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소나이트
Dawsonite도소나이트 | |
---|---|
![]() 캐나다 퀘벡 주 몬테레기, 루빌 RCM, 몬테레기, 몬테레기에서 온 도소나이트 | |
일반 | |
카테고리 | 탄산염광물 |
공식 (기존 단위) | 나알코3(OH)2 |
스트룬츠 분류 | 5.BB.10 |
다나구분 | 16a.03.08.01 |
크리스털 시스템 | 정형외과 |
크리스털 클래스 | 디피라미달(mmm) H-M 기호: (2/m 2/m 2/m) |
스페이스 그룹 | 이맘 |
식별 | |
공식 질량 | 144.00 g/114 |
색 | 백색의 |
수정습관 | 캡슐화 또는 방사상 |
클라바주 | {110}에 완전한. |
골절 | 고르지 않은 |
모스 눈금 경도 | 3 |
루스터 | 유리성의 |
스트릭 | 백색의 |
발데인성 | 투명하다 |
비중 | 2.436 |
굴절률 | nα = 1.466 nβ = 1.542 nγ = 1.596 |
바이레프링스 | δ = 0.130 |
2V 각도 | 77° |
참조 | [1][2] |
도소나이트는 수산화나트륨 알루미늄 탄산수소나트륨, 화학 공식 NaAlCO3(OH)2로 구성된 미네랄이다. 그것은 정형외과적 결정 체계에서 결정된다. 그것은 광석을 채굴하지 않는다. 그것은 캐나다 몬트리올섬에 있는 맥길대학교 캠퍼스의 장석 제방에 Redpath Museum을 건설하던 중 1874년에 발견되었다.[1] 지질학자 존 윌리엄 도슨 경(1820–1899)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2]
활자 자료는 레드패스 박물관의 소장품 속에 보존되어 있다.[1]
참고 항목
- 광물 목록
- 사람의 이름을 딴 광물 목록
- 제산제로 사용되는 상용(인공) 형태인 디하이드록시알루미니 나트륨 탄산염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