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토 제도

Daitō Islands
다이토 제도
네이티브 이름:
大東諸島
다이토 쇼토
별명:우후아가리
Daito islands en.png
다이토 제도 지도
Daitō Islands is located in Ryukyu Islands
Daitō Islands
다이토 제도
지리
좌표25°50′34″N 131°14′26″E/25.84278°N 131.24056°E/ 25.84278; 131.24056
인접 수역필리핀 해
전체 섬3
면적44.427km2(17.168 제곱 mi)
관리
지역류큐 제도
오키나와
시마지리
인구통계학
인구2,107[1] (2010)
팝 밀도45.83/km2 (1987.7/sq mi)
민족군일본인입니다

다이토 제도(大東島, Daito-shoto)오키나와 남동쪽 필리핀 해의 3개의 고립된 산호섬으로 구성된 군도다.이 섬들의 총 면적은 44.427 평방 킬로미터(17.153 평방 미)이고 인구는 2,107명이다.[1]

행정적으로는 오키나와 현 시마지리 구에 속하며, 군 전체가 미나미다이토 촌과 기타다이토 촌으로 나뉘는데, 물리적으로는 미나미다이토 군과 더 가까운 곳에 위치하지만, 오키다이토 섬은 기타다이토 시군의 일부로 관리되고 있다.

어원

키타, 미나미, 오키는 각각 "북쪽", "남쪽", "해안쪽"을 의미하며, 다이토는 "대동쪽"을 의미한다.

역사

이 섬들은 오키나와에서 오래 전부터 우푸아가리("대동")로 알려져 있다.[2][3]이 섬들은 1543년 9월 25일(오키다이토지마) 스페인 항해사 베르나르도 데 라 토레에 의해 처음 목격되었고, 며칠 후인 9월(미나미다이토지마와 기타다도토지마)이 산후안레트란과 함께 필리핀에서 뉴 스페인에 도착하려던 불발적인 시도 중에 발견되었다.[4]그들은 나중에 여러 나라의 유럽 탐험가들에 의해 방문되었고, 1820년에 러시아 선박이 그들을 조사한 후, 보통 보로디노 군도로 알려져 있다.

이 섬들은 1885년 일본 제국이 공식적으로 영유권을 주장할 때까지 사람이 살지 않았다.1900년, 하치조지마에서 온 개척자 팀은 도쿄 남쪽 287km(178mi)에 위치한 이즈 제도의 하나로서, 미나미다이토지마(1838~1910)에 정착하여 사탕수수 재배에 착수했다.이후 기타다이토지마와 오키다이토지마에서 식민지화 노력을 주도했다.그 두 섬은 인산염 비료와 화약을 얻기 위해 채굴된 과노가 상당량 매장되어 있었다.1919년까지 인구는 4000명 이상이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 미나미다이토지마는 미 해군으로부터 거듭 공격을 받았다.제2차 세계 대전 후 모든 섬은 미국에 의해 점령되었고, 1950년부터 류큐 제도의 미국 시민 행정의 일부로 관리되었다.이 섬들은 1972년에 일본으로 반환되었다.

다이토 제도 사진
다이토 제도 지도 (AMS, 1954년)
이 지역의 다이토 열도를 보여주는 지도(NIMA, 1997년)
사진 이름 간지 면적
[km2]
인구
2004
최고점
[m]
피크 좌표
Minami Daito Jima ISS002.jpg 미나미다이토지마

수수료우후아가리지마

南大東島 30.57 1,442[1] 78 25°50′45″n 131°14′30″E/25.84583°N 131.24167°E/ 25.84583; 131.24167(미나미다이토)
Kita Daito Jima ISS.jpg 키타다이토지마

니시우후아가리지마

北大東島 11.94 665[1] 75 25°57°N 화씨 131°18°E/25.950°N 131.300°E/ 25.950; 131.300(키타다이토)
Okidaitojima mlit1978.jpg 오기다이토지마

우치우후아가리지마

沖大東島 1.15 24°28°N 화씨 131°11°E/24.467°N 131.183°E/ 24.467; 131.183(오키다이토)
다음을 사용하여 "다이토 제도"의 모든 좌표를 매핑하십시오. 오픈스트리트맵
좌표를 다른 이름으로 다운로드: KML

생태학

미나미다이토섬 동해안의 피토코에노시스.
미나미다이토 마을의 오이케 연못.

