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엘라 혜성
Biela's Comet디스커버리 | |
---|---|
에 의해 발견됨 | 빌헬름 폰 비엘라 |
발견일자 | 1826년 2월 27일 |
지명 | |
1772년, 1806년 1세, 1832년 3세 1846 II; 1852 III; 1772 E1; 1826 D1; 1832 S1 | |
궤도 특성[2][1] | |
에포크 | 1852년 9월 29일 |
아펠리온 | 6.190 AU |
근일점 | 0.8606 AU |
반장축 | 3.5253 AU |
편심 | 0.7559 |
공전주기 | 6.619년 |
성향 | 12.550° |
마지막 근일점 | 1852년 9월 23일 (A편)[1] 1852년 9월 24일 (B편)[1] |
다음 근일점 | 1852년 9월 마지막으로 본 |
티Jupiter | 2.531 |
지구 MOID | 0.0005 AU (75,000 km) (1832년 epoch) |
물리적 특성 | |
치수 | ≈0.5km(사전 breakup) |
근일점 거리 시대를 달리하여[5][1] | |||||||
에포크 | 근일점 (AU) | 기간 (년) | |||||
---|---|---|---|---|---|---|---|
1772 | 0.99 | 6.87 | |||||
1805 | 0.91 | 6.74 | |||||
1826 | 0.90 | 6.72 | |||||
1832 | 0.88 | 6.65 | |||||
1846 | 0.86 | 6.60 | |||||
1852 | 0.86 | 6.62 |
비엘라 혜성(, 공식 명칭: 3D/Biela)은 1772년 몽테뉴와 메시에가 처음 기록한 주기적 목성족 혜성으로, 1826년 빌헬름 폰 비엘라가 주기적 혜성으로 최종 확인했습니다. 그 후 두 개로 갈라지는 것이 관찰되었고 1852년 이후로는 볼 수 없었습니다. 그 결과, 현재는 파괴된 것으로 간주되고 있지만, 안드로메다자리는 유성우로 남아 있으며, 이 유성우는 2023년에 증가된 활동을 보일 수 있습니다.[6]
디스커버리
이 혜성은 1772년 3월 8일 자크 레이백스 몽테뉴에 의해 처음으로 기록되었으며,[7] 같은 기간 동안 샤를 메시에에에 의해 독립적으로 발견되었습니다. 1805년 장 루이 폰스에 의해 기록되기도 했지만, 동일한 물체로 인식되지는 않았습니다. 1805년 12월 9일경 비엘라 혜성은 지구로부터 약 0.0366 AU (548만 km)를 지나갔습니다.[5][8] 1805년 이후 가우스(1806)와 베셀(1806)은 최종 궤도를 계산하기 위해 여러 번 시도했습니다. 가우스와 올버스는 둘 다 1805년과 1772년 혜성 사이의 유사성에 주목했지만, 그들은 연관성을 증명할 수 없었습니다.[7]
날짜와 시간 가장 근접한 접근법 | 지구거리 (AU) | 태양거리 (AU) | 속도 지구에 대하여 (km/s) | 속도 태양에 대하여 (km/s) | 태양의 신장의 |
---|---|---|---|---|---|
1805년 12월 9일 ≈ 21:48 | 0.0366 AU(548만 km, 340만 mi, 14.2 LD) | 0.977AU(1억4620만 km, 9080만 마일, 380LD) | 14.3 | 39.6 | 77.7° |
주기적으로 확인
요제프슈타트의 요새 마을에서 복무하던 육군 장교 빌헬름 폰 비엘라는 1826년 근일점 접근(2월 27일) 동안 혜성을 관찰하고 궤도를 계산하여 6.6년의 주기로 주기적임을 발견했습니다. 당시 주기적인 것으로 알려진 혜성은 핼리 혜성과 엥케 혜성에 이어 세 번째였습니다. 이 혜성의 이름은 비엘라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지만, 1826년과 1805년 혜성을 연결하는 최초의 수학적 증거를 제공한 장 펠릭스 아돌프 감바르트에 의해 나중에 독립적으로 발견되어 논란이 있었습니다 (비엘라와 감바르트의 편지는 천문학 잡지 나흐리히텐의 같은 호에 게재되었습니다). 세 번째 주장은 혜성을 독립적으로 연결했던 토마스 클라우젠에 의해 제기되었습니다.
