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유두종
Inverted papilloma역유두종 | |
---|---|
기타 이름 | 링거츠 종양 |
![]() | |
배뇨 방광의 역유두종 마이크로그래프. H&E 얼룩. | |
전문 | 종양학 ![]() |
링거츠 종양이라고도 알려진 역유두종은 표면 상피세포가 밑바닥 지지조직으로 아래로 자라는 종양의 일종이다.[1] 코 및/또는 시누스 또는 요로(낭, 신골반, 요도, 요도)에서 발생할 수 있다. 코나 부비강에서 발생할 경우 코막힘 등 축농증으로 인한 것과 유사한 증상을 일으킬 수 있다. 요로에서 발생할 경우 소변에서 혈액을 유발할 수 있다.
진단
역유두종은 확실히 조직검사에 의해 진단된다. 단, 자기 공명 영상(MRI)은 경미한 세뇌 형태 패턴(CP)으로 기술된 특징적인 특징을 보일 수 있다. 미국 뉴로라디오학저널(American Journal of Neuroradiology)에 게재된 회고적 연구는 코종양을 가진 환자의 MRI에 의한 CCP의 식별이 역유두종 진단을 상당히 가능성이 있다고 결론지었다. 이 연구는 민감도와 특이성이 각각 100%와 87%라고 보고했다. CCP는 다른 악성 종양과도 연관될 수 있다.[2]
치료
내과적 최대절제술은 선택의 치료법이다.[citation needed]
역사
역유두종은 1938년 닐스 링거츠에 의해 처음 묘사되었다.[3] 그는 그들의 현미경적인 외모와 결합조직 스트로마로 성장하는 경향을 보고했다.[citation needed]
추가 이미지
비강의 반전 슈나이더 유두종.
참조
- ^ Hasan, S. A.; Aziz, M.; Faruqi, N. A. (September 9, 1985). "Inverted papilloma of the nose (Ringertz tumour)". Journal of the Indian Medical Association. 83 (9): 316–318. PMID 4086856 – via PubMed.
- ^ Jeon TY, Kim HJ, Chung SK, Dhong HJ, Kim HY, Yim YJ, Kim ST, Jeon P, Kim KH (May 22, 2008). "Sinonasal Inverted Papilloma: Value of Convoluted Cerebriform Pattern on MR Imaging". American Journal of Neuroradiology. 29 (8): 1556–1560. doi:10.3174/ajnr.A1128. PMC 8119066. PMID 18499786.
- ^ Ringertz, Nils (January 9, 1938). Pathology of malignant tumors arising in the nasal and paranasal cavities and maxilla. Mercator. OCLC 257486867.
외부 링크
- 공공영역 NCI 용어 사전의 역유두종 항목
이 글에는 미국 국립 암 연구소(National Cancer Institute) 문서의 공용 도메인 자료가 포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