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니스

Denis of Hungary
데니스
come de Cepeз
운하크레스핀군주
통치.1249–1268/72
전임자창조.
후계자아모르 디오니
태어난c. 1210
죽은1268/72
귀족 가문 헝가리:앰퍼드의 친족 또는
겐스 반차(?)
아라곤: 디오니(디오니시)
배우자마르가리다 드 카브레라
쟁점.아모르
가브리엘
그라시아
찰스
엘리자베스.
마가렛
피터(로더머)
조르다나
아버지.앰퍼드의 아들 데니스나
오르바시 반차(?)

헝가리의 데니스(라틴어:디오니시우스웅가리아(헝가리):마자르사기 데네스(아라곤어):디오니스 동리아, 카탈로니아:디오니시오 데 훈그리아 (1210년경–1268/72년)는 13세기 헝가리 태생의 아라곤 기사이자 귀족이다.헝가리 왕국의 유명한 가문에서 태어난 그는 1235년 헝가리 여왕 비올란트를 아라곤 왕국으로 안내했고, 그곳에서 정착하여 레콘키스타 기간 동안 아라곤의 제임스 1세를 충실히 섬겼다.지역 엘리트에 통합된 데니스는 저명한 디오니(디오니시) 귀족 가문의 조상이었습니다.발렌시아의 운하에는 그의 이름을 딴 거리가 있다.

기원설

헝가리의 족보학자 무르 베르트너는 19세기 말 최초의 학자로, "헝가리의 데니스"와 경제 정책을 책임지고 헝가리의 앤드루 2세 통치 기간 동안 대규모 금융 개혁의 핵심 설계자로 활동한 앰푸드의 아들인 저명한 영주 데니스를 연관시켰다.그는 그들을 서로 동일시했다.베르트너에 따르면, 1235년 벨라 4세가 헝가리 왕위에 오른 후, 왕실에서 평판이 나빠진 데니스는 1235년 그의 "친척"인 비올라트(또한 욜란다)를 아라곤 왕국으로 호위했고, 그곳에서 그녀는 아라곤 [1]왕 제임스 1세의 왕비가 되었다.

학자 이론에 따르면 스테판 반차 추기경은 헝가리-아라곤 기사 데니스의 형제였다.

그러나 토레 마조레카르멘 미제라빌레따르면, 앰푸드의 아들인 데니스는 대관식 직후 벨라 4세에 의해 눈이 멀었고, 이듬해 포로로 죽었다.아라곤 왕실을 섬긴 데니스가 1268년에도 살아있었다는 사실도 앰푸드의 아들 데니스와 동일시 할 수 없다.따라서, 역사학자 사볼치 드 바제이는 데니스가 1231년에서 1234년 사이 또는 1235년 사이에 의 아버지처럼 이름을 딴 아들을 두었다고 주장했다(그의 딸 엘리자베스의 묘비에 새겨진 글에 따르면, 데니스는 그의 첫 번째 공직 소유자로 알려진 "comes de Cepe""로 스타일링되었다.헝가리의 [2]불명예바제이는 왕실의 주요 거주지이자 사냥 [3]숲인 체펠 섬에 대한 "Cepe ""의 예전 준수 노력을 거부했다.따라서 그는 1235년 그의 여왕과 함께 아라곤으로 망명했고 그의 아버지가 벨라 왕의 정치적 숙청의 희생자가 된 후, 그가 헝가리로 돌아올 희망은 없었다.이 "Comes Dionysius"는 현대 아라곤어 [2]문서에서 비올란트 여왕의 친척으로 언급되었습니다.그의 아버지로 알려진 앰푸드의 아들인 데니스는 헝가리 왕실의 친척이었다: 그는 앰푸드 2세의 아들이었고 안데크 백작 베르톨드 3세의 신원을 알 수 없는 이었다.모계 혈통을 통해 데니스는 베르톨드 4세의 딸이자 헝가리의 안드레 2세의 첫 번째 배우자인 메르니아의 게르트루드의 사촌이었다.비록 비올랑은 앤드류(그녀의 어머니는 쿠르트네의 욜란다)의 재혼에서 태어났지만, 이 이론에 따르면 여왕과 헝가리의 데니스 사이에는 혈연관계가 없었지만, 그 기사는 분명히 왕실의 [4]더 넓은 혈연관계에 속해 있었다.헝가리와 카탈로니아 역사학에서는 전반적으로 바제이의 [5][6]이론을 받아들였다.