가장 가까운 육지였던 류큐 제도에서 300km 이상 떨어져 있는, 많은 류큐 제도와 달리 자연적으로 하부 vipers를 포함하지 않는 다이토 제도에 고유하고 고립된 생태계가 구축되었다.[5]뱀의 부족은 소개되고 침습적인 두꺼비들이 번성하고 횡행하게 만들었다.[6]기타·미나미·오키 3개의 주요 섬은 원래 처녀림으로 덮여 있었으나, 군사훈련을 비롯한 인간의 활동은 심각한 피해를 입었고, 오키다이토지마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숲이 사라지고 고유종이 멸종되는 결과를 초래했다.[7]뱀장어 외에 민물고기와 양서류 등은 탐방 전 기간에는 기록되지 않았다.오키다이토지마 섬과 작은 섬을 제외한 전 군도는 특별보호구역 234헥타르로 4,251헥타르까지 연장된 일본 야생동물보호구역으로 지정돼 있다.

식물군과 동물군을 많은 다이토 과일 박쥐, 다이토 말똥가리, 다이토 Neolitsea, 다이토 scops 부엉이(일본의 천연 기념물에 나열된)[8]다이토 사슴 Beetle,[9]다이토 Figulusbinodulus(사슴 벌레), 다이토 Euterpnosia(매미), 다이토 리틀 grebe, 다이토 Bulbul, 다이토 메지로, 다이토 Livistona,[10]다이토 Excoecaria,용을 포함한 섬들을 따서 명명되었다.11]와 다이토크레피디아스트럼.[12]다이토 부시 워블러, 다이토 다양화, 다이토 렌과 같은 몇몇은 멸종되었다.이 섬 그룹은 버드라이프 인터내셔널에 의해 중요 조류 지역(IBA)으로 인정받았다.[13]

섬에서 번식하는 철새와 해양 종은 레이산 알바트로스,[7] 검은날개 얼룩무늬,[14] 참치, 참치, 스킵잭 참치, 일본산 고등어, 말린타, 쥐가오리, 일본산 가재, 바다거북, 돌고래, 혹등고래 등이다.[15]류큐 제도 중에서는 녹색 꿩이 다이토 제도에만[14] 서식하고 있고, 그 뒤를 이어 나머지 군도에서 희귀한 산호와 산호 어류가 나타나며, 때로는 섬 고유의[16] 것으로 여겨지는 채토돈 오리페스, 그리고 헤미타우리히티스 톰프슨은 이전에 본인 제도에만 기록되어 있었다.[17]일본 해역에서 더 희귀해진 블랙잭칼잡이도 여전히 발생한다.[18]

