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비드 맥아더

David Macarthur
데이비드 맥아더
교육하버드 대학교(PhD), 시드니 대학교(BA, 1급 Hons)
시대21세기 철학
지역서양철학
학교분석(훈련), 사후분석철학, 실용주의, 회의주의
기관시드니 대학교
논문회의적 사유와 내면의 경험: 외부세계문제에 대한 재조명 (1999)
박사 자문위원스탠리 케이벨, 힐러리 퍼트넘, 워렌 골드파브
박사과정생Shane Waugh, Ryan Wittingslow, Tristan Haze, Blaze Prentice-Davidson, Oliver Gordon, Dan Pash, Catherine Wesselinoff, Winston Leung
주요 관심사
회의론, 형이상학적 조용한주의, 실용주의, 자연주의, 예술철학
주목할 만한 아이디어
형이상학적으로 조용한 자유주의적 자연주의, 상상력이 풍부한 예술관.

데이비드 맥아더는 주로 회의론, 형이상학적 조용한주의, 실용주의, 자유주의적 자연주의예술 철학(특히 영화, 사진 및 건축)에 대해 연구하는 호주 철학자이자 시드니 대학의 철학 교수입니다. 그는 스탠리 카벨, 힐러리 퍼트넘, 리처드 로티, 루트비히 비트겐슈타인의 철학에 대한 기사에서 이것들과 다른 주제들을 다루었습니다.

시드니 대학교에서 의학 학위(M.B.B.S., 1988)와 B.A.(1991, 1급 혼스 및 대학 메달 수여)를 마친 후, 그는 1999년 스탠리 카벨, 힐러리 퍼트넘, 워렌 골드파브의 지도 아래 하버드 대학교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수여받았습니다. "회의적 이유와 내면의 경험: 외부세계의 문제에 대한 재조명"이라는 논문과 함께.[1] 그 후 터프츠 대학교(1999–2000)에서 가르쳤고, 맥쿼리 대학교(2000–2003)에서 박사 후 연구 펠로우십을 시작했습니다.[2][3][4] 2003년부터 시드니 대학교의 철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습니다.

마리오 드 카로(Mario De Caro)와 함께 맥아더는 과학적 자연주의의 대안으로 자유 자연주의(liberal naturalism)라고 불리는 새로운 형태의 자연주의를 개발했습니다. 이는 현대 영미 철학 내에서 어떤 형태로든 정통입니다.[5][6][7] 주로 힐러리 퍼트넘(Hilary Putnam), 존 맥도웰(John McDowell) 및 찰스 테일러(Charles Taylor)에게서 영감을 받은 자유주의적 자연주의는 세계의 과학적 이미지로 명백한 이미지의 도매 셀라르(Sellarsian) 제거 또는 대체를 극복하려고 시도합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맥아더는 형이상학적으로 조용한 자유주의적 자연주의를 옹호하며, 특히 사람, 언어, 예술, 인공물 및 서로의 다양한 관계와 관련하여 비과학적인 비초자연적 형태의 이해의 실행 가능성과 중요성을 긍정합니다.

예술 철학에서 맥아더는 예술작품이 고정적이고 독특한 의미나 메시지를 가지고 있다는 견해에 반대합니다. 그는 예술이 아무런 의미 없이 의미가 있다는 것에 따라 예술에 대한 상상적 관계적 관점을 옹호합니다.

책들

편집된 볼륨

  • 맥아더, 데이비드와 데 카로, 마리오 (Eds.) (2022). 자유주의 자연주의 관한 규칙 핸드북. 런던: 루틀리지.
  • 맥아더, 데이비드와 헤더링턴, 스티븐(Eds.) (2022). 살아있는 회의론. 레이든: 브릴.
  • 맥아더, 데이비드와 데 카로, 마리오 (Eds.) (2022). 대화로서의 철학: 힐러리 퍼트넘. 케임브리지, MA: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 맥아더, 데이비드 (Ed.) (2017). Hilary Putnam & Ruth Anna Putnam, 삶의 방식으로서의 실용주의: 윌리엄 제임스와 존 듀이 지속되는 유산. 케임브리지, MA: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 맥아더, 데이비드와 데 카로, 마리오 (Eds.) (2012). 힐러리 퍼트넘: 과학 시대의 철학: 물리학, 수학 그리고 회의론. 케임브리지, MA: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 맥아더, 데이비드와 데 카로, 마리오 (Eds.) (2010). 자연주의와 규범성.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 출판부.
  • 맥아더, 데이비드와 데 카로, 마리오 (Eds.) (2004). 문제의 자연주의. 케임브리지, MA: 하버드 대학교 출판부.