헝가리의 역사학자 다니엘 바사티아이는 2018년 연구에서 기록 연구에 기초한 위 식별에 대해 이의를 제기했다.볼로냐 대학에 다녔던 어떤 성직자 샤를은 [7]1264년 스테판 반차 추기경의 조카로 언급되었고, 1269년 헝가리 백작 데니스의 아들이었다.그 결과, 바카티아이는 이 데니스가 반카 씨족에 속하고 앰푸드의 아들 데니스와 관련이 없다고 생각했다.따라서 데니스는 스테판 반차 추기경의 형제이자 오르바시 반차의 아들이었다.바카티아이는 데니스가 "comes de Cepe""로 불렸던 그의 딸 엘리자베스의 묘비에 새겨진 글귀가 반드시 세페스 카운티와 동일시 되는 것은 아니라고 주장했다.그는 또한 비올란트와 데니스 사이의 친족 관계에 대한 언급은 16세기 역사학자 제로니모 주리타[8]카스트로의 작품에서만 처음 등장한다고 주장했다.이전에 Bahncsa 추기경의 전기를 썼던 역사학자 Gergely Kiss는 Bacsatyai의 주장을 받아들였다.역사학자에 따르면 키스는 로마 교황청에서 반사의 가정(가족) 구성을 분석한 결과 이례적으로 스페인 국적의 성직자가 많은 것을 관찰했는데,[9] 이는 데니스와의 형제 관계 때문이기도 하다.

아라곤에서의 경력

제임스 1세는 1238년 10월 9일 발렌시아에 입성했다.

제임스 1세와 비올란트의 결혼식은 1235년 [10]9월 8일 바르셀로나의 세인트 울랄리아 성당에서 열렸다.바제이는 데니스가 죽기 직전에 나이 든 왕 앤드류 2세로부터 이베리아 [11]반도에서 막내딸을 호위하고 보호하는 임무를 맡겼다고 생각했다.데니스는 기사와 젊은 귀족들로 구성된 헝가리 파견대의 지도자로 등장하며, 여왕을 아라곤 왕국으로 호위한다.리파티멘트의 기록에 따르면, 몇몇 헝가리 기사들은 "데니스 백작" 외에 안드레아스 웅가루스, 마르티누스 웅가루스, R을 포함한 왕족 부부를 충실히 섬겼다.둥그리아, 요하네스 데 옹그리아, 이지디우스 데 헝가리아, 야코부스 데 필리스, 시몬 데 스트레고니아[에스테르곰] 모두 여왕의 [5][12]궁정에 속했다.

비올란트 여왕은 중요한 정치적 역할을 했고 왕의 가장 귀중한 조언자 중 한 명이었고, 그에게 강한 영향력을 행사했다.결혼식 직후 제임스 1세는 데니스에게 "베오"와 "아인"의 영지를 부여했다.역사가들은 이 땅들을 세라 데스파다 북쪽 경사면에 위치한 알쿠디아 데 베오와 아이인(현재의 카스텔론 지방)과 동일시했고, 두 영주는 아라곤과 발렌시아 [2]국경을 따라 전쟁을 준비하는 왕의 역할을 했다.데니스와 다른 헝가리 기사들은 1235년 이후 발렌시아와 그 주변 지역의 재탈환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마침내 발렌시아는 무어족에 대한 광범위한 전투 후 1238년 9월 28일 아라곤의 통치에 항복했다.제임스는 1238년 [2]10월 9일 그의 아내 비올란트와 함께 의기양양하게 도시에 들어갔다.데니스의 영지는 1244년 [13]1월 24일 영구 상속권(세금 면제 및 지역 고로와 방앗간 무료 사용)으로 확정되었다.Llibre del Repartiment에 따르면 재정복 후 헝가리 대표단원 몇 명이 발렌시아와 주변 정착촌에 토지, 주택, 오렌지밭을 허가받았다.그들 대부분은 아라곤의 여종업원과 결혼하여 지역 [12]귀족들과 통합되었다.