다이토 열도 유럽 목격의 역사

  • 스페인 항해사 베르나르도 데 라 토레가 1543년 9월 말에 처음 목격했다.오키다이토지마와 라스두스 헤르마나스(두 자매)의 경우 아브레오조스로 도표되어 미나미다이토지마와 기타다이다이토지마 등을 가리킨다.
  • 1587년 7월 28일 스페인 항해사 페드로 우나무노가 목격한 두 개의 작은 이슬라스 신 프로브초(Islas sin Probecho)가 다이토 군도라는 것에는 의심의 여지가 거의 없다.
  • 달그렌에 따르면 퀘스트, 마르티니, 샌슨, 놀린의 지도에서 '말라브리고'의 서쪽에서 볼 수 있는 '암스테르담' 섬이 1635년 지도에 처음 등장한다.1827년 여전히 비슈이에 의해 미수색된 것으로 라사섬, 즉 오키다이토지마의 종적 오용임이 분명하다.
  • 브레스켄스 에일란트는 1643년 5월 8일 24°43 'N'과 151°3에서 마아텐 게리츠순 브리스(카스트리쿰) 헨드릭 코넬리스순 샤프(브레스켄스)의 네덜란드 원정에서 발견되었다.길이 약 1.5마일(약 2.8km)의 낮은 누워있는 작은 섬 테네리파의 1' 30" E (135°01 '30' E)는 현재 오키다이토지마(24°28' N; 131°11 'E'와 마찬가지로 이슬라 라사와 동일하다.브리스 원정에도 사용된 퀘스트의 차트에는 '말라브리고' 섬이 '브레스켄스-에일란트' 서쪽 21밀렌에 위치해 있다.1643년 12월 14일 바타비아 항만 당국의 대그 레지스터에서, 브리스의 귀환 항해에서, 이 발견을 "말라브리가"라고 부른다.
  • 1817년 런던 차트에서 c. 24°45 N; 134°10 E에서는 "I"가 입력된다.1773년"은 의심할 여지 없이 필리핀에서 뉴 스페인으로 가는 길에 스페인 마닐라 갈레온에서 목격된 장면으로 돌아간다.우리는 1773년 펠리페 톰슨과 함께 스페인 선박 누에스트라 세뇨라콘솔라시온호마닐라에서 뉴기니를 거쳐 캘리포니아로 항해했다는 것을 알고 있다.그 항해에서 캐롤라인 제도의 헬렌 리프와 응아틱, 오롤룩이 목격되었다.톰슨의 남부 노선은 같은 해에 다이토스를 볼 수 있는 것과는 반대되는 것이 아니라, 7년 후인 1780년/81년에 동료인 프랜시스코 안토니오 모렐레와 같은 코스를 추구하려고 했음을 나타내는데, 이 코스는 결국 전통 노선에 유리하게 포기되었다.
  • 1788년 4월 4일과 5일 영국 선장 존 메어레스(Canton)가 미국 북서부 해안으로 가는 펠리체 호를 타고 항해하던 중 새로운 발견으로 여겨져 '그램퍼스 섬'으로 불리는 세 개의 섬을 목격했다.각각 14°30과 14°55 30의 상당한 종적 차이에도 불구하고 이들 그램푸스 열도는 라사(오키다이토지마), 보로디노스(미나미다이토지마, 기타다이토지마)였다.
  • 켄드릭 섬 (24°35 N; 134°00 E)은 라사 섬의 추가적인 세로 방향 오배치다.그것을 찾을 수 있는 가장 이른 도표는 1805년부터 시작된다.1789년 하반기부터 1794년 12월 사망할 때까지 해당 해역에서 분주히 움직이던 켄드릭 선배나 1789년 7월 누트카 사운드로 스페인 군에 입대해 '돈 후안 K'로 불린 존 켄드릭 후배일 것이다."엔드릭", "1796년 스페인으로 보내졌다 … 갈레온 서비스의 숙련된 조종사로서"존 켄드릭 주니어는 1799년 모피 무역(엘리자스의 슈퍼카고로서)을 위해 노스웨스트 코스트에 있었기 때문에, 켄드릭 섬과 맞닥뜨릴 수 있었던 스페인 서비스에서의 그의 활동 시간은 1789년에서 1796년 사이였다.1789년 하반기부터 1796년 사이에 동아시아를 오가거나 필리핀에서 뉴 스페인(멕시코)으로 가는 마닐라 갈레온 항로(Mila Galleon 항로)에서 우발적 목격이 일어났음에 틀림없다.
  • 화살표스미스 차트를 참조하는 크루센스터른에 따르면, 25°20N; 131°15E에 놓여 있는 비숍 록스는 노틸러스에서 비숍 선장에 의해 1796년 또는 1799년에 발견되었다(데이터는 일관성이 없다).그러나 1797년은 마카오에서 캄차카로 가는 길에 노틸러스가 류큐 열도 동쪽에 있던 유일한 해였다.이 바위들이 멀리서도 아마 미나미다이토지마와 함께 있는 그들의 입장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추측되는 7월 6일에서 31일 사이의 어느 때라도 목격된 것은 분명 그 항해 중이었을 것이다. 만약 미나미다이토지마와 기타다이토지마 둘 다 전체적으로 "바위"로 인식되지 않았다면 말이다.
  • 또 다른 라사 섬의 목격은 1807년 5월 8일, 프랑스의 호위함 캐논니에르의 지휘관 세사르-조제프 부에인이 카비테에서 아카풀코로 가는 길에 일어났다.위치가 24°30N; 130°18 30E로 고정된 것으로 추정되는 발견은 "Ile de la Canonniere"라고 명명되었다.
  • The Western names that stuck to the Daitō Islands for more than 150 years were given in 1815 and in 1820: in 1815 Okidaitōjima was re-sighted by the last Manila galleon, the Spanish frigate San Fernando de Magallanes, and was called "Isla Rasa", i.e. flat island; the position was fixed at 24°26 '40" N; 131°03' 46" E of Gr; and on 20 June 1820 (st.v.; 1820년 7월 2일 성) 미나마이다이토지마와 기타다이다이토지마는 러시아 해군의 사샤르 이바노비치 포나피딘 중위에 의해 재시정되었는데, 그는 러시아계 미국 회사의 배 이름을 따서 그들을 오스트로바 보로디노(보로디노 제도)라고 불렀다.그가 고정시킨 위치는 각각 25°50'N, 남쪽 131°12E, 북쪽 섬 26°02 N, 131°15E이었다.
  • "The brig Nile, of Boston, Captain Robert Bennet Forbes, in her passage from Canton to the Sandwich Islands, in August, 1825, passed two islands, the southernmost in lat. 25°42 N.; long. 131°13 E.; and the northern one in lat. 25°53 N.; long. 131°17 E. by good observations, and two chronometers", clearly a re-sighting of the Borodinos.