조문(선택)

  • 맥아더, 데이비드 (2020) "로티와 (종말) 형이상학 (?)" 리처드 로티의 블랙웰 동반자에서 앨런 말라초프스키 (ed. 런던: 와일리 블랙웰.
  • 맥아더, 데이비드 (2019) "현실의 어려움, 회의론 및 도덕적 공동체: "캐벨에 다이아몬드 뒤의 발언." Andrew Gleeson & Craig Taylor(eds.) 현실적인 정신으로 철학을. 런던: 루틀리지, 176-193.
  • 맥아더, 데이비드 (2017) "예술에 관한 위트겐슈타인" 아나트 마타르에서 (ed.) 비트겐슈타인의 이해, 모더니즘의 이해 런던: 블룸스버리, 258-266.
  • 맥아더, 데이비드 (2017) "맹인의 비전: 블레이더너와 도덕적 구원" 영화-철학: 영화 윤리에 관한 특별호. Ed. Robert Sinnerbrink, vol. 21 No. 3: 371–391.
  • 맥아더, 데이비드 (2016) "형이상학적 정숙주의와 일상" In G. D’Oro & S. 오버가드(eds.), 케임브리지 철학 방법론의 동반자. 캠브리지: 캠브리지 대학 출판부, 270-296.
  • 맥아더, 데이비드 (2014) "주체 자연주의, 과학주의와 언어적 의미의 문제: 프라이스의 '대표주의 없는 자연주의'에 대한 비판적 발언" 아니시스(스페인), vol. 1 No. 1: 69-85.
  • 맥아더, 데이비드 (2014) "회의주의에 대한 동굴과 모르는 것의 중요성" 대화: The Journal of Cavellian Studies, No. 2, (2014): 2-23, https://uottawa.scholarsportal.info/ojs/index.php/conversations/issue/view/222
  • 맥아더, 데이비드 (2010) "인간과학을 진지하게 받아들이다" De Caro, M. & Macador, D. (eds.), 자연주의와 규범성. 뉴욕: 컬럼비아 대학교 출판부, 123-141.
  • 맥아더, 데이비드 (2008) "실용주의, 형이상학적 정숙주의와 규범성의 문제", 철학적 주제, 36권, 1번: 193-207.
  • 맥아더, 데이비드 & 프라이스, 휴(2007) "실용주의, 준현실주의와 글로벌 도전" 다. 미삭(에드), 뉴 프래그머티스트. 옥스포드: 옥스퍼드 대학 출판부.
  • 맥아더, 데이비드 (2003) "맥다웰, 회의론과 '인식의 베일'", 오스트랄라시아 철학 저널, vol. 81:175-190.

참고문헌

  1. ^ [1]월드캣북페이지,
  2. ^ "Staff Profile".
  3. ^ "David Macarthur".
  4. ^ "David Macarthur the University of Sydney - Academia.edu".
  5. ^ "Liberal Naturalism". The Cambridge Dictionary of Philosophy, 3rd Edition, Audi, R. (ed.). Cambridge, UK: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5. ISBN 9781107643796.
  6. ^ Rouse, Joseph. "Review of Gasser, G. (ed.) How Successful is Naturalism?". Notre Dame Philosophy Review. Retrieved 20 October 2019.
  7. ^ Smith, Benedict. "Review of De Caro, M. & Macarthur, D. (eds.), Naturalism and Normativity". Notre Dame Philosophy Review. Retrieved 20 October 20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