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랜 맥에웬

Clan MacEwen
클랜 맥에웬
맥에긴 (에웬의 아들)
좌우명레비레스코 (나는 다시 강해집니다)
프로필
코왈, 갤러웨이, 레녹스, 퍼스셔
맥에웬 씨는 족장이 없고, 무장한 씨족입니다.
라스트 치프스웬 맥에웬[1]
죽은1493

클랜 맥에웬(Clan MacEwen) 또는 클랜 맥에완(Clan MacEwan)은 15세기에 오터의 클랜 에웬(Clan Ewen)으로 기록된 스코틀랜드의 씨족입니다.

역사적으로, 현대 성씨에는 몇 가지 다른 맥에웬 씨족과 종파가 있으며, 일부는 서로 연관되어 있습니다.이러한 역사적인 씨족들은 각각 "클랜 맥에웬" 또는 때로는 "클랜 에웬"이라는 이름으로 묘사될 수 있습니다.1493년 스웬 맥에웬이 사망한 이후, 그 가문은 구성원들이나 리옹 왕이 인정하는 족장이 없었고, 맥에웬은 아미거 가문으로 여겨집니다.

2020년 현재, 영국 클랜 맥에웬 소사이어티 회원들은 마흐몬트의 5대 남작 존 로데릭맥에웬 경(1965년생)과 스웬 [2][3]맥에웬이 사망한 이후 리옹 경의 잠재적 인정을 받는 첫 번째 추장으로 제안된 바드로챗을 선출하기로 합의했습니다.맥에웬 남작 작위는 1953년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그의 아버지인 보수당 정치인 맥에웬 1대 [4][5]남작 작위를 위해 만들었습니다.역사적으로, 이 맥에웬스는 [1]캐릭의 바드로챗에 땅을 가지고 있었습니다.이 현대의 맥에웬 남작들은 [1]오터의 맥에웬 일족과 역사적인 관련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

또한 에웬(Ewen), 유잉(Ewing), 맥이완([1][6][7][8][9]MacEwan)이라는 이름으로 조직된 다른 씨족 사회들도 있습니다.

역사적 맥이웬 씨족과 셉트족

"맥에웬"이라는 이름은 스코틀랜드 게일어 이름의 많은 영어 철자 중 하나인 "맥에긴의 아들"이라는 뜻의 "맥에긴"(MacEghainn)에서 유래되었으며, 역사를 통틀어 다른 시기에 독립적으로 생겨났을 수 있습니다.원래의 MacEghain 이름의 철자 변형은 수십 가지가 기록되어 있습니다.몇몇 가능한 씨족과 종파들은 에한이라는 이름의 남성들로부터 그들의 성을 따온 것 같습니다.아래의 기원은 스코틀랜드에서 찾을 수 있고, 다른 기원은 아일랜드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수달의 씨족 에웬

수달의 맥에웬 영주들은 14세기와 15세기의 기록에 산발적으로 등장합니다.클랜의 계보는 MS 1467에 기록되어 있으며, 현재 스코틀랜드 국립도서관이 보유하고 있습니다.오터의 마지막 맥에웬은 스웬 맥에웬으로, 1493년 남작 작위가 캠벨의 [1]지배권으로 넘어갔습니다.

갤러웨이의 맥이웬스

갤러웨이에는 패트릭 맥윈이 위그타운[1]학장이었던 1331년(오터의 첫 번째 맥윈 이전)부터 맥윈이 있었습니다.전통에 따르면, 이 맥웨인들은 15세기 [6]중반에 갤러웨이 보안관국에 대한 불화로 위그타운의 가문인 록노아그뉴스의 보안관과 함께 더글러스 가문에 대항하여 싸웠다고 합니다.

맥두걸의 맥이웬스

많은 맥이웬들은 여전히 맥두걸의 혈통을 유지하고 있으며 맥이웬 일파는 맥두걸 [10]족장들에 의해 인정받고 있습니다.특히 머클리의 맥이완(맥이웬이라는 이름을 가진 최초의 아미거)은 론의 [11]맥두걸의 형제인 에웬 모어 맥두걸의 후손으로 알려져 있습니다.그러므로 퍼스셔 지역의 맥에웬스와 로치 테이는 클랜 맥두걸[7]일부로 여겨졌습니다.

매킨즈 오브 클랜 캐머런

16세기 동안, 한 무리의 캐머런들은 '클랜 에바인'[12]이라고도 알려졌습니다.이 씨족의 지도자는 1570년에 살해된 에라흐트의 도널드 맥 에웬 빅 에웬 카메론(Donald Mac Ewen Vic Ewen Cameron)이었고, 그의 추종자들은 맥 에웬이라는 이름을 사용했습니다.이 격파의 게일어 이름은 Sliochd Eoghain 'ic Eoghain'입니다.1598년 모이네스 습격에 참여한 맥에웬스는 이 일족의 일원이었습니다.

