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KW

DKW
DKW
산업자동차
설립.1916
없어졌다1966
운명.1932년에 자동차 연합에 합병되어 1969년에 사라졌다.
후계자오토 유니언 AG(1932년 ~ 1969년)
아우디 NSU 오토 유니온 AG(1969년 ~ 1985년)
아우디 AG(1985년 ~ 현재)
본사독일, 쇼파우 (1906년 ~ 1932년)
켐니츠(1932~1949)
잉골슈타트 (1949-1969)
주요 인물
DKW[1] 설립자 Jörrgen Skafte Rasmussen 박사
상품들자동차, 오토바이

DKW(Dampf-Kraft-Wagen, 영어: "증기 동력 자동차", 도이치 킨더-Wagen 영어: "독일 어린이 자동차"Das-Kleine-Wunder, 영어: "the little wonder" 또는 Des-Knaben-Wunsch, "The boy's wish"는 이 회사가 장난감 2행정 엔진을 만들었을 때부터) 독일자동차이자 오토바이 명차였다.DKW는 1932년에 오토 유니언을 결성했던 4개의 회사 중 하나이며, 따라서 오늘날의 아우디 [2]회사의 조상이다.

1916년 덴마크 엔지니어 Yörgen Skafte Rasmussen은 증기 설비를 생산하기 위해 독일 작센Zschopau에 공장을 설립했습니다.그 해에 그는 [3]DKW라고 불리는 증기 구동 자동차를 생산하려고 시도했다.비록 성공하지 못했지만, 그는 1919년에 "소년의 소원"이라고 불리는 2행정 장난감 엔진을 만들었습니다.그는 이 엔진의 약간 변형된 버전을 오토바이에 넣고 Das Kleine[3] Wunder라고 불렀습니다. 이 엔진의 이니셜은 DKW 브랜드가 된 "더 리틀 원더"입니다. 1920년대 후반에는 DKW가 세계에서 가장 큰 오토바이 제조업체가 되었습니다.

1924년 9월, DKW는 슬라비 베링거 [de] 인수하여 독일의 초인플레이션 경제 위기에서 그들을 구했다.루돌프 슬라비는 [4]DKW의 수석 엔지니어가 되었다.1932년 DKW는 아우디, 호르히, 방랑자합병하여 오토 [3]유니온을 결성하였다.제2차 세계대전 후 DKW는 서독으로 이주했다.원래의 공장은 [1]MZ가 되었다.오토 유니언은 1957년 다임러 벤츠 소유가 됐고 1964년 폭스바겐 그룹에 인수됐다.독일에서 제작된 마지막 DKW 자동차는 1966년에 생산을 중단한 F102였다.후속 모델4행정 F103은 아우디라는 또 다른 오토유니온 브랜드로 판매됐다.

DKW 배지 차량은 1967년과 1969년까지 브라질과 아르헨티나에서 면허를 받아 제작됐다.DKW 상표는 현재 Audi AG의 완전 소유 자회사인 Auto Union GmbH가 소유하고 있으며 Auto Union Combine의 기타 역사적 상표 및 지적 재산에 대한 권리도 소유하고 있습니다.

1928년에서 1942년 사이에 만들어진 자동차

1931 DKW F1

DKW 자동차는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중단을 제외하고 1928년부터 1966년까지 만들어졌다.DKW는 항상 2행정 엔진을 사용했는데, 이는 1920년대 말까지 세계 최대의 오토바이 생산 업체로서의 회사의 위치를 반영합니다.최초의 DKW 자동차인 작고 다소 조잡한 Type P는 1928년 5월[5] 7일 출시되었고, 이 모델은 1931년까지 회사의 스판다우(베를린) 공장에서 처음 로드스터로, 나중에 스타일리시하지만 기본적인 스포츠카로 계속 제작되었다.