이 혜성은 1832년 9월 24일 존 허셜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을 때 예측대로 나타났습니다.[7] 올버스가 이 귀환을 위해 계산한 궤도 요소와 에페머리스는 혜성의 코마가 10월 29일경 지구 궤도를 통과할 가능성이 있지만 지구 거리는 약 8,200만 킬로미터임을 보여줌으로써 대중적인 센세이션을 일으켰습니다. 당시 언론에서 지구의 파괴 가능성에 대한 후속 예측은 대중의 두려움을 완화하기 위해 고안된 기사에서 프랑수아 아라고가 지적한 바와 같이 지구 자체가 한 달 후인 11월 30일까지는 이 지점에 도달하지 못할 것이라는 사실을 간과했습니다.[9] 그럼에도 불구하고, 비엘라 혜성이 지구 궤도와 교차하는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혜성이라는 사실은 19세기 동안 천문학자들과 일반인들 모두에게 그것을 특별한 관심거리로 만들기 위함이었습니다.
1832년, 그리스계 오스트리아 천문학자 게오르기오스 콘스탄티노스 부리스는 혜성의 타원 궤도에 대한 자신의 계산을 다음과 같이 발표했습니다. 1832년 96번의 관측으로부터 비엘라 혜성의 타원 궤도 계산(Elliptische bahnbere chung des Biela's chen cometen aus 96 beobachtungen des Jahres 1832). 그의 기사는 비엘라 혜성의 타원 궤도에 대한 포괄적인 개요였습니다.[10][11]
1839년 관측은 극도로 불리했고, 혜성이 태양 반대편에 있었기 때문에 지구에서 1.8 AU 이상 가까이 오지 않았기 때문에 관측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1839년 동안 혜성은 태양의 길이가 50도를 초과한 적이 없었습니다.
붕해
1832년 현재, 비엘라 혜성의 지구-MOID(최소 궤도 교차 거리)는 불과 0.0005 AU(75,000 km)였습니다.[3] 이 혜성은 1845년 11월 26일 프란체스코 데 비코에 의해 재발견되었습니다. 처음에는 작고 희미한 흐릿함을 보여주었지만, 이후의 관찰들은 그것에 놀라운 일이 일어났다는 것을 보여주었습니다. 1846년 1월 14일에 관측된 매튜 폰테인 모리(Matthew Fontaine Maury)는 혜성에서 북쪽으로 1분 거리에 겉보기 동반성이 위치해 있다고 언급했습니다.[12] 이 발표 이후 많은 천문학자들이 혜성을 관측하기 시작했고, 두 원소(보통 현대 명명법에서는 "Comet A"와 "Comet B"로 지칭됨)가 밝기가 번갈아가며 근일점에 접근하면서 평행한 꼬리를 형성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일부 관측은 두 핵 사이에 확장된 "동상성 물질의 아치형 경로"를 나타냈으며,[13] 이는 혜성이 두 개 이상의 조각으로 분열되었음을 시사할 수 있지만 개별적으로 관찰하기에는 너무 희미합니다.
1852년, 이 혜성은 예측한 대로 다시 어느 정도 재발견되었고, "Comet A"는 8월 26일 안젤로 세키에 의해 처음 재발견되었습니다.[14] "Comet B"는 마침내 9월 16일에 재배치되었고, 관측 기간 동안 두 핵은 다시 한 번 밝기가 변했습니다. "A"는 9월 26일에, "B"는 9월 29일에 이 장치에서 마지막으로 발견되었습니다. 두 경우 모두 오토 빌헬름 스트루브에 의해 발견되었습니다. 이후의 궤도 계산 결과, 핵들은 1845년 출현하기 약 500일 전에 분열된 것으로 나타났지만,[15] 더 최근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1842년 후반에 원추형 근처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16]
1859년, 1865년 또는 1872년에 예측된 주기적인 수익률(어떤 경우에도 보기에 불리한 수익률)에서 두 부분을 찾을 수 없었습니다. 그러나 1872년 11월 27일 혜성이 9월에 교차할 것으로 예측되었던 하늘 부분에서 빛나는 유성우(시간당 3,000개)가 방출되는 것이 관측되었습니다. 이 날은 지구가 1839년과 1846년 유성체 흐름을 가로지른 날이었습니다. 이 유성들은 안드로메다자리(Andromedides) 또는 "Bielides"로 알려지게 되었으며 혜성이 붕괴하면서 생성된 것으로 보입니다. 그 유성들은 19세기의 나머지 기간 동안 그 이후의 사건에서 다시 목격되었지만, 지구 궤도 밖으로 노드를 이동시키는 중력 섭동 때문에 지금은 사라졌습니다.[citation needed]
가능한 관측 및 검색
