 억양과 닫힌 /o/ 발음을 얻었다: trône, pôle, binôme(라틴 비노미움에서).
곡절 발음은 그리스어 eta(η)에서 파생된 프랑스 모음을 나타낼 때도 사용되었지만, 현대식 맞춤법에서는 이 관행이 항상 살아남은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철자 테오렘(θεώρη μα)은 후에 테오렘으로 대체되었고,[3] 그리스 문자는 여전히 beta로 표기되었다.
유사성 및 특발성 사례
어떤 곡절들은 아무[citation needed] 이유 없이 나타난다. 그것은 말들에게 왕관(su supreme and vohte)처럼 위신의 기풍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언어적 간섭은 때때로 곡선의 존재를 설명하기도 한다. 이것은 2인칭 복수형과의 연관성에 의한 곡선을 더하는 프리테라이트 지시형(또는 passé simple)의 1인칭 복수형(또는 passé simple)의 1인칭 복수형의 경우에 해당한다.
- 라틴 칸타비스티스 → 칸타스티스 → OF chantastes → 찬트 (간격 /s/ 돌연변이 후)
- 라틴 칸타비무스 → 칸타무스 → OF 찬트메스 → 찬트(찬트와의 간섭에 의한)
1인칭과 2인칭 복수형의 모든 발생은 동사 haïr를 제외한 결합 엔딩에서 필요한 소멸(nous haes, vous haïtes) 때문에 곡선을 취한다.
모음 길이 및 품질
일반적으로, 곡절 억양이 있는 모음은 역사적으로 길었다(예를 들어, 위에서 설명한 자음 손실과 관련된 보상적 연장을 통해). 모음 길이는 현대 프랑스어의 대부분의 품종에서 더 이상 구별되지 않지만, 오래된 길이 구분의 일부는 현재 모음 품질의 차이에 해당하며, 이러한 차이를 정형화하여 나타내기 위해 곡선을 사용할 수 있다.[4]
- â → /ɑ/("벨라" 또는 back a) — pte 대 patte, tche 대 tache
- ê → /ɛ/ (open e; è 또는 e에 상당하는 자음 2개) — pret vs. pré
- ô → /o/ (음절 끝의 au 또는 o) — hôte 대 hotte, côte 대 cote
곡절은 문자 "i" 또는 "u"의 발음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eû": jeûne [ʒøn] vs. jeune [ʒnn]의 조합을 제외한다).
발음이 바뀌면(특히 문제의 모음은 더 이상 강조된 최종 음절에 있지 않을 때) 관련 단어로 이음절은 사라진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 infme /ɛfɑm/, 그러나 불명예 /ɛfami/,
- grace /sxs/, 그러나 gracieux /sexasjø/,
- 판타지미 /fɑ̃tom/, 그러나 판타지마티크 /fɑttɔmatik/.
다른 경우에, 파생된 단어의 곡절의 유무와 발음은 상관관계가 없다. 예를 들어 모음 "u"와 같은 경우:
- fû [fy] 대 futaile [fytaj]
- Bbyche [byʃ] 대 Bûchet [byt]
- sûr [symɑ] 및 sûrement [symɑ̃], 그러나 surer [asyee].
그럼에도 불구하고 여기 주어진 발음 규칙에는 주목할 만한 예외가 있다. 예를 들어, 비최종 음절에서 "e"는 닫힘 /e/ 모음 조화의 결과로 실현될 수 있다: béte /bɛt/ 및 beta /betiz/ 및 abetir [abetiz/] 또는 teet /tta/ vs.tuttu /tety/[5]와 비교한다.
개방/폐쇄 음절 조정(loi de position)이 적용되는 프랑스어 품종에서는 중모음 대체 /e/~/ɛ/ 및 /o/~/ɔ/ɔ/에서 곡절 억양의 존재는 고려하지 않는다. 남부 메트로폴리탄 프랑스어에서 예를 들면 d dme는 /domm/와 반대로 /dɔm/로 발음된다(정자법으로 나타내며, 북부 메트로폴리탄 품종에서 발음한다).[6]
/ɑ/와 /a/의 합병이 파리어와 벨기에 프랑스어에 널리 퍼져 있으며, 그 결과, 예를 들어 //m/[7]가 아닌 /am/로 "me"가 실현되었다.
