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탈루냐어
Catalan language카탈루냐어 | |
---|---|
발렌시아어 | |
카탈라, 발렌시아 | |
발음 | [k ə트 əˈ라], [발렌시 ˈ라] |
네이티브 | 안도라, 프랑스, 이탈리아, 스페인 |
지역 | 유럽 |
민족성 | 아라곤어 발레아레스 카탈루냐인 발렌시아인 안도란스 |
스피커 | L1: 410만 (2012년)[1] L2: 510만 총 920만 명 |
초기형태 | |
표준양식 | |
방언 | |
라틴어(카탈리아 문자) 카탈루냐 점자 | |
서명한 카탈루냐어 | |
공식현황 | |
공용어 인 | 안도라 이탈리아 |
소수 인정자 의 언어. | |
에 의해 규제됨 | 카탈루냐 인스티튜드 발렌시아 아카데미아 데 라 랑구아 |
언어코드 | |
ISO 639-1 | ca |
ISO 639-2 | cat |
ISO 639-3 | cat |
글로톨로그 | stan1289 |
언어권 | 51-AAA-e |
카탈루냐어/발렌시아어를 사용하며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지역 카탈루냐어/발렌시아어를 사용하지만 공식적이지는 않은 지역 카탈루냐어/발렌시아어가 역사적으로 사용되지는 않지만 공식적으로 사용되는 영토 | |
카탈루냐어(/ˈk æ트 ə어 ə어, -æ어, ˌk æ트 æ어/; 자칭: 카탈루냐어, 동부 카탈루냐어: 발렌시아어(k ət əˈla)는 서부 로망스어군에 속하는 언어이다.이 언어는 안도라의 공용어이며,[5] 스페인 동부의 두 자치 공동체인 카탈루냐 제도와 발레아레스 제도의 공용어입니다.발렌시아어는 발렌시아어의 공용어이기도 하며, 발렌시아어라고 불립니다.이탈리아 알제로주에서 반공식적인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6] 프랑스 피레네오리엔탈레스주와 스페인 동부의 두 지역, 아라곤 동부 지역, 무르시아 지방 카르체 지역에서 사용됩니다.카탈루냐어를 사용하는 지역은 종종 파 ï소스 카탈루냐 또는 "카탈루냐 국가"라고 불립니다.
이 언어는 피레네 동부를 중심으로 중세 속 라틴어에서 진화했습니다.19세기 스페인은 카탈루냐 문학의 부흥을 보았고, 1900년대 [8][9]초에 절정에 이르렀습니다.
어원과 발음
카탈루냐라는 단어는 카탈루냐의 영토 이름에서 유래되었으며, 어원 자체는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주요 이론은 카탈루냐 백작, 영주, 사람들의 기원이 고티아 행군에서 발견되었기 때문에 카탈루냐(라틴어 가티아 라우니아)가 고티아 또는 고티아(고트인의 땅)[10][11]라는 이름에서 유래되었다고 제안합니다.
영어에서, 사람을 지칭하는 용어는 14세기 중반에 처음 등장하고, 15세기에 (프랑스어에서) Catellain으로 이어집니다.그것은 적어도 1652년부터 언어 이름으로 증명되었습니다.카탈루냐어는 영어로 /ˈk æt ən/, /ˈk æt æn/, 또는 /ˌk æt əˈn/로 발음할 수 있습니다.
동 카탈루냐 방언에서는 [k ə트 əˈ라]로 발음되고, 서부 방언에서는 [kata ˈ라]로 발음됩니다.발렌시아 공동체와 카르체에서는 발렌시아 [발렌시 ˈ라, 바-]라는 용어가 자주 사용됩니다.발렌시아어라는 이름은 발렌시아 공동체와 카르체에 특정한 품종을 지칭하는 데 종종 사용되기도 하지만, 발렌시아인들은 카탈란어와 동의어인 언어 전체의 이름으로 사용되기도 합니다.[13][14][13]이 용어의 두 가지 사용법 모두 아카데미아 발렌시아나 데 라 랑구아와[note 1] 에스투디스 카탈랑스의 사전에 각각의 항목이 있습니다.[note 2]아래 발렌시아인의 현황도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역사
중세
9세기까지 카탈루냐는 피레네 산맥의 동쪽 끝 양쪽의 저속한 라틴어와 남쪽의 로마 속주 히스파니아 타라코넨시스의 영토에서 진화했습니다.[9]8세기부터 카탈루냐 백작들은 무슬림들의 희생으로 그들의 영토를 남쪽과 서쪽으로 확장했고, 그들의 언어를 가지고 왔습니다.[9]이 과정은 988년 카롤링거 제국으로부터 바르셀로나 백작령이 분리되면서 결정적인 자극을 받았습니다.[9]
11세기에 마카로닉 라틴어로 쓰여진 문서들은 카탈루냐의 요소들을 보여주기 시작하는데,[16] 거의 완전히 로망스로 쓰여진 텍스트들은 1080년까지 등장합니다.[16]고대 카탈루냐는 갈로-로망스와 많은 특징들을 공유했고, 11세기와 14세기 사이에 고대 옥시타에서 갈라졌습니다.[17]
11세기와 12세기 동안 카탈루냐의 통치자들은 남쪽으로 에브로 강까지 확장했고,[9] 13세기에 발렌시아 땅과 발레아레스 제도를 정복했습니다.[9]사르데냐의 알제로라는 도시는 14세기에 카탈루냐어 사용자들로 다시 인구가 찼습니다.이 언어는 15세기에 스페인어를 사용하게 된 무르시아에도 전해졌습니다.[18]
중세 중기에 카탈루냐는 황금기를 겪었고, 성숙과 문화적 풍요의 절정에 이르렀습니다.[9]예를 들면, 마조르칸의 다학다학파 라몬 럴 (1232–1315), 사대 연대기 (13세기–14세기), 그리고 아우시아 3월 (1397–1459)로 정점을 찍은 발렌시아 시파를 포함합니다.[9]15세기쯤에 발렌시아는 아라곤 왕국의 사회문화적 중심지가 되었고, 카탈루냐는 지중해 세계 전역에 존재했습니다.[9]이 시기 동안, 왕상은 고도로 표준화된 언어를 전파했습니다.[9]카탈루냐어는 시칠리아에서 15세기까지, 사르데냐에서는 17세기까지 공용어로 널리 사용되었습니다.[18]이 시기에 이 언어는 코스타 카레라가 "중세 유럽의 '위대한 언어' 중 하나"라고 말한 것입니다.[9]
마르토렐의 기사도 티란틀로 블랑(1490)의 뛰어난[9] 소설은 중세에서 르네상스 가치로의 전환을 보여주는데, 이것은 메게의 작품에서도 볼 수 있는 것입니다.[9]이베리아 반도에서 활자로 제작된 최초의 책은 카탈루냐어로 인쇄되었습니다.[19][9]
근대의 시작
스페인
1479년 카스티유와 아라곤 왕국의 연합으로, 스페인 왕들은 각각 고유의 문화적, 언어적, 정치적인 특수성을 가진 다른 왕국들을 통치했고, 그들은 각각의 의회 앞에서 각 영토의 법에 의해 맹세해야 했습니다.그러나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 이후, 스페인은 필립 5세 치하에서 절대 왕정이 되었고, 이것은 스페인 국민국가의 창조의 첫 단계로서 누에바 플랜타 법령을 통하여 카스티야 왕가에 의한 아라곤 왕가의 동화로 이어졌습니다.이것은 지배적인 집단들의 정치적인 그리고 문화적인 특징들의 부과를 의미했습니다.[20][21]1714년 정치적 통일 이후 스페인의 소수 민족에 대한 동화 정책은 지속적으로 이어져 왔습니다.[22][23][24][25][26]
동화의 과정은 카탈루냐 영토의 교령들에게 비밀 지시를 내리는 것으로 시작되었다: "그들은 카스티야어를 도입하기 위해 최대한의 주의를 기울일 것이며, 이를 위해 그는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효과가 달성될 수 있도록 가장 온건하고 위장된 조치를 취할 것입니다."[27]거기서부터, 신중하거나 공격적인 동화를 위한 행동들이 계속되었고, 1799년에 "스페인어로 되어 있지 않은 곡들을 표현하고, 노래하고, 춤을 추는 것을 금지하는 왕실 증명서"와 같은 마지막 세부 사항까지 도달했습니다.[27]어쨌든, 스페인어의 사용은 점차 명성이[18] 높아졌고 카탈루냐어의 쇠퇴의 시작을 알렸습니다.[9][8]16세기를 기점으로 카탈루냐 문학은 스페인어의 영향 아래 들어갔고, 도시와 문학 계급의 일부인 귀족들은 이중언어가 되었습니다.[18]
프랑스.
피레네 조약(1659년)으로 스페인은 카탈루냐 북부 지역을 프랑스에게 양도했고, 곧 지역 카탈루냐 품종들은 1700년에 이 지역의 유일한 공용어가 된 프랑스어의 영향을 받았습니다.[5][28]
프랑스 혁명 (1789) 직후, 프랑스 제1 공화국은 카탈루냐어, 알사티아어, 브르타뉴어, 옥시탄어, 플랑드르어, 바스크어와 같은 프랑스의 지역 언어의 공식적인 사용을 금지하고 차별하는 정책을 제정했습니다.
프랑스: 19세기에서 20세기
1830년부터 프랑스가 알제리 식민지를 건설한 이후, 그곳은 카탈루냐어를 사용하는 정착민들의 물결을 여러 차례 받았습니다.스페인 알리칸테 지방 출신의 사람들은 오란 주변에 정착한 반면, 알제는 북부 카탈루냐와 메노르카에서 이민을 받았습니다.
그들의 연설은 paute로 알려졌습니다.[29]1911년까지 카탈루냐어 사용자의 수는 약 10만 명이었습니다.[30]1962년 알제리의 독립 선언 이후, 거의 모든 카탈루냐어 사용자들은 북부 카탈루냐 (피에드누아르)[31]나 알라칸트로 피신했습니다.[32]
프랑스 정부는 공식적으로 프랑스어만을 공식 언어로 인정하고 있습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2007년 12월 10일 피레네-오리엔탈어 총회는 공식적으로 카탈루냐어를 해당[33] 부서의 언어 중 하나로 인정하고 공공 생활과 교육 분야에서 더 많은 홍보를 추구하고 있습니다.
