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동 자극

Co-stimulation

공자극은 면역세포가 항원 제시세포의 [1]존재 하에서 면역반응을 활성화하기 위해 의존하는 2차 신호이다.T세포의 경우 면역반응을 완전히 활성화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자극이 필요하다.림프구의 활성화 동안, 공동 자극은 종종 효과적인 면역 반응의 발달에 중요하다.항원 수용체로부터의 항원 특이적 신호 외에 공동 자극이 필요하다.

T세포공자극

T셀이 완전히 활성화되려면 2개의 신호가 필요합니다.항원특이적인 제1신호는 항원제시세포막(APC) 상의 펩타이드-MHC 분자와 상호작용하는 T세포수용체(TCR)를 통해 제공된다.제2신호인 공동자극신호는 항원 비특이적이며 APC막과 T세포막에서 발현되는 공동자극분자 간의 상호작용에 의해 제공된다.

T세포에 의해 발현되는 가장 잘 특징지어지는 동시 자극 분자 중 하나는 CD28로 APC 막의 CD80(B7.1) 및 CD86(B7.2)과 상호작용한다.T세포에 의해 발현되는 또 다른 늑장 자극 수용체는 ICOS(Inducible Costimulator)로 ICOS-L과 상호작용한다.

T세포의 공동 자극은 T세포의 증식, 분화 및 생존을 위해 필요하다.공자극 없이 T세포를 활성화하면 T세포 아너지, T세포 결실 또는 면역내성이 생길 수 있다.

B세포공자극

B 세포는 항원을 B 세포로 전달하고, B 세포가 항원을 삼키도록 유도하고, 그것을 처리하여 MHC II 분자에 제시하도록 유도하는 BCR( 결합 항체)로 항원을 결합시킨다.후자의 경우는 항원 특이 Th2 세포 또는 Tfh 세포에 의한 인식을 유도하고, MHC-항원복합체에 TCR 결합을 통해 B세포의 활성화를 유도한다.이어서 Th2 세포에 CD40L(CD154)을 합성하고 제시하며, Th2 세포는 B [2]세포에 CD40과 결합하므로 Th2 세포는 B 세포를 공동 자극할 수 있다.이러한 공동 자극이 없으면 B세포는 더 이상 증식할 수 없다.[3]

보체수용체에 의해 대체적으로 B세포에 대한 공자극이 제공된다.미생물은 보체 시스템을 직접 활성화하고 보체 성분 C3b가 미생물에 결합할 수 있습니다.C3b를 fragment iC3b(C3b의 비활성유도체)로 분해한 후 C3dg로 분해하고 마지막으로 C3dg로 분해하여 미생물 표면에 계속 결합하는 C3d로 분해한 후 B세포는 상보수용체 CR2(CD21)를 발현시켜 IC3b, C3dg 또는 C3d에 [4]결합한다.이러한 추가 결합은 B세포를 [5]항원에 100배에서 10,000배 더 민감하게 만든다.성숙한 B세포의 CR2는 CD19CD81과 복합체를 형성한다.이 복합체는 [6]항원에 대한 그러한 민감성 강화를 위해 B 세포 코어 수용체 복합체라고 불립니다.

적용들

아바타셉트(Orencia)는 류마티스 관절염 치료에 승인된 T세포 공동 자극 조절제입니다.활성화된 T세포에 의해 분비되는 사이토카인은 류마티스 관절염과 관련된 면역학적으로 유도된 염증을 시작하고 번식시키는 것으로 생각됩니다.수용성 융합 단백질인 오렌시아는 완전한 T세포 활성화에 필요한 공동 자극 신호를 변화시킴으로써 작동합니다.벨라텍트는 신장 이식에 사용되는 항거부 약물로 테스트되고 있는 또 다른 새로운 분자이다.

새로운 공동 자극성 슈퍼고니스트 약물TGN1412는 런던 노스윅 파크 병원에서 임상 실험의 대상이었다.이 재판은 6명의 지원자들이 약을 투여받은 지 몇 분 만에 심각한 병에 걸리게 되면서 논란에 휩싸이게 되었다.

본질적으로, 공동 자극 분자는 T 세포와 상호작용하는 "점멸하는 붉은 빛"으로 기능하며, 수상 세포 물질에 의해 제시되는 물질이 위험을 나타낸다는 것을 전달한다.항원을 제시하면서 공동자극성 분자를 나타내는 수상세포는 T세포를 활성화할 수 있다.이와는 대조적으로 공동자극성 분자를 나타내지 않는 수지상 세포에 의해 나타나는 항원을 인식하는 T세포는 일반적으로 아포토시스로 구동되거나 항원과의 향후 조우에는 반응하지 않을 수 있다.

레퍼런스

  1. ^ "Costimulation", The Free Dictionary, retrieved 2019-07-05
  2. ^ Janeway CA, Travers P, Walport M, Shlomchik M(2001)면역생물학 5: 건강과 질병의 면역체계, 제5판.뉴욕: 갈랜드 펍, ISBN 0-8153-3642-X
  3. ^ Noelle, R. J.; Roy, M.; Shepherd, D. M.; Stamenkovic, I.; Ledbetter, J. A.; Aruffo, A. (1992). "A 39-kDa protein on activated helper T cells binds CD40 and transduces the signal for cognate activation of B cells". Proceedings of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89 (14): 6550–6554. doi:10.1073/pnas.89.14.6550. PMC 49539. PMID 1378631.
  4. ^ 프랭크 K, 앳킨슨 JP(2001)."완성 시스템"오스틴 KF에서는 프랭크 K, 앳킨슨 JP, 캔터 H. eds.샘터 면역 질환 6부 제1권 281-298쪽, 필라델피아: 리핀콧 윌리엄스 & 윌킨스, ISBN 0-7817-2120-2
  5. ^ Dempsey, P. W.; Allison, M. E.; Akkaraju, S.; Goodnow, C. C.; Fearon, D. T. (1996). "C3d of complement as a molecular adjuvant: Bridging innate and acquired immunity". Science. 271 (5247): 348–350. doi:10.1126/science.271.5247.348. PMID 8553069. S2CID 43201833.
  6. ^ Abbas AK, Lichtman AH (2003)세포 및 분자 면역학, 제5판필라델피아: 손더스, ISBN 0-7216-000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