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제임스 데이비스
David James DaviesD. J. 데이비스 | |
---|---|
태어난 | 데이비드 제임스 데이비스 1893년 6월 2일 카멜, 카마트헨셔 주 |
죽은 | 1956년 10월 11일 |
휴게소 | 카멜, 카마트헨셔 주 |
국적 | 웨일스어 |
교육 | 애버리스트위스 대학교, 시애틀 대학교, 콜로라도 주립 대학교 푸에블로 |
직업 | |
고용주 | 노스웨스턴 석탄 및 코카콜라, 미국 해군, 콜리어콜리에 |
로 알려져 있다. | 영향력 있는 수필가 및 경제학자 |
배우자 | 노엘레 프렌치 |
상위 항목 | 토마스 데이비스와 엘렌 (네 윌리엄스) |
D. J. 데이비스로 알려진 데이비드 제임스 데이비스(1893~1956)는 웨일스의 경제학자,[1] 산업가,[2] 수상자 수필가,[1] 작가,[1] 정치운동가, 조종사,[2] 국제주의자였다.[1] 데이비스는 웨일즈로 돌아가기 전 세계 여행자였다.
처음에 암만포드 지역의 웨일스 노동당의 창당 멤버였던 그는 1925년에 웨일스의 민족주의 정당인 플라이드 심루의 창당 멤버가 되어 노동당을 떠났다.[1]
역사학자 존 데이비스에 따르면 제2차 세계대전에 이어 장기적 플라이드 사이므루 이데올로기를 형성하는 데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은 D. J. 데이비스의 사상이었고, 데이비스는 웨일스 민족주의 역사에서 손더스 루이스와 같은 "같은 [a]의 의미 있는 인물"이었지만, 루이스의 "찬란하고 카리스마 있는 호소력"이었다. 1930년대의 Plaid Genedlaethol Cymru와 함께.[2][3][4]
초년기
D. J. 데이비스는 1893년 6월 2일 웨일스주 카마텐셔주 카멜에서 광부 토마스 데이비스와 엘렌 데이비스(네 윌리엄스)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다.[1] 지역 학교에 다닌 후, 데이비스는 14살에 몇몇 광부들과 배리 부두에서 일하기 시작했다.[1] 오랜 시간 일했지만, 데이비스는 저녁 수업을 듣고 통신 강좌를 통해 교육을 계속했다.[1]
세계여행자
1912년 데이비스는 캐나다로 이민을 갔고 그 후 미국으로 이주하여 광산에서 일했다.[1] 데이비스는 콜로라도 주 스팀보트 스프링스에 있는 노스웨스턴 석탄 및 코카콜라 회사의 공동 설립자였다. 존 데이비스 D. J. 데이비스 교수는 "색깔이 있는 인물"이라며 "복싱선수가 돼 콜로라도 주립대 푸에블로 등을 거쳐 워싱턴 시애틀대에서 법학을 공부했다"고 썼다.[1][2][3][4]
그의 연구를 따라, 데이비스는 아시아를 여행했고, 일본과 중국에서 시간을 보냈고, 미국으로 돌아가 1918년에 엔지니어 겸 조종사로 미국 해군에 입대했다.[1][2] 존 데이비스 교수에 따르면 영국군이 아닌 데이비스의 미군 입대는 "영국 육군 장교들의 계급에 얽매인 태도에 대한 항의였다"고 한다.[4]
데이비스는 1919년 미 해군으로부터 휴가를 떠나던 중 웨일즈로 돌아와 란디비에서 광부로서 일하다가 사고로 중상을 입었다.[1] 1920년까지 데이비스는 이듬해 그의 무력화 이후 미 해군에서 제대했다.[1]
정치 활동가
데이비스는 사고로 인한 "강제적인 여가" 동안 "경제학, 정치학, 그리고 노동자 계층 운동의 역사"[1]를 연구했다고 한나 토마스 박사가 썼다. 사회주의 정치운동에 휘말린 데이비스는 카마트헨셔 암만포드 지역에서 노동당의 창당 주역이 되었다.[1]