1235년에서 1249년 사이에 데니스가 봉건적인 영지로 소유했던 아인 성터

발렌시아가 함락된 후 데니스는 발렌시아 [14]주교 관저 근처에 있는 도시의 두 거리에 궁전을 개설할 수 있게 되었다.1249년 3월 24일, 제임스 왕은 지역 탑과 작은 마을을 받으면서 소유지 운하를 기증했고, 왕은 데니스와 그의 친척을 위해 세뇨리오토레 드 운하를 신설했다.데니스는 또한 크레스핀의 영주가 되었고, 아라곤 왕국을 위해 되찾은 알쿠디아 데 베오와 아인과 교환하여 크레스핀의 일부 소유주가 되었다.[13]운하와 크레스핀은 카놀레스 강의 비옥한 계곡에 놓여 있었다.두 번째 장소에는 데니스가 요새화된 터렛 [14]저택을 지었다.바제이는 압류된 재산이 군사적인 측면에서 전략적으로 중요하다고 생각했지만, 전쟁이 끝난 후 수익성이 떨어졌기 때문에, 교환은 데니스에게 유리하게 이루어졌고, 그의 새로운 영주권은 단순한 보상이 아니었다.역사학자는 그 이후로 데니스를 옹호하는 왕실의 자애의 표시는 계속 늘어나고 있으며, 수혜자는 아라곤 왕실의 [13]그의 힘과 영향력을 반영하는 많은 문서들을 매우 자주 언급하고 있기 때문에 헝가리 백작으로 지정되고 있다고 주장했다.데니스는 아라곤에서 성공적인 궁정과 군 경력을 추구했음에도 불구하고, 이전 조국을 지칭하는 그의 오래된 직함을 포기하지 않았고, 여전히 발렌시아와 [15]아라곤 왕국에 있는 그의 새로운 영지보다 더 자주 자신을 "헝가리 백작"으로 치장했다.데니스는 1251년에 사망한 그의 후원자이자 부인인 비올란트 여왕보다 수십 년 더 오래 살았다.그는 1265년과 1268년에도 살아있었지만, [14]1272년 사망자로 언급되었다.1276년 그의 미망인 및 자녀들과의 유산에 관한 합의문제는 현대 기록에 나타나 있다.[15]

후예

데니스는 비올란트 여왕의 시중을 드는 여자이자 카탈로니아의 영향력 있는 카브레라 가문의 일원인 마르가리다 드 카브레라와 결혼했다.그녀는 카브레라 자작 게로 5세와 라모나 드 몽카다의 딸이었다.이 결혼을 통해 데니스는 즉시 카탈로니아 귀족의 상류층으로 올라갔다.예를 들어, 그는 통치하는 게로 6세 자작앙레스의 영주인 라몽카브레라의 처남이 되었다.그의 시누이 게라우아는 몽클루스 남작 윌리엄 2세와 결혼했다.마르가리다의 삼촌은 폰세 1세, 우르겔 백작이었고 그녀의 사촌은 에르멘골 9세와 알바[15]백작이었다.

이 결혼으로 4명의 아들과 4명의 딸이 태어났고, 그들은 아버지의 이름을 따서 디오니(Dionisi) 성을 따왔고, 이는 헝가리 [14]전통으로 거슬러 올라간다.Szabolcs de Vajay에 따르면, 디오니스 가문은 1974년 1월 31일 남성 가계에서 멸종했다.가족의 마지막 멤버인 Angel Dionis Cormann은 Renfe Operadora[14]지방 공무원으로 고용되었습니다.

데니스의 딸 엘리자베스의 무덤으로 아버지의 이름과 직함이 보존된 크루셀의 산 미켈 수도원에 있다.

데니스의 장남은 아모르였다.그는 1274년 6월 피스토이아의 [16]상인들과 무역을 할 때 이탈리아를 방문했다.아라곤의 페드로 3세는 1276년 [15]2월 3일 운하와 크레스핀의 영지를 확정했다.1278년 4월 25일 문서에 따르면, 아모르는 그의 개인적인 필요를 위해 30,000명의 발렌치안 수당을 얻었고, 40명의 기사들이 왕을 섬기게 했는데, 이는 그의 높은 사회적 [17]지위를 반영한다.그는 1283년 [17]타라조나에서 페드로 3세에게 충성을 맹세한 왕국의 귀족들 중 한 명이었다.아모르와 그의 동생 가브리엘은 1286년 [17]마요르카이비자를 정복하는 동안 알폰소 3세와 동행했다.하지만, 그들이 1287년 아라곤 연합에서 활동한 직후에, 군주는 귀족들의 권리와 자유를 [18]보장하도록 자극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아모르는 1288년 [17]엠포다를 위해 마요르카 왕국과 전쟁에 참가했다.아모르는 1289년에 [17]왕의 고문들 사이에서 언급되었다.외교 사절의 과정에서, 아모르는 1291년 사망한 아버지의 고향인 헝가리 왕국으로 보내졌고, 그곳에서 그는 새로운 군주 제임스 [16]2세를 대신하여 헝가리의 앤드류 3세와 협상하였다.헝가리 국왕의 재정적 지원에도 불구하고 호화로운 여행은 아모르를 심각한 빚더미에 앉혔다.파두아로 돌아오는 길에 그는 대학에서 헝가리 학생들과 빚 계약을 맺어야 했는데, 이는 [16]1296년에도 불평불만으로 해결되지 않았다.그의 생이 끝날 무렵, 아모르는 여러 방면에서 빚을 졌고, 많은 경우 채권자들은 왕실의 [17]개입을 신청했다.1301년 5월 23일 그는 아직 살아 있었고, 그의 거주지 [14]운하에서 야고보 2세에게 카탈로니아어로 쓴 탄원서를 보냈다.그의 아들은 야고보 2세의 허락을 받아 1309년 10월 13일 재스퍼트 5세카스텔누에게 10만 5천 발렌치아 수스의 영지를 팔았고, 그래서 아모르는 그때 죽었다.제임스가 아버지의 막대한 빚을 물려받았고 따라서 이 절차를 [17]밟을 수밖에 없었다는 것은 그럴듯하다.

