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판리시브
Copanlisib![]() | |
임상자료 | |
---|---|
상명 | 알리코파 |
기타 이름 | 베이 80-6946 |
AHFS/Drugs.com | 알리코파 |
메드라인플러스 | a617044 |
라이센스 데이터 | |
경로: 행정 | 정맥 주사만 |
마약류 | PI3-키나아제 억제제 |
ATC 코드 | |
법적현황 | |
법적현황 |
|
약동학 데이터 | |
단백질 결합 | 84.2%[1] |
신진대사 | CYP3A4/5 (1969%), CYP1A1 (1910%)[1] |
제거 반감기 | 39.1시간(범위: 14.6~82.4)[1] |
배설 | 대변(64%), 소변(22%), 14%가 회복되지[1] 않았다. |
식별자 | |
| |
CAS 번호 | |
펍켐 CID | |
드러그뱅크 | |
켐스파이더 | |
유니 | |
케그 | |
체비 | |
켐벨 | |
CompTox 대시보드 (EPA) | |
화학 및 물리적 데이터 | |
공식 | C23H28N8O4 |
어금질량 | 480.529 g·190−1 |
3D 모델(JSmol) | |
| |
|
코판리시브(무역명 알리코파 /ˌllɪkokoʊpə/AL-ih-KOH-pah;[1] 코드네임 Bay 80-6946)는 최소 두 번의 사전 전신 치료를 받은 성인 임파종 환자들의 치료를 위해 미국 FDA의 승인을 받은 약물이다.[2]
코판리시브는 암 B세포의 생존과 확산에 반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판리시브의 승인에 따른 효능은 2상 임상시험에서 모낭 림프종 환자 104명의 하위그룹에 근거했다.[3]이 중 59%는 약 12개월 동안 지속된 종양의 완전 또는 부분적인 수축이 있었다.약물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 모낭 림프종과 코판리십으로 처리된 기타 혈액학적 악성 종을 가진 성인 168명의 데이터를 평가하였다.[4]
코판리시브는 주 단위지만 간헐적인 일정(3주 동안 3주 동안 휴식)에 정맥주사로 투여된다.
코판리시브는 현재 미국에서만 승인을 받고 있다.
역효과
코판리시브의 안전성과 효능에 대한 데이터는 소비자 대상 FDA 의약품 시험 스냅샷에 설명되어 있다.[4]코판리시브는 감염, 고혈당, 고혈압, 폐렴염, 중성미자, 피부 발진 등의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코판리시브의 가장 흔한 부작용은 고혈당증, 설사, 일반적인 힘과 에너지 감소, 고혈압, 백혈병, 중성미자, 메스꺼움, 하부 호흡기 감염, 혈소판감소증이다.코판리시브는 태아에게 해를 끼칠 수 있다.따라서 생식 잠재력이 있는 환자들은 효과적인 피임을 해야 한다.[clarification needed]젖을 짜는 환자들은 모유를 먹이지 않는 것이 좋다.