1924년 데이비스는 엘시노레에 있는 국제인민대학과 베스비르크에 있는 민속고등학교를 다니기 위해 덴마크를 여행했는데, 그 곳에서 "사회주의와 민족주의의 관계에 대한 데이비스의 태도가 완전히 바뀌었다"고 박사는 말했다. 토마스[1]
"[데이비스는] 진정한 국제주의는 자유 국가들간의 협력에 바탕을 두고 있는 반면 웨일스 노동계급의 발전은 자유 웨일즈에서만 확보될 수 있다고 믿게 되었다. 이러한 관점은 1925년 웨일스 민족당(현재의 Plaid Cymru)이 창설되기 몇 달 전 웨일스에 민족주의 운동의 존재를 알지 못한 채 표출되었다. 그는 덴마크에서 설득력 있는 민족주의자로 돌아와 노동자들 스스로 생산수단의 소유권과 통제를 맡긴 경제협력에 찬성했다."Ceinwen Hanna Thomas[1] 박사
덴마크에서의 데이비스의 경험 중, 작가 Siôn T. Jobbins는 "그 작은 나라의 통치 능력에 감명을 받아, 독립 노동당의 한때 당원이었던 사람이 1924년 웨일스 민족주의자로 웨일스로 돌아왔다"고 썼다.
덴마크의 민속 고등학교에서 영감을 받아, 데이비스와 국제인민대학에서 만났던 그의 새로운 아일랜드 신부 노엘 프렌치는 그곳에 민속 고등학교를 설립하기 위해 아일랜드로 이사했다.[1]
하지만, 1925년까지 그들의 시도는 성공하지 못했고, 그 커플은 데이비스가 당시 UCW(University College of Wales)로 알려진 애버리스트위스 대학에 다녔던 애버리스트위스로 이사했다.[1] 또한 그 해 데이비스는 노동당에서 사임하고, 후에 Plaid Cymru로 알려진 새로 결성된 Plaid Genedlaethol Cymru의 창립 멤버가 되었다.
데이비스는 1928년 경제학 학사, 1930년 예술 석사, 1931년 철학 박사 등으로 UCW, 애버리스트위스를 졸업했다.[1] 데이비스는 1930년, 1931년, 1932년, 1934년 웨일스의 국가 에르스테드포드에서 경제와 정치에 관한 수필로 연달아 상을 받았다.[1] 데이비스의 경제 에세이는 특히 미국 대통령 프랭클린 D에 의해 영감을 받았다. 데이비스 박사에 따르면 루즈벨트의 뉴딜정책은 "1년 내내 우울증에 시달리는 웨일스의 재생을 위해 그가 제안한 모델은 테네시 밸리 당국의 일이었다"고 한다.[4]
1932년 데이비스와 그의 아내는 다시 덴마크 전통의 민속학교 설립을 시도했고, 몬머스셔의 길워른에 있는 팬티빌로 저택을 샀다.[5] 그러나 이 시도는 결국 성공하지 못했다.[1]
데이비스는 플라이드 심루 내에서의 참여를 증가시켜, 다른 주류 웨일스 및 영어 출판물에 글을 쓰는 것뿐만 아니라 경제 및 정치 연구자로서, 팸플릿과 이 운동의 간행물에 기고하는 기고자로써 기여했다.[1]
그러나 데이비스와 다른 좌익인 플라이드 심루 회원들은 플라이드 대통령 손더스 루이스에 의해 점점 더 불만스러워졌다.[3] 데이비스는 루이스의 경제정책, 루이스의 자본주의와 사회주의 거부에 반대했고, 1938년 당대회에서 데이비스를 비롯한 좌파 의원들은 루이스의 '퍼첸티에스(perchentyaeth)' 개념을 단호히 거부했는데, 이것은 '대중간에 재산을 분배하는 정책'[3]이다. 게다가 데이비스와 많은 좌익 성향의 플라이드 회원들은 "무솔리니와 프랑코에서 덕을 보는 (루이스와 같은) 저명한 당원들의 독서"[3]에 크게 불쾌해했다. 1939년 루이스는 웨일스가 로마 가톨릭 신자의 지도력을 받아들일 준비가 되지 않았다는 이유로 플라이드 심루 대통령직을 사임했다.[3]
데이비스는 영어권 웨일스 공동체의 참여에 찬성하며 웨일스의 영토 보전을 강조했다. 데이비스는 모방할 모델로 스칸디나비아 국가를 지목했고, 웨일스 자치정부의 경제적 함의에 적극적이었다.[3]