스페인: 18세기에서 20세기
1807년 프랑스 내무부 통계국은 총독들에게 프랑스어의 한계에 대한 공식적인 조사를 요청했습니다.그 조사에 따르면 루시용에서는 거의 카탈루냐어만 사용되었고, 나폴레옹이 1812년에 일어난 것처럼 카탈루냐어를 프랑스에 통합하기를 원했기 때문에 바르셀로나의 영사에게도 질문이 있었습니다.그는 카탈루냐어가 "학교에서 가르치고, 하위 계층뿐만 아니라 사회 모임에서, 방문이나 의회에서, 최상의 자질을 가진 사람들 사이에서, 인쇄되고 사용된다"고 선언하여, "왕실 궁정을 제외하고" 어디에서나 사용되었음을 나타냅니다.그는 또한 카탈루냐어가 "발렌시아 왕국, 마요르카, 메노르카, 이비사, 사르디니아, 코르시카와 시칠리아의 많은 지역, "아란과 세르다냐" 계곡에서 사용되었다고 언급했습니다.[34]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1714년)에서 친합스부르크 연합군의 패배는 스페인 전역에 법적 문서화에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것을 의무화하는 일련의 법들을 촉발시켰습니다.이 때문에 카탈루냐어의 사용은 18세기로 접어들면서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19세기에는 카탈루냐 문학의 부흥(Renixença)이 일어났고, 이것은 오늘날까지 계속되고 있습니다.[5]이 시기는 아리바우의 조국송가(1833)를 시작으로 19세기 후반, 20세기 초 베르다게르(시), 올레르(현실소설), 기메라(극)의 작품으로 이어집니다.[35]19세기에 무르시아 지방의 카르체 지역은 발렌시아어 화자들로 다시 채워졌습니다.[36]카탈루냐어의 철자법은 1913년에 표준화되었고 스페인 제2공화국 (1931–1939) 동안 공식화되었습니다.스페인 제2공화국은 카탈루냐에 대한 대부분의 제한이 풀리면서 잠시 관용의 기간을 가졌습니다.[5]Generalitat(1931년 공화정에 의해 설립된 카탈루냐 자치정부)는 행정에서 카탈루냐어를 정상적으로 사용했고 학교와 바르셀로나 대학을 포함한 사회적 차원에서 그것을 홍보하기 위해 노력했습니다.
카탈루냐어와 문화는 스페인 내전 (1936–1939) 동안 여전히 활기차 있었지만, 카탈루냐어의 공식적인 지위를 폐지하고 스페인 전역의 학교와 행정에서 스페인어 사용을 강요했던 프랑코주의 독재 (1939–1975)로 인해 그 후 수십 년 동안 전례 없는 수준으로 파괴되었습니다.카탈루냐어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하면서 말입니다.[37][8]1939년에서 1943년 사이에 카탈루냐어로 된 신문과 책 인쇄는 거의 사라졌습니다.[38]프란시스코 프랑코의 동질적인 스페인 인구에 대한 열망은 카탈루냐어 사용을 거부하기 시작한 그의 정권을 선호하는 일부 카탈루냐인들, 주로 상류층 사람들에게 반향을 일으켰습니다.이 모든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카탈루냐어는 가정 내에서 사적으로 계속 사용되었고, 프랑코의 독재에서 살아남을 수 있었습니다.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자 가혹한 조치들 중 일부가 해제되기 시작했고 스페인어가 장려된 반면 제한된 수의 카탈루냐 문학이 용인되기 시작했습니다.몇몇 유명한 카탈루냐 작가들은 문학을 통한 억압에 저항했습니다.[39]개인 주도 대회는 카탈루냐 지역의 작품을 보상하기 위해 만들어졌는데, 그 중에 조안 마르토렐 상(1947), 빅토르 카탈루냐 상(1953) 카를레스 리바 상(1950), 또는 카탈루냐 편지 명예상(1969)이 있습니다.[40]최초의 카탈루냐어로 된 TV쇼는 1964년에 방송되었습니다.[41]동시에 카탈루냐어와 정체성에 대한 탄압은 학교, 정부기구, 종교센터 등에서 자행됐습니다.[42]
카탈루냐에 대한 권위의 상실과 학교에서의 금지 외에도 1950년대 스페인의 다른 지역에서 카탈루냐로 이주한 것 또한 카탈루냐어의 사용 감소에 기여했습니다.이 이주민들은 종종 카탈루냐의 존재를 알지 못했고, 따라서 카탈루냐어를 배우거나 사용할 필요를 느끼지 않았습니다.카탈루냐는 스페인의 경제적 강국이었기 때문에, 이러한 이주들은 그 나라의 구석구석에서 계속 발생했습니다.이중언어 사용자가 아닌 사람들에게는 취업 기회가 줄어들었습니다.[43]일간지들은 프랑코 사후 1976년에 내전이 끝난 이후 카탈루냐 지방에서 처음으로 발행된 신문인 아부이가 발행되기 시작할 때까지 스페인어로만 독점적으로 남아 있었습니다.[44]
현재
스페인의 민주주의로의 전환(1975-1982) 이후, 카탈루냐어는 공식 언어, 교육의 언어, 대중 매체의 언어로 제도화되어 왔으며, 이 모든 것들은 카탈루냐어의 명성을 높이는 데 기여했습니다.[45]카탈루냐에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큰 이중언어 유럽 비국가 언어 공동체가 있습니다.[45]카탈루냐어의 교육은 모든 학교에서 필수이지만,[5] 카탈루냐의 공교육 시스템에서 공부할 때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것은 두 가지 상황에서 가능합니다: 한 반에 배정된 선생님이 스페인어를 사용하기로 선택하거나 최근에 도착한 한 명 이상의 이민자 학생들의 학습 과정에서 말입니다.[46]카탈루냐로 향하는 세대 간 이동도 있습니다.[5]
최근에 몇몇 스페인 정치 세력들은 카탈루냐 교육 시스템에서 스페인어 사용을 늘리려고 노력했습니다.[47]이에 따라 2022년 5월 스페인 대법원은 카탈루냐 지방 정부에 모든 수업의 25%를 스페인어로 가르쳐야 하는 조치를 시행할 것을 촉구했습니다.[48]
카탈루냐 통계청에 따르면 2013년 카탈루냐어는 스페인어 다음으로 카탈루냐에서 두 번째로 많이 사용되는 언어로 인구의 7%가 카탈루냐어와 스페인어를 동일시하고, 36.4%는 카탈루냐어, 47.5%는 스페인어와 동일시하고 있습니다.[49]2003년에 동일한 연구는 15세 이상의 인구 중에서 자기 동일시에 대한 언어 선호도가 없다는 결론을 내렸습니다: 5%는 두 언어로, 44.3%는 카탈루냐어, 47.5%는 스페인어로 자기 동일시했습니다.[50]카탈루냐어 사용을 장려하기 위해 카탈루냐 지방총독부(Catalonia의 공식 자치 정부)는 연간 예산의 일부를 카탈루냐와 다른 [ca; es] 영토에서 카탈루냐어 사용을 장려하는 데 사용합니다.[51][52]
안도라에서 카탈루냐어는 항상 유일한 공용어였습니다.[5]1993년 헌법이 공포된 이후 카탈루냐어를 선호하는 여러 정책들이 시행되고 있는데, 카탈루냐어 중교육이 그 예입니다.[5]
한편, 현재 진행되고 있는 언어 이동 과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프랑스 북부 카탈루냐 지역에서 카탈루냐어는 프랑스의 다른 소수 언어들과 같은 경향을 따르며, 대부분의 모국어 사용자들이 60명 이상입니다 (2004년 기준).[5]카탈루냐어는 초등학생의 30%, 중등학생의 15%가 외국어로 공부하고 있습니다.[5]문화협회 라 브레솔라는 카탈루냐어 몰입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지역사회가 운영하는 학교들의 네트워크를 촉진합니다.
알리칸테 지방에서는 카탈루냐어가 스페인어로, 알제로어는 이탈리아어로 대체되고 있습니다.[45]발렌시아 공동체인 이비자에도 잘 뿌리박힌 디글로시아가 있으며, 발레아레스 제도의 나머지 지역에도 덜 뿌리박혀 있습니다.[5]
20세기 동안 많은 카탈루냐인들은 베네수엘라, 멕시코, 쿠바, 아르헨티나 그리고 다른 남미 국가들로 이민을 가거나 망명을 갔습니다.그들은 오늘날에도 카탈루냐어를 계속 유지하고 있는 많은 수의 카탈루냐 식민지를 형성했습니다.[53][54]그들은 또한 많은 카탈루냐 캐잘 (협회)을 설립했습니다.[55]
다른 로망스어족과의 분류 및 관계
카탈루냐어의 분류는 페예르 베크(Pèire Bèc)에 의해 다음과 같이 분류됩니다.
그러나 갈로로로망스어의 옥시타노로망스어파에 대한 카탈루냐어의 부여는 모든 언어학자들과 문헌학자들, 특히 라몬 메넨데스 피달과 같은 스페인 사람들 사이에서 공유되는 것은 아닙니다.
카탈루냐어는 옥시타어라는 표어 아래에 포함된 언어적 다양성과 유사한 정도를 가지고 있습니다. (옥시타어와 카탈루냐어, 갈로로로망스어의 차이도 참조)따라서 밀접한 관련이 있는 언어에서 예상할 수 있듯이, 오늘날 카탈루냐어는 다른 로망스어들과 많은 특성을 공유합니다.
다른 로망스어와의 관계
이 언어와 일부 옥시타 방언(가스콘어 등) 사이의 언어적 거리가 서로 다른 옥시타 방언들 사이의 거리와 비슷하기 때문에 일부는 옥시타어의 카탈루냐어를 포함합니다.카탈루냐어는 19세기[56] 말까지 옥시타어의 방언으로 여겨졌으며 오늘날에도 여전히 가장 가까운 친척으로 남아있습니다.[57]
카탈루냐어는 이웃한 다른 로망스어(오키타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사르디니아어, 스페인어, 포르투갈어)와 많은 특징을 공유합니다.[36]그러나, 이베리아 반도에서 주로 쓰였음에도 불구하고, 카탈루냐어는 발음, 문법 그리고 특히 어휘 면에서 이베리아 로망스 그룹(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과 차이점을 보였다; 대신에 그것은 프랑스와 이탈리아 북부가 원산지인 언어들, 특히 옥시타어와[58][59][60] 더 적은 정도로 그것의 가장 가까운 친화력을 보여줍니다.알로-로망스(프랑스어, 프랑스어,[61][62][63][64][58][59][60] 갈로-이탈리아어).