차남 가브리엘은 1279년에 나바레스의 영주로 칭해졌다.그는 1280년에 [19]자신의 땅을 둘러싼 소송에 휘말렸다.그는 앞서 언급한 1286년 이비자와 마요르카 정복에 참여했고, 1287년 [19]아라곤 연합 정치 운동에 참여했다.연합은 그에게 비아르 성을 유지하도록 위임했고, 나중에 제임스 2세가 이 성을 차지했고 1291년 [19]제임스 1세의 친아들인 그의 삼촌 페드로 페르난데스히하르에게 넘겨주었다.그 후, 가브리엘은 자료에서 사라졌고 [19]1309년 사망자로 언급되었다.가브리엘은 그 [19]해에 운하를 매각함으로써 이득을 본 정체불명의 딸과 우라카 시메네즈 드 [19]마르테스와의 혼외 관계에서 태어난 피터 로도머라는 친아들이 있었다.그의 사생아임에도 불구하고, 교황 클레멘스 5세는 그가 기사단[16]일원이 되는 것을 허락했다.그는 1327년 [16]9월 제임스 2세에게 자신의 정당성을 인정받기 위해 성공적으로 청원했다.

데니엘 바카티아이에 따르면 데니스의 또 다른 아들은 찰스였다.교황 우르바노 4세가 삼촌 스테판 반차 추기경의 요청에 따라 그를 베로나의 성당으로 임명했을 때, 그는 이미 1264년 3월에 에스테르곰의 성당이었습니다.그는 1268년에 볼로냐 대학에 다녔다.그는 1270년에 하젠틀린크 대학 지부의 교장으로 일컬어졌지만, 실제로 그가 이 교회 [7]직책을 차지한 적은 없을 가능성이 있다.그가 1280년 [16]전에 죽은 것은 그럴듯하다.데니스의 네 번째 아들은 피터 로도머였다.그의 이중 이름은 아마도 그의 [16]혼외출신일 것이다.그는 1268년부터 1270년까지 볼로냐 대학에 다녔고 쿠엔카 주교 페드로 로렌시오의 스페인 수행원 소속이었다.그는 1270년 [20]1월에 지로나 성당의 수도사였다.그는 1275년 [16]1월 24일에 이 자격으로 사망했다.

데니스와 마르가리다의 결혼으로 네 명의 딸도 태어났다.첫째인 그라시아는 시메노 [19]두레아와 결혼했다.둘째 딸은 엘리자베스로 베르나트 드 크루셀레스 이 드 페라탈라다와 결혼했다.그녀는 1293년 12월 27일 자녀 없이 세상을 떠났다.그녀의 남편 베르나트는 1305년에 게라우아 드 카브레라와 두 번째로 결혼했다.엘리자베스의 무덤은 그녀의 남편이 세웠으며, 여전히 크루셀레스에 있는 산 미켈 수도원 안에서 발견될 수 있다.이 기념비의 비문은 데니스("Comes de Cepe"")[5]의 칭호를 그대로 유지했다.무덤에는 두 개의 문장 방패가 그려져 있다.오른쪽 방패는 데크뤼셀레스 이 데 페라탈라다 가문의 문장이고 왼쪽 방패는 빈칸으로 남겨져 있어 13세기 첫 3분의 1의 헝가리에는 문장술이 아직 보급되지 않았으며 디오니 가문은 엘리자베스 사망 [14]당시 아직 문장이 없었다.셋째 딸은 마가렛으로,[18] 페드로 마르티네즈 드 루나와 결혼했다.넷째 딸은 조르다나로, 페냐포트[21]레이몬드의 조카 베르나트 드 페냐포트의 아내가 되었다.