더 중요한 것은 이 회사의 소유주가 1928년 아우디 베르케 [6]AG의 대주주가 되었을 인수했던 공장의 남쪽 300km(185마일) 떨어진 곳에 만들어진 일련의 저렴한 차들이다.모델 F1에서 F8(Front는 F)은 1931년에서 1942년 사이에 제작되었으며, 1945년 전쟁이 끝난 후 후속 모델이 다시 등장했습니다.전륜구동을 갖춘 유럽 최초의 양산차이며, 횡방향으로 장착된 2기통 2행정 엔진으로 구동되었다.배기량은 584 또는 692cc였다.최고 전력은 처음에는 15PS였으며 1931년부터는 18 또는 20hp(15kW)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었다.이러한 모델에는 다이나스타트라고 [7]하는 스타터 역할을 겸비한 발전기가 크랭크축에 직접 장착되어 있었습니다.1931년부터 [5]1942년 사이에 즈위카우의 DKW는 약 218,000대를 증가시켰다.1930년대에 생산된 DKW의 85% 이상이 소형 F 시리즈 차량이었다. DKW는 1934년까지 독일 판매 2위에 올랐고 1931년부터 1938년까지 판매된 차량 중 18만9369대를 차지해 시장의 [8]16% 이상을 차지했다.

1929년에서 1940년 사이에 DKW는 잘 알려지지 않았지만 기술적으로 흥미로운 2행정 V4 [9]엔진을 갖춘 후륜구동 차량인 슈베크라세손더클라세를 생산했다.엔진 배기량은 1,000cc, 나중에는 1,100cc였다.엔진은 강제 유도를 위한 두 개의 여분의 실린더가 있어 V6 엔진처럼 보이지만 앞 실린더 쌍에는 스파크 플러그가 없습니다.

1939년 DKW는 배기량 900cc, 30hp(22kW)의 최초의 3기통 엔진을 시제품으로 제작했다.유선형 차체로 115km/h(71mph)의 속도로 달릴 수 있었다.제2차 세계대전동독 치카우에서 IFA(Industriverband Fahrzeugbau) F9(나중에 Wartburg)로, 얼마 지나지 않아 뒤셀도르프에서 3=6 또는 F91로 DKW 형태로 생산되었다.

DKW 엔진은 1947년 Saab 92 자동차 제조 벤처에서 Saab 2행정 모델로 사용되었습니다.

1945년 이후에 만들어진 자동차

오스모 칼팔라는 1956년 랠리 핀란드에서 그의 DKW를 서비스했다.

오토 유니온은 독일 민주 공화국(동독)의 작센에 근거지를 두고 있었기 때문에, 전후 재결집하는 데 시간이 걸렸다.이 회사는 1949년 서독에서 Auto Union GmbH로 등록되었으며, 처음에는 예비 부품 공급자로 사용되었으나 곧 RT 125 오토바이와 Schnellaster F800이라고 불리는 새로운 배송 밴의 생산을 시작할 예정입니다.그들의 첫 생산 라인은 뒤셀도르프에서 이루어졌다.이 밴은 전쟁 전에 마지막으로 만든 F8과 같은 엔진을 사용했다.

그들의 첫 번째 차는 전쟁 전에 만들어진 F9의 차체와 마지막 F8의 2기통 2행정 엔진을 사용한 F89였다.F91과 함께 나온 3기통 엔진으로 교체될 때까지 생산은 계속되었다.F91은 1953-1955년에 생산되었고 1956년에 더 큰 F93으로 대체되었다.F91과 F93은 900cc의 3기통 2행정 엔진을 장착했으며, 첫 엔진은 34마력(25kW), 마지막 38마력(28kW)을 발휘했다.점화 시스템은 각 실린더에 하나씩 3개의 독립적인 포인트 및 코일 세트로 구성되었으며, 이 포인트는 크랭크축의 프론트 엔드에 있는 단일 로브 캠 주위에 클러스터에 장착되어 있습니다.냉각 시스템은 크랭크축의 프론트 엔드에 장착된 풀리에서 구동되는 팬에 의해 보조되는 자유 대류형이었습니다.

F93은 1959년까지 생산되었고 오토 유니언 1000으로 대체되었다.이 모델은 1,000cc 2행정 엔진으로 생산되었으며, 1963년까지 44hp(33kW) 또는 50hp(37kW) S 버전 중에서 선택할 수 있습니다.이 전환 기간 동안 생산은 뒤셀도르프에서 잉골슈타트로 옮겨졌으며, 이 곳에서 아우디는 여전히 생산되고 있습니다.1957년부터, 차들에는 색소마, 자동 클러치, 그리고 이 기능을 제공하는 유일한 소형차가 장착될 수 있었다.Auto-Union 1000S의 마지막 버전은 이 기술의 초기 개발인 디스크 브레이크를 옵션으로 장착했습니다.스포티한 2+2인승 버전은 1957년부터 1964년까지 Auto-Union 1000 SP로 출시되었으며, 첫해는 쿠페로, 1962년부터는 컨버터블로도 출시되었습니다.

