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단의 비평
Critique of Judgment![]() 1790년 원작의 제목 페이지 | |
작가 | 임마누엘 칸트 |
---|---|
원제목 | 크리틱 데어 우르텔스크래프트 a |
나라 | 독일. |
언어 | 독일어 |
과목들 | 미학 텔레로지 |
출판된 | 1790 |
매체형 | 인쇄하다 |
a 현대 독일어로 된 크리틱 데어 우르틸스크래프트. |
다음에 대한 시리즈 일부 |
임마누엘 칸트 |
---|
![]() |
카테고리 • 철학 포털 |
판단력 비평(Kritik der Urteilskraft)은 독일의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가 쓴 1790년 책이다. 때로는 '제3의 비평'으로 일컬어지기도 하는데, '판단 비평'은 '순수한 이성 비평'(1781년)과 '실용적 이성 비평'(1788년)을 따른다.
컨텍스트
임마누엘 칸트의 '판단 비판'은 '순수한 이성 비판'과 '실용적 이성 비판'(각각 제1차, 제2차 비판)에서 시작된 '칸트의 비판' 프로젝트에서 세 번째 비판이다. 이 책은 미적 판단의 비평과 텔레로지 판단의 비평의 두 가지 주요 부분으로 나뉘며, 또한 칸트의 비판 체계 전체를 최종 형식으로 정리하여 크게 개괄하는 내용도 포함하고 있다. 칸트가 출판의 대체물을 썼기 때문에, 이른바 제1소개서는 칸트의 생전에 출판되지 않았다.
지식의 한계와 조건을 탐구하는 Critical 프로젝트는 이미 칸트가 <초월적 미학>을 주장했던 <순수한 이성의 비평>을 만들어 냈는데, 공간과 시간이 사물이 아니라고 주장되는 인식의 문제에 대한 접근법이다. 첫 번째 비평은 공간과 시간이 관찰 대상자의 마음이 감각 세계를 구성하고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한다고 주장한다. 제1차 비평에서 이 조사의 최종 결과는 인간 이성에 어떤 근본적인 반감이 있다는 것이며, 특히 가장 중요한 것은 모든 행동과 사상이 외부 원인에 의해 결정된다는 주장을 전적으로 지지할 수 없다는 것이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에 실제적인 "자발적인" 인과 원리가 있다는 것이다. 인간 행실을 하다
인과적 결정론의 첫 번째 입장은 칸트의 견해로, 모든 종류의 경험적 과학자들에 의해 채택된다. 더욱이 그것은 모든 경험적 지식이 세상에 가능한 모든 사건에 대한 완전하고 완전한 인과적 설명으로 합성될 수 있는 최종 과학의 사상(아마도 완전히 실현될 수 없을 것이다)으로 이어졌다.
자발적 인과관계의 두 번째 입장은 모든 사람들이 도덕적 행동에 관여함에 따라 암묵적으로 채택된다; 이 입장은 실용적인 이성의 비평에서 더 완전하게 탐구된다.
판단의 비평은 판단의 장소 자체에 대한 논의를 구성하는데, 이는 이해("검열") ("결정론적 틀 안에서 작동한다)와 ("버넌프트") ("자유에 근거하여 작동한다) ("Vernunft") ("Vernunft")) ("자유에 근거하여 작동한다))와 두 가지 모두를 겹쳐야 한다.
판단 비평 소개
칸트의 '미적 판단의 비평' 제1부는 칸트가 '미각의 판단'의 네 순간이라고 부르는 것을 제시한다. 이것들은 칸트에 의해 (1) 첫 순간으로서 순서대로 주어진다. 맛의 판단: 품질의 순간"; (2) 두 번째 순간. 미각 판단의 순간: 양의 순간"; (3) 세 번째 순간: 미각 판단의 순간: 그러한 판단에서 검토되는 끝의 관계 순간; 그리고 (3) 네 번째 순간: 미각 판단의 순간: 사물의 즐거움의 모달리티의 순간." 맛의 판단의 네 가지 순간의 발표 후, 칸트는 '수블라임의 분석'이라는 제목의 제3차 비평 제2권에 대한 토론을 시작한다.