에스놀로그(Ethnologue)에 따르면, 카탈루냐어와 다른 로망스어의 어휘적 유사성은 이탈리아어 87%, 포르투갈어와 스페인어 85%, 라딘어와 로만시어 76%, 사르디니아어 75%, 루마니아어 73%입니다.[1]
광택 | 카탈루냐어 | 옥시탄 | (캄보디아어) 사르데냐어 | 이탈리아의 | 프렌치 | 스페인어 | 포르투갈어의 | 루마니아어 |
---|---|---|---|---|---|---|---|---|
사촌동생 | 코시 | 코사인 | 프라딜리 | 쿠기노 | 사촌동생 | 프리모 | 프리모, 코이르망 | v ă르 |
오빠 | 게르마의 | 난동을 부리다 | 광란의 | 우락부락한 | 프레레의 | 허노 | 이르망 | 프레이트의 |
조카 | 네봇 | 네봇 | 신보디 | 니포테 | 느베우 | 소브리노 | 소브리뉴 | 족제비 같은 |
여름의 | 에스티우 | 에스티우 | 이스타디 | 사유지 | 에테 | 베라노, 에스티오[65] | 베랑, 에스티오[65] | 변태의 |
저녁 | 베스프레 | ser, vèspre | 세루 | 세라를 | 시큰둥한 | tarde,noche[66] | tarde, serango[66] | 뒤적거리다 |
좋은 아침. | 마티 | 마틴 | 망기아누 | 마티나 | 마틴 | 마냐나 | manhang, matina | 디미네아 |
프라이팬 | 파에야 | 파데나 | 파에야 | 파델라 | 포엘레 | 사텐의 | 프리깃데이라, 프리깃데이라 | 티게이 |
침대 | 전부 다 | 리에치, 리에치 | 레투 | 내버려 두다 | 불을 켰다. | cama, lecho | 카마, 레이토 | 쓰다듬다 |
새 | 오셀, au | 오셀 | 필로니 | uccello | 오이소 | ave, 파자로 | ave, 파사로 | ă를 지나다 |
개 | gos, ca | gos, canh | 내가 할 수 있을까 | 줄기 | 치엔 | 페로, 캔 | 캉, 카초로 | 개를 |
매화를 | 잔가지 | 잔가지 | 잔가지 | 푸르지나 | 가지치기를 하다 | 시루엘라 | 아믹사 | 가지치기를 하다 |
버터를 바른 | 만테가 | 몸뚱이 | 부루, 부티루 | 버로 | 보잘것없는 | 만테킬라, 만테카 | 만테이가 | 언트 |
조각 | 트로스 | 트르 ò치, 페타치 | 아루구 | 페조 | morceau, pièce | 페다조, 트로조[67] | 페다소, 보카도 | 버캣 |
회색의 | 소름끼치는 | 소름끼치는 | 캐누 | 그리지오 | 소름끼치는 | gris, pardo[68] | 신젠토, 그리스 | gri, sur, cenu șiu |
더워요 | 역력의 | 꾸밈없는 | 칼렌티 | 칼도 | 우렁찬 | 칼리엔테 | 퀀트 | 차디찬 |
너무 많이 마셨어요. | 마사 | tr òp | 트로푸 | 트로포 | 트로피컬 | demasiado | demais, demasiado | 프레아 |
원하다 | 볼러의 | ò러 | bolli(리) | 볼륨이 있는 | 대풍경 | quer | quer | 숨통을 틔우다 |
가져가기 위해 | 멋쟁이의 | preen, preendre | 피가이 | 전래의 | 멋쟁이의 | 토마, 태자 | 판하르, 레바르 | 루아 |
기도를 드리다 | 프리거 | 프리거 | 프레가이 | 예습을 하다 | 선행의 | 오라의 | 오라, 레자, 프레가 | 세루가 |
묻다 | 디마나/임산부 | 요구를 하는 | 디만다이, 프레군타이 | 제멋대로 굴다 | 요구자 | 페디르, 프리젠타 | 페디르, 퍼건타 | 세레, î트레바 |
뒤지다 | 세르카/버스카 | 세르카 | 일주의 | 암 치료 | 소중히 여기는 | 버스카 | 프로카, 버스카 | ă타 |
도착하다 | 지류의 | 지류의 | 아리바이 | 도착한 | 도착하다 | 법학적, 경리학적 | 체거 | 병정, 병정 |
말을 하다 | 평행의 | 평행의 | 치스티온나이, 푸에다이 | 병렬의 | 팔러의 | 하블라르, 하블라 | 팔라르, 팔라르 | 말괄량이 |
먹다 | 멘자 | 만자 | 빠빠이 | 망아지레 | 관리인 | comer (lunfardo로 된 많은 종이, 속어로 된 종이배) | comer (속어로 papar), manjar | 망카 |
라틴어 | 카탈루냐어 | 스페인어 |
---|---|---|
아코스테어 | "가까이 접근하기 위해" 코스타 | "재우기 위해" 출연한 배우 |
허울 좋은 | 제거하려면 "llevar", 정신 차리세요" | llevar "받아들일" |
여기에 저인망 | 제거할 보물 | "가져오기 위해" 트레이서 |
주위를 돌보다 | 서카 "검색" | 세르카 "울타리에" |
콜라케어 | 콜거 "묻을" | 콜거 "걸다" |
뮬리에 | 음울한 "아내" | mujer "women or wife" |
역사의 많은 부분 동안, 특히 프랑코 독재 (1939–1975) 기간 동안, 카탈루냐어는 스페인어의 단순한 방언으로 조롱을 받았습니다.[59][60]정치적, 이념적 고려에 기초한 이 견해는 언어적 타당성이 없습니다.[59][60]스페인어와 카탈루냐어는 음계, 어휘, 문법적 특징에서 중요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으며, 이는 언어를 옥시타어(그리고 프랑스어)에 가까운 특징으로 배치합니다.[59][60]
적어도 2세기부터 증거가 있어요a.d., Roman Tarraconensis의 어휘와 음운론은 Roman Hispania의 나머지와 다릅니다.[58]일반적으로 스페인어, 아스투리아어, 갈리시아어-포르투갈어는 특정한 주변 아치형을 공유하기 때문에 차별화가 발생했습니다(스페인 헤르비르, 아스투리아어 및 포르투갈 페르버 대).Catalan bullir, Occitan bolir "끓을") 및 혁신적인 지역주의 (Spnovillo, Astnuvielu vs.카탈루냐는 서부 로망스의 혁신적인 핵심, 특히 옥시탄과 공유된 역사를 가지고 있는 반면, 카토렐은 "불록"(bullock)입니다.[70][58]
모든 로망스어와 마찬가지로 카탈루냐어에도 고유하거나 다른 지역에서는 드문 소수의 토착어가 있습니다.여기에는 다음이 포함됩니다.
- 동사: contf īgere '매듭나다; transpix' > confir '작곡하다, 쓰다', congeminarare > conjuminar '결합하다, 공역하다', de-ex-somnitare > deixondar/-ir '깨어나다; 깨우다' > desar '구하다, 유지하다', ē그노라레 > enyorar ' 놓치다, 갈망하다, pine for' 인다가르 '조사하다, 추적하다' > Old Catalan enagar '선동하다,유도', odiarare > OCatujar '기진, 피로', pacicarare > apaivagar '유쾌, 완화', repudiarare > 반박jar '거부, 거부';
- 명사: br ī사 > 브리사 'pom레이스', buda > 보가 '리드메이스', 카타르후 > 카달 '카타르', 정체 > 정체 '눈보라', d ē ī리움 > 델러 '열정', 프레투 > 프뢰 '브레이크', 라빔 > (a)llau 'avalanche', 오라 > 보라 '엣지, 보더', 피스트 ī체 '톱피쉬' > 페스트리우 > 페스티우 'thres허 상어, 스무스 하운드; 레이', 프루나 '살아있는 석탄' > 에스푸르나 'spark',tardati nem > tardaó > tardor 'autumn'.
고딕 초강대국은 스페인어와 카탈루냐어로 다른 결과를 낳았습니다.예를 들어, 게르만족 출신의 카탈루냐 송곳니 "진흙"과 로스티르 "구울 때까지"는 라틴어 출신의 스페인 로도와 아스르와 대조되는 반면, 라틴어 출신의 카탈루냐 필로사 "돌림판"과 템플라 "템플"은 게르만족 출신의 스페인 루카와 시에나와 대조됩니다.[58]
아랍어 외래어도 마찬가지입니다.따라서 아랍어에서 기원한 카탈루냐 알파비아 "큰 토기 항아리"와 라졸라 "타일"은 라틴어에서 기원한 스페인 티냐와 테하와 대조되는 반면, 라틴어에서 기원한 카탈루냐 올리브 "기름"과 올리브 "올리브"는 스페인 아씨테와 아씨투나와 대조됩니다.[58]하지만, 스페인어의 아랍어 요소는 일반적으로 훨씬 더 널리 퍼져있습니다.[58]
두 개의 큰 언어 블록(이베리아 로망스와 갈로 로망스) 사이에 위치한 카탈루냐어에는 "누군가를 그리워하다", "누군가를 진정시키다", "거부하다"라는 반박과 같은 독특한 어휘 선택이 많이 있습니다.[58]
지리적 분포
카탈루냐어권
전통적으로 카탈루냐어를 사용하는 영토는 때때로 파 ï소스 카탈루냐 (카탈루냐 국가)라고 불리는데, 이는 문화적 친화성과 공동 유산에 기반을 둔 종파이며, 이는 또한 후속적인 정치적 해석을 가지고 있지만 공식적인 지위는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용어의 다양한 해석은 이러한 영역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습니다.
주 | 준주 | 카탈루냐어 이름 | 메모들 |
---|---|---|---|
안도라 | 안도라 | 안도라 | 카탈루냐어가 국민이자 유일한 공용어인 주권국.안도라인들은 서부 카탈루냐어를 구사합니다.[a] |
프랑스. | 카탈루냐 북부 | 카탈루냐노르트 | 피레네-오리엔탈의 데파르트망과 대략 일치합니다.[36] |
스페인 | 카탈루냐 지방 | 카탈루냐 주 | 아란 계곡(카탈루냐 북서쪽 구석)에서는 현지어인 옥시탄 외에도 카탈루냐어, 스페인어, 프랑스어도 사용됩니다.[36] |
발렌시아 공동체 | 발렌시아나 주 | 서쪽과 남쪽의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는 적어도 18세기 이후 아라곤어/스페인어를 사용해 왔습니다.[36]서부 카탈루냐어는 "발렌시아어"로 알려져 있습니다. | |
라 프라냐 | 라 프라냐 | 아라곤 자치공동체의 일부, 특히 서부 카탈루냐와 국경을 접하고 있는 지역.리바고르차, 리테라, 바이크 신카, 마타라냐의 코마르크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
발레아레스 제도 | 일레스 발레아레스 | 마요르카 섬, 메노르카 섬, 이비자 섬, 포르멘테라 섬으로 구성됩니다. | |
카르체 | 엘 카르세 | 19세기에 정착한 무르시아 자치공동체의 작은 지역.[36] | |
이탈리아 | 알제로 | 랄게르 | 사르디니아 섬의 사사리 주에 있는 도시로, 알제어 방언이 사용됩니다. |
스피커 수
카탈루냐어에 능통한 것으로 알려진 사람들의 수는 사용되는 출처에 따라 다릅니다.2004년의 연구에서는 총 화자 수를 세지 않았지만 카탈루냐어를 사용하는 각 지역의 인구에 대한 화자 수 비율을 일치시켜 총 9-950만 명을 추정했습니다.[72]카탈루냐 총국의 웹사이트는 2004년 현재 9,118,882명의 카탈루냐어 화자가 있다고 추정했습니다.[73]현재 카탈루냐 인구의 35.6%만이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습니다.[74]에스놀로그(Ethnologue)에 따르면 2021년 카탈루냐어는 410만 명의 원어민과 510만 명의 제2언어 사용자를 가지고 있습니다.[1]
2011년 연구에 따르면 카탈루냐어 사용자의 총 숫자는 980만 명이 넘고 590만 명이 카탈루냐에 거주하고 있습니다.그들 중 절반 이상이 카탈루냐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며, 원어민은 그 중 약 440만 명(카탈루냐어의 2.8명 이상)입니다.[75]거의 없는 카탈루냐 단일 언어 사용자들이 존재합니다; 기본적으로 스페인의 거의 모든 카탈루냐어 사용자들은 카탈루냐어와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이중 언어 사용자들이며, (일반적으로 카탈루냐 밖에서 태어났거나 부모가 모두 카탈루냐 밖에서 태어났음)[citation needed] 상당한 수의 스페인 출신 이민자들이 카탈루냐 주요 도시 지역에도 존재합니다.
