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투 시카투나
Datu Sikatuna다투 시카투나(또는 카투나오)는 필리핀 보홀 섬에 있는 보울 왕국(또는 다피탄의 케다투안)의 다투 또는 치프테인이었다. 그는 1565년 3월 25일 로에이의 히나와난 만에서 스페인 탐험가 미겔 로페스 데 레가즈피와 혈연(산두안)을 맺었다.[1] 그들의 혈액 압축은 스페인과 필리핀 사이의 첫 번째 우호 조약이다.[2] 협정의 이전 장소는 타그빌라란 시 바랑게이볼이었으나, 이후 2005년 국립역사연구소가 발표한 결의안 4호를 통해 보홀 로이 히나와난 시 바랑게이에서 실제로 사건이 발생했다고 결론지었다.[3]
볼 왕국
형제들 — 다피탄(볼 왕국)의 게다투안(Kedatuan)[4]의 알려진 통치자였던 다투 파그부야와 다투 다일리산. 광대한 왕국은 현재의 보홀, 시키조르, 탄제이, 잠보앙가에서 수리가오까지 북부 민다나오, 남부 레이테, 다바오 오리엔탈까지 동부 민다나오를 지배하고 있으며, 수도는 따그빌라란 해협에 있다.[5] 다투 시갈라와 다투 시카투나는 초창기 두 형제의 친척으로 소수 족장이다. 그러나 시갈라는 계급이 높다고 하는 시카투나보다 나이가 많다. The auxiliary word "Si" is the nominative prefix for minor chiefs of the Visayas, similar to the known minor chiefs, like Si Catipan, Si Batumay, Si Maquio, and Si Cabon of Cebu, which is also similar to the Sanskrit Sri honorific also used among other precolonial Philippine rulers, such as Sipad the Older, also known as Sri Pada of Lupah Sug. 시갈라는 바랑게이 히밀리안을 중심으로 한 로보크의 통치자였고, 시카투나는 바랑게이 구와논에 관직을 두고 있는 바클레이온의 추장이다.[6][7]
1563년 포르투갈의 도움으로 테르나테의 술탄국가가 팡라오를 공격하자 살아남은 왕실은 다피탄으로 피난한다. 전투가 끝난 후 시카투나는 중상을 입었고 시갈라는 그를 로보크의 히밀리안(Himilian)에서 데리고 가서 요양했다.[7] 시갈라와 시카투나는 보홀에 남기를 선택했고 결국 왕국의 관리인이 되었다. 이 왕국의 파괴는 15세기 바바일란에서 필리핀 이전의 최초의 토착 시인인 카랴파(또는 카랴파)라는 이름으로 예언한 바 있다.[8]
레가스피 도착
주요기사 : 산두고
On November 21, 1564,[9] El Adelantado Governor-General Miguel López de Legaspi led an expedition and departed from Barra de Navidad, Mexico (formerly Nueva España) in search for spices and the Spice Islands as commissioned by Viceroy Luis de Velasco by the royal order of King Philip II of Spain. 그와 함께 아우구스티누스의 수도사들이 있었다. 안드레스 데 우르다네타(Andrés de Urdaneta)는 또한 그들의 정신적 조언자 역할을 했다. 마르틴 드 라다, 프르 디에고 데 에레라, 주립대신 앙드레 드 아귀레, 프르 로렌초 히메네즈 데 에스테반, 그리고 프랑. 페드로 데 감보아 Also included in the expedition were Spaniards — soldiers Martín de Goiti, Alonso de Arellano, Mateo del Saz, Melchor de Legaspi (Legaspi's son), Felipe de Salcedo (Legaspi's grandson), the future Governor-General Guido de Lavezaris (successor of Legaspi), also a survivor in 1521 Magellan's circumnavigation, and more than 200 others.