1956년, 매우 희귀한 DKW 몬자는 민간 주도로 F93 프레임에 2인승 유리 섬유로 구성된 스포티한 차체를 갖춘 소규모 생산에 투입되었습니다.그것은 처음에 고독이라고 불렸지만, 1956년 11월 이탈리아의 오토드로모 나치오날레 몬자에서 만든 장거리 속도 기록에서 최종 이름을 얻었다.국제자동차연맹(FIA) 등급 G로 운행되며, 평균 속도 140.961km/h(87.589mph), 139.453km/h(86.652mph), 72시간 139.459km/h(86.65mph)의 기록을 세웠다.이 차는 처음에 슈투트가르트Dannhauer & Strauss [de] 의해 제작되었고, 그 후 하이델베르크의 Massholder에 의해 제작되었고, 마지막으로 슈투트가르트의 Robert Schenk에 의해 제작되었다.생산대수는 약 230대로 알려져 있으며 1958년 말까지 생산이 완료될 것으로 알려졌다.

DKW 주니어 (1962)

1959년부터 더욱 성공적인 차종이 판매되었으며, 1950년대 후반의 현대적인 컨셉을 바탕으로 주니어/F12 시리즈가 판매되었습니다.1959년부터 1961년까지 생산된 주니어(기본 모델), 1961년부터 1963년까지 생산된 주니어 드 룩스(약간 개선된 모델), 1963년부터 1965년까지 F11(약간 큰 엔진)과 F12(크고 큰 엔진), 1964년부터 1965년까지 F12 로드스터(Roadster)로 구성되어 있다.Junior/F12 시리즈는 매우 인기를 끌었고, 많은 자동차가 생산되었습니다.1952년부터 1964년 사이에 아일랜드 코크 카운티 발린콜리그에 조립 공장이 허가되었고, 세단, 밴, 오토바이에서 상업용 콤바인 하베스터에 이르기까지 약 4,000대의 차량이 조립되었습니다.이 공장은 유럽에서 독일 이외의 유일한 DKW 공장이었으며, 폐쇄된 지 몇 년 동안 공장 벽에 커다란 DKW 간판이 보였다.그 건물은 2000년대 말에 철거되었고 독일 알디 상점과 맥도날드 드라이브 스루로 재개발되었다.

모든 3기통 2행정 전후 자동차는 스포츠적인 잠재력을 가지고 있었고 1950년대와 1960년대 초에 많은 랠리 승리의 기초를 형성했다.이로써 DKW는 50년대 유럽 랠리리그에서 수년간 가장 많은 우승을 차지한 자동차 브랜드가 되었다.

1960년 DKW는 1000cc 용량의 3기통 2행정 엔진 2개를 조합해 V6 엔진을 개발했다.용량이 증가하여 1966년 최종 V6의 용량은 1,300cc로, 카뷰레터 2개가 있는 표준 구성을 사용하여 5,000rpm에서 83hp(62kW)의 성능을 발휘했습니다.4카뷰레터 버전은 100hp(75kW), 6카뷰레터 버전은 130hp(97kW)를 생산했습니다.무게는 84kg(185파운드)에 불과했다.V6는 DKW Munga와 F102에 사용될 계획이었다.약 100대의 엔진이 시험용으로 제작되었고, 1960년대에 [10]13대의 DKW F102와 일부 문가에는 V6 엔진이 장착되었다.

마지막 DKW는 F102로 1964년 구형 AU1000을 대체하기 위해 생산되었습니다.그러나 F102는 개발의 한계에 이른 2행정 엔진 기술 때문에 판매가 저조했다.오토 유니온의 모회사인 다임러 벤츠는 폭스바겐에 회사를 양도하기로 결정했다.이 차는 4행정 엔진으로 개조되었고 아우디 F103으로 재출시되었다.이로써 자동차용 DKW 마크는 종말을 고했고 아우디라는 이름의 부활을 알렸다.