1953년 한때 공화주의자였던 데이비스는 Y 패너 출판물에 웨일스 입헌 군주를 강력히 지지하는 기사를 썼다.[2] 1958년 그의 저서 Walese Freedom에서 사후에 영어로 출판된 Davies는 독립된 웨일스가 웨일스 국민의 애정과 충성을 불러일으키고 웨일스 주권을 합법화하는 웨일스 입헌 군주제에 의해 더 나은 서비스를 받을 것이라고 주장했다.[2]
그는 세습적인 입헌 군주라면 정당정치보다 웨일스 국가 정체성을 구현하고 의인화한다고 주장했고, 정당들은 덴마크, 노르웨이, 네덜란드의 그것과 유사한 의회제도로 정부를 구성했다.[2] 데이비스는 웨일스의 왕좌에 외국 왕자를 초대하기보다는 웨일스 토착 귀족 가문의 승진을 주장했다.[2] 배려의 기준 중, 데이비스는 그 가족이 웨일즈 생활에 기여하고 웨일스에 거주해야 하는 이력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2]
1950년대에 데이비스와 그의 아내 노엘레는 몬머스셔의 법적 지위에 관한 분쟁에 대해 깊이 우려하게 되었다. 몬머스셔의 법적 지위에 관한 분쟁은 일부는 웨일즈의 일부인 반면 다른 일부는 영국의 일부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그들은 그것이 항상 웨일즈의 필수적인 부분이었다는 것을 증명할 기회를 잃지 않았다"고 박사는 썼다. 토마스[1]
죽음
D. J. 데이비스는 1956년 10월 11일 사망했고 카마트헨셔의 카르멜 묘지에 묻혔다.[1]
에세이와 참고 문헌 목록
엄선된 에세이
- 1800년 이전의 사우스 웨일스의 경제사(1933년 작성)
- 웨일즈는 자치정부를 감당할 수 있을까? (Noelle Ffrench Davies, 1938년 및 1947년)
- 시모에드 탄 그와블 (Noelle Ffench Davies, 1938년)
- 마스나흐 디위디안트(1946)
- 웨일스 Must Have a Kingdom (1953, 1958)
선택된 참고 문헌 목록
- 웨일스 자유 쪽으로 (1958)
참조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q r s t u v w x y 웨일스 국립도서관, 웨일스 전기 온라인, 2009년 2월 16일 추출
- ^ a b c d e f g h i j 왜 웨일스 왕실은 아닌가? 2008년 1월 캠브리아 잡지 Si sin T Jobbins에 의해 쓰여졌다.
- ^ a b c d e f g 존 데이비스, 웨일스의 역사, 591, 592페이지
- ^ a b c d 존 데이비스, 웨일스, 아메리카
- ^ "Monmouthshire County/ Sir Fynwy websit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7 February 2012. Retrieved 19 February 2009.
- Davies, John (1994). A History of Wales. New York: Penguin. ISBN 0-14-014581-8.
- Davies, John (2001). Wales and America. Gallia County, Ohio: North American Journal of Welsh Studies, Vol. 1,1.
- 웨일스 국립도서관; 웨일스 전기 온라인, Ceinwen Hanna Thomas 박사, 박사, 2009년 2월 16일 추출
- Jobbins, Siôn T. (January 2008). Why Not a Welsh Royal Family. Cambria magaz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