추가 읽기

  • 국립 지리공간정보국(NGA)프로스타 항해 방향 2005 일본 항로.프로스타 출판사(2005년). ISBN1577856511
  • 島のデータ : 北大東島 [Island data: Kitadaito Island] (in Japanese). Naha, Okinawa Prefecture, Japan: Okinawa Prefecture.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2-05-24. Retrieved 2013-06-14.
  • 島のデータ : 南大東島 [Island data: Minamidaito Island] (in Japanese). Naha, Okinawa Prefecture, Japan: Okinawa Prefecture.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3-31. Retrieved 2013-06-14.
  • 島の紹介 [Introduction to the Islands] (in Japanese). Kitadaito, Okinawa Prefecture, Japan: Village of Kitadaito. 2012. Retrieved 2013-06-14.

참조

  1. ^ a b c d 平成22年国勢調査 人口等基本集計(男女・年齢・配偶関係,世帯の構成,住居の状態など) 都道府県結果 47沖縄県 오키나와 2010년 인구 조사
  2. ^ 키타다이토 마을 공식 홈페이지에서 島 - - - 人人島代 - (섬의 역사 - 사막섬 시대)2007-01-15년에 검색됨.
  3. ^ 미나미다이토 마을 공식 홈페이지島の歴(섬의 역사).2007-01-15년에 검색됨.
  4. ^ Welsch, Bernard (Jun 2004). "Was Marcus Island Discovered by Bernardo de la Torre in 1543?". The Journal of Pacific History. Taylor & Francis. Ltd. 39 (1): 109–122. doi:10.1080/00223340410001684886. S2CID 219627973.
  5. ^ "南大東でヘビ初確認/荷物に紛れ来島"か "".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6-07-04. Retrieved 2017-01-27.
  6. ^ 沖縄に生息するカエル達の写真・鳴き声
  7. ^ a b 大東諸島の生物生態について
  8. ^ 다이토 스쿱스부엉이 보존을 위한 연구단
  9. ^ 大東島の鳥たち
  10. ^ ダイトウビロウ(大東尾籠)
  11. ^ ダイトウセイシボク(大東青紫木)
  12. ^ ダイトウワダン(大東わだん)- Crepidiastrum lanceolatum var. daitoense
  13. ^ "Daito Islands". BirdLife Data Zone. BirdLife International. 2021. Retrieved 25 January 2021.
  14. ^ a b 島の暮し - 島の動物
  15. ^ 琉球新報, 1997年, 南大東島沖にザトウクジラ[permanent dead link]
  16. ^ 島の暮し - 島の生物
  17. ^ 6-1-5 大東諸島
  18. ^ 南大東島の伝統行事 南大東島の豊年祭 - 日本の郷文化 - 南大東島名物 スキューバダイビング・透明度100mの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