절정

Culmination

관측 천문학에서 절정천체(태양, , 행성, , 별자리 또는 심원한 천체)가 관측자의 지역 [1]자오선을 통과하는 것이다.이러한 현상은 자오선 통과라고도 하며, 시간 기록과 항해에 사용되며, 통과 망원경을 사용하여 정확하게 측정됩니다.

매일, 모든 천체들지구의 자전으로 인해 천구의 원형 경로를 따라 움직이는 것처럼 보이며,[2][3] 자오선을 통과할 때 두 개의 순간을 만들어낸다.지리적 극을 제외하고, 자오선을 통과하는 모든 천체 물체는 지평선 위의 가장 높은 지점에 도달했을 때, 그리고 거의 12시간 후에, 가장 낮은 지점에 도달했을 때 더 낮은 최고점을 가진다.절정의 시간(물체가 절정에 도달하는 시간)은 종종 상단 [2][3][4]절정을 의미하는 데 사용됩니다.

물체의 고도(A)는 90에서 관찰자의 위도(L)를 뺀 값에 물체의 편각(L)을 더한 값이다: A = 90° - L + µ

경우들

세 가지 경우관측자의 위도(L)[citation needed]천체의 편각(θ)에 따라 달라진다.

  • 물체는 가장 낮은 절정에서도 수평선 위에 있다. 즉, θ + L > 90°(, 절대값의 편차가 해당 반구에서 동일도 이상일 경우)
  • 물체는 꼭대기 정점에서도 수평선 아래에 있다. 즉, θ - L > 90°일 경우(즉, 절대값일 경우 편차가 결점 이상일 경우, 반대쪽 반구에서)
  • 위쪽 절정은 수평선 위에 있고 아래쪽 절정은 수평선 아래에 있기 때문에 몸은 매일 상승하고 세팅되는 것을 관찰할 수 있다.다른 경우에는 (절대값에서 편차가 결속력보다 작을 경우)

세 번째 경우는 위도의 코사인(cosine)과 같은 전체 하늘의 일부에 있는 물체에 적용된다(적도에서는 하늘이 수평 남북선을 돌기 때문에 모든 물체에 적용되고 극에서는 하늘이 수직선을 돌기 때문에 없음).첫 번째와 두 번째 경우는 각각 나머지 하늘의 [citation needed]절반에 적용됩니다.

기간

한 절정에서 다음 절정까지의 기간은 약 24시간이고, 반면 위 절정에서 아래 절정까지의 기간은 거의 12시간이다.궤도 운동, 지구의 자전, 그리고 지구고유 운동은 연속된 꼭대기 정점 사이의 주기에 영향을 미칩니다.태양의 적절하고 부적절한 움직임으로 인해, 하나의 태양일(태양의 정점과 같은 간격)은 하나의 항성일(기준 [citation needed]별의 정점과 같은 간격)보다 약간 더 길다.평균적인 차이는지구 태양 주위를 한 바퀴 도는[citation needed]365.24219일이 걸리기 때문에 1⁄365.24219

열대중위도에서 태양은 태양 정점(태양 정오)에 하늘에 보이고 낮은 정점(태양 자정에)에는 보이지 않는다.반구의 동지(북극하지남극하지) 주변의 극원 내 어느에서나 볼 때, 태양은 두 절정에서 수평선 아래에 있습니다.

태양이 지역 자오선을 통과할 때 편차가 +20°라고 가정하면, (태양에서 극까지) 70°의 보완각을 관측자의 위도에 더하고 빼서 각각 [citation needed]최고점과 최저점에서 태양 고도를 구한다.

  • 북쪽 52°에서 위쪽 정점은 남쪽 지평선 위로 58°이고 아래쪽 정점은 북쪽 지평선 아래로 18°입니다.이는 52° + 70° = 122°로 계산됩니다(보조각은 58°).상부의 경우 52° - 70° = - 18°입니다.
  • 북위 80°에서 위쪽 정점은 남쪽 지평선 위로 30°이고 아래쪽 정점은 북쪽 지평선 위로 10°입니다.

주극성

대부분의 북반구에서 볼 때, 북극성(북극성)과 작은곰자리의 다른 별들은 북극을 중심으로 시계 반대 방향으로 원을 그리며 두 절정에서 모두 볼 수 있습니다(하늘이 맑고 어두우면).남반구에는 밝은 극성이 없지만 옥탄자리남극을 시계방향으로 돌며 두 [5]극점에서 모두 볼 수 있습니다.

관측자의 위도에서 볼 때 항상 국지적 지평선 위에 있는 모든 천체들은 원극성으로 [citation needed][5]묘사된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레퍼런스

  1. ^ Michael Hoskin (18 March 1999). The Cambridge Concise History of Astronomy.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57600-0.
  2. ^ a b Bakich, Michael E. (1995). The Cambridge Guide to the Constellations.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8. ISBN 0521449219.
  3. ^ a b Daintith, John; Gould, William (2009). "Culmination". The Facts on File Dictionary of Astronomy. Infobase Publishing. p. 110. ISBN 978-1438109329.
  4. ^ Mackenzie, William (1879–81). "Meridian". The National Encyclopaedia. Vol. 8 (library ed.). London, Edinburgh, and Glasgow: Ludgate Hill, E.C. p. 993.
  5. ^ a b Arthur Philip Norton (2004). Ian Ridpath (ed.). Norton's Star Atlas and Reference Handbook, Epoch 2000.0 (20 ed.). Pi Press. ISBN 978-0-13-145164-3. OCLC 10857441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