루시용에서는 현재 소수의 프랑스 카탈루냐인들만이 카탈루냐어를 사용하며, 프랑스어는 언어 이동의 지속적인 과정 후에 주민들을 위한 대부분의 언어입니다.카탈루냐 정부의 2019년 조사에 따르면 카탈루냐 주민의 31.5%가 집에 카탈루냐어를 모국어로 사용하고 있는 반면 52.7%는 스페인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2.8%는 카탈루냐어와 스페인어, 10.8%는 기타 언어를 사용하고 있습니다.[76]
스페인어는 바르셀로나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언어이며 (2013년 카탈루냐 정부의 언어 조사에 따르면) 거의 보편적으로 이해됩니다.2013년 인구 조사에 따르면 인구의 95%가 카탈루냐어를 말할 수 있는 반면, 2세 이상의 72.3%는 말할 수 있고(1,137,816), 79%는 읽을 수 있고(1,246.555), 53%는 쓸 수 있습니다([77]835,080).바르셀로나에서는 72.3%[78]로 전체 카탈루냐 인구에 비해 낮은 편이며, 이 중 15세 이상 인구의 81.2%가 카탈루냐어를 구사합니다.카탈루냐어에 대한 지식은 언어 몰입 교육 시스템 덕분에 최근 수십 년 동안 크게 증가했습니다.카탈루냐어의 중요한 사회적 특징은 그것이 사용되는 모든 지역이 실제로 이중언어라는 것입니다: 루시용의 프랑스어, 알제로의 이탈리아어, 안도라의 스페인어와 프랑스어, 그리고 나머지 영토에서 스페인어와 함께 말입니다.
준주 | 주 | 이해하기 | 말을할수 |
---|---|---|---|
카탈루냐 지방 | 스페인 | 6,502,880 | 5,698,400 |
발렌시아 공동체 | 스페인 | 3,448,780 | 2,407,951 |
발레아레스 제도 | 스페인 | 852,780 | 706,065 |
루시용 | 프랑스. | 203,121 | 125,621 |
안도라 | 안도라 | 75,407 | 61,975 |
라 프라냐 (아라곤) | 스페인 | 47,250 | 45,000 |
알제로 (사르디니아) | 이탈리아 | 20,000 | 17,625 |
카르체 (무르시아) | 스페인 | 데이터 없음 | 데이터 없음 |
카탈루냐어를 사용하는 총 지역 | 11,150,218 | 9,062,637 | |
나머지 세계 | 데이터 없음 | 350,000 | |
총 | 11,150,218 | 9,412,637 |
- 1.^카탈루냐어를 이해하는 사람들의 수에는 카탈루냐어를 말할 수 있는 사람들이 포함합니다.
- 2.^ 수치는 원어민이 아닌, 스스로 선언한 능력 있는 모든 스피커와 관련이 있습니다.
지식수준
지역 | 말하다 | 이해하다 | 읽어주세요 | 쓰기 |
---|---|---|---|---|
카탈루냐[80] 지방 | 81.2 | 94.4 | 85.5 | 65.3 |
발렌시아 공동체 | 57.5 | 78.1 | 54.9 | 32.5 |
발레아레스 제도 | 74.6 | 93.1 | 79.6 | 46.9 |
루시용 | 37.1 | 65.3 | 31.4 | 10.6 |
안도라 | 78.9 | 96.0 | 89.7 | 61.1 |
아라곤의 프라냐 오리엔탈 | 88.8 | 98.5 | 72.9 | 30.3 |
알제로 | 67.6 | 89.9 | 50.9 | 28.4 |
(15세 이상 인구 비율).
사회적 이용
지역 | 집에서. | 집밖에서 |
---|---|---|
카탈루냐 지방 | 45 | 51 |
발렌시아 공동체 | 37 | 32 |
발레아레스 제도 | 44 | 41 |
루시용 | 1 | 1 |
안도라 | 38 | 51 |
아라곤의 프라냐 오리엔탈 | 70 | 61 |
알제로 | 8 | 4 |
(15세 이상 인구 비율).
모국어
지역 | 사람 | 백분율 |
---|---|---|
카탈루냐 지방 | 2,813,000 | 38.5% |
발렌시아 공동체 | 1,047,000 | 21.1% |
발레아레스 제도 | 392,000 | 36.1% |
안도라 | 26,000 | 33.8% |
아라곤의 프라냐 오리엔탈 | 33,000 | 70.2% |
루시용 | 35,000 | 8.5% |
알제로 | 8,000 | 20% |
총 | 4,353,000 | 31.2% |
음운론
카탈루냐어 음운론은 방언에 따라 다릅니다.주목할 만한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84]
- 스페인어를 제외한 다른 서양 로망스어에서와 마찬가지로 모음 쌍 / ɛ e/ 및 / ɔ o/의 뚜렷한 대조.
- 갈리시아어와 포르투갈어에서처럼 라틴어 짧은 ĕ, ong의 이중음화가 부족하지만 프랑스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와는 다릅니다.
- 갈리시아어와 포르투갈어에서처럼 /w/를 포함하는 풍부한 이중모음.[84]
다른 로망스어들과 대조적으로 카탈루냐어는 단음절 단어가 많고, 일부 자음군을 포함한 다양한 자음으로 끝날 수도 있습니다.[84]게다가, 카탈루냐어는 최종적으로 방해물이 되는 행동을 하고 있는데, 이것은 아미크("남 친구") 대 아미가("여 친구")와 같은 커플렛을 많이 만들어냅니다.[84]
중앙 카탈루냐어 발음은 그 언어의 표준으로 여겨집니다.[85]아래 설명들은 대부분 이 품종을 대표합니다.[86]각 방언 간의 발음 차이에 대해서는 이 글에서 방언의 발음에 관한 부분을 참고하세요.
모음.
카탈루냐어는 저속한 라틴어의 전형적인 모음 체계를 이어받았으며, 7개의 강세 음소가 있다: /a ɛ e i ɔ u/, 스페인어를 제외한 서양 로망스의 공통된 특징.발레아릭에도 강세가 있는 /ə/ 인스턴스가 있습니다.방언들은 모음 감소의 정도와 /ɛ e/쌍의 빈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습니다.
중부 카탈루냐어에서는 강세가 없는 모음이 3개로 줄어듭니다: /ae ə/ > [ɔ]; /o ɛ u/ > [u]; /i/는 구별됩니다.다른 방언들은 모음 감소 과정이 다릅니다(이 글의 방언들의 부분 발음 참조).
앞모음 | 뒷모음 | ||||
---|---|---|---|---|---|
단어 짝 | 젤("얼음") 젤라트("아이스크림") | 페드라("돌") 페드레라("quarry") | banya ("그는 목욕한다") banyeem ("우리는 목욕한다") | cosa ("사물") 코세타 ("작은 것") | 토트("모든 것") 총계("총계") |
IPA 필사본 | [ˈʒɛ] [ʒəˈ라트] | [ˈpe ðɾə] [p əˈðɾ ɾə] | [ˈ바 ɲə] [b əˈɲɛm] | [ˈk ɔ즈 ə] [쿠 ˈ즈 ɛ트 ə] | [ˈ토트] [tu ˈ] |
자음
두배엽 | 폐포 / 치과 | 구개구개 | 벨라르 | ||
---|---|---|---|---|---|
비강 | m | n | ɲ | ŋ | |
폭발성 | 무성의 | p | t | c ~ k | |
유성의 | b | d | ɟ~ | ||
애피카이트 | 무성의 | ts | t | ||
유성의 | dz | 라 | |||
마찰음 | 무성의 | f | s | ʃ | |
유성의 | (v) | z | ʒ | ||
근사 | 중앙의 | j | w | ||
측면의 | l | ʎ | |||
톡톡 두드리다 | ɾ | ||||
트릴 | r |
카탈루냐어의 자음 체계는 다소 보수적입니다.
- /l/는 대부분의 방언에서 음절 코다 위치에 벨라스화된 알로폰을 가지고 있습니다.[94]그러나 /l/는 마요르카어와[95] 표준 동카탈란어와 같은 동방 방언에서는 위치에 관계없이 모음화됩니다.
- /v/는 발레아레스주,[96] 알제레스주, 발렌시아 표준 지역, 카탈루냐 남부의 일부 지역에서 발생합니다.[97]/b/ 다른 곳과 병합되었습니다.[98]
- 음성 장애물은 최종-방해성 디보잉을 겪습니다: /b/ > [p], /d/ > [t], /ɡ/ > [k].
- 유성 정지는 음절의 시작에서 /b/ > [β], /d/ > [ð], /ɡ/ > [ɣ]와 같이 연속된 후에 근사치로 완화됩니다.예외적으로 /d/는 측면 자음 뒤에, /f/ 뒤에 /b/가 있습니다.코다 위치에서, 이 소리들은 일부 발렌시아 방언을 제외하고는 정지음으로 실현됩니다.[101][102]
- /ʃ/, /ʒ/, /tʃ/, /dʒ/의 정확한 음운 특성에 대해 문헌에 약간의 혼란이 있습니다.어떤 자료들은[96] 그것들을 "후측정맥"이라고 설명합니다.다른 것들은 "허리 폐포-구개골"로서, 문자가 ɕ ʑ⟩ d ⟨ɕ ʑ가 더 정확할 것임을 암시합니다.그러나 모든 문헌에서는 동일한 출처가 폴란드어나 중국어와 같은 다른 언어에 ⟨ɕ ʑ⟩를 사용하는 경우에도 구개음절 마찰음과 마찰음에 대한 문자만 사용됩니다.
- /r/와 /ɾ/ 두 로토직의 분포는 스페인어의 분포와 매우 유사합니다.모음 사이에서, 그 둘은 대조되지만, 그들은 다른 상호보완적인 분포에 있습니다: 단어의 첫 음절의 시작에서, 자음이 선행되지 않는 한, [r]이 나타납니다.방언은 [ɾ]가 같은 운율 단위의 모음-초성 단어 앞에 오는 경우가 아니라면 일반적으로 [ɾ]가 특징인 서부 카탈루냐어와 [r]가 특징인 중부 카탈루냐어 방언과 함께 코다의 로틱과 관련하여 다양합니다.