동음이의어 구분
보통 중대한 억양이 프랑스어(la ~ la, où ~ où, où ~ o ou, ç ~ ou, ç ~ à, à ~ a 등)로 호모그래프를 구별하는 목적을 갖고 있지만, 역사적 이유로 곡절도 비슷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사실, 동음이의어를 구별하기 위해 곡선을 사용하는 거의 모든 경우는 위의 이유들로 설명될 수 있다: 그러므로 그것은 엄숙한 억양과 마찬가지로 특정한 단어로만 동음이의어를 구별하기 위한 표시라고 선언하는 것은 거짓일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어떤 애매한 점들을 제거하도록 허용한다. 예를 들어, "eu"를 "û"로 바꾼 단어에서, 곡절은 "u"를 포함하는 다른 단어와 함께 가능한 동음이의어를 피한다.
- sur ~ sûr(e)(s)(seür → sereur): 형용사 sur(e)를 가진 동음이의어 "sour"는 여성적이고 복수형의 억양을 유지하는 것을 정당화한다. 사투리는 또한 Sérete와 같이 파생된 단어로 유지된다.
- du ~ dû (deü에서): 동음이의어가 과거분사의 변형된 형태로 사라짐에 따라, 우리는 dû but duss/remise가 있다.
- mur ~ mûr(e)(meür: 억양은 파생어(mûrir, mûrissement)뿐만 아니라 모든 형태로 유지된다.
맞춤법 개혁
프랑코폰 전문가들은 곡선의 어려움과 불일치를 알고 있으며, 1990년에 글자와 i자에 대한 곡선을 폐지하는 단순화된 철자법을 제안하였다. 단, 곡선의 부재가 모호함과 동음이의어를 만드는 경우는 예외로 한다. 이러한 권고안은 비록 저널 오피셜 데 라 레퓌블리크 프랑세즈(Journal of la République francaise)에 발표되었지만 즉각적이고 널리 비판되었고, 천천히 채택되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8] 그들은 선택적인 것에서 표준으로 그리고 2016년에 교과서에 사용하기 위해 그것들을 업그레이드한 아카데미 프랑세즈에 의해 지지를 받았다.[9]
참고 항목
메모들
- ^ 이 곡선은 고대 s에서 올 수도 있고, 아마도 오래된 형태의 환상곡인 Tésor de la langue francaise informatis, s.v에서 올 수도 있다.
참조
- ^ Dubois, Jacques (1531). In linguam Gallicam isagoge...
- ^ Dolet은 1533년에 출판된 Brifue 독트린이라는 제목의 익명의 팜플렛에서 많은 돈을 빌리고 있다.
- ^ 카타흐(1995, §51)
- ^ 카타흐(1995)
- ^ Casagrande(1984, 페이지 89–90), Catach(1995, §52)
- ^ 트랜넬(1987, 페이지 58), 카사그랑드(1984, 페이지 185–188)
- ^ 파길 외 (2006, 페이지 31)
- ^ 사이트 d'정보 surl la nouvel 맞춤법 프랑수아즈
- ^ "End of the circumflex? Changes in French spelling cause uproar". BBC. 4 February 2016. Retrieved 4 February 2016.
- 이 기사는 프랑스어 위키백과의 Accent circonflexe 기사를 비중 있게 다루고 있다(2006년 2월 18일 접속 날짜).
참고 문헌 목록
- Nina Catach, ed. (1995). Dictionnaire historique de l'orthographe française. Paris: Larousse.
- Casagrande, Jean (1984). The Sound System of French. Washington, DC: Georgetown University Press. ISBN 0-87840-085-0.
- Cerquiglini, Bernard (1995). L'Accent du souvenir. Paris: Éditions de Minuit. ISBN 2-7073-1536-2.
- Fagyal, Zsuzsanna; Douglas Kibbee; Fred Jenkins (2006). French: A Linguistic Introduction.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52896-8.
- Hausmann, Franz Josef (1980). Louis Meigret, humaniste et linguiste. Tübingen: Gunter Narr. ISBN 3-87808-406-4.
- Tranel, Bernard (1987). The Sounds of French: An Introduction. Cambridg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315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