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빅패션
Civic Passion시빅패션 熱血公民 | |
---|---|
![]() | |
회장 | 충청태 |
설립됨 | 2012년 2월 29일 |
용해됨 | 2021년 9월 3일 |
본부 | 위안롱, 홍콩 |
신문 | 패션타임즈 |
이념 | |
정치적 입장 | 우익[1] |
색상 | 노란색 |
웹사이트 | |
시민권 | |
시빅패션 | |||||||||
---|---|---|---|---|---|---|---|---|---|
중국어 번체 | 熱血公民 | ||||||||
문자 그대로의 뜻 | 열혈 시민 | ||||||||
|

Civil Passion은 홍콩의 급진적이고,[2] 포퓰리즘적이며,[3] 지역주의적이며,[4] 자연주의적인[2] 정당이었다. 2012년 원영태트가 활동 단체로 설립한 이 단체는 강력한 지역주의 관점을 갖고 중국 정부의 홍콩 통치 개입에 반대했다.[5] 2016년 입법회 선거에서 시민정치는 원육만 프롤레타리아 정치연구소, 진완의 홍콩 리바이벌 오더 등과 함께 선거연대를 결성했다. 청청타이는 입법부에 선출된 동맹의 유일한 후보가 되었고, 그 후 시민 정열의 지도자로 취임했다. 선거 후, 쳉은 그 그룹을 정당으로 재편성하고 사회 활동에서 손을 뗐다. 2020년 12월부터 2021년 8월까지 홍콩 입법회의의 유일한 야당이었다.
역사
창간
이 단체는 2012년 2월 29일 원영태트에 의해 설립되었다.[6] 2012년 구룡동부지역 국회의원 선거 당시 선거연대 피플파워(급진적 민주정당) 후보였던 원영택은 시민열정이 원 총리의 선거 유세차량 역할을 했다. 선거에서 패배한 후, 웡은 People Power와 어떠한 관계도 부인했고 시민 정열은 어떤 단체와도 무관하게 되었다.
인터넷 활동가 단체로서, 인쇄물을 발행하고 인터넷 라디오 프로그램을 방송하는 기관으로 페이스북 팔로워가 30만 명이 넘는 '패션타임즈(중국어: 熱血報報)'를 운영하고 있다. 이 그룹의 앱은 2014년 홍콩 시위 때 중국의 애플 앱 스토어에서 금지되었다.[7] 시위 기간 동안, 그것의 웹사이트는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을 받았는데, 이 과정에서 패티타임즈는 그것의 웹사이트가 초당 최대 2억 건의 요청으로 타격을 받았다고 주장한다.[8]
활동과 우산 운동
시민정신은 중화인민공화국 중앙인민정부와 본토 관광객과 새로운 이민자들이 홍콩으로 대거 유입되는 것에 대해 급진적인 견해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반본국 정서 때문에, 이 단체는 친중국 진영과 심지어 주류 민주주의자들로부터도 외국인 혐오증, 자연주의, 홍콩 독립 옹호 등의 비난을 받아왔다.[9]
시민열기는 온건한 범민주 진영이 이민정책과 국경통제에 대한 입장과 중국과의 관계에 대해 비판하고 있다. 이 단체는 2013년과 2014년 침사추이에서 홍콩민주동맹이 범민주적 진영의 천안문 광장 진압을 기념하는 연례 집회에 반대하는 대안 4월 집회를 조직해 중국 민족주의 정서를 주제로 삼았다고 비난했다. 대체행사는 2013년 200명, 2014년 7000명이 참가했는데 빅토리아파크 행사는 각각 18만 명, 15만 명이 참가하였다.[10][11]
2014년 홍콩 시위 때 시민 열정은 우산 운동의 구성 단체 중 하나이다. '프랑스인'이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이 단체의 활동가 중 한 명은 가면을 쓴 침입자들이 유리문을 박살내고 유리문의 창문이 두 개 깨진 후 즉시 흩어진 의회 의원회관 강제 진입을 선동한 것으로 알려졌다. 원영태트는 자신이 사건을 선동하거나 계획했다는 주장을 부인했다.[12] 이 단체는 또한 해군기지 내 주요 무대의 장악을 위해 노력했으며 레그코 건물 공격에 대한 범민주적인 비난이 있은 후 선거 운동 지도부와 대치한 것으로 알려졌다.[13]