- 신중한 말에서 /n/, /m/, /l/는 주화될 수 있습니다.Geminated / ʎ/ 가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어떤 사람들은 인터포칼릭 [r]을 단일 로틱 음소의 게미네이션의 결과로 분석합니다.[108]이는 스페인어와 포르투갈어 로코틱에 대한 일반적인 분석과 유사합니다.[109]
음운 진화
사회언어학
카탈루냐 사회언어학은 세계에서 카탈루냐의 상황과 이 언어가 제시하는 다양한 종류를 연구합니다.카탈루냐어 문헌학과 다른 아핀 연구의 하위 학문이며 카탈루냐어, 화자, 밀접한 현실(접촉하는 다른 언어 중 하나 포함) 간의 관계를 분석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선호하는 공부과목
- 카탈루냐의 방언
- 카탈루냐어의 계층별, 성별, 직업별, 연령별, 학문수준별 차이
- 언어 정규화 과정
- 카탈루냐어와 스페인어 또는 프랑스어의 관계
- 카탈루냐어 사용자와 비사용자의 언어에 대한 인식
- 태그, 공공 기능, 미디어, 전문 분야 등 여러 분야에서 카탈루냐어의 존재
방언
개요
카탈루냐어의 방언들은 특히 다른 로망스어들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통일성이 있습니다;[64] 어휘, 의미론, 통사론, 형태론, 음운론 모두에서 말입니다.[113]방언 간의 상호 이해력은 매우 높으며, 추정치는 90%에서 95%[1]에 이릅니다.[36][114][85]유일한 예외는 고립된 독특한 알제어 방언입니다.[64]
카탈루냐어는 크게 두 개의 방언 블록으로 나뉩니다.동부와 서부.[85][113]주요 차이점은 강세가 없는 a와 e를 취급하는 데 있습니다. 이들은 동양 방언에서는 /a/와 /e/로 합쳐졌지만 서양 방언에서는 /a/와 /e/로 구별됩니다.[64][85]발음, 언어 형태, 어휘 면에서 몇 가지 다른 점이 있습니다.[36]
서부 카탈루냐어는 북서부 카탈루냐어와 발렌시아어의 두 방언으로 구성되며 동부 블록은 4개 방언으로 구성됩니다.중부 카탈루냐, 발레아레스, 로셀로네세, 알제레스.[85]각 방언은 몇 가지 하위 방언으로 더 세분될 수 있습니다.카탈루냐어와 발렌시아어(카탈루냐어와 발렌시아어 공동체에서 각각 사용)는 같은 언어의 두 종류를 가리킵니다.[115]카탈루냐의 카탈루냐 연구소와 발렌시아 공동체의 발렌시아 언어 아카데미라는 두 개의 표준 품종을 규제하는 기관이 있습니다.
중부 카탈루냐어는 그 언어의 표준 발음으로 여겨지고 가장 많은 사용자를 가지고 있습니다.[85]이 언어는 바르셀로나 주, 타라고나 주의 동쪽 반, 지로나 주의 대부분 지역에서 사용됩니다.[85]
카탈루냐어는 굴절 문법을 가지고 있습니다.명사에는 두 개의 성별(남성, 여성)과 두 개의 숫자(단수, 복수)가 있습니다.대명사는 추가적으로 중성적인 성별을 가질 수 있고, 경우와 예의에 대해서도 굴절되며, 매우 복잡한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습니다.동사는 여러 패러다임으로 나뉘며 사람, 수, 시제, 양상, 기분, 성별에 따라 변용됩니다.발음 면에서 카탈루냐어는 다양한 자음과 일부 자음군으로 끝나는 단어가 많은데, 이는 다른 많은 로망스어들과 대조적입니다.[84]
블록 | 서부 카탈루냐 주 | 카탈루냐 동부 | ||||
---|---|---|---|---|---|---|
사투리 | 노스웨스턴 | 발렌시아어 | 중앙의 | 발레아릭 | 노던/로셀론어 | 알제레스 |
지역 | 스페인 안도라 | 스페인 | 프랑스. | 이탈리아 | ||
안도라, 레이다 주, 타라고나 서쪽 반, 라프란자 | 카르체 주 발렌시아 자치구 | 바르셀로나의 행정 구역, 타라고나의 동쪽 절반, 지로나의 대부분 | 발레아레스 제도 | 루시용/카탈루냐 북부 | 사르데냐의 알제로 시 |
발음
모음.
카탈루냐어는 저속한 라틴어의 전형적인 모음 체계를 이어받았으며, 7개의 강세 음소가 있다: /a ɛ e i ɔ u/, 서양 로망스어에서 스페인어를 제외한 공통적인 특징.발레아릭에도 강세가 있는 /ə/ 인스턴스가 있습니다.방언들은 모음 감소의 정도와 /ɛ e/쌍의 빈도에 있어서 차이가 있습니다.
동부 카탈루냐어에서 강세가 없는 모음은 /a e ɛ/ > [ə]; /o ɔ u/ > [u]; /i/는 계속 구별됩니다.어떤 단어에서는 축소되지 않은 [e], [o]의 몇 가지 예가 있습니다.[91]알제리스는 [ə]를 [a]로 낮췄습니다.
마요르카어에서 강세가 없는 모음은 4개로 줄어듭니다: /ae ɛ/ 동 카탈루냐어 감소 패턴을 따르지만 /o ɔ/ [o]로 줄어드는데 /u/는 서로 구별되는 형태를 유지합니다.
서부 카탈루냐어에서 강세가 없는 모음은 5개로 줄어듭니다: /e ɛ/ > [e]; /o ɔ/ > [o]; /a ui/는 구별됩니다.프로토-로망스로부터 물려받은 이 축소 패턴은 이탈리아어와 포르투갈어에서도 발견됩니다.[118]일부 서양 방언들은 어떤 경우에는 더 감소하거나 모음의 조화를 보여줍니다.[118][120]
센트럴, 웨스턴, 발레아릭은 강세가 있는 /e/와 /ɛ/의 어휘 발생률이 다릅니다.보통 중부 카탈루냐어로 /ɛ/가 있는 단어는 발레아어로 /ə/, 서부 카탈루냐어로 /e/에 해당합니다.발레아어로 /e/가 있는 단어는 거의 항상 카탈루냐어 중부와 서부에도 /e/가 있습니다.[vague][90]그 결과 중부 카탈루냐 지역은 / ɛ/의 발생률이 훨씬 더 높습니다.
|
|
단어 쌍: 첫번째는 뿌리를 강조하고, 어근이 없는 두번째 | 서양의 | 동방의 | |||
---|---|---|---|---|---|
메이저캔 | 중앙의 | 북부. | |||
전선. 모음. | 젤("얼음") 젤라트("아이스크림") | [ˈ ʒɛ] [드 ʒ ˈ라트] | [ˈʒɛ] [ʒəˈ라트] | [ˈʒ] [ʒəˈ라트] | |
pera ("pear") 페레라("pear") | [ˈpe ɾa] [페 ˈɾ ɾa] | [ˈp əɾə] [p əˈɾ ɾə] | [ˈp ɛɾə] [p əˈɾ ɾə] | [ˈpe ɾə] [p əˈɾ ɾə] | |
페드라("돌") 페드레라("quarry") | [ˈpe ðɾa] [페 ˈðɾ ɾa] | [ˈpe ðɾə] [p əˈðɾ ɾə] | |||
banya ("그는 목욕한다") banyeem ("우리는 목욕한다") 메이저캔: 반얌 ("우리는 목욕합니다") | [ˈ바 ɲa] [ba ˈɲ엠] | [ˈ바 ɲə] [b əˈɲam] | [ˈ바 ɲə] [b əˈɲɛm] | [ˈ바 ɲə] [b əˈɲem] | |
뒤로 모음. | cosa ("사물") 코세타 ("작은 것") | [ ˈ크 ɔ자] [코 ˈ제타] | [ˈk ɔ즈 ə] [코 ˈ즈 ə트 ə] | [ˈk ɔ즈 ə] [쿠 ˈ즈 ɛ트 ə] | [ˈ코즈 ə] [쿠 ˈ젯 ə] |
토트("모든 것") 총계("총계") | [ˈ토트] [총 ˈ] | [ˈ토트] [tu ˈ] | [ ˈut] [tu ˈ] |
자음
이 섹션은 확장이 필요합니다.추가하면 도움이 됩니다. (2014년 3월) |
형태학
서부 카탈루냐어:동사에서 1인칭 현재 지시사의 어미는 발렌시아 공동체의 대부분에서 1인칭 동사의 -e와 2인칭 및 3인칭 동사의 - ∅ 또는 북부 발렌시아 공동체와 서부 카탈루냐의 모든 동사의 -o입니다.
예: parle, tem, sent(발렌시아어); parlo, temo, sento(카탈란어 북서부).
동부 카탈루냐어:동사에서 1인칭 현재 지시어의 어미는 모든 동사의 -o, -i, 또는 -∅입니다.
예: parlo(중앙), parl(발레어), parl(북쪽), 모두 'I speak'(아이 스피크)라는 뜻입니다.
컨쥬게이션 | 카탈루냐 동부 | 서부 카탈루냐 주 | 광택 | |||||
---|---|---|---|---|---|---|---|---|
중앙의 | 북부. | 발레아릭 | 발렌시아어 | 노스웨스턴 | ||||
첫 번째 | 파롤로 | 의회의 | 팔랑팔랑 | 파를의 | 파롤로 | 'I speak' | ||
두번째 | 테모 | 테미 | 테임 | 테임 | 테모 | '두려워요' | ||
3번째 | 순수하다 | 센토 | 센티 | 보냈다 | 보냈다 | 센토 | 'I feel', 'I hear' | |
고무적인 | 폴렉소 | 폴렉시 | poleix or polec | 폴리스크 또는 폴리스크 | pol(e)ixo | '나는 닦습니다' |
서부 카탈루냐어:동사에서 유도 어미는 -isc/-esc, -ix, -ixen, -isca/-esca입니다.
동부 카탈루냐어:동사에서 유도 어미는 -eixo, -eix, -eixen, -eixi입니다.
서부 카탈루냐어:명사와 형용사에서 프로파록시톤 단어에서 중세 복수형의 /n/을 유지하는 것.
예를 들어 h ò멘은 '남자', jovens는 '젊음'.
동부 카탈루냐어:명사와 형용사에서 프로파록시톤 단어에서 중세 복수형의 /n/의 손실.
예를 들어 집은 '남자', '젊음'을 추구합니다. (그러나 이비첸칸은 이 경우[122] 서부 카탈란의 모델을 따릅니다.).
