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언법
Declaratory Act![]() | |
긴 제목 | 영국 왕실 및 의회에 대한 미국 내 영국영국의 의존성 증진을 위한 법률 |
---|---|
인용 | 6 Geo 3 c 12 |
소개자 | 찰스 왓슨-웬트워스 |
영역 범위 | 영국령 아메리카와 영국령 서인도 제도 |
날짜 | |
왕실의 동의 | 1766년 3월 18일 |
졸업식 | 1766년 3월 18일 |
기타입법 | |
에 의해 폐지됨 | 1964년 법령 개정법 |
상태: 해제됨 | |
원래 제정된 법령의 본문 |
이 기사는 영화 시리즈의 일부분이다. |
아메리카 혁명 |
---|
![]() ![]() ![]() |
![]() |
흔히 선언법이라고 알려진 1766년 미국 식민지법(6 Geo 3 c 12)은 1765년 우표법 폐지와 설탕법의 변경과 축소에 수반되는 영국의 의회법이었다. 의회는 보이콧이 영국 무역을 해치고 있기 때문에 우표법을 폐지했고 그 선언문을 폐지를 정당화하고 체면을 지키기 위해 사용했다. 이 선언문은 의회의 권한이 영국과 미국에서 동일하다고 명시하고 있으며, 미국 식민지에 구속력이 있는 법률을 통과시킬 수 있는 의회의 권한을 주장했다.
배경
다수의 13개 식민지 대표자들은 우표법 1765에 대응하여 우표법회의로 모여, 적절한 대표 없이 그들에게 세금을 부과할 수 있는 먼 권력의 권리를 문제 삼기 위해 모였다. 그 후 영국 의회는 그들의 법을 따르기를 거부하는 식민지와 마주하게 되었다. 이것은 식민지에서 일어났던 항의와, 아마도 더 중요한 것은, 식민지의 수입금지 협정으로 고통을 받고 있는 제조업자들로부터 영국에서 일어났던 항의와 결합되어,[2] 모두 우표법의 폐지로 이어졌다. 보통 식민지에서의 경제활동이 그렇게 격렬한 항의를 일으키지는 않았을 테지만, 영국 경제는 7년 전쟁 이후부터 여전히 전후의 불황을 겪고 있었다. 우표법을 폐지한 또 다른 이유는 우표법을 제정했던 조지 그렌빌 총리가 로킹엄의 찰스 왓슨-웬트워스 2세가 교체된 것이다. 로킹엄은 식민지에 대해 더 호의적이었고 게다가 그는 그렌빌이 제정했던 정책에 대해 적대적이었다. 로킹햄은 벤자민 프랭클린을 의회에 초청해 식민지 정책에 대해 연설했으며 그는 식민지 개척자들이 우표법과 같은 (내부 식민지 거래에서 파생된) 내부 세금에 반대한다고 묘사했다.[3] 이어 의회는 선언법 통과를 전제로 우표법 폐지에 합의했다. 1766년 3월 18일 의회는 우표법을 폐지하고 선언법을 통과시켰다.
선언법은 의회가 "미국의 식민지와 국민을 묶을 수 있는 충분한 힘과 타당성을 가진 법과 법령을 만들 수 있는 모든 권한과 권한을 가져야 한다"고 선언했다. 모든 경우에" 그 행동의 표현은 의도적으로 모호하지 않았다. 즉, 1766년의 선언적 법률은 식민주의자들이 의회에 대표되지 않았음에도 "모든 경우에" 식민지 정부에 법과 변화를 만들 수 있는 절대적인 힘을 의회가 가지고 있다고 주장했다.
반응
비록 의회의 많은 사람들이 이 조항에 세금이 포함되어 있다고 느꼈지만, 다른 국회의원들과 식민지 주민들 중 많은 이들은, 자신들의 정치적 승리로 본 것을 축하하느라 바빴다. 그러나 선언적 법률이 더 많은 행위가 올 것임을 암시했기 때문에 다른 식민지 주민들은 격분했다. 이 선언적 법은 아일랜드가 왕위에 속박되는 위치에 놓이게 한 아일랜드 선언적 법으로부터 거의 한 마디로 베껴져, 13개 식민지에 같은 운명이 올 것임을 암시했다.[4] 그러나 식민주의자들은 그것의 폐지를 절대 명시적으로 요구하지 않았고, 마지막 순간까지 왕관과의 화해를 모색할 것이다.[5]
정치 이론가인 에드워드 밈스는 선언적 법에 대한 미국의 반응을 다음과 같이 묘사했다.
1766년, 지금 까지 무제한적이고 제한 불가능한 의회주권주의 원칙에 의거한 이 현대화된 영국 의회가 의회다수가 적합하다고 판단되는 어떤 법이라도 통과시킬 수 있다는 선언을 발표했을 때, 그것은 식민지에서 공포의 외침을 받았다. 매사추세츠의 제임스 오티스와 사무엘 아담스, 버지니아의 패트릭 헨리와 해안가의 다른 식민지 지도자들은 "트레이슨"과 "마그나 카르타"를 외쳤다! 그들은 그러한 교리는 영국 조상들이 싸웠던 모든 영국 조상의 본질을 허물고 영국의 현자들과 애국자들이 죽었던 그 훌륭한 앵글로색슨 자유에서 바로 그 음욕을 앗아갔다고 주장했다.[6]
후속 개발
1783년 미국의 독립에 대한 영국의 인정에도 불구하고, 선언법은 대영제국의 남아 있는 서반구 식민지에 대한 효력을 유지했다. 이 법은 1964년까지 폐지되지 않았으며, 그 무렵까지 서인도제도의 남아 있는 소수의 영국 식민지는 의회의 권한에 따라 명시적으로 부여된 헌법(특히 서인도법 1962년)에 따라 통치되었다. 그러나 1778년 식민지의 과세법이 미국 혁명 중에 통과된 이후, 영국 의회는 다시는 식민지의 어느 곳에도 직접 세금을 부과하려고 시도하지 않았다(오늘날 영국의 해외 영토로 알려져 있다). 대신 영국 정부는 제국 방어를 위한 식민지 기부의 필요성을 인식할 때마다(20세기 초 영독 해군 군비 경쟁 기간 중 일어난 일 등) 식민지 정부 스스로 그러한 기부를 할 것을 호소했으며, 성공 수준은 다양했다.
참고 항목
참조
- ^ 이 짧은 제목에 의한 이 법의 인용은 1896년 「단편 제목법」의 제1절 및 제1절에서 승인되었다. 그러한 조항들의 폐지로 인하여 현재 1978년 해석법 제19조 제2항에 의해 승인되었다.
- ^ "American Revolution: Prelude to Revolution". The History Place.
- ^ "Benjamin Franklin's Examination Before the House of Commons, 1766". Americana: Brief Inspirational Stories from American History.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March 11, 2009.
- ^ "Gale Encyclopedia of US History: 1766 Declaratory Act". Answers.com.
- ^ Richard Frothingham. The Rise of the Republic of the United States. Little, Brown. p. 428.
- ^ 에드윈 밈스 주니어, The Major of the People(뉴욕: Modern Age Books, 1941), 페이지 71.
외부 링크
![]() | Wikisource는 이 기사와 관련된 원본 텍스트를 가지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