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비드 당거즈
David d'Angers다비드 당거즈 | |
---|---|
![]() | |
태어난 | 피에르장 다비드 1788년 3월 12일 앵거, 프랑스 |
죽은 | 1856년 1월 4일 프랑스 파리 | (67세)
국적. | 프랑스어 |
직업 | 조각가 겸 메달리스트 |
피에르장 다비드(Pierre-Jean David, 1788년 3월 12일 ~ 1856년 1월 4일)는 프랑스의 조각가, 메달리스트, 프리메이슨으로 활동했습니다.[1] 그는 1809년 화가 자크 루이 다비드의 작업실에 들어간 후 그의 가부장적인 모습을 표현하고 그 자신을 거장 화가와 구별하기 위한 방법으로 다비드 당거즈라는 이름을 채택했습니다.
전기

그는 1788년 앵거스에서 태어났습니다. 그의 아버지는 나무 조각가이자 장식 조각가였는데, 그는 자원한 공화국군에 머스킷총병으로 합류하여 라방데의 초앙에 맞서 싸웠습니다. 그는 장자크 들뤼세의 스튜디오에서 공부했고 1808년에는 파리로 가서 필리프 로랑의 스튜디오에서 공부했습니다.
파리에 있는 동안 그는 개선문과 루브르 박물관의 외관 모두를 작업했습니다. 1810년 그는 오트리아데스로 에콜 데 보자르(Ecole des Beaux-Arts)에서 2등상을 받는 데 성공했습니다. 1811년 다비드의 라 둘뢰르는 에콜의 에파미논다스(Epaminondas)로 로마상(Prix de Rome)을 수상했고, 1811년에는 에콜의 에파미논다스(Epaminondas)로 로마상(Prix de Rome)을 수상했습니다. 그는 로마에서 5년을 보냈고, 그 기간 동안 안토니오 카노바의 스튜디오에 자주 드나들었고, 이탈리아를 돌아다니며 베네치아, 나폴리, 피렌체를 여행했습니다.
로마에서 돌아온 다비드 당거는 튈르리 가문 근처에 머물지 않았고, 대신 런던 여행을 선택했습니다. 여기서 존 플랙스먼과 다른 사람들은 그를 화가 다윗의 정치적 죄에 대한 과제로 데려갔는데, 그와 잘못 연관되어 있다고 여겨졌습니다.
그는 매우 어렵게 다시 파리로 향했고, 그곳에서 비교적 번창한 경력이 그의 앞에 열렸습니다. 그의 메달과 흉상은 기념비적인 작품들에 대한 주문뿐만 아니라 많은 요청이 있었습니다. 그 중 가장 유명한 것은 스트라스부르크에 있는 구텐베르크의 것이었지만, 그 자신이 가장 소중하게 여겼던 것들은 라벤데 전쟁에서 죽을 때까지 그의 드럼을 계속 연주했다고 알려진 드러머 소년인 바라(요셉 바라)의 동상과 그리스 해방가 마르코스 보타리스의 기념비였습니다.

다비드의 흉상과 메달들은 매우 많았고, 그의 시터들 중에는 프랑스의 유명한 남녀들뿐만 아니라, 그가 1827년과 1829년에 전문적으로 방문했던 영국과 독일의 많은 다른 나라들도 발견될 수 있습니다. 그의 메달 수는 500개가 넘습니다.
다비드의 명성은 판테온 신전을 위한 그의 소아 조각, 루브르에 있는 그의 대리석 상처 입은 필로포에멘, 그리고 페레 라체즈 묘지에 있는 자크-니콜라스 고베르 장군의 승마 기념비에 달려 있습니다. 고베르의 무덤 외에도, 그는 작가 호노레 드 발자크와 의사 사무엘 하네만의 청동 흉상을 포함한 7개의 다른 무덤을 위해 조각을 했습니다.
다비드 인 앵거스 미술관은 그의 작품들을 거의 사본 형태나 원형 형태로 모아 놓은 것입니다. 그의 인품을 보여주는 한 예로 마르세예즈 찬송가의 저자인 루제 드 릴의 병상으로 급히 가서 지체 없이 모형을 만들어 대리석으로 조각하고, 작품의 복권을 만들어 수익금이 필요한 극단의 시인에게 보낸 것을 들 수 있습니다.
그리스 해방자 마르코스 보타리스의 기념비인 '그리스 부활'에 대해 빅토르 위고는 "세상에서 이보다 아름다운 것을 보는 것은 어렵습니다; 이 조각상은 페이다스의 웅장함과 푸제의 표현적인 방식을 결합합니다"라고 말했습니다.
박물관
- 다비드 앙거즈 갤러리, 미술관 드 보자르, 앙거즈
- 카르나발레 미술관
- 파리 비에로망티크 미술관
선택한 작품
- 그리스 해방자 마르코스 보타리스의 기념비, 그리스 부활
- 아르망 드 브리크빌 흉상
- 파리 데카르트 대학교 자비에 비챗 동상
- 파리 국립 임프리메리 구텐베르크 동상
- 다비드 당거의 무덤 - 페레 라체즈 묘지
- 앵거스의 옛 토생 수도원에 있는 다비드 당거스 박물관.
- 저명인사전람회
- 조지 워싱턴 (1828)
- 빅토르 위고 (1837)
- 콘스탄티노스 카나리스 (1852)
메모들
![]() |
- ^ 앵거스의 "Le Père de famille" 롯지에서 시작되었습니다.
참고문헌

- 귀속
- 공용 도메인에 있는 출판물의 텍스트를 통합합니다. Chisholm, Hugh, ed. (1911). "David, Pierre Jean". Encyclopædia Britannica. Vol. 7 (11th ed.).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862. 이 문서는 현재
참고 항목
- Pierre-Jean David d'Angers (프랑스어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