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스타데노마
Cystadenoma시스타데노마 | |
---|---|
![]() | |
췌장 세러 시스타데노마의 일종인 췌장 세러 시스타데노마를 보여주는 마이크로그래프.H&E 얼룩. | |
전문 | 종양학 ![]() |
시스타데노마(또는 "시스토마")는 낭포성 아데노마의 일종이다.악성일 때는 시스타데노카르시노마(cystystadenocarcinoma.
분류
달리 명시되지 않은 경우 ICD-O 코딩은 8440/0이다.그러나 다음과 같은 분류도 존재한다.
형태별
위치별
- 담즙관 시스타데노마(8161) 또는 담도 시스타데노마는 간의 담즙관에서 발생하는 느리게 성장하는 종양이다.종양에 내분비 세포가 있다는 것은 담즙관을 둘러싼 분비선에서 기원을 나타내기도 한다.발병률은 10만 명 중 1 대 5이다.암컷은 수컷보다 9:1의 비율로 더 많이 영향을 받는다.발표의 평균 나이는 45살이다.담도세포종의 약 30%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적으로 악성종양이 될 수 있다.[1]
- 자궁내막시스타데노마(8380)
- 부록:점액성 시스타데노마라는 용어는 부록성 점액성 신엽종의[2] 구식 용어다.
시스타데노마(cystadenoma)라는 용어는 히드로시스토마(hidrocystoma)라고도 할 수 있다.[3]
참고 항목
참조
- ^ Rawla P, Sunkara T, Muralidharan P, Raj JP (March 2019). "An updated review of cystic hepatic lesions". Clinical and Experimental Hepatology. 5 (1): 22–29. doi:10.5114/ceh.2019.83153. PMC 6431089. PMID 30915403.
- ^ Michael Feely, Raul S. Gonzalez. "Appendix – Other tumors – Mucinous neoplasms (LAMN and HAMN)". 완료된 주제: 2017년 10월 1일.개정 : 2019년 12월 11일
- ^ Rapini, Ronald P.; Bolognia, Jean L.; Jorizzo, Joseph L. (2007). Dermatology: 2-Volume Set. St. Louis: Mosby. ISBN 978-1-4160-29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