[10] 원정대는 레가즈피와 우르다네타를 태운 카피타나호와 갤런 산파블로, 산페드로, 배의 양조업자 산후안과 산 루카스로 구성되었다.[11] This was the fifth, the last, and the most successful of all Spanish expeditions after Ferdinand Magellan in 1521, García Jofre de Loaísa in 1525, Sebastian Cabot in 1526, Álvaro de Saavedra Cerón in 1527, and Ruy López de Villalobos in 1542 before Spanish colonization of the Philippines.[12]
원정대는 1565년 1월 23일 괌,[13] 2월 13일 사마와 레이테, 3월 9일 리마사와, 3월 11일 카미구인에 도착했다. 3월 14일, 그들은 부투안까지 도달하려고 시도했지만, 불행히도 강한 해류에 의해 밤에 보홀로 표류했다. 3월 15일 새벽, 그들은[14] 보홀의 자그나에 해안에 도착하여 경선 산후안(山後安)에 부투안( buthol)[9]을 맡기고 나머지는 보홀(Bohol)에서 그들을 기다릴 것이다. 보홀에 있는 동안 그들은 보르네안 원주민 파라오(선박)를 포획했는데, 보르네안인 투아산말라가 조종하였다.[7] 조종사는 이전에 볼 왕국이 멸망한 2년 전 이 섬이 외국인, 테르나탄, 포르투갈인들에 의해 소탕되었기 때문에 원주민들은 이미 그들의 도착으로 동요하고 있다고 말했다.[9] 1565년 3월 19일, 그들은 보홀의 로이에 있는 히나와난만에 상륙했다.[14]
레가시는 보홀라노스의 폭력적인 반응 가능성을 경계하며 투아산말라에게 그들과 우호적인 동맹을 맺기 위해 섬의 추장을 찾으라고 지시하면서 그들이 야만적인 포르투갈인이 아니라 오히려 평화로운 스페인인임을 강조했다.[9] 투아산말라야는 2리그(현재 로에이 주 빌랄림피아 일부) 떨어진 히말라야에서 다투시갈라의 정부 자리인 히밀리안(지밀리안)까지 로보크강을 여행했다. 그러나 그 기간 동안 시갈라는 히밀리아에 있지 않았다. 대신 다투 시카투나는 그를 반갑게 맞이하고 조종사에게 그들의 지휘관(레가스피)이 산두고를 만들러 오도록 하여 그들의 동맹을 봉인하라고 말했다. 그러나 투아산말라가 돌아왔을 때 카피타나 수경인 산티아고 데 가르니카만 데리고 왔을 뿐이었다.[13] 가르시나가 그들의 지도자가 아니라는 것을 안 시카투나는 아들이 전자와 피를 나눈 콤팩트를 만드는 것만을 허락했다. 그러자 시카투나는 레가시를 만나기 위해 해안 쪽으로 걸어가기로 했다.[7]
다음날 아침, 40여 명의 용사와 여인들을 동반한 다투 시카투나는 히나와난 해안가에 도착했다. 그들은 스페인 사람들의 환영을 받았고 결국 시카투나에게 산 페드로에 승선하고 레가스피를 만나게 해달라고 요청했다. With several Spaniards remained at the shore, Sikatuna agreed to board flagship with 4 companions namely — Sibumanglar (Si Bumanglar), a Boholano, about 30 years old; Ximongoi (Si Mungoy), also a Boholano, 25 years old; Ceilan, a Bornean interpreter, about 35 years old; and Magut, also a Bornean, 25 years old. 이 보르네안 사람들은 이미 보홀에 있었는데, 보홀은 단지 무역업자나 포로로 잡혀 있을 뿐이다. 이들 4명의 동료들은 레가시의 행정업무 담당 서기인 [9]헤르나도 리켈의 앞에서 4명의 진술서를 집행했다. 진술서는 1563년 볼 왕국에서 포르투갈인과 테르네테인이 공격받는 동안 일어난 상세한 사건들에 대해 서술했다.[7]