1956년부터 1961년까지 네덜란드 수입업체 하트, 니브릭, 그레브사센하임의 버려진 아스팔트 공장에서 자동차를 조립했으며, 그곳에서 약 120명의 노동자와 두 명의 운송업자를 고용하여 뒤셀도르프로부터 SKD 키트를 수집하고 약 13.500대의 자동차를 제작했다.DKW 공장이 이전하자 SKD 키트 수입이 너무 [11]비싸져 중단됐다.

남미 DKW

1956년부터 1967년까지, DKW 자동차는 지역 회사 Vemag(Veiculos e Maquinas Agricolas S.A., "Vehicles and Agrical Machine Inc.")에 의해 브라질에서 제조되었습니다.[12]Vemag는 Scania-Vabis 트럭을 조립하고 있었지만 Scania Vabis는 1960년 [13]7월에 독립 회사가 되었습니다.당초 계획은 칸당고 오프로드 차량(문가)과 4도어 세단인 베마구에와 벨카를 각각 만드는 것이었다.처음 제작된 모델은 900cc F91 유니버설이었지만 이후 벨카와 베마구에라는 이름이 붙었다.

첫 번째 시리즈 1964 DKW-Vemag Belcar 앞에 있는 두 번째 시리즈 1967 DKW-Vemag Belcar

1958년 F94 4도어 세단과 스테이션 왜건이 출시되었고, 1960년대 초에 벨카(Belcar)와 베마구에(Vemaguet)로 이름이 바뀌었다.이 회사는 또한 고급 쿠페(DKW 피소어)와 오프로드 문가(현지명 칸당고)를 생산했다.1960년에 Vemag 자동차는 Auto Union [14]1000으로부터 더 큰 1리터, 50PS(37kW) 엔진을 받았습니다.

Vemag는 파이버 글라스 차체를 가진 쿠페 GT 말조니와 함께 성공적인 공식 레이싱 팀을 보유하고 있습니다.이 프로젝트는 브라질 스포츠카 브랜드 푸마의 오랜 토대가 되었다.브라질 F94 라인은 몇 가지 외관 변경으로 개선되어 독일이나 아르헨티나 기종과는 점점 더 달라지고 있다.Vemag는 신제품에 투자할 자본이 없었고 합병하라는 정부의 압력을 받았다.1964~1965년 폭스바겐은 점차 베마그에 있는 소수 지주인 오토 유니언을 인수했고 1967년 폭스바겐은 나머지 [15]주식을 매입했다.VW는 총 10만9343대의 DKW-Vemag 차량이 [14][16]제조된 후 DKW-Vemag 생산을 중단하고 폭스바겐 1600 세단을 구 Vemag 공장에 도입했다.

DKW 차량은 1960년부터 1969년까지 산타페의 소스 비에호에서 IASF S.A.(Industria Automotriz Santa Fe Sociaded Anonima)에 의해 아르헨티나에서 제조되었습니다.가장 아름다웠던 것은 많은 유명한 주인(줄리오 소사, 세사르 루이스 메노티 등)을 둔 큐페 피소르였다.다른 모델로는 Auto Union 1000 Sedan(1969년까지 제조된 21,797대)과 Auto Union 1000 Universal S([17]1969년까지 제조된 6,396대)가 있습니다.Auto Union Combi/픽업.1969년에 출시된 오토 유니언 콤비/픽업(DKW F1000 L)의 마지막 버전은 몇 달 동안 살아남았고 IME에 의해 인수되어 [18]1979년까지 생산이 계속되었다.

1967년 DKW-Vemag 피소르
DKW GT 말조니

밴 및 유틸리티 차량

DKW 문가

DKW 문가는 잉골슈타트에 있는 오토 유니온에 의해 만들어졌다.생산은 1956년 10월에 시작되어 1968년 12월에 종료되었으며 46,750대의 자동차가 제작되었다.