맥이완 음유시인 가족

맥이완 바딕 가문은 고전 게일어 시를 실천한 저명한 학문적 종족으로 "필리드 가문" 중 하나로 인정받고 있습니다.그 가족은 로른의 맥두걸 가문을 섬겼고, 후에 [13][8]아가일의 캠벨 가문을 섬겼습니다.스코틀랜드 영주들에 의해 고용된 다른 유명한 음유시인 가족들처럼 맥에위인들은 아일랜드 [14]출신일 가능성이 높습니다.그들이 드문 개인적인 이름인 Athairne을 사용한 것은 그들이 아일랜드의 오호세이(O'Hosey, 오오구사)[8][15] 음유시인 가족의 한 갈래였음을 암시합니다.맥이완 음유시인과의 한 갈래는 [8][9]16세기 중반에 기록된 맥이완 하퍼 과였을 것입니다.

석연치 않은 역사적 전통

1602년의 의회법에는 맥라클랜스와 맥닐스 외에 맥에웬스가 아가일 백작의 봉신으로,[16] 그들의 행동에 대해 그에게 책임이 있다고 자주 언급됩니다.

씨족 맥라클란은 스윈 맥이웬이 죽은 후, 씨족 맥라클란이 맥이웬 사촌들에게 보호국 역할을 하겠다고 제안했다는 전설이 있는데, 이는 두 씨족이 역사적으로 동맹이자 친척이었기 때문입니다.이런 정신으로 클랜 매클래클랜은 전통적으로 매클래클랜의 회원권을 매클래클랜으로 확장합니다.[17]

19세기 역사학자 제임스 로건에 따르면, 웨이드 장군1715년 자코바이트 봉기에 참여한 하이랜드 군대에 대한 진술에서 스카이섬의 맥이웬스가 150명을 [18]소집했다고 기록되어 있습니다.

맥에웬 남작들

맥에웬 남작 작위는 1939년부터 [4][5][2]1940년까지 스코틀랜드의 국무부 차관을 지낸 보수당 정치인맥에웬을 위해 1953년 1월 28일 엘리자베스 2세에 의해 만들어졌습니다.역사적으로, 이 맥에웬스는 [1]캐릭의 바드로챗에 땅을 가지고 있었습니다.이 현대의 맥에웬 남작들은 [1]오터의 맥에웬 일족과 역사적인 관련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영국 씨족 사회의 사령관으로 지명된 존 로더릭맥에웬(1965년생) 5대 남작[2][3]내려오는 도 이 대목에서다.

근대종족상징

맥에웬 타탄캠벨 [19]종의 타탄과 매우 유사합니다.
크레스트 배지

오늘날 많은 씨족 사람들은 특정 씨족에게 충성을 표하기 위해 문장배지를 착용합니다.문장 배지는 보통 족장의 문장을 둘러싸는 끈과 버클로 구성되어 있으며, 끈 안에 족장의 좌우명이 적혀 있습니다.19세기 초 씨족이 부활한 이후로, 많은 맥에웬들이 커다란 오크 나무의 볏을 채택하고 있는데, 이는 한때 커다란 오크 나무였던 것이 분명하지만, 지금은 잘려 나갔음에도 불구하고 새로운 가지들이 돋아나고 있습니다.이미지와 함께 제공되는 배너에는 라틴어 표어인 REVIRESCO(레비레스코,[20] "나는 다시 녹색으로/초록색으로/강하게 자란다")가 새겨져 있습니다.이 문장 배지는 이전 [1]족장의 품에서 유래된 것이 아니라 갤러웨이 맥에웬스 가문에서 [21]일찍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입니다.이 문장과 좌우명은 맥에웬 남작의 문장(MacEwen of Marchmont and Bardrochat)[1][16]에 기록되어 있습니다.이 맥에웬들은 [1]캐릭의 바드로챗에 땅을 가지고 있었습니다.맥에웬 남작은 [1]오터의 클랜 맥에웬과 아무런 관련이 없을지도 모릅니다.

타르탄

맥에웬 타탄은 파쿠하슨과 해리스의 맥레오드를 매우 닮았습니다.붉은 줄무늬가 [19][22]흰색으로 대체되었다는 점을 제외하면 이 설정은 라우돈 타탄의 캠벨과 비슷합니다.맥에웬타탄은 또한 콜쿠훈타탄과 매우 유사한데, 콜쿠훈타탄은 노란색 맥에웬 줄무늬 대신에 모든 빨간색 줄무늬를 가지고 있고 콜쿠훈타탄은 파란색과 초록색 [23]사각형 주위에 흰색 테두리 줄무늬를 가지고 있습니다.

추장 임명을 위한 현재의 움직임

2012년 2월 27일, 리옹 경은 [24]"사령관의 인정을 목적으로 광범위하게 정의된 [맥에웬] 이름을 가진 사람들을 위해" 미래의 가족 회의 또는 더비파인을 감독할 감독관을 임명할 의도를 발표했습니다.2012년 10월 11일, 리옹 경은 마치몬트 헤럴드 오브 암스의 애덤 브루스를 가족 협약의 [25]감독관으로 임명했다고 발표했습니다.