히나와난 만 앞바다, 로이, 보홀, 그리고 주력인 산 페드로에서는 1565년 3월 25일, 다투 시카투나와 미겔 로페스 데 레가시 총독 사이의 상징적인 파토 데 생레(산두고)가 행해져 평화와 우정의 첫 조약을 체결하였다.[7][3]
이번에는 1565년 3월 28일 로보크의 족장 레가시와 다투 시갈라 사이에 또 다른 혈액 콤팩트가 행해졌다. 이 산두고는 좀 더 전통적인 방식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전자보다 더 결과적이라고 한다. 그들의 혈액 압축 시 사용된 와인은 스페인산 고블렛 대신 항고트(코코넛 껍질 컵)에 섞인 토종 투바(Pham toddy)이었다. 시갈라는 또 스페인 사람들에게 관자(약 4갤런) 한 칸타로(약 4갤런)와 토종 레촌을 나눠주면서 외국 문화에 대한 필리핀인들의 환대와 관대함을 상징했다.[15]
아직 보홀에 있는 동안 레가시는 세부의 섬을 탐험하기 위해 호위함을 보냈다. 그러나 8일이 지나도록 복귀하라는 그의 지시에도 불구하고 프리깃함은 15일이 지나도 돌아오지 못했다. 이 상황에 슬퍼한 레가시는 도움을 청하고 즉시 시갈라와 시카투나에게 세부에 있는 프리깃함을 찾아달라고 요청했다. 두 족장은 스페인 병사 두 명과 함께 30여 명의 노를 젓는 대형 무장보트를 타고 세부로 갔다. 아쉽게도 보홀로 돌아왔을 때 호위함이 없었다고 추장들은 보고했다.[14] 이후 레가시는 1565년 4월 27일 세부에 전 함대를 데려와 라자 투파스를 격파하여 필리핀에 첫 번째 스페인 식민지인 빌라델산티모 노브레 드 제수스("예수의 가장 거룩한 이름의 마을")를 세우고 첫 수도로 선포하였다.
만년
1595년 11월 17일, 두 명의 예수회 사제인 후안 드 토레스와 프르. 가브리엘 산체스, 세부를 떠나 바클레이온에 도착했다. 그 후 예수회는 기독교 공동체를 조직했고 바클레이온은 세부 교구의 감독 아래 보홀 사절단의 중심지인 리스테르겐시아가 되었다.[16]
1597년 7월 16일, Fr. 산체스는 바클레이온의 내륙지방에서 늙어가는 시카투나를 발견했다. 치프타인과 그의 아내 알바야는 그 후 카테키즘을 받고 가톨릭교회에 세례를 받았다. 그들은 7월 16일 성모 마리아를 따라 호아킨과 아나라는 기독교 이름을 받았다. 성도 요아힘과 안네의 아이콘은 보수된 바클레이온 교회의 제단에서 여전히 발견된다. 예수회원들은 시카투나를 개종시킬 수 있다는 사실에 기뻐했는데, 시카투나는 스페인 정복자 레가시와 함께 상징적인 피를 압축하게 만든 족장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예수회는 기독교화된 시카투나(Joaquinn)를 대중화시켰고, 이들도 이 지방의 복음화를 추진하는데 도움을 주었다. 따라서 시카투나는 기독교로 개종하지 않은 높은 계급의 다투 시갈라를 제치고 종종 보홀의 통치자로 잘못 선언되었다.[7]
관련 예술
블러드 콤팩트(스페인어:El Pacto de Sangre)는 1886년 유명 화가 후안 루나가 조약을 기념하여 만든 그림으로 말라카냥 궁전에 영구 안치되어 있다. 루나의 그림에는 미래의 처남과 일루스트라도, 레가즈피로 포즈를 취한 트리니다드 H. 파르도 데 타베라, 국민적 영웅 호세 리잘 박사가 시카투나로 포즈를 취했다. 그것은 1904년 바르셀로나와 세인트루이스에서 열린 유니버설 박람회에서 모두 전시되었다. 또 다른 비슷한 그림은 카를로스 모데스토 "보퉁" 빌랄루즈 프란시스코에 의해 만들어졌다.[17]
블러드 컴팩트 사당은 타그빌라란 시 바랑게이볼에 위치한 산두고로 알려진 혈액을 기념하여 만들어졌다. 이 기념비는 유명한 필리핀 국립 조각가와 보홀라노 토박이인 나폴레옹 벨로소 아베에바의 작품이다.
레거시
- 외무장관이 대통령의 이름과 권한으로 수여하는 필리핀의 최고 국가 훈장인 시카투나 훈장.