그러나 1865년과 1872년의 귀환 동안 결정적인 관찰은 없었습니다. 1865년 11월, 존 러셀 힌드(John Russell Hind)가 제공한 덧없음(ephemerides)을 사용한 찰스 탈마지(Charles Talmage)는 대략 정확한 위치에 있는 희미한 물체를 잠시 관찰했다고 주장했습니다. 제임스 버킹엄 또한 힌드의 예측을 연구한 후 1865년에 두 개의 성운을 관찰했지만, 힌드는 혜성의 두 구성 요소가 있어야 했던 것보다 훨씬 더 가까이 있기 때문에 그것들이 비엘라의 혜성일 가능성은 없다고 말했습니다. 1872년 말 N. R. 포그슨이 마드라스 천문대에서 관측한 X/1872 X1이라는 수수께끼 같은 관측 결과 역시 비엘라 혜성의 복원으로 추측되었지만, 나중에 다시 한번 그 가능성은 희박한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혜성의 명백한 파괴에도 불구하고, 20세기 후반 동안 혜성을 찾기 위한 많은 탐색이 있었습니다. Brian G. Marsden과 Zden ěk Sekanina는 혜성의 나머지 부분에 대한 가능한 궤도를 계산하려고 시도했습니다. Lubošsh Kohoutek가 Kohoutek 혜성을 발견한 것은 Marsden의 계산을 이용한 탐색 중이었습니다. 안드로메다 운석류에 남아 있는 잔해의 질량은 여전히 혜성의 전체 질량보다 훨씬 작다는 계산이 나왔습니다. 주요 질량 감소가 1845년 등장 이전에 대퇴골 근처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더 높다는 점을 감안할 때, 적어도 A 조각은 여전히 '휴면' 혜성으로 존재할 가능성이 있어 보입니다.[17]
그 후에 발견된 물체를 비엘라 혜성이나 그 잔해로 식별하려는 시도가 여러 번 있었습니다. 독일 천문학자 칼 리스텐파르트는 현재 18D/페린-미스터코스로 알려진 혜성과의 연관성을 증명하기 위해 여러 번 시도했는데, 혜성은 페리헬리온의 다른 주장을 제외하고는 비엘라와 매우 유사한 궤도를 가지고 있었습니다.[18]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떤 관계도 증명할 수 없었고 본질적으로 희미한 물체인 Perrine-Mrkos는 그 이후로 그 자체가 사라졌습니다. NEAT 소행성 조사로 2001년 발견된 207P/NEAT(P/2001 J1) 혜성도 비엘라 혜성과 궤도가 비슷한 것으로 밝혀져 처음에는 어떤 식으로든 관련이 있을 것으로 생각됐습니다.[19]
2023
1800년대부터 바로 그 날짜의 궤도를 전파하면서, 비엘라가 2023년[5] 10월 말 지구에서 약 0.2AU (3천만 킬로미터)를 지나 2023년 12월 근일점에 올 수 있다는 추측이 있지만,[20] 비엘라는 목성의 궤도를 따라 쉽게 벗어날 수 있습니다.[21] 1649 유성체류는 안드로메다자리의 활동이 2023년 12월에 다소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6]
유성 충돌
비엘라는 때때로 지구에 유성 충돌의 근원으로 제안되어 왔습니다.
프린지 이론은 1871년 10월 비엘라 혜성의 파편이 지구를 강타하여 발생했다고 주장하는 시카고 대 화재, 미시간 대 화재, 페쉬티고 화재 등 미국에서 동시에 발생한 여러 주요 화재를 연결합니다.[22] 이 이론은 이그나티우스 L에 의해 처음 제안되었습니다. 도넬리는 1883년에 재발견되었고, 1985년에[23] 출판된 책에서 다시 발견되었고, 2004년에 출판되지 않은 과학 논문에서 더 탐구되었습니다.[24] 하지만, 전문가들은 운석이 실제로 지구 표면에 도달했을 때 만져지는 정도로 차갑고, 어디에서도 운석에 의해 시작된 화재에 대한 믿을 만한 보고가 없다고 반박합니다.[25][26] 그러한 물체의 낮은 인장 강도를 고려할 때, 만약 얼음 혜성의 파편이 지구에 충돌한다면, 가장 가능성 있는 결과는 대기 상층부에서 붕괴되어 유성 공기가 폭발하는 것일 것입니다.[27]
1885년 11월 27일, 시간당 15,000회의 안드로메다 유성우 폭발과 동시에 멕시코 북부에 철 운석이 떨어졌습니다. 마자필 운석은 때때로 혜성의 소행으로 여겨지기도 하지만, 1950년대부터 철체를 만드는 데 필요한 분화 과정이 혜성에서 일어나지 않는 것으로 믿어지기 때문에 이 아이디어는 호의적이지 않았습니다.[28]
루미늄 에테르 개념의 역사적 중요성
비엘라 혜성(그리고 엥케 혜성)은 이제는 신뢰를 받지 못하는 발광 에테르의 개념에서 역할을 했습니다: 궤도의 크기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는데, 이는 궤도를 도는 에테르의 끌림에 기인합니다.
