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렌트-롤랜드 혜성
Comet Arend–Roland디스커버리 | |
---|---|
에 의해 발견됨 | 실뱅 아렌트, 조르주 롤랑 |
발견일자 | 1956 |
지명 | |
1957 III, 1956h, C/1956 R1 | |
궤도 특성 | |
에포크 | 2435920.5 (1957년 3월 23일) |
궤도형 | 오르트 구름 / 쌍곡 궤적 |
근일점 | 0.31604 AU |
편심 | 1.00024[1] 1.000199 (epoch 1977+)[2] |
공전주기 | 해당 없음 |
성향 | 119.94° |
마지막 근일점 | 1957년4월8일 |
다음 근일점 | 분출 |
아렌트-롤란드 혜성은 1956년 11월 8일 벨기에 천문학자 실뱅 아렌트와 조르주 롤란드에 의해 사진판에서 발견되었습니다. 1956년 발견된 여덟 번째 혜성으로 발견자들의 이름을 따서 1956년 아렌트-롤란드(Arend-Roland)라고 이름 지었습니다. 1957년에 근일점을 통과한 세 번째 혜성이었기 때문에 1957년 III으로 이름이 바뀌었습니다.[3] 마지막으로 표준 IAU 명칭 C/1956 R1 (Arend–Rolland)을 받았으며, C/는 비주기적 혜성임을, R1은 R에 의해 발견된 반월에 발견된 것으로 보고된 최초의 혜성임을 나타냅니다. 마지막은 9월 1일부터 15일까지의 기간에 해당합니다.[4]
관측치
1956년 11월, 브뤼셀의 Ucle 천문대에 있는 이중 천체도형이 소행성의 일상적인 조사를 위해 사용되고 있었습니다. 1956년 11월 8일, 벨기에의 천문학자 실뱅 아렌트와 조르주 롤랑은 그들의 사진판에서 혜성을 발견했습니다. 당시 혜성은 강한 중심 응결과 짧은 꼬리를 가진 시각적 규모 10이었습니다. 이 혜성의 조기 발견으로 관측 프로그램과 장비를 미리 잘 준비할 수 있었습니다.[5]
이 혜성의 궤도 요소는 1957년 4월 8일 근일점 통과를 예측한 마이클 필립 캔디에 의해 계산되었습니다. 혜성이 이미 잘 발달했기 때문에, 그는 이 물체가 북반구에서 4월 중에 두드러진 모습을 보일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12월 초 혜성은 태양으로부터 2.5 AU, 지구로부터 1.7 AU였습니다. 그것은 2월에 진도 7.5-8에 도달할 때까지 물고기자리에 있었습니다.[5]
4월 근일점 통과 동안 혜성의 꼬리는 호의 길이가 15°에 달했습니다. 꼬리의 생김새는 다양했는데, 4월 16일과 5월 5일에 스트리머가, 4월 29일에 꼬리가 세 개의 대들보로 갈라졌습니다. 4월 22일 혜성은 또한 5°에 달하는 눈에 띄는 변칙적인 꼬리(또는 반꼬리)를 나타냈습니다. 이 꼬리는 4월 25일 12°에 걸쳐 뻗어 최대 범위에 이르렀습니다.[6] 이 꼬리는 4월 29일에 사라졌습니다.[7]
4월 8일 근일점 이후 혜성은 최대 밝기인 진도 -1에서 빠르게 사라지기 시작했습니다.[8] 5월 초에는 시각적 규모 5.46으로 측정되었습니다. 5월 8일까지 그것은 인간 눈의 민감도 한계를 훨씬 밑도는 진도 7까지 감소했습니다. 5월 29일, 그것은 진도 8.55까지 떨어졌습니다.[9]
이것은 다양한 무선 주파수에서 그것을 감지하려는 시도가 이루어진 최초의 혜성이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노력은 성공적이지 못했습니다. 1973년 코후텍 혜성이 통과할 때까지 라디오 대역에서 성공적으로 혜성을 발견하지 못했습니다.[10]
아렌트-롤랜드 혜성은 1957년 4월 24일 BBC의 오랫동안 방영된 천문 프로그램인 밤의 하늘의 첫 번째 판의 주제였습니다.[11]
천문학자 칼 세이건(Carl Sagan)은 1980년 저서 '코스모스(Cosmos)'의 80쪽에 실린 일화를 언급하고 있는데, 1957년 술에 취한 사람으로부터 걸려온 심야 전화에서 하늘에서 보고 있던 "엉덩이 같은 것"이 무엇이냐고 물었던 것입니다. 사간은 그 남자에게 그것이 혜성(Arend–Rolland)이라고 말했습니다. 그 남자는 혜성이 무엇이냐고 물었고, 사간은 그것이 "1마일 너비의 눈덩이"라고 대답했습니다. 한참을 멈춘 후에, 그 남자는 사간의 말을 인용하며 "진짜 '슈트로노머'와 이야기해 봅시다!"라고 말했습니다.
특성.