1949년부터 1962년까지 DKW는 크로스바 어셈블리에 스프링이 있는 트레일링 암 리어 서스펜션 시스템을 갖춘 Schnellaster를 생산했습니다.스페인 자회사인 IMOSA는 1963년에 소개된 현대식 후계기 DKW F 1000 L를 생산했습니다.이 밴은 3기통 1000cc 엔진으로 출발했지만 이후 메르세데스-벤츠 디젤 엔진을 장착해 1975년 메르세데스-벤츠로 이름을 바꿨다.

오토바이

DKW

1920년대 후반과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할 때까지 DKW1932년형 아들러 트럼프프1934년형 시트로엥 트랙션 아방 이전까지 전륜구동 자동차의 성공적인 [20]모델로 유럽의 선구자이자 전륜구동 자동차의 [19]선구자였습니다.1931년, 아놀드 졸러는 스플릿싱글을 만들기 시작했고 이 컨셉으로 DKW는 전쟁 [21]사이의 경량급과 주니어급에서 지배적인 레이싱 오토바이로 만들었다.여기에는 International Six Days Trial과 같은 오프로드 행사도 포함되었는데, 마크는 바이에른 모터웍스와 함께 2차전에 걸쳐 상당한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동시에, 이 회사는 ISDT에서[22] 가벼운 무게 때문에 슈퍼차지 레이싱 모터사이클로도 성공을 거두었습니다.

이 오토바이 지점은 제2차 세계대전 전후 RT125 등 유명 모델을 생산했으며, GDR 원공장 생산으로 MZ[1] 된 전쟁 후 175, 250, 350(cc) 모델을 생산했다.전쟁 배상금으로, RT125의 설계 도면은 미국의 할리 데이비슨과 영국의 BSA에 주어졌다.할리데이비슨 버전은 허머(Hummer는 실제로 몇 년 동안만 존재하지만 일반적으로 사람들은 할리 라이트웨이트를 허머라고 부른다)라고 부르는 반면, BSA는 밴텀을 위해 그것들을 사용했다.IFA와 그 이후의 MZ 모델은 1990년대까지 생산을 계속했고, 그 때 경제학을 통해 두 가지 스트로크의 생산이 중단되었다.다른 제조업체는 공식적이든 그렇지 않든 DKW 디자인을 모방했습니다.이것은 야마하, 보스코드, 마세라티, 폴란드 WSK를 포함한 1950년대의 많은 소형 2행정 오토바이들의 유사성에서 볼 수 있다.

자동차

전쟁 전의 생산

DKW F8 마이스터클라세 (1939~1942)

전쟁 전 및 전년의 민간 모델 생산량은 총 25만 대에 달했으며, 그 중 약 21만 8천 대가 전륜 구동식이었다.

전후

DKW F12 살룬(1963년~1965년)