작용기전
코판리시브는 PI3K-α 및 PI3K-Δ 이소폼에 대한 억제 활성도가 대부분인 인산염리노시톨-3-키나아제(PI3K)의 억제제다.1차 악성 B세포 라인의 사멸과 증식 억제에 의해 종양세포 사멸을 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1]
규제이력
모낭 림프종
모낭 림프종의 경우 FDA는 2015년 2월 코파니시브 고아 약품 지위를, 2016년 2월 패스트트랙 지정을 받았다.[5]모낭 림프종 NDA는 2017년 5월 우선 검토가 허가됐다.[6]
2017년 9월, 최소 두 번의 사전 전신 치료를 받은 엽 림프종이 재발한 성인 환자의 치료에 대해 가속 승인(FDA 규정 21 CFR Part 314 Subpart H)을 받았다.추가 임상시험은 임상적 효익을 검증하기 위한 시판 후 요건으로 수행되어야 한다.[7]
기타
코판리시브는 비장, 노달, 외간 림프종의 치료로 고아 약물 지위를 부여받았다.[6]
임상시험
2단계 임상시험은 자궁내막암,[8] 대형 B세포 림프종,[9] 담낭이오카르신종,[10] 비호지킨 림프종 등의 치료를 위해 진행 중이다.[3]코판리시브는 R-CHOP 또는 R-B(리턱시맙과 벤다무스틴)와 결합하여 재발한 비호지킨 림프종(NHL)에 대해 3단계 임상시험 중이다.[11]2개의 별도의 3단계 임상시험은 코판리시브 사용법을 독립적 NHL용[12] 리툭시맙과 결합하여 조사하고 있으며, 다른 한 단계에서는 리툭시맙-회귀적 인돌리시브 NHL의 경우 코판리시브를 단독으로 사용한다.[13]
임상 전 연구에서 코판리시브는 HER2 억제제 트라스투즈맙 및/또는 라파티닙에 대한 후천적 저항성으로 HER2+ 유방암 세포를 억제하는 데 효과적이었다.이 효과는 앞서 언급한 HER2 억제제와 함께 코파니시브를 투여했을 때 증가되었다.[14]결과적으로, 트라스투주맙을 사용한 코판리시브 치료는 HER2 양성 유방암 환자들에게 임상적으로 세 가지 방법으로 치료되고 있다.[15]
참조
- ^ a b c d e f "FDA Prescribing information for Aliqopa" (PDF).
- ^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 News Alert: FDA approves new treatment for adults with relapsed follicular lymphoma". www.fda.gov.
- ^ a b 임상 시험 번호 NCT01660451 ClinicalTrials.gov에서 "재발, 불연속 또는 공격적인 비호지킨 림프종 환자의 정맥 PI3K 억제제 Bay80-6946의 개방형 라벨, 비제어 단계 II 시험"
- ^ a b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Drug Trials Snapshots ALIQOPA". www.fda.gov.
- ^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NDA 209936, Multisciplinary Review document, chapter 3" (PDF). www.fda.gov.
- ^ a b Bayer AG (17 May 2017). "Bayer News Release" (PDF). www.bayer.com.
- ^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NDA 209936, Approval Letter" (PDF). www.fda.gov.
- ^ ClinicalTrials.gov의 "지속성 또는 재발성 자궁내막암으로 환자를 치료하는 코판리시브" 임상시험 번호 NCT02728258
- ^ 임상시험 번호 NCT02391116(ClinicalTrials.gov에서 "재발현/재순환 확산 대형 B세포 림프종(DLBCL)"
- ^ 임상시험 번호 NCT02631590은 ClinicalTrials.gov에서 "고급 콜랑기오카르시노마에 젬시타틴과 시스플라틴을 혼합한 코판리시브(Bay 80-6946)"이다.
- ^ 임상시험 번호 NCT02626455 ClinicalTrials.gov
- ^ 임상시험 번호 NCT02367040(ClinicalTrials.gov) "재발효된 인돌렌트의 Copanlisib and Rituximab in Repreverse Indolent B-cell Non-Hodgkin's 림프종)"
- ^ 임상시험 번호 NCT02369016 "리턱시맙-환쇄 iNHL의 단계 III 코판리시브" (ClinicalTrials.gov
- ^ Elster N, Cremona M, Morgan C, Toomey S, Carr A, O'Grady A, et al. (January 2015). "A preclinical evaluation of the PI3K alpha/delta dominant inhibitor BAY 80-6946 in HER2-positive breast cancer models with acquired resistance to the HER2-targeted therapies trastuzumab and lapatinib". Breast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149 (2): 373–83. doi:10.1007/s10549-014-3239-5. PMID 25528022. S2CID 25568678.
- ^ ClinicalTrials.gov의 "HER2 양성 유방암에서 Trastuzumab과 Trastuzumab을 결합한 coPANlisib의 Ib/II 위상 시험" 임상시험 번호 NCT027058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