그것은 쌍곡 궤도를 여행하고 있었습니다. 즉, 태양계에서 완전히 탈출할 수 있을 정도로 빠르게 이동하고 있었기 때문에, 지구에 있는 관측자들은 그것을 다시는 볼 수 없을 것이라는 것을 암시했습니다. 520일 동안 혜성을 관측한 결과 정확한 궤도 요소를 계산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궤도 요소의 분포는 무중력의 영향을 암시하는 물결 모양의 패턴을 보여주었습니다. 또는 혜성은 오르트 구름이 아니라 성간 공간에서 유래했을 수도 있습니다.[12] 태양 중심 거리의 역제곱으로 변화하는 무중력력을 포함하는 궤도 해를 계산하면 다소 다른 값이 도출됩니다(아래 표의 마스덴(1970) 열 참조).[13]
오비탈 원소 | 세카니나 (1968)[12] | 마스덴 (1970)[13] |
---|---|---|
경건주의 시대 (T) | 1957년 4월 8일 동부 표준시 | 1957년 4월 8일 동부 표준시 |
근일점 거리(q) | 0.3160540 ± 0.0000008 AU | 0.3160361 ± 0.0000024 AU |
역반장축(1/a) | −0.0007886 ± 0.0000045 AU−1 | −0.0006377 ± 0.0000213 AU−1 |
편심도(e) | 1.0002492 ± 0.0000014 | 1.0002015 ± 0.0000067 |
기울기(i) | 119.94936° ± 0.00005° | 119.94930° ± 0.00006° |
근일점 경도(ω) | 307.78084° ± 0.00004° | 308.77725° ± 0.00048° |
상승 노드의 위치 각도(ω) | 215.15900° ± 0.00006° | 215.15968° ± 0.00008° |
근일점에서 혜성은 약 7.5 × 104 kg/s의 먼지를 방출하고 있었으며, 초당 약 1.5 × 10개의30 가스 분자를 방출하고 있었습니다. 근일 6일 전인 4월 2일에 먼지가 폭발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안티테일은 1957년 2월 6일에서 3월 1일 사이에 방출된 입자로부터 형성되었습니다.[14] 황도대 구름에 방출된 먼지의 총 양은 3 × 108 ~ 5 × 1010 kg 범위입니다.[15]
참고문헌
- ^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C/1956 R1 (Arend–Roland)" (1958-04-11 last obs). Jet Propulsion Laboratory. Retrieved 2011-03-13.
- ^ Horizons output. "Barycentric Osculating Orbital Elements for Comet C/1956 R1 (Arend–Roland)". Retrieved 2011-03-12. (태양계 중입자 중심 및 중입자 중심 좌표를 이용한 해. Ephemeris Type: Elements and Center: @0)을 선택합니다.
- ^ Kaler, James B. (2002). The ever-changing sky: a guide to the celestial spher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358. ISBN 0-521-49918-6.
- ^ "Cometary Designation System". IAU Minor Planet Center. Center for Astrophysics, Harvard University. Retrieved 2009-09-15.
- ^ a b Hendrie, M. J. (December 1996). "The two bright comets of 1957". Journal of the British Astronomical Association. 106 (6): 315–330. Bibcode:1996JBAA..106..315H.
- ^ Larsson-Leander, G. (1959). "Physical observations of Comet Arend–Roland (1956 h)". Arkiv för Astronomi. 2: 259–271. Bibcode:1959ArA.....2..259L.
- ^ Whipple, Fred L. (1957-06-15). "The Sunward Tail of Comet Arend–Roland". Nature. 179 (1240): 1240. Bibcode:1957Natur.179.1240W. doi:10.1038/1791240a0.
- ^ 아렌트 롤랜드, 혜성 웨이백 기계 보관 2021-05-05
- ^ Wehlau, Amelia; Wehlau, William (1959). "Photoelectric photometry of Comet Arend–Roland (1956h)". Astronomical Journal. 64: 463–467. Bibcode:1959AJ.....64..463W. doi:10.1086/107974.
- ^ Altenhoff, W. J.; et al. (2002). "Radio continuum observations of Comet C/1999 S4 (LINEAR) before, during, and after break-up of its nucleus". Astronomy & Astrophysics. 391 (1): 353–360. Bibcode:2002A&A...391..353A. doi:10.1051/0004-6361:20020783.
- ^ Moore, Patrick. "A History of The Sky at Night". BBC. Retrieved 2009-09-15.
- ^ a b Sekanina, Z. (1968). "A dynamic investigation of Comet Arend–Roland 1957 III". Bulletin of the Astronomical Institute of Czechoslovakia. 19: 343–350. Bibcode:1968BAICz..19..343S.
- ^ a b Marsden, B. G. (February 1970). "Comets and Nongravitational Forces. III". Astronomical Journal. 75: 75–84. Bibcode:1970AJ.....75...75M. doi:10.1086/110945.
- ^ Finson, M.; Probstein, R. (1968). "A Theory of Dust Comets. II. Results for Comet Arend–Roland". Astrophysical Journal. 154: 353–380. Bibcode:1968ApJ...154..327F. doi:10.1086/149761.
- ^ Fulle, M. (January 1988). "Meteoroids from comets Arend–Roland 1957III and Seki-Lines 1962III". Astronomy and Astrophysics. 189 (1–2): 281–291. Bibcode:1988A&A...189..281F.
외부 링크
- JPL (Java) / Ephemeris로부터의 궤도 시뮬레이션
- C/1956 R1 (Arend–Roland)
- 안티테일 사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