어휘
상대적인 어휘적 통일성에도 불구하고, 카탈루냐어의 두 방언 블록(동방과 서양)은 단어 선택에 약간의 차이를 보입니다.[58]두 그룹 내의 어휘적 차이는 모두 아치즘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또한, 보통 중부 카탈루냐는 혁신적인 요소로 작용합니다.[58]
광택 | "거울" | "소년" | broom | 배꼽을 | "퇴장할" |
---|---|---|---|---|---|
카탈루냐 동부 | 미랄의 | 아니, 나는. | escombra | 롬브리골 | 소티르 |
서부 카탈루냐 주 | 특필의 | 샤이케 | 그라네라 | 유색의 | 아익시르 |
기준
카탈루냐 (IEC) | 발렌치안 (AVL) | 광택을 내다 |
---|---|---|
각선미의 | 각선미 | 영어 |
코닉서 | 코넥서 | 알다 |
보물을 | 보물 같은 | 테이크아웃 |
니커 | 나익서 | 태어나다 |
캉티르 | 캉통을 | 물주전자 |
로도 | 레도 | 둥글게 |
메바 | 뫼아 | 나의 |
메타 | 메타, 메타, 메타, 메타, 메타, 메타, 메타, 메타, 메타, 메타. | 아몬드 |
에스트렐라 | 에스트렐라 | 별 |
경찰의 | 콜프 | 때리다 |
라고스타 | 란고스타 | 바닷가재 |
집들 | ò맨 | 남자들 |
서비 | 서비스의 | 서비스 |
표준 카탈루냐어는 사실상 모든 사용자들에게 받아들여지고 있으며,[45] 대부분 가장 널리 사용되는 방언인 [85][123]동부 카탈루냐어를 기반으로 합니다.그럼에도 불구하고 발렌시아 공동체와 발레아레스 제도의 기준은 카탈루냐 동부 지역에는 없는, 대부분 전통적인 형태인 대안적 형태를 인정하고 있습니다.[123]
두 표준 간의 가장 눈에 띄는 차이점은 강장 ⟨ ⟩ 악센트입니다. 예를 들어 프랑세, 앙글레스(IEC) – 프랑세, 앙글레스(AVL).그럼에도 불구하고 AVL의 표준은 중대한 악센트 ⟨è ⟩를 유지하면서 /ɛ/가 아닌 /e/로 발음합니다. què('무엇')나 Valencia와 같은 단어들이 있습니다.그 밖의 차이로는 일부 단어에서 ⟨틀 ⟩ (AVL)를 사용하는 것이 있는데, 예를 들어 아메틀라/아메텔라 ('아몬드'), 에스파틀라/에스파텔라 ('뒤'), 강화된 것과 동일한 수준의 엘리드 데모 (este 'this', eixe 'that')를 사용하는 것, 발렌시아어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많은 언어 형식을 사용하는 것 등이 있습니다.서부 카탈루냐어 역시 -eix-와 같은 수준의 -ix에서 가정법 또는 지시어 사용과 같거나, 현재 지시어(-ar 동사)에서 1인칭 단수의 -e 형태소 우선 사용: jo compro 대신 jo compre ('I buy').
발레아레스 제도에서는 IEC의 표준을 사용하지만 발레아레스 제도 대학교의 문헌 섹션에서 발레아레스 방언에 적용했습니다.예를 들어 IEC는 칸템('우리는 노래한다')만큼 칸탐을 쓰는 것이 옳다고 하지만, 대학은 발레아레스 제도의 우선순위 형태는 모든 분야에서 칸탐이어야 한다고 말합니다.발레아어 표준의 또 다른 특징은 1인칭 단수 지시어인 조콤프('나는 산다'), 조템('나는 두려워'), 조동('나는 잔다'), 조동('나는 잔다('나는 잔다')에서 끝나는 것이 아닙니다.
알제로에서 IEC는 알제로 방언에 표준을 적용했습니다.이 표준에서 다른 특징들 중에서 발견할 수 있다: el 대신 정관사 lo, 특별한 소유 대명사와 결정 요소 lamia ('mine'), lo sou/la sua ('his/her'), lo toua/la tua ('yours'), 등, 모든 컨쥬게이션에서 -v- /v/의 사용: 칸타바, 크레익시바, 레기바; 많은 고대 단어의 사용, 보통의 단어알제레스의 ds: meny 대신 manco ('less'), algu 대신 calquiu ('someone'), quin/quina 대신 quala ('wich'), 그리고 약한 대명사의 적응.
2011년,[124] 아라곤 정부는 라 프라냐(아라곤의 카탈루냐어를 사용하는 지역)의 새로운 언어 규제 기관의 법령을 승인하는 법령을 통과시켰습니다.[125]Acadèmia Aragonesa del Catala로 지정된 새로운 기관은 카탈루냐어의 교수 교육과 라 프라냐어의 카탈루냐어의 표준화를 허용할 것입니다.
발렌치안의
발렌시아어는 서부 카탈루냐 지방(레이다 주, 타라고나 주)에서 쓰이는 북서부 방언과 함께 서부 방언으로 분류됩니다.[85][116]중부 카탈루냐어는 발렌시아어 화자에 대해 90%에서 95%의 고유한 이해력을 가지고 있습니다.[1]
발렌시아 학자들을 포함한 언어학자들은 카탈루냐어와 발렌시아어를 같은 언어로 취급합니다.발렌시아어 공동체의 공식 언어 규제 기관인 발렌시아어학원(Acadèmia Valenciana de la Llengua, AVL)은 발렌시아어와 카탈루냐어 간의 언어적 통합을 선언합니다.[13]
[T]발렌시아인들의 역사적인 모국어는 문헌학적인 관점에서 카탈루냐와 발레아레스 제도, 안도라 공국의 자치 공동체들에 의해 동일하게 공유됩니다.게다가, 그것은 고대 아라곤 왕가의 다른 영토들의 역사적인 언어이다 [...] 이 영토들의 다양한 종류들은 언어를 구성한다 즉, "언어 체계" [...] 이 다양한 종류들로부터, 발렌시아어는 그 언어 체계의 다른 방언 형식과 같은 위계와 위엄을 가지고 있습니다.tem [...]
Ruling of the Valencian Language Academy of 9 February 2005, extract of point 1.[13][126]
발렌시아 의회가 제정한 AVL은 발렌시아어 사용에 관한 공식 규칙을 규정하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으며, 그 기준은 카스텔로 규범(Normes de Castello)에 근거하고 있습니다.현재 발렌시아어로 글을 쓰는 모든 사람들은 발렌시아어를 독립적인 표준으로 사용하는 왕립 발렌시아 문화 아카데미(Acadèmia de Cultura Valenciana, RACV)를 제외하고 이 표준을 사용합니다.
공식 기관들의 입장에도 불구하고, 2001년과 2004년[127] 사이에 실시된 여론 조사에서 발렌시아 사람들의 대다수는 발렌시아 사람들을 카탈루냐 사람들과 다르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발렌시아어를 정기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이 이 자리를 홍보합니다.[45]더욱이 발렌시아에서 교육을 받은 젊은 세대들이 이러한 견해를 가질 가능성이 훨씬 적음을 데이터는 보여줍니다.언어학 이외의 분야에서 활동하는 소수의 발렌시아 학자들은 발렌시아 문화 왕립 아카데미(Acadèmia de Cultura Valenciana, RACV)[128]의 입장을 옹호합니다.
이 의견 충돌은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습니다.예를 들어, 2004년 유럽 헌법 초안이 작성되는 동안 스페인 정부는 EU에 이 문서의 바스크어, 갈리시아어, 카탈루냐어, 발렌시아어 번역본을 제공했지만, 후자의 두 가지는 동일했습니다.[129]
어휘
단어선택
상대적인 어휘적 통일성에도 불구하고, 카탈루냐어의 두 방언 블록(동방과 서양)은 단어 선택에 약간의 차이를 보입니다.[58]두 그룹 내의 어휘적 차이는 모두 아치즘으로 설명될 수 있습니다.또한, 보통 중부 카탈루냐는 혁신적인 요소로 작용합니다.[58]
문학 카탈루냐어는 매우 제한적인 사용을 제외하고는 다른 방언의 단어 사용을 허용합니다.[58]그러나, 19세기 이후부터, 오늘날에는 더 큰 선택의 자유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북부 방언의 단어들을 다른 사람들에게 해를 끼치는 쪽으로 선호하는 경향이 있었습니다.[clarify][58]
라틴어와 그리스어의 차용어
다른 언어들처럼, 카탈루냐어는 그리스어와 라틴어에서 온 외래어들의 목록이 많습니다.이 과정은 매우 일찍 시작되었고, 라몬 럴의 작품에서 그러한 예들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58]14세기와 15세기에 카탈루냐어는 다른 로망스어보다 훨씬 더 많은 수의 그레코-라틴어 외래어를 가지고 있었는데, 예를 들어 로이스 드 코렐라의 글에서 알 수 있습니다.[58]자신의 조상 언어인 라틴어에서 학습된, 또는 "책에 가까운" 단어들을 카탈루냐어에 통합한 것은 거의 틀림없이 문자 언어와 교회의 전례 언어의 영향을 통한 어휘 차용의 또 다른 형태입니다.중세와 근대 초기까지 대부분의 글을 읽고 쓸 수 있는 카탈루냐어 사용자들은 라틴어로 글을 읽고 쓸 수 있었고 결국 카탈루냐어로 된 그들의 글과 말에 라틴어 단어를 쉽게 채택했습니다.