레퍼런스

  1. ^ 베르트너 1895, 93쪽 93
  2. ^ a b c d Vajay 2009, 페이지 252
  3. ^ 바제이 1978, 238페이지
  4. ^ 베르트너 1895년, 페이지 92
  5. ^ a b c Csifo 2019, 페이지 167
  6. ^ Cervero Marti & Batlori i Munné 1980, 페이지 559.
  7. ^ a b 바사티야이 2018, 313페이지
  8. ^ 바사티야이 2018, 316페이지
  9. ^ 키스 2019, 페이지 121, 133–134
  10. ^ Vajay 2009, 250페이지
  11. ^ 바제이 1978, 페이지 236
  12. ^ a b Vajay 2009, 페이지 253
  13. ^ a b c 바제이 1978, 239페이지
  14. ^ a b c d e f g Vajay 2009, 페이지 254–255.
  15. ^ a b c d 바제이 1978, 240페이지
  16. ^ a b c d e f g h 바사티야이 2018, 315페이지
  17. ^ a b c d e f g 바제이 1978, 페이지 241
  18. ^ a b Vajay 2009, 페이지 257
  19. ^ a b c d e f g 바제이 1978, 페이지 242
  20. ^ 바사티야이 2018, 314페이지
  21. ^ 바제이 1978, 페이지 243

원천

  • Bácsatyai, Dániel (2018). "Személyi összeköttetések a Curia Romana és a magyar egyház között a 13. század közepén. Pármai Albert és Báncsa István [Personal Relations between the Curia Romana and the Hungarian Church in the mid-13th Century. Albert of Parma and István Báncsa]". Történelmi Szemle (in Hungarian). Hungarian Academy of Sciences. 60 (2): 299–323. ISSN 0040-9634.
  • Cerveró Martí, Lluís; Batllori i Munné, Miquel (1980). "El comte Dionís d'Hongria, senyor de Canals, al seguici de la reina Violant: la descendència de Dionís als regnes de València i d'Aragó [Count Denis of Hungary, Lord of Canals, in the Company of Queen Violant: the Descendants of Denis in the Kingdoms of Valencia and Aragon]". In Dufourcq, Charles E. (ed.). Jaime I y su época: X Congreso de Historia de la Corona de Aragón (Zaragoza, 1979) (in Catalan). Vol. 2. Saragossa: Institución Fernando el Católico. pp. 559–577. ISBN 9788400043865.
  • Csifó, Tamás (2019). "A Magyar Királyság kapcsolatai Hispániával a 12. század végén és a 13. század első felében [The connections of the Kingdom of Hungary with Hispania at the end of the 12th and in the first half of the 13th century]". Móra Akadémia (in Hungarian). SZTE Móra Ferenc Kollégium. 7: 152–174. ISSN 2064-809X.
  • Kiss, Gergely (2019). "Családi kör? A bíborosi família kutatásának módszertani kérdései az első magyar bíboros, Báncsa István példáján keresztül [Family Circle? Methodological Issues of the Research of the Cardinal's Familia through the Example of the First Hungarian Cardinal, Stephen Báncsa]". In Lengvári, István; Pilkhoffer, Mónika; Vonyó, József (eds.). Az ember helye – a hely embere. Emberközpontú történetírás ‒ helytörténeti kutatás (in Hungarian). Hungarian Historical Society – Kronosz Kiadó. pp. 119–142. ISBN 978-615-6048-41-7.
  • Vajay, Szabolcs (1978). "De l'acculturation medievale a travers le destin d'une famille transplantee: Les ancetres hongrois et la descendence catalane du Comte Dionis [From medieval acculturation through the fate of a transplanted family: Hungarian ancestors and the Catalan descent of Count Dionis]". II Assemblea dʼEstudis sobre el Comtat de Besalú: actes (in French). Amics De Besalu. pp. 231–265.
  • Vajay, Szabolcs (2009). "Dominae reginae milites. Árpád-házi Jolánta magyarjai Valencia visszavétele idején [Dominae reginae milites. The Hungarians of Violant of Hungary at the Time of the Recapture of Valencia]". In Tóth, Csaba; Sarobe, Ramon (eds.). Királylányok messzi földről. Magyarország és Katalónia a középkorban (in Hungarian). Hungarian National Museum. pp. 243–263. ISBN 978-963-706-164-6.
  • Wertner, Mór (1895). "Ompud nádor és utódai [Palatine Ampud and his Descendants]". Turul (in Hungarian). 13 (2): 91–93. ISSN 1216-72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