미적 판단
이 책의 첫 부분은 네 가지의 가능한 심미적 반사적 판단을 논한다. 즉, 쾌락적, 아름다운 것, 숭고한 것, 그리고 좋은 것이다. 칸트는 이것들을 순수한 이성의 비평에서 나온 판단의 표와 연관시키기 때문에, 이것들만이 가능한 반사적 판단이라는 것을 분명히 한다.
"반성적 판단"은 결정적 판단(최초 두 비평 중 하나)과 다르다. 성찰적 판단에서 우리는 주어진 세부사항에 대해 알려지지 않은 보편성을 찾으려고 한다. 반면에 결정적 판단에서 우리는 단지 칸트의 표현대로 이미 알려진 보편적 아래에서 세부적인 세부사항들을 찾으려고 한다.
그렇다면 '본성의 특정한 사물이나 집단성의 생산은 디자인에 따라 행동하기로 결정하는 대의명분을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말과, '나는 이러한 것들의 가능성과 그들의 pr에 대해 인지능력의 독특한 체질에 따라 판단할 수 있다'는 말이 다른 것이다.전도는, 이것 때문에 설계에 따라 작용하는 원인, 즉 지능의 인과와 유사한 방식으로 생산적인 존재라는 것을 착안하는 것 외에 다른 방법이 없다." 전자의 경우, 나는 오브젝트에 관한 것을 확립하고 싶고, 가정된 개념의 객관적 현실을 확립할 의무가 있다. 후자의 경우, 이성은 오직 나의 인지능력의 사용만을 결정하며, 그 특성과 범위와 한계에 부합한다. 그러므로 전자의 원칙은 결정적 판단에 대한 객관적 명제일 뿐이고 후자는 반사적 판단에 대한 주관적 명제일 뿐이다. 즉, 이성이 그것에 대해 규정하는 격언이다.[1]
기분 좋은 것은 순전히 감각적인 판단이다. - "이 스테이크는 맛있다" 또는 "이 의자는 부드럽다"라는 형태의 판단이다. 이것들은 순전히 성향만을 기준으로 한 주관적인 판단이다.
선은 본질적으로 어떤 것이 윤리적이라는 판단, 즉 어떤 것이 도덕률에 부합한다는 판단이며, 이는 칸트적 의미에서는 본질적으로 양식성에 대한 주장이며, 고정적이고 절대적인 이성의 개념과 일관된다. 칸트에 따르면, 그것은 순전히 객관적인 판단이라는 점에서, 동의할 수 있는 사람들과는 정반대다. - 상황은 도덕적이거나 그렇지 않다.
나머지 두 가지 판단, 즉 아름다운 것과 숭고한 것이 모두 동의할 수 있는 것과 좋은 것이 모두 다르다. 그것들은 칸트가 말하는 "주관적 보편적" 판단이다. 이 명백한 모순어법은 실제로 판단은 주관적이며 어떤 절대적이고 결정적인 개념에 얽매이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어떤 것이 아름답거나 숭고한 것이라는 판단은 많은 사람들이 하지 않을 것으로 알려져 있음에도 불구하고 다른 사람들이 이 판단에 동의해야 한다는 믿음으로 이루어진다. 이 "생각"의 힘은 감각 공동체 즉 취향의 공동체에 대한 언급에서 나온다. 한나 아렌트는 칸트의 정치철학에 관한 강연에서 이러한 감각 코뮈니시가 칸트가 도덕의 은유법에서 제시한 것과 현저하게 다른 정치 이론의 기초가 될 가능성을 제시한다.