단어형성
카탈루냐어의 형태론적 파생 과정은 다른 로망스어들과 같은 원리를 따르는데,[130] 이 언어들은 응집이 일반적입니다.기존의 어휘소에 여러 접사가 추가되는 경우가 많으며, 일부 소리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일렉트릭 [ əˈl ɛktrik] ("전기적") 대 일렉트릭 [ əl ˈktrisi əat].접두사는 일반적으로 동사에 붙습니다("fore see").[130]
단어 합성 과정에서 더 큰 규칙성이 있는데, 영어와 매우 유사한 합성어를 찾을 수 있습니다.[130]
유형 | 예 | 광택 |
---|---|---|
두개의 명사, 첫번째 명사에 동화된 두번째 명사. | 종이 모네다 | 지폐 용지 |
형용사로 구분되는 명사 | 에스타트 장조 | "군 참모" |
다른 명사와 전치사로 구분되는 명사 | 마퀴나 디크리처 | 타자기 |
명사형 목적어를 가진 동사 래디컬 | 부랑자 같은 사람들 | parachute |
형용사로 구분되는 명사, 형용사 값을 가진 | 피트로이그 | "robin" (새) |
필기체
주요형태 | A | B | C | D | E | F | G | H | I | J | K | L | M | N | O | P | Q | R | S | T | U | V | W | X | Y | Z | |
---|---|---|---|---|---|---|---|---|---|---|---|---|---|---|---|---|---|---|---|---|---|---|---|---|---|---|---|
수정양식 | à | ç스 | 에 Eè | III Ï | 엘·엘 | 오 Ò | UU ü |
카탈루냐어는 라틴 문자를 사용하며 기호와 숫자가 추가되어 있습니다.[131]카탈루냐 맞춤법은 체계적이고 대체로 음운론적으로 기초를 두고 있습니다.[131]카탈루냐어의 표준화는 1906년 10월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제1차 국제 카탈루냐어 회의에서 논의된 주제 중 하나였습니다.그 후, The Institute d'Estudis Catalans (IEC 1911년 설립)의 문헌학 부문은 Antoni Maria Alcover와 Pompeu Fabra의 지휘 아래 1913년에 Normes ortografiks를 출판했습니다.1932년 발렌시아의 작가들과 지식인들이 카스텔로 데 라 플라나에 모여 폼페우 파브라의 카탈루냐어 규범을 따르는 일련의 지침인 소위 노르메스 데 카스텔로(Normes de Castello)를 공식적으로 채택했습니다.[132]
발음 | 예시들[133] | |
---|---|---|
ç스 | /s/ | felç [f əˈlis] ("행복") |
구 | /ɡ/ ([ɡ~ɣ]) 나와 e 앞에 | 게라 [ˈɡɛ르 ə] ("전쟁") |
/ɡw/기타 | guant [ˈɡ완] ("glove") | |
이그 | [tʃ] 최후의 위치에 있는 | raig [ˈ 쥐 ʃ] ("낙수") |
ix | /ʃ/ (일부 방언에서는 [jʃ]) | caixa [ˈ카 ʃə] ("상자") |
ll | /ʎ/ | lloc [ ʎɔk] ("place") |
l·l | 정규적으로는 /l:/이지만, 보통은 /l/ | novel·la [nu ˈβ ɛ ə] ("novel") |
니 | /ɲ/ | 카탈루냐 [k ə트 əˈɫ우 ɲə] ("Catalonia") |
qu | /k/ 나와 e 앞에 | qui [ ˈ키] ("누구") |
/kw/ 다른 모음 앞에 | quatre [ ˈkwatr ə] ("4") | |
ㅅ | /s/ 인터포칼릭은 /z/로 발음됩니다. | grosa [ˈɡɾɔ ə] ("큰 feminine") casa[ˈ카즈 ə] ("집") |
tg, tj | [dd ʒ] | fetge [ˈ피드 ʒə] ("간"), mitjó [미드 ˈ드 ʒ로" ("sock") |
tx | [t ʃ] | depatx [d əs ˈpat ʃ] ("오피스") |
tz | [ddz] | dotze [ˈ도즈 ə] ("twelve") |
메모들 | 예시들[133] | |
---|---|---|
c | /s/ 나와 e 앞에 다른 문맥에서는 cs에 해당합니다. | feliç ("행복한-masculine-singular") - felice ("행복한-feminine-plural") caço ("I hunt") - caces ("You hunt") |
g | /ʒ/ e와 i 앞에 다른 위치의 j에 해당합니다. | envejar ("부럽다") - envegen ("그들이 부러워한다") |
final g + 강세 i, 그리고 final ig는 다른 모음들보다 먼저, [t ʃ]로 발음됩니다. 다른 위치에서는 j~g 또는 tj~tg에 해당합니다. | boig['b ɔ트 ʃ] ("mad-masculine") - boja['b ɔʒə] ("mad-feminine") - bog['b ɔʒə] ("mad-feminine 복수") desig[d ə'zit ʃ] ("wish") - desitjar ("wish") - desitgem ("wish") | |
구 | /ɡ/ e와 i 앞에 다른 위치에서는 g에 해당합니다. | botiga ("shop") - botigues ("shops") |
귀 | /ɡw/ e와 i 앞에 다른 위치에서는 구에 해당합니다. | llengua ("언어") - lengues ("languages") |
qu | /k/ e와 i 앞에 다른 위치에서는 c에 해당합니다. | vaca ("cow") - vaque ("cows") |
큐 | /kw/ e와 i 앞에 다른 위치에서는 qu에 해당합니다. | obliqua ("oblique-feminine") - obliquues ("oblique-feminine 복수") |
x | [ʃ~t ʃ] 초성과 자음 뒤의 설정에서 [ʃ] i 후에 그렇지 않으면, 스트레스 전에 [ɡz], 후에 [ks] | xarxa[ˈʃ ʃə]("net") guix[ˈɡi ʃ] ("chalk") exacte[əɡˈ자크트 ə]("exact"), 팩스[ˈ팩스]("팩스") |
문법.
카탈루냐어의 문법은 다른 로망스어들과 비슷합니다.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134]
- 정관사와 부정관사의 사용.[134]
- 명사, 형용사, 대명사, 관사는 성별(남성적이고 여성적), 숫자(단수와 복수)로 변형됩니다.대명사를 제외하고는 융통성이 없는 경우는 없습니다.[134]
- 동사는 사람, 수, 시제, 양상, 기분(접사 포함)에 대해 매우 많이 굴절됩니다.[134]
- 모드 보조 장치가 없습니다.[134]
- 어순은 영어보다 자유롭습니다.[134]
성별 및 번호 변곡
|
|
|
|
성별 변곡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특징은 (포르투갈어, 스페인어, 이탈리아어와 비교할 때) 전형적인 남성 접미사 -o의 손실입니다.따라서 -o/-a의 교대가 Ø/-a로 대체되었습니다.[84]minso/minsa ("희소")[84]와 같은 몇 가지 예외가 있습니다.다음과 같이 완전히 예측할 수 없는 형태적 변화가 많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84]
- 마찰음: boig/boja ("미친") vs. lleig/lletja ("못생김")
- n의 손실: pla/plana ("평평") 대 segon/segona ("초")
- 최종 장애물 디바이싱: sentit/sentida ("felt") vs dit/dita ("said")
카탈루냐어는 프랑스어와 달리 이탈리아어와 스페인어처럼 보충적인 커플링이 거의 없습니다.따라서 카탈루냐어에는 noi/noia(소년/소녀)와 gall/gallina(cock/hen)가 있는 반면 프랑스어에는 garçon/fille와 coq/poule이 있습니다.[84]
전통적으로 성불변의 형용사를 버리고 표시된 형용사를 선호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Occitan과 프랑스어에 널리 퍼져있는 것입니다.따라서 전통적인 불렛/불렛과 대비되는 불렛/불렛타("끓는")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84]
다른 서양 로망스어에서와 마찬가지로, 주요 복수 표현은 접미사 -s인데, 이는 성별 변곡에서 발견되는 것들과 유사한 형태적인 변화를 만들 수 있지만, 더 드물기는 합니다.[84]가장 중요한 것은 특정한 자음 그룹 앞에 -o-를 추가하는 것인데, 이는 여성형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음운 현상입니다: elpols/els polsos ("맥박"/"맥박") vs lapols/lepols ("먼지"/"먼지").[135]
결정자
|
|
|
결정 요소의 변곡은 특히 많은 이탈 수 때문에 복잡하지만, 이웃 언어와 유사합니다.[130]카탈루냐어는 스페인어보다 전치사 + 관사의 축약이 더 많은데, 델스([복수]의)와 같이 이탈리아어(설, 콜, 넬 등)만큼 많지는 않습니다.[130]
중부 카탈루냐는 이탈리아어와 공유하는 특징인 기사+강조형(el meu 등)의 구성을 선호하여 거의 완전히 강세가 없는 소유물(mon 등)을 포기했습니다.[130]
인칭대명사
단수형 | 복수형 | ||
---|---|---|---|
1인칭 | 조,미 | 소금기 없는 | |
2인칭 | 격식을 차리지 않는 | 투 | 보잘트레스 |
공식적인. | 보스테 | 보스테스 | |
존대의 | (vos)[138] | ||
3인칭 | 남성적 | 으뜸가는 | 엘스 |
여성스럽다 | 엘라 | 엘스 |
카탈루냐 인칭 대명사의 형태론은 복잡하며, 특히 강세가 없는 형태는 매우 많습니다(스페인어의 11개 또는 이탈리아어의 9개에 비해 13개의 다른 형태).[130]특징은 성중립적인 호와 강세가 없는 다른 대명사들(65개의 조합)을 결합할 때의 큰 자유도를 포함합니다.[130]
카탈루냐어의 대명사는 다른 모든 로망스어들과 마찬가지로 T-V 구별을 보여줍니다.이 특징은 격식을 위해 2인칭 대명사의 다른 집합을 사용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유연성 덕분에 카탈루냐어는 프랑스어나 스페인어보다 훨씬 많은 외삽법을 광범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따라서 카탈루냐어는 m'hi recomanaren("그들은 나를 그에게 추천했다")을 가질 수 있는 반면, 프랑스어에서는 ils m't recommand de àlui, 스페인어 mere recommandaron ael이라고 말해야 합니다.[130]이것은 (프랑스어나 영어처럼) 수동적인 음성을 자주 사용하거나, 전치사로 직접적인 개체를 식별할 필요 없이, 문장 주제로서 거의 모든 명목 용어를 배치할 수 있게 해줍니다.[130]
동사들
무한하지 않음 | 형태 | |||||
---|---|---|---|---|---|---|
부정사 | 포타의 | |||||
제룬드 | 위풍당당한 | |||||
과거분사 | portat(portat, portada, portats, portades) | |||||
인디케이터 | 조 | 투 | 엘 / 엘라 [보스테] | 소금기 없는 | 보잘트레스 [vos] | 엘/엘/엘 [보스테스] |
현재의. | 포르토 | 포츠 | 포르타 | 포르템 | 포르테우 | 주렁주렁한 |
불완전한 | 포르타바 | 포테이브 | 포르타바 | 좌현의 | 포르타베우 | 좌현의 |
프레테라이트 (고대) | 포르티 | 포르테 | 포르타 | 포르타렘의 | 포르타루 | 포타렌식의 |
미래. | 포르타레 | 포르타라 | 포르타라 | 포타렘 | 포르타레우 | 포르타란 |
조건부 | 포르타리아 | 포리타리 | 포르타리아 | 포르타리엠 | 포르타리에우 | 포타리엔의 |
가정법 | 조 | 투 | 엘 / 엘라 [보스테] | 소금기 없는 | 보잘트레스 [vos] | 엘/엘/엘 [보스테스] |
현재의. | 포르티 | 포르티스 | 포르티 | 포르템 | 포르테우 | 안으로 들여오다 |
불완전한 | 포르테 | 포르테시스 | 포르테 | 포르테심 | 포르테시우 | 포르테신 |
임페리얼 | 조 | 투 | 엘 / 엘라 [보스테] | 소금기 없는 | 보잘트레스 [vos] | 엘/엘/엘 [보스테스] |
— | — | 포르타 | 포르티 | 포르템 | 포르테우 | 안으로 들여오다 |
모든 로망스어족 언어들처럼 카탈루냐어의 언어적 변곡은 명목상의 것보다 더 복잡합니다.접미사는 보편적으로 존재하는 반면 형태적 변화는 부차적인 역할을 합니다.[130]모음 교대가 활성화되어 있고, 어법과 보충이 가능합니다.그러나 이것들은 스페인어처럼 생산적이지 않으며 대부분 불규칙 동사에 국한됩니다.[130]
카탈루냐어의 언어 체계는 기본적으로 모든 서양 로망스어에 공통적이지만, 대부분의 방언들이 합성 지시 완벽을 아나("to go")+부정사의 주변어 형태로 대체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말입니다.[130]
카탈루냐어 동사는 전통적으로 모음 주제 -a-, -e-, -i-와 함께 세 개의 컨쥬게이션으로 나뉘며, 마지막 두 개는 두 개의 아형으로 나뉩니다.그러나 이 구분은 대부분 이론적입니다.[130]오늘날 첫 번째 컨쥬게이션(공통 동사 약 3500개)만이 생산적인 반면, 세 번째(공통 동사 약 700개의 서비르의 하위 유형)는 반생산적입니다.두 번째 컨쥬게이션의 동사는 100보다 작으며, 컴파운딩을 제외하고는 새로운 동사를 만들 수 없습니다.[130]
구문
카탈루냐어의 문법은 서양 로망스어의 일반적인 패턴을 따릅니다.주요 어순은 주어-동사-목적어입니다.[140]하지만, 단어 순서는 매우 유동적입니다.일반적으로 동사- 주어 구문은 의미적 효과를 얻기 위해 사용됩니다."열차가 도착했다"는 문장은 하리바텔트렌 또는 엘트렌 하리바트로 번역될 수 있습니다.두 문장 모두 "열차가 도착했다"를 의미하지만 전자는 열차에 초점을 맞추고 후자는 도착에 초점을 둡니다.이 미묘한 차이는 "역에서 기다리는 동안 할 수 있는 말"과 "열차 안에서 할 수 있는 말"로 설명됩니다.[141]
카탈루냐어 이름
스페인에서는 모든 사람이 공식적으로 두 개의 성을 가지고 있는데, 하나는 아버지의 성이고 다른 하나는 어머니의 성입니다.[142]이 법은 카탈루냐어 접속사 i(그리고 "와")와 두 성의 결합 가능성을 고려하고 있습니다.[142][143]
샘플 텍스트
Manuel de Pedrolo의 1970년 소설 Unamor for a ciutat("도시 밖의 연애")에서 선정된[144] 글.