오토바이 및 스쿠터

DKW 슈퍼 스포츠 500
1938/39년부터 DKW SS 250
1953년부터 DKW RM 350
  • DKW ARE 175
  • DKW 골렘(세셀 모터라드)
  • DKW 취미-롤러
  • DKW 험멜
  • DKW KM 200
  • DKW KS 200
  • DKW NZ 250
  • DKW NZ 350
  • DKW NZ 500
  • DKW ORE 250
  • DKW RT 100
  • DKW RT 125
  • DKW RT 175
  • DKW RT 200
  • DKW RT 200H
  • DKW RT 250/2
  • DKW RT 250 H
  • DKW RT 350 S
  • DKW SB 200
  • DKW SB 350
  • DKW SB 500
  • DKW 스포츠 250
  • DKW SS 500(수냉식)
  • DKW SS 600(수냉식)
  • DKW ZS 500
  • DKW ZSW 500(수냉식)
  • DKW 헤라클레스(방켈)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1. ^ a b c 모터 사이클 1964년 8월 27일'도깨비 남자 죽는다'2014-06-16 추가
  2. ^ "History of the Four Rings—Part 1—Audi Auto Union". www.seriouswheels.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0 December 2016. Retrieved 8 May 2018.
  3. ^ a b c Odin, L.C. World in Motion 1939 – 연중 자동차 생산량Belvedere Publishing, 2015.ASIN: B00ZLN91ZG
  4. ^ "1919 Slaby-Beringer Elektrowagen". Heinkel Scooter Project. 17 April 2017.
  5. ^ a b 오스왈드, 페이지 86
  6. ^ 오스왈드, 페이지 85
  7. ^ 오스왈드, 페이지 94 – 103
  8. ^ 오스왈드, 페이지 531
  9. ^ 오스왈드, 페이지 87
  10. ^ "DKW Specifications". Dyna.co.za. 2008-11-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0-06-05. Retrieved 2010-10-02.
  11. ^ Autokampioen 2007/26 Yop Segers의 "Made in Holland"
  12. ^ "Vemag". Automobile Quarterly. 11 (4). 1973. the Vemag company that had been manufacturing two-stroke DKW models under license in Brazil.
  13. ^ Shapiro, Helen (Winter 1991). "Determinants of Firm Entry into the Brazilian Automobile Manufacturing Industry, 1956–1968". The Business History Review. 65 (4, The Automobile Industry): 897. doi:10.2307/3117267. JSTOR 3117267.
  14. ^ a b Vogel, Jason; Gomes, Flavio. "DKWs in Brazil". KTUD Online Automotive Archiv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3-05-15.
  15. ^ 샤피로, 페이지 935
  16. ^ Sandler, Paulo César; de Simone, Rogério, DKW – A grande história da Pequena Maravilha [DKW: The great history of the little wonder] (in Portuguese), São Paulo, Brazil: Editora Alaúde, ISBN 978-85-7881-037-5
  17. ^ "Auto Union". Coche Argentino. 2009-05-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11-05. Retrieved 2011-10-30.
  18. ^ "Auto Union". Coche Argentino. 2009-05-18.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011-11-05. Retrieved 2011-10-30.
  19. ^ http://bikelinks.com/directory/Classic_Motorcycles/A_to_Z/D/DKW/http://www.audi.com/corporate/en/company/history/models/[영구 데드링크]
  20. ^ "DKW Front F 1 roadster, 1931". audi.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January 2018. Retrieved 8 May 2018.
  21. ^ "DKW Supercharged Two-Strokes – Force-Fed Deeks". www.odd-bike.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October 2017. Retrieved 8 May 2018.
  22. ^ ISDT 수상 DKW 246cc 1935 Wayback Machine에서 2014-02-05 아카이브.
  23. ^ Michael Sedgwick & Mark Gillies, A-Z of Cars 1945-1970, 54페이지

레퍼런스

  • Oswald, Werner (2001). Deutsche Autos 1920–1945, Band (vol) 2 (in German). Motorbuch Verlag. ISBN 3-613-02170-6.
  • Uhlmann, Claus (2005). RT 125 Das Kleine Wunder Aus Zschopau. Verlagsgesellschaft Bergstraße mbH.
  • 지그프리드 라우흐 흐르스그Frank Rönicke: DKW – Geschichte einer Weltmarke.Motorbuch-Verlag, Stuttgart 2007, ISBN 978-3-613-02815-9.
  • Thomas Erdmann: Vom Dampfkraftbagen zur Meisterklasse Die Geschichte der DKW Automobile 1907-1945.오토비전, 함부르크 2003, ISBN 3-9805832-7-9.
  • Peter Kurze: DKW 마이스터클라세 – 아인 바겐푸르 다이 갠지 웰트.Delius Klasing, Biellefeld 2005, ISBN 3-7688-1646-X.
  • Steffen Ottinger (2009), DKW Motorradsport 1920–1939 : Von den ersten Siegen des Zschopauer Zweitakters bei Bahnrennen bis zu den Europameisterschafts-Erfolgen (in German) (1. ed.), Chemnitz: HB-Werbung und Verlag GmbH & Co. KG, ISBN 978-3-00-028611-7
  • Woldemar Lange; Jörg Buschmann (2009), Die große Zeit des DKW-Motorradrennsports : 1920–1941 (Zschopau) (in German) (1. ed.), Witzschdorf: Bildverlag Böttger GbR, ISBN 978-3-937496-29-0
  • Woldemar Lange; Jörg Buschmann (2012), DKW Zschopau und der Motorradgeländesport : 1920–1941 (in German) (1. ed.), Witzschdorf: Bildverlag Böttger GbR, ISBN 978-3-937496-50-4
  • Harald Linz, Halwart Schrader:다이 인터내셔널 자동차 엔지클로패디United Soft Media Verlag, München 2008, ISBN 978-3-8032-9876-8.

외부 링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