칸트의 아름다움의 판단 분석의 중심 개념은 그가 상상력과 이해의 인지력 사이의 between프리 플레이 ″이라고 부르는 것이다.[2] 우리는 어떤 물체를 아름다운 것으로 부르는데, 그 형태가 우리의 인지능력에 맞고 그러한 자유로운 놀이(제22조)를 가능하게 하기 때문이다. 그것은 우리에게 즐거운 일이다. 어떤 것이 아름답다는 판단은 그것이 "결정의 형태" 즉, 겉으로 보이는 실제적인 기능을 가지고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목적을 가지고 설계한 것으로 보인다는 주장이다. 우리는 또한 사물을 아름답게 찾기 위해 사물에 대한 결정적인 개념을 가질 필요가 없다(§9 이런 점에서 칸트는 자유미와 붙임성 있는 아름다움을 더욱 구분한다. 자유로운 아름다움에 대한 판단은 심사 대상(예: 장식품이나 잘 형성된 선)에 대한 하나의 결정적 개념을 갖지 않고 이루어지는 반면, 만약 우리가 그러한 확고한 개념을 마음에 두고 있다면(예: 그렇게 인정받는 잘 만들어진 말) 아름다움에 대한 판단은 일관된다. 이 두 판단의 주요한 차이점은 자유로운 아름다움의 경우에 목적이나 사물의 사용은 아무런 역할도 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아름다움에 대한 일관성 있는 판단은 그 대상이 그 목적에 맞지 않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무언가가 숭고한 것이라는 판단은 이해의 한계를 넘어선다는 판단이다. 즉, 그것은 두려움의 대상이라는 것이다. 그러나, 칸트는 그 물체가 실제로 위협적이지 않아야 하며, 단지 공포를 받을 만하다고 인식되어야만 한다는 것을 분명히 한다.
칸트의 아름다움과 숭고함에 대한 견해는 실천적 이유 비평에서 그가 도덕법을 묘사한 후 남은 문제들 중 하나를 해결하기 위한 시도로 자주 읽히는데, 즉 우리가 자유의지를 가졌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은 불가능하고, 따라서 도덕률에 얽매여 있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아름다운 것과 숭고한 것은 둘 다 어떤 외부적인 누메날 질서와, 따라서 자유의지를 가진 누메날 자아의 가능성을 가리키는 것 같다.
칸트는 또한 여러 면에서 판단의 역행인 천재적 판단력을 확립한다. 판단력은 어떤 것이 아름다운지 숭고한지를 판단할 수 있게 하는 반면, 천재는 어떤 것이 아름다운지 숭고한지를 생산하게 한다.
텔레로지
비평가들의 후반부는 텔레매틱스 판단에 대해 논한다. 목적에 따라 사물을 판단하는 방법(단말기: 그리스어 for end)는 적어도 아름다움에 관한 첫 번째 논의와 논리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일종의 (자신) 자포심(즉, 자기 자신에 의해 알려진 의미)을 제안한다.
칸트는 생물학에 대해 텔레매틱스로써 글을 쓰는데, 생물과 같은 것이 존재하며, 그 부분 전체를 위해 존재하는 부분과 그 부분을 위해서 존재하는 부분들이 존재한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그가 물리적 세계에 빈틈을 열 수 있게 한다: 이러한 "유기적인" 것들은 다른 모든 외양에 적용되는 규칙 아래 가져올 수 없기 때문에, 우리는 그것들을 가지고 무엇을 해야 하는가?
칸트는 항상 효율적으로 인과적 설명이 최선의 방법이지만(x 원인 y, y는 x의 효과) 텔레ology를 불러 일으키지 않고 풀잎을 설명할 수 있는 '또 다른 뉴턴'에게 바라는 것은 불합리하며, 따라서 유기체는 마치 텔레ological로 구성된 것처럼 "설명되어야 한다"고 명시적으로 말한다.[3] 비평의 이 부분은, 칸트가 가장 급진적인 몇몇 현대 이론에서 나온 것이다. 칸트는 인간을 궁극적인 종말, 즉 인간과의 관계를 위해 다른 모든 형태의 자연이 존재하며, 이성의 능력 때문에 인간은 이성의 밖에 남겨진다는 것이다. 칸트는 문화가 이것의 표현이 되고, 자연의 법칙 바깥에서 인간의 자유를 표현하는 유일한 표현이기 때문에 그것이 가장 높은 텔레리즘적 목적이라고 주장한다. 인간은 또한 도덕성, 즉 실천적 이성의 비평에서 칸트가 제안하는 윤리적 체계와 도덕의 형이상학의 기본 원리에 부합하는 도덕성, 즉 실천적 이성의 능력 때문에 그 장소를 최고의 텔레매틱스적 결말로 칭하고 있다.