2020년 현재, 영국 클랜 맥이웬 협회의 회원들은 존 R 경(Sir John R)이라는 사령관으로 선출했습니다.마흐몬트의 5대 남작 H 맥에웬과 1493년 [2][3]스웬 맥에웬 사후 초대 추장이 될 예정인 바드로챗.존 5세는 할아버지인 제1대 남작맥에웬 경으로부터 남작 작위를 물려받았으며,[2][4][5] 1953년 영국 여왕에 의해 현대의 맥에웬 남작 작위가 만들어졌습니다.이 현대의 맥에웬 남작들은 [1]오터의 맥에웬 일족과 역사적인 관련이 없을 수도 있습니다.클랜 유잉은 자신들의 길을 가고 자신들의 [26]조직을 만드는 것을 선택했습니다.

참고 항목

참고문헌

  1. ^ a b c d e f g h i j k l m Moncreiffe of that Ilk, Iain (1967). The Highland Clans. London: Barrie & Rocklif. pp. 99–100.
  2. ^ a b c d e Ross, David (4 May 2014). "After 500 years the McEwens decide they need a clan chief". Herald Scotland. Sunday Herald. Retrieved 20 February 2018.
  3. ^ a b c "What Is A MacEwe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 June 2017. Retrieved 20 February 2018.
  4. ^ a b c Britain), Queen Elizabeth (consort of George VI, King of Great (27 November 2012). Counting One's Blessings: The Selected Letters of Queen Elizabeth the Queen Mother. Macmillan. ISBN 9780374185220. Retrieved 1 February 2017.{{cite book}}: CS1 유지 : 여러 이름 : 저자 목록 (링크)
  5. ^ a b c Who's Who 1960 p.1896.
  6. ^ a b Agnew, Sir Andrew (1893). The Hereditary Sheriffs of Galloway.
  7. ^ a b 맥레이건, 로버트 크레이그, 1905, 1396년 퍼스 사건, 에든버러 & 런던 (블랙우드)
  8. ^ a b c d Sanger, K; Kinnaird, A (1992). Tree of Strings: A History of the Harp in Scotland. Kinmor Music. p. 73. ISBN 0951120441. Google Books를 통해 액세스할 수 있습니다.
  9. ^ a b Campbell of Airds, A (2000). A History of Clan Campbell. Vol. 1, From Origins to Flodden. Edinburgh: Polygon at Edinburgh. p. 183. ISBN 1-902930-17-7.
  10. ^ "Clan Names and Families Associated with Clan MacDougall of Argyll and Clan MacDowall of Galloway Clan MacDougall Society of North Americ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July 2013. Retrieved 4 July 2013.
  11. ^ 리옹 레지스탕스 1,376
  12. ^ "Archived copy" (PDF).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4 March 2016. Retrieved 2 March 2012.{{cite web}}: CS1 maint: 제목 그대로 보관된 복사본(링크)
  13. ^ Clancy, TO (2006). "Scottish Gaelic poetry [1] classical Gaelic". In Koch, JT (ed.). Celtic Culture: A Historical Encyclopedia. Vol. 4. Santa Barbara, California: ABC-CLIO. p. 1577. ISBN 1-85109-445-8.
  14. ^ MacInnes, John (1992). "The Scottish Gaelic Language". In Price, G (ed.). The Celtic Connection. The Princess Grace Irish Library (series vol. 6). Gerrards Cross: Colin Smythe. p. 112. ISBN 0-86140-248-0.
  15. ^ Campbell of Airds, A (2000). A History of Clan Campbell. Vol. 1, From Origins to Flodden. Edinburgh: Polygon at Edinburgh. pp. 7, 182–183. ISBN 1-902930-17-7.
  16. ^ a b "MacEwen". www.myclan.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8 April 2005. Retrieved 4 October 2008.
  17. ^ Clan MacEwen - A Clan과 A Protectorate 둘 다
  18. ^ Logan, James (1850). The Scotish Gaël (sic!) (5th American ed.). Hartford: Silas Andrus and Son. p. 77.
  19. ^ a b "Tartan – MacEwen /MacEwan". Scottish Tartans World Register. Retrieved 4 October 2008.
  20. ^ Way of Plean, George; Squire, Romilly (2000). Clans & Tartans. Glasgow: HarperCollins. p. 182. ISBN 0-00-472501-8.
  21. ^ R. S. T. MacEwen, 1904, Clan Ewen: 역사의 일부 기록, p18
  22. ^ Stewart, Donald Calder (1974). The Setts of the Scottish Tartans, with descriptive and historical notes (2nd revised ed.). London: Shepheard-Walwyn. p. 74. ISBN 0-85683-011-9.
  23. ^ 스코틀랜드 타탄 등록부, STWR ref:274 디자이너: 배넉번의 윌슨 "콜쿠훈 #2" 타탄에 대한 스코틀랜드 타탄 등록부
  24. ^ "The Court of the Lord Lyon -". lyon-court.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August 2014.
  25. ^ "The Court of the Lord Lyon -". lyon-court.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rch 2016.
  26. ^ 유잉, 데이비드 닐 "이웬 가문의 추장?"유잉 패밀리 저널, 제17권, 제1호 (2011년 2월)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