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토트리에닌 A

Cytotrienin A
사이토트리에닌 A
Cytotrienin-a.jpg
이름
IUPAC 이름
[(5R,6E,8E,10E,13S,14R,15R,16Z)-15,22,24-트리히드록시-5-메톡시-14,16-디메틸-3-옥소-2-아지시클로[18.3.1]테트라코사-1(236,8,21,16,16,24)]
식별자
3D 모델(JSmol)
체비
켐스파이더
메쉬 C106761
  • InChI=1S/C37H48N2O8/c1-24-24-16-27-28(40)22-30(34)38-32(41)23-29(46-3)17-10-5-6-11-1831(25-33642)
    키: HNVKTRONBDHSPT-QETCNUOWSA-N
  • CC1C(CC=CC=CC=CC(CC(=O)NC2=CC(=CC(=C2O))CCC=C(C1O)C)O)OC)OC(=O)C3(CC3)NC(=O)C4=CCCC4
특성.
C37H48N2O8
몰 질량 648.797 g/120−1
달리 명시되지 않은 한 표준 상태(25°C[77°F], 100kPa)의 재료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됩니다.

Cytotrienin A(Cyt A)는 Streptomyces sp에서 분리된 2차 대사물이다.RK95-74는 [1][2]1997년 일본의 토양에서 분리되었다.세포 A는 안사마이신이다.[2]세포트리에닌A는 HL-60 세포에 아포토시스를 유도하고, 종양유전자[1][3]작용할 수 있는 진핵생물 신장인자 1A(eEF1A)를 억제함으로써 진핵생물에서의 번역을 저해한다.이러한 기능은 백혈병 세포주에 [1][3]더 효과적이라는 것이 입증되었기 때문에 특히 혈액암에 대한 항암제 역할을 하는 미생물 대사물의 잠재력으로 이어진다.세포 A는 c-Jun N 말단 키나제(JNK), p38 마이트겐 활성화 단백질 키나제(MAPK) 및 p36 미엘린 염기성 단백질 키나제를 활성화함으로써 [3][4]아포토시스를 유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구조.

Cytotrienin A는 E, E, E-트리엔 및 특이한 아미노시클로프로판 카르본산 [2]측쇄를 특징으로 하는 21개의 대환상 탄소 락탐을 가진 안사마이신이다.이 구조물은 4개의 스테레오 센터를 갖추고 있으며, 그 중 3개는 연속되어 있습니다.자연발생 대사물의 절대입체화학적 분석 결과 Cytotrienin [2]A인 것으로 밝혀졌다.

생물학 및 생화학

Cytotrienin A는 HL-60 [1]세포에 아포토시스를 유도하기 위한 중앙 유효 선량 값이 7.7nM이다.또한 대사물은 저농도에서는 HL-60 세포에서 성장 억제 활성이 더 크고 비염색 세포에서는 거의 영향을 주지 않는 반면 고농도에서는 역관계가 관찰되었다.[1]아포토시스 경로는 카스파아제-3에 의한 MST/Krs 단백질의 단백질 분해 활성화를 수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ROS 생성을 통한 p36 MBP 키나제 활성화를 초래했다.이 경로를 유도하는 [4][5]데 필요한 농도는 HL-60 세포에서 아포토시스를 유도하는 데 필요한 농도와 동일한 것으로 밝혀졌다.세포 A는 또한 c-Jun N 말단 키나제를 활성화하며, 지배적인 음성 c-Jun에 의해 아포토시스 효과가 억제된다.비활성 MST/Krs 단백질과 지배적 음성 c-Jun의 존재는 아포토시스를 [4]완전히 억제하였다.

또한 시토트리에닌A는 eEF-1A를 저해하여 번역을 저해한다.이것은 종양으로 하여금 항아포토시스 매개체를 생성하고 종양의 약물 내성을 [3]낮추는데 덜 효과적이게 만들 수 있다.번역 억제는 아포토시스가 검출되기 전에 일어나는 것으로 생각된다.혈관신생의 억제와 항암 [3]잠재력의 추가 증거를 나타내는 HUVEC 튜브 형성 억제도 나타났다.Cytotrienin A가 덜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난 A549 세포에서는 Cytotrienin A가 ICAM-1의 발현을 억제하며, 이는 TNF 수용체 1이 세포외 신호조절인산화효소(ERK)와 p38 MAPK의 [3][6]활성화를 통해 분쇄되었을 때 발생한다.세포 A는 유사한 농도에서 TNF-α 및 IL-1α에 의해 ICAM-1 발현을 억제하였으나 TNF-α 변환 효소(TACE)[6]에 대한 억제제인 TAPI-2에 의해 억제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레퍼런스

  1. ^ a b c d e 카케야 H., 장, K., 오노세, 오노자와 C. 쿠도, T. 오사다 H. "인간 백혈병 HL-60 세포의 신종 아포토리에닌 A." 항생제.1997. 50(4)370-372.
  2. ^ a b c d 하야시(Y), 쇼지(Y), 이시카와(H), 야마구치(J), 다무라(T), 이마이(Imai), 니시가야(Y), 다카베(K), 가케야(K), 가케야(H), 오사카(H) '시오트리(+t)의 비대칭 종합'앵규, 화학부, 2008년 47, 6657-6600
  3. ^ a b c d e f Lindqvist, L.; Robert, F.; Merrick, W.; Kakeya, C.; Osada, H.; Pelletier, J. "안사마이신 패밀리의 일원인 Cytotrienin A.에 의한 번역 금지"RNA. 2010. 16. 2404-2413.
  4. ^ a b c 와타베(Watabe), 카케야(Kakeya), 오노세(O), 오사다(Osada), H. "Cytotrienin A 유도 아포토시스 중 다른 시그널링 경로에 의한 MST/Krs 및 c-Jun N 말단 키나아제 활성화"J. Biol. 화학 2000년 275년 8766년 8771년
  5. ^ 카케야, 오노세, 오나다, 오사다. "항암제 유도 아포토시스 중 36-kDa 미엘린 염기성 단백질 키나제의 카스파제 매개 활성화"게자리 보고서 1998. 58. 4888-4894
  6. ^ a b Yamda, Y.; Taketani, S.; Osada, H.; Kataoka, T. "Cytotrienin A, ERK 및 p38 MAP 키나제 활성화를 통해 TNF 수용체 1의 엑토도메인 분쇄를 유도하는 번역 억제제"Euro J Pharmacol, 2011. 667. 113-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