2015년 초에는 또 다른 지역주의 단체인 홍콩 토착과 함께 2015년 초 병행거래를 하는 중국 본토 쇼핑객의 유입에 반대하는 반병행적 무역 시위를 조직해 이들 쇼핑객을 공격적으로 피켓질하고 경찰과 충돌을 빚었다.[14] 3차 시위가 끝난 뒤 중앙정부는 선전(Shenzhen) 주민을 일주일에 한 번 방문하도록 제한하겠다고 밝혔다.[2]
2016년 5월 시민 열정은 '군 스타일 훈련'과 '지역주의 교육'을 주제로 한 여름 캠프 프로그램 창설을 발표했다.[15] 왕영따는 이 프로그램이 급진적인 지역주의 이념을 주입하기 위해 고안되었다는 비평가들의 주장을 일축하고 대신 이 프로그램을 렁춘잉 총재의 부인인 레지나 렁 총재가 이끄는 홍콩 육군 사관생도협회 유한회에 비유했다.
2015~2016년 선거
2015년 구의회 선거에서는 시민열정이 6명의 후보를 냈고, 이 중 5명이 친민주민주당에 대항해 출마했지만 당선되지 못했다. 그러나 민주당의 거물 알버트 호는 친중파 변호사 주니우스 호에게 125표를 얻어 의원직을 빼앗겼고, 시민운동가 청청태 후보는 391표를 얻었다.[16]
시빅패션은 2016년 입법회 선거에서 프롤레타리아정치연구소 원육만, 홍콩 리바이벌 오더 친완 등과 선거연대를 맺었다. 선거연대는 연대 소속 의원 5명이 모두 지리적 선거구에서 사퇴하면서 촉발된 사실상의 국민투표 수단으로 홍콩의 '도시국가'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현행 홍콩기본법을 개정하는 진 의원의 '도시국가론'을 정했다. 이 동맹은 결국 뉴테넌스웨스트에 있는 그들의 후보 중 한 명인 청청태만이 의석을 얻으면서 패배했다. 그 동맹은 15만4176표를 얻어 7.11%의 득표율을 기록했다. 원영탁은 지도부에서 물러났고, 선거가 끝난 후 쳉으로 교체되었다.[17]
선거가 끝난 후, 원영태트는 시민정신의 대표직을 사임하고, 이후 그의 패션타임즈와 함께 그룹을 탈퇴했다. 쳉은 리더 자리를 이어받아 자신이 의장이 되고 앨빈 쳉이 부의장이 되는 정당으로 변모했다. 쳉은 지역 사회의 토대를 가지고 당을 '우량적' 길거리 행동에서 의회 행보로 바꾸겠다고 다짐하고 사회 활동주의에서 완전히 손을 뗐다.[18]
의회와 해산
청청타이는 입법원에 당선된 후 다른 반체제 인사들과 함께 민주화 진영에 가담하지 않았다. 이후 청 의원은 선서 논란에서 의원들의 결격사유가 발생하자 의회 내 유일한 지역주의 의원이 됐다.[citation needed]
2019년 중반에 시위가 발생한 후에도 하원위원회 싸움과 국가안건 토론에서 보듯이 시민열정과 민주화 세력 사이의 균열은 여전히 존재했다. 2020년 11월 중국 정부의 결정에 따라 민주화 입법위원 4명이 홍콩 정부에 의해 자격을 박탈당했다. 민주화 의원 전원이 '불법'행위에 반발해 사퇴했지만 청 총장과 비동맹 피에르 찬은 잔류 결정을 발표해 양측의 의견이 격화됐다.[citation needed]
청청태 의원은 당국이 그를 비애국적이라고 판단해 2021년 8월 26일 입법위원 자격을 박탈당했다. 그가 의장을 맡은 시빅패션은 향후 정치적 진로가 없다는 이유로 9월 3일 해산을 선언했다. 당 소속 지역구 의원 2명이 이날 사퇴했다.[19]
리더십
리더
회장
- 청청태, 2016-2021
부회장
- 앨빈 쳉, 2016-2020
- 왕수킨, 2021-2021
선거실적
입법회 선거
선거 | 수 일반 투표 | 의 비율 일반 투표 | GC 좌석을 | FC 좌석을 | 총좌석 | +/− | 포지션 |
---|---|---|---|---|---|---|---|
2016 | 122,140![]() | 5.63![]() | 1 | 0 | 1 / 70 | 1![]() | 10일![]() |
구의회 선거
선거 | 수 일반 투표 | 의 비율 일반 투표 | 합계 선출직 의석 | +/− |
---|---|---|---|---|
2015 | 3,006![]() | 0.21![]() | 0 / 431 | 0![]() |
2019 | 14,326![]() | 0.49![]() | 2 / 452 | 2![]() |
참고 항목
참조
- ^ "Hong Kong's angry young millennials: an interview with Joshua Wong". Open Democracy. 1 November 2015.
