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가시데

David Garside

David W. GarsideBSAUmberslade Hall 연구 시설에서[1] 발명가였고 전 프로젝트 엔지니어였습니다. 그는 노턴 클래식 로드 바이크를 구동하는 공냉식 트윈로터 완켈 오토바이 엔진을 개발한 것으로 유명하다.[2][3] 비록 클래식은 로터리 얼라이드 자전거의 첫 생산은 아니었지만, 현대적인 스즈키 RE5에 비해 상당히 가볍고, 부드러우며, 강력하고, 다루기가 더 좋았다.[4]

개인사

크리스 퍼킨스는 저서 '노튼 로터리'에서 "데이빗 가르사이드(David Garside)를 노턴 로터리(Norton Rotary)의 아버지로 부를 수 있다"고 말한다. 가시데는 케임브리지의 에마뉘엘 대학에서 수학과 기계 공학을 공부했고 그곳에서 일등급을 받았다. 롤스 로이스와 견습 생활을 했고, CEGB에서 잠시 근무한 뒤 롤스로이스로 돌아와 디젤 로터리 작업을 했다. 그는 후에 키츠 그린에서 개발 엔지니어로 BSA로 옮겼다. BSA가 NVT에 편입된 후, BSA의 연구 프로젝트의 90% 이상이 취소되었지만, Garside는 가까스로 NVT의 보스인 Dennis Traffic에게 로터리 프로그램을 계속 진행하도록 설득했다. 이 프로젝트는 인터폴 등 자전거 생산이 이뤄진 리치필드 인근 선스톤으로 옮겨갔다.[5]

노턴 클래식

노턴 클래식

DKW 헤라클레스 자전거에서 피치텔앤삭스 엔진에 감명을 받았던 가시데는 '개념의 증명'으로 BSA B25 '스타파이어' 프레임에 매입형 F&S 공랭식 싱글로터 엔진을 장착했다. 이것은 믿을 만하고 부드러웠지만 추진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그 후 가르사이드사는 이전 시험인 "뮬"의 용량을 두 배로 늘린 (F&S 로터가 장착된) 트윈 로터 엔진 시제품을 만들었다. 이 트윈로터 엔진은 BSA A65 프레임에 설치되었다.[6]

Wankel 엔진은 매우 뜨겁다. 그래서 Garside는 이 공랭식 모터에 추가적인 내부 공랭을 주었다. 여과된 공기는 램 공기 효과를 제공하기 위해 전방으로 향하는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었다. 이 공기는 처음에 회전하는 메인축과 두 개의 로터의 내부를 통해 찬유된 후, 큰 압착강 플레넘으로 들어가 트윈 카뷰레터를 통해 연소실로 들어갔다.[7] 자전거의 세미 모노코크 프레임으로 두 배가 된 플레넘은 열기의 상당 부분을 주변 대기로 전달하도록 했다.(이 아이디어는 모노코크 아리엘 애로우에서 가져온 아이디어였다.[8] 탄화과정은 증발열을 통해 온도를 더욱 낮췄다.

그렇더라도 50 °C(122 °F)에서는 연료-공기 혼합물이 여전히 이상보다 뜨거웠고 엔진의 체적 효율은 다소 저하된 상태를 유지했다. 편심축의 메인 베어링과 흡기 다지관은 오일 주입 윤활으로 공급되었고, 연료-공기 혼합물도 로터 내부로부터 오일의 잔류 미스트를 운반하여 로터 팁을 윤활하는 데 도움이 되었다.[9]

DKW 헤라클레스 브랜드 바이크(팬 냉각형 F&S 엔진 포함)

주목할 만한 발명품

공랭식 노턴 완켈 엔진의 결함을 해결하기 위해, 가르사이드에서는 계속해서 자기압력 블로바이 가스를 냉각 매질로 활용하여 엔진 노심으로부터 더 높은 수준의 열을 흡수하고 외부 열 교환기를 통해 열을 발산하는 [10]시스템인 SPARCS(자압압력 공기 로터 냉각 시스템)를 개발하였다. 이 시스템은 표준 공기 냉각 방법보다 뛰어난 열 제거 기능을 제공한다.[11]

가시드는 SPARCS 외에도 2011년 Wankel 로터리 엔진과 함께 사용할 로터리 배기 익스팬더 유닛 또는 CRIV(전기차용 복합 로터리 엔진)를 개발하는 특허를 출원했다.[12] CRIV 시스템은 팽창이 일어나는 동안 연소되지 않은 배기제품을 소비하여 전반적인 배출량을 줄이고 열효율을 향상시키는 '배기 원자로' 역할을 한다.[13]

2015년 데이비드 가사이드(David Garside)는 영국 미들랜즈(Midlands) 기반 엔지니어인 Advanced Innovative Engineering, UK(영국)와 차세대 완켈 로터리 엔진에 자신의 특허를 독점적으로 사용하는 라이선스 계약을 체결했다.[14]

에어로 엔진 파생 모델

노턴 완켈 엔진은 Staverton에서 MidWest 에어로 엔진으로 추가 개발되었다. 미드웨스트 엔진의 출력은 BSA의 85bhp에서 체적 효율을 높여 110bhp에[15] 육박하는 수준으로 증가했다. 이는 가압된 열로터 냉각 공기를 (연소가 아닌) 배 밖으로 배출하고 연소실로 신선한 차가운 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달성되었다.

참조

  1. ^ 가르사이드의 특허 [1]
  2. ^ Wankel Rotary Engine: A History by John B. 헤겔 137쪽 ISBN978-0-7864-2905-9
  3. ^ Denniss, Tony (1990). "The Norton Rotary". Retrieved 14 August 2011.
  4. ^ 퍼킨스, 크리스(1991) 노턴 로터리 (pp 30, 36). 크라우드 프레스. ISBN 978-1-85532-181-6
  5. ^ 퍼킨스, 크리스(1991) 노턴 로터리(42쪽) 크라우드 프레스. ISBN 978-1-85532-181-6
  6. ^ "자전거" 잡지 1973년 여름
  7. ^ "사이클 월드" 잡지 1971년 2월
  8. ^ 빌 머리 모노그래프 1985년: "영국 오토바이 산업의 쇠퇴"
  9. ^ 빌 머리 모노그래프 1985년: "영국 오토바이 산업의 쇠퇴"
  10. ^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Pub. No: WO2009101385".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11. ^ Ian, Bamsey (April 2016). "Cool Running". Unmanned Systems Technology Magazine (7).
  12. ^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Pub. No: WO/2009/115768". World Intellectual Property Organization.
  13. ^ "CREEV Advanced Innovative Engineering (UK) Ltd". Retrieved 20 September 2016.
  14. ^ "AIE sign exclusive licence agreement to use patented engine technology". 31 May 2015.
  15. ^ MidWest Engines Ltd AE1100R 회전식 엔진 설명서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