칸트는 신학적 약속 없이 생명과학에서 자각적 범주를 합법화하려고 시도했다. 그는 목적의 개념이 삶의 창조적 의도와 우주의 근원에 대한 그것의 함의는 부인하면서, 목적의 개념이 최종성에 대한 인식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는 것을 인정했다. 칸트는 자연적인 목적을 조직적인 존재로 묘사했는데, 지식의 원리는 생물체를 자줏대 있는 실체로 전제한다는 뜻이다. 그는 이 가정을 규제적 용법으로서, 살아 있는 존재에게 지식의 특수성을 만족시키는 것으로서 최종성 개념이라고 불렀다.[4] 이 휴리스틱한 프레임워크는 목적의 근원에 텔레톨로지 원리가 있으며, 그 유전을 포함한 개별 원생 유기체의 기계적 장치라고 주장한다. 그러한 실체는 패턴에 있어서 자기 조직적인 것으로 보인다. 칸트의 사상은 요한 프리드리히 블루멘바흐와 그의 추종자들이 유형학(모형학)을 공식화하고 그 자율성을 정당화할 수 있도록 했다.[5]
칸트는 사물의 아름다움에 대한 심미적 판단에는 아무런 목적이 없다고 주장했다. 순수한 심미적 판단은 그 대상의 목적을 배제한다.[6]
영향
칸트는 일관되게 인간의 마음이 '직관적 이해' 즉, 그것이 인지하는 현상을 만들어내는 어떤 것이 아니라고 주장하지만, 그의 독자들의 (피히테로부터 시작하여 셸링에서 절정을 이루는 것)은 그것이 반드시 (그리고 종종 칸트에게 공로를) 주어야 한다고 믿었다.
칸트의 판단력 비평 전반기 후반에 스키마와 상징에 대한 논의는 또한 마음이 그 대상을 스스로 나타내는 방법에 대한 의문을 제기하며, 20세기 후반의 대륙철학의 발전에 대한 이해를 위한 기초적 문제들도 제기된다: 자크 데리다(Jacques Derrida)는 이 책을 광범위하게 연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진리와 방법 (1960년)에서 한스-조그 가다머는 역사적으로 근거한 헤르메우틱스의 발달에 있어서 칸트의 미학을 아히스토리컬하다고 배척한다.[7][8][9]
쇼펜하우어의 논평
쇼펜하우어는 칸트가 인식된 사물보다는 추상적인 개념의 분석에 관심을 갖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아름다운 그 자체에서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직접적이고 아름다운 인식의 대상으로부터 출발하는 것이 아니라, 아름다움에 대한 판단[누군가의 진술]에서 출발하는 것이다."[10]
칸트는 그의 모든 비평에 강한 관심을 가지고 있었는데, 정신 작용과 외부 사물의 관계였다. "그의 관심은 그러한 판단이 명백히 주제에서 일어나는 어떤 것의 표현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물의 질과 관련된 것처럼 보편적으로 타당하다는 상황에 의해 특히 자극된다. 그를 덮친 것은 이것이지 아름다운 그 자체가 아니다."[10]
이 책의 형태는 적정성의 개념을 살펴봄으로써 아름다움이 설명될 수 있다는 결론을 내린 결과다. 쇼펜하우어는 "우리는 자연적 신체의 적합성에 대한 미적 지식을 판단력이라고 불리는 하나의 지식의 능력으로, 그리고 두 이질적인 주제를 한 권의 책으로 취급하는 기묘한 결합을 가지고 있다"[10]고 말했다.