참고문헌
- ^ a b c d 궤도 요소: PC / 모바일
- ^ NK 851A — OAA 컴퓨팅 섹션 출판물
- ^ a b "JPL Small-Body Database Browser: 3D/Biela". Retrieved 2023-09-22.
- ^ Ye, Quanzhi; Jenniskens, Peter (2022). "Comets and meteor showers". arXiv:2209.10654 [astro-ph.EP].
- ^ a b c Kinoshita, Kazuo (2003-02-13). "3D/Biela past, present and future orbital elements". Comet Orbit. Retrieved 2023-08-05.
- ^ a b Tony Phillips (2021-11-29). "Andromedid Meteor Outburst (2021)". Space Weather Archive. Retrieved 2023-09-24.
- ^ a b c Gary W. Kronk. "3D/Biela". Cometograph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December 2010. Retrieved 2010-12-15.
- ^ a b "Horizons Batch for 3D/Biela (90000092) on 1805-Dec-09" (Closest Earth approach occurs when deldot flips from negative to positive). JPL Horizons. Retrieved 2023-09-23.
- ^ 아라고, F. 혜성에서의 궤도: 그리고 특히 1832년 10월 지구의 경로를 교차하는 혜성에서(번역). J. Farrar), Hilliard, Gray and Company, 1832
- ^ Matsopoulos, Nicolas T. (2012). "Η Συμβολή της Αστρονομίας στον Νεοελληνικό Διαφωτισμό - η ίδρυση του Αστεροσκοπείου Αθηνών" [The Contribution of Astronomy to the Neo-Greek Enlightenment - The Foundation of the Athens Observatory]. Acta of Conference: Rigas Ferraios, Ioannis Capodistrias, Francisco de Miranda Volume B. Thessaloniki, Greece: Aristotle University of Thessaloniki Academy of Institutions and Cultures Society: 408.
- ^ Staff Writers (August 30, 2022). "Elliptical Orbital of Biela's Comet (German)". The SAO/NASA Astrophysics Data System. Retrieved August 30, 2022.
- ^ Kronk, G.W. 혜성학, 2권, Cambridge UP, 2003, p.157
- ^ Kronk, 2003, p.159
- ^ Kronk, 2003, p.210
- ^ Kronk, 2003, p.212
- ^ 제니스켄스, P.와 보빌론, J. "3D/Biela와 안드로메다", 천문학 저널, 134: 1034
- ^ Jenniskens & Vaubillon, 1044-5
- ^ Kronk, 18D/Perrine-Mrkos, cometography.com
- ^ "IAUC 7635: SNe; P/2001 J1". IAU Central Bureau for Astronomical Telegrams. 2001-05-29. Retrieved 2011-06-12.
- ^ 요시다
- ^ "Speculation for 3D/Biela (90000094) in December 2023". JPL Horizons. Retrieved 2023-08-05.
- ^ WTBS 애틀랜타입니다. 하늘에서 불이. 1997.
- ^ Mel Waskin (1985). Mrs. O'Leary's Comet: Cosmic Causes of the Great Chicago Fire. Academy Chicago Publishers. ISBN 978-0-89733-181-4.
- ^ Wood, Robert (February 3, 2004). "Did Biela's Comet Cause the Chicago and Midwest Fires?" (PDF). American Institute of Aeronautics and Astronautics.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5 Feb 2009.
- ^ Calfee, Mica (February 2003). "Was It A Cow Or A Meteorite?". Meteorite Magazine. 9 (1). Retrieved 2011-11-10.
- ^ "Meteorites Don't Pop Corn". NASA Science. NASA. 2001-07-27. Retrieved 2011-11-10.
- ^ Beech, M. (November 2006). "The Problem of Ice Meteorites" (PDF). Meteorite Quarterly. 12 (4): 17–19.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011-09-27. Retrieved 2011-11-13.
- ^ Beech, Martin (2002). "The Mazapil meteorite: from paradigm to periphery". Meteoritics & Planetary Science. 37 (5): 649–660. Bibcode:2002M&PS...37..649B. doi:10.1111/j.1945-5100.2002.tb00845.x.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