- 필리핀 해군의 전 USN 캐넌급 구축함 호위함 중 하나인 BRP 다투 시카투나(PF-5)
- 그의 이름을 딴 보홀 시의 시카투나.
- 산두고 페스티벌은 다투 시카투나와 정복자 미겔 로페스 데 레가즈피 사이의 혈액 압축을 기념하는 연례 축제다.
- 보홀의 IUCN 5급 보호경관인 라자 시카투나 보호경관과 국립공원
- 보홀 주 탈리본의 바랑게이인 시카투나
- 부투안 시 제1구의 바랑게이인 시카투나
- 네그로스 오시덴탈 이사벨라 시의 바랑게이인 시카투나
- 케손 시의 바랑게이인 시카투나 마을
- 잠보앙가 델 수르 구이포스의 바랑가이 시카투나
- 타그빌라란 시 감마스 구에서 가장 번화한 거리 중 하나인 라자 시카투나 애비뉴
- 세부 시의 거리인 시카투나 거리
- 다바오 시 아그다오 시의 거리인 시카투나 거리
- 레가즈피 시 올드 알베이 구에 있는 시카투나 거리
- 마닐라 삼팔록의 거리, 시카투나 거리
참고 항목
참조
- ^ "A Short History of the Bohol (Part I)". Bohol.ph. March 29, 2002. Retrieved December 23, 2020.
- ^ "Blood Compact Site". Bohol.ph. March 29, 2002. Retrieved December 23, 2020.
- ^ a b "2005 Board Resolutions". NHCP. July 21, 2005. Retrieved December 23, 2020.
- ^ "History of Tagbilaran". Tagbilaran.gov.ph. June 30, 2013. Retrieved December 23, 2020.
- ^ Jes B. Tirol (October 20, 2019). "Significant battles in Bohol: Battle of the Bo-ol Kingdom". Bohol Chronicle. Retrieved December 24, 2020.
- ^ Jes B. Tirol (August 31, 2012). "Freemasonry In Bohol and Cebu encountered by Gen. Miguel Lopez De Legazpi" (PDF). The Cabletow. Retrieved December 23, 2020.
- ^ a b c d e f g Jes B. Tirol (July 19, 2015). "Sikatuna-Legazpi Sandugo: Complementary Informations". Bohol Chronicle. Retrieved December 26, 2020.
- ^ Antonio de Morga (1609). Sucesos de las Islas Filipinas.
- ^ a b c d e Peter Schreurs, MSC (1989). Caraga Antigua 1521-1910: the Hispanization and Christianization of Agusan, Surigao and East Davao (Thesis). Radboud University and University of San Carlos, Cebu City. p. 61-67.
- ^ Collecion de documentos ineditos de Ultramar, second edition II. Real Academia de la Historia (Spain), Madrid. 1886. pp. 211–213.
- ^ Gaspar de San Agustin (1998). Conquistas de las Islas Filipinas, 1565-1615. Translated by Luis Antonio Mañeru. San Agustin Museum.
- ^ Gregorio F. Zaide (1949). Philippine Political and Cultural History, Volume I. Manila, Philippine Education Co. Retrieved December 30, 2020.
- ^ a b Isacio R. Rodriguez (1965). A Bibliography on Legazpi and Urdaneta, Philippine Studies vol. 13, no. 2. Philippine Studies, Ateneo de Manila University. pp. 287–329. Retrieved June 30, 2008.
- ^ a b c Jes B. Tirol (August 2012). The Cabletow Vol. 89, No. 2, Centennial Lectures: Freemasonry In Bohol and Cebu encountered by Gen. Miguel Lopez De Legazpi. pp. 32–45.
- ^ Jes B. Tirol (March 29, 2015). "The More Meaningful Sigala-Legazpi Blood Compact". Bohol Chronicle. Retrieved December 31, 2020.
- ^ "History of Baclayon". Bohol-Philippines.com. January 1, 2020. Retrieved December 26, 2020.
- ^ Ambeth Ocampo (October 18, 2013). "Bohol and the blood compact". Philippine Daily Inquirer. Retrieved December 23, 20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