- ^ a b c Sataline, Suzanne (18 May 2015). "Meet the Man Who Wants to Make Hong Kong a City-State". Foreign Policy.
- ^ Buckley, Chris; Wong, Alan (26 October 2014). "Pro-Democracy Movement's Vote in Hong Kong Abruptly Called Off". New York Times.
- ^ 李峻嶸 (22 February 2016). "李峻嶸:泛民和泛社運如何催生右翼本土". 端傳媒.
- ^ 파티 종료…생각의 힘으로?, SCMP, 2014년 6월 12일
- ^ 주최측은 2014년 7월 1일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outh China Morning Post), 2014년 7월 1일 51만명이 거리로 뛰쳐나왔다고 밝혔다.
- ^ Lee, Terrence (11 November 2014). "Anti-communist news site Passion Times banned from China's Apple App Store". Tech in Asia.
- ^ passiontimes.hk은 2014년 11월 16일, 초당 2억 건의 요청에 의해 잔인하게 공격당했다.
- ^ "Commission on Strategic Development: Hong Kong's Relationship with the Central Authorities/the Mainland" (PDF). Central Policy Unit. Hong Kong Government. 26 May 2014.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8 December 2014. Retrieved 6 December 2014.
- ^ Ip, Kelly; Phneah, Jeraldine; NeutarGan(2013년 6월 5일) "Undamped" 2014년 7월 14일 웨이백 머신에 보관. 스탠더드.
- ^ 톈안먼 대학살은 2014년 6월 6일 홍콩의 대규모 시위에서 기억되었다.
- ^ Lau, Kenneth (20 November 2014). "Rioters linked to Mad Dog follower". The Standar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December 2014. Retrieved 30 November 2014.
- ^ Tsang, Emily; Sung, Timmy; Chan, Samuel (21 November 2014). "Split within Occupy deepens as splinter group challenges leadership". South China Morning Post.
- ^ Chan, Kevin (2 March 2015). "Chinese shoppers latest target of Hong Kong protest anger". USA Today.
- ^ Ng, Kang-chung (4 May 2016). "Pro-independence Hong Kong radicals start recruiting youth corps for 'military' summer camp". South China Morning Post. Retrieved 6 December 2016.
- ^ "Out with the old: Two big-name pan-democrats ousted in tight district council election races". South China Morning Post. 23 November 2015.
- ^ "黃洋達辭任熱血領導 黃毓民:樹敵多累選情". AM730. 6 September 2016.
- ^ "【專訪】鄭松泰:黃洋達退出熱血公民 熱血公民撤出社運 加強社區服務 下月政黨化". Stand News. 5 January 2017.
- ^ Ho, Kelly (3 September 2021). "Hong Kong's Civic Passion disbands citing 'no way forward' after chairman ousted from legislature". Hong Kong Free Press. Retrieved 3 September 20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