쇼펜하우어에 따르면 칸트는 "이해가 판단 능력이라는 것이 순수한 이성의 비평에서 끊임없이 반복된 후, 그리고 그 판단의 형태가 모든 철학의 기초가 된 후, 이제는 그것과는 전혀 다른 상당히 특이한 판단력이 나타나고 있다. 능력."[11]
텔레매틱스적 판단에 대해 쇼펜하우어는 칸트가 이렇게 말하려 했다고 주장했다. "…조직화된 기관들은 반드시 그들 앞에 놓인 목적의 개념에 따라 구성된 것처럼 보이지만, 이것은 우리가 객관적으로 그렇다고 가정하는 것을 정당화하지 못한다."[12] 이는 주관성(우리가 생각하는 방식)과 객관성(외부 세계) 사이의 일치성에 대한 칸트의 평소 우려에 따른 것이다. 우리의 마음은 자연체가 우리처럼 목적 있는 지능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생각하고 싶어한다.
참고 항목
메모들
- ^ 칸트, 심판론 75절
- ^ Guyer, Paul (2005). Values of Beauty.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 ^ Cassirer, H. W. (2020-07-24). A Commentary on Kant's Critique of Judgement. Routledge. ISBN 978-1-000-15649-2.
- ^ 규제적 원리로 사용하는 것은 건설적 원리와 대조된다.
- ^ Huneman, Philippe (2007). Understanding Purpose. University of Rochester Press. pp. 1–37. ISBN 978-1-58046-265-5.
- ^ Copleston, Frederick (1960). A history of philosophy: the enlightenment Voltaire to Kant, Volume 6. Continuum. pp. 360–361. ISBN 0826469477."아름다움은 목적의 표현 없이 이것이 인식되는 한 대상의 목적의 형태다."
- ^ Gadamer, Hans-Georg (1960). Truth and Method (2002 ed.). Continuum. p. 36. ISBN 082647697X.
- ^ Davey, Nicholas (2007). "Gadamer's Aesthetics".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 ^ Dorstal, Robert (2010). "Review: Gadamer and the Legacy of German Idealism by Kristin Gjesdal". Notre Dame Philosophical Reviews. University of Notre Dame.
- ^ a b c 의지와 표현으로서의 세계, Vol. I, 부록 페이지 531
- ^ 의지와 표현으로서의 세계, Vol. 나, 부록 페이지 531 f.
- ^ 의지와 표현으로서의 세계, Vol. I, 부록, 페이지 532
참고 문헌 목록
- 임마누엘 칸트, 판단의 비평, 뉴욕 J. H. 버나드 옮김: 하프너 출판, 1951. (원간 출판일 1892년)
- 임마누엘 칸트, 판단력 비판, 옥스퍼드 주 제임스 크리드 메러디스 옮김: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2007년(원문 발행일 1952년), 옥스퍼드 월드 클래식스. ISBN 978-0-19-280617-8 이 번역의 재인쇄물 가운데 서역 대서 42권
- 임마누엘 칸트, 판단력 비평, 베르너 S가 번역 플루하르, 해켓 출판사, 1987, ISBN 0-87220-025-6
- 임마누엘 칸트, 판단력의 비판, 폴 가이어 편집, 폴 가이어, 에릭 매튜스, 캠브리지, 뉴욕: 캠브리지 대학 출판부, 2000년. 케임브리지 판 임마누엘 칸트 작품. ISBN 0-521-34447-6
- 임마누엘 칸트, 크리틱 데어 우르틸스크래프트, 하이너 F. 클렘, 펠릭스 메이너 베를라크, 2006.
- 아서 쇼펜하우어, 유언과 표현의 세계, 제1권, 도버 출판물, 1969년 ISBN 0-486-21761-2
추가 읽기
외부 링크
![]() | Wikiquote는 다음과 관련된 인용구를 가지고 있다: 판단의 비평 |
![]() | Wikisource는 이 기사와 관련된 원본 텍스트를 가지고 있다: |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에서의 판단 비평
- 이탈리아의 임마누엘 칸트
- "칸트의 사법관점 체계" 스티븐 팜퀴스트의 제9장 칸트의 관점 체계(1993)
- 네 번째 비평. 칸트의 "4" 비평에 대한 이탈리아어 저술(이탈리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