원래의 | 낱말 번역[144] | 자유번역 |
---|---|---|
테니아 프롭 드 디비뉴 애니스 콴바이그 코닉서 | 18년 가까이 지냈는데 [과거의 보조] 가서 (=만남) | 제가 만났을 때 저는 18살 정도였습니다. |
엔 라울, 에스타시오 데 만레사. | 만레사(=in)역에 있는 라울(Raül). | 라울, 만레사 기차역에서. |
엘 메우레 파레 하비아 모트, 엔카라조브의 에스페라멘탈, | 아버지는 뜻밖에도 아직 젊어서 돌아가셨습니다. | 아버지는 뜻밖에도 젊은 나이에 돌아가셨습니다. |
아니사반들과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I'a'quells temps. | 그 몇 년 전과 그 무렵. | 2-3년 전; 그리고 그로부터. |
비범한 기록의 고독 | 나는 극심한 외로움을 기억하고 있습니다. | 나는 아직도 큰 외로움의 기억이 남아있습니다. |
레스미브 레스미브 레스미브 레스미브 레스미브 레스미브 레 | 어머니와 나의 관계는 | 어머니와 나의 관계. |
하비엔 파스 밀로라트, 토탈 콘트라리, | 조금도 나아지지 않았고, 반대로 | 개선되지 않았습니다; 정반대로, |
도자기 지느러미가 날개 모양을 하고 있습니다. | 어쩌면 그들조차도 악화되고 있었을지도 모릅니다. | 그리고 거의 틀림없이 그것은 더 악화되고 있었습니다. |
메수라케 엠페이아 그란 | (=나 자신과 비례하여) 내가 크게(=나는 성장하고 있었습니다) 단계에서. | 내가 자라면서 |
존재하지도, 존재하지도, 존재하지도 않는 소금, | 존재하지도 않았고, 우리 사이에 존재하지도 않았고, | 우리 사이에 존재한 적이 없었으니, 우리 사이에 존재했던 적이 없었습니다. |
d'intressos, d'afeccion의 uncommunitat. | 이해관계와 애정의 공동체 | 공통된 관심사나 애정 |
켈레큐어 케르카바...개성이 없는 | 내가 ...을 찾고 있었다고 믿을 필요가 있습니다.사람을 | 내가 찾던 건...사람을 |
중심부의 라 메바 비다 아페티바 | 내 삶의 정의의 중심을 누구로 잡을 것인가에 대해. | 감정적인 삶의 중심을 잡을 수 있는 곳에서 |
참고 항목
메모들
참고문헌
- ^ a b c d e 카탈루냐 앳 에스놀로그 (2022년 25일)
- ^ a b 일부 이베리아 학자들은 대안적으로 카탈루냐어를 이베리아 로맨스/동이베리아어로 분류할 수도 있습니다.
- ^ "Definition of CATALAN". 16 August 2023.
- ^ a b "Definition of Catalan Dictionary.com". www.dictionary.com.
- ^ a b c d e f g h i j k 휠러 2010, 페이지 191.
- ^ Minder, Raphael (21 November 2016). "Italy's Last Bastion of Catalan Language Struggles to Keep It Alive". The New York Times.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 January 2022. Retrieved 21 January 2017.
- ^ "els Països Catalans". enciclopèdia.cat (in Catalan). Retrieved 15 August 2023.
- ^ a b c 휠러 2010, 페이지 190-191.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코스타 카레라스와 예이츠 2009, 페이지 6-7.
- ^ 가르시아 베네로 2006.
- ^ 버크 1900쪽, 154쪽.
- ^ "Definition of CATALAN". 16 August 2023.
- ^ a b c d Acadèmia Valenciana de la Llengua (9 February 2005). "Acord de l'Acadèmia Valenciana de la Llengua (AVL), adoptat en la reunió plenària del 9 de febrer del 2005, pel qual s'aprova el dictamen sobre els principis i criteris per a la defensa de la denominació i l'entitat del valencià" (PDF) (in Valencian). p. 52.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3 September 2015. Retrieved 16 February 2013.
- ^ Lledo 2011, pp. 334–337
- ^ 베니 1997, 페이지 9-18.
- ^ a b c 모란 2004, 37-38쪽.
- ^ 1964년 리커
- ^ a b c d 휠러 2010, 페이지 190.
- ^ Trobes en llores de la Verge Maria ("성모 마리아 찬양의 시") 1474년.
- ^ Sales Vives, Pere (22 September 2020). L'Espanyolització de Mallorca: 1808–1932 (in Catalan). El Gall editor. p. 422. ISBN 9788416416707.
- ^ Antoni Simon, Elsorigens hist òrics de l'anticalanisme, paginas 45-46, L'Espill, nº 24, Universitat de Valencia
- ^ Mayans Balcells, Pere (2019). Cròniques Negres del Català A L'Escola (in Catalan) (del 1979 ed.). Edicions del 1979. p. 230. ISBN 978-84-947201-4-7.
- ^ Lluís, García Sevilla (2021). Recopilació d'accions genocides contra la nació catalana (in Catalan). Base. p. 300. ISBN 9788418434983.
- ^ Bea Seguí, Ignaci (2013). En cristiano! Policia i Guàrdia Civil contra la llengua catalana (in Catalan). Cossetània. p. 216. ISBN 9788490341339.
- ^ "Enllaç al Manifest Galeusca on en l'article 3 es denuncia l'asimetria entre el castellà i les altres llengües de l'Estat Espanyol, inclosa el català".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9 July 2008. Retrieved 2 August 2008.
- ^ Radatz, Hans-Ingo (8 October 2020). "Spain in the 19th century: Spanish Nation Building and Catalonia's attempt at becoming an Iberian Prussia". ResearchGate.
- ^ a b de la Cierva, Ricardo (1981). Historia general de España: Llegada y apogeo de los Borbones (in Catalan). Planeta. p. 78. ISBN 8485753003.
- ^ "L'interdiction de la langue catalane en Roussillon par Louis XIV" (PDF). "CRDP, Académie de Montpellier.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14 December 2010.
- ^ Àngela-Rosa Menages, Joan-Lluís Monjo. "El patuet valencià, un reflex lingüístic de la societat algeriana colonial (1830–1962)" (PDF).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21 September 2013.
- ^ Plataforma per la llengua. "The Catalan Language" (PDF).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7 March 2022.
- ^ Marfany, Marta; Simó, Marta Marfany (2002). Els menorquins d'Algèria (in Catalan). L'Abadia de Montserrat. ISBN 978-84-8415-366-5.
- ^ 2002년 마르파니.
- ^ "Charte en faveur du Catal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2 December 2012. Retrieved 18 June 2010. "La catalanitat a la Catalunya Nord".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9 March 2011. Retrieved 13 March 2011.
- ^ Merle, René (5 January 2010). Visions de "l'idiome natal" à travers l'enquête impériale sur les patois 1807–1812 (in French). Perpinyà: Editorial Trabucaire. p. 223. ISBN 978-2849741078.
- ^ 코스타 카레라스와 예이츠 2009, 페이지 10-11.
- ^ a b c d e f g h i 휠러 2005, 페이지 1.
- ^ Burgen, Stephen (22 November 2012). "Catalan: a language that has survived against the odds". The Guardian. Retrieved 18 January 2017.
- ^ Manent, Albert; Crexell, Joan (1988). Bibliografia catalana dels anys més difícils (1939-1943). Barcelona: Publicacions de l'Abadia de Montserrat, S.A. p. 14. ISBN 8472029379.
- ^ CORNELLÀ-DETRELL, JORDI (2011). Literature as a Response to Cultural and Political Repression in Franco's Catalonia. Boydell & Brewer. ISBN 978-1-85566-201-8. JSTOR 10.7722/j.cttn346z.
- ^ "Una polèmica literària sota el franquisme". Palavracomum (in Catalan). 20 July 2015.
- ^ "Primera emisión de un programa en catalán". RTVE (in European Spanish). 30 July 2018.
- ^ Casademont, Enric Pujol (2020). "Culture, language and politics. The Catalan cultural resistance during the Franco regime (1939–1977)" (PDF). Catalan Historical Review. 13: 69–84.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9 October 2022.
- ^ Rendon, Sílvio (2007). "The Catalan premium: language and employment in Catalonia". Journal of Population Economics. 20 (3): 669–686. doi:10.1007/s00148-005-0048-5. hdl:10016/291. ISSN 0933-1433. JSTOR 20730773. S2CID 29009762.
- ^ Katrin Voltmer (2006). Mass Media and Political Communication in New Democracies. Psychology Press. p. 19. ISBN 978-0-415-33779-3.
- ^ a b c d e 휠러 2003, 페이지 207.
- ^ Armora, Esther (9 September 2013). "Cataluña ordena incumplir las sentencias sobre el castellano en las escuelas" [Catalonia orders violate the judgments on the Castilian in schools]. ABC (in Spanish). Retrieved 10 September 2013.
- ^ Wong, Alia (3 November 2017). "Is Catalonia Using Schools as a Political Weapon?". The Atlantic.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November 2017. Retrieved 11 September 2018.
- ^ "You are here: ANSAmed. Catalonia: Supreme Court, 25% of lessons must be in Spanish". 21 January 2022. Retrieved 21 January 2022.
- ^ "Idescat. Annual indicators. Language uses. First language, language of identification and habitual language. Results". Institut d'Estadística de Catalunya.
- ^ "Idescat. Demographics and quality of life. Language uses. First language, language of identification and habitual language. 2003. Results". Institut d'Estadística de Catalunya. Retrieved 21 January 2017.
- ^ "2010 Language Policy Report". Generalitat de Catalunya.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5 April 2014.
- ^ CPNL, Consorci per a la Normalització Lingüística-. "Consorci per a la Normalització Lingüística". Consorci per a la Normalització Lingüística – CPNL.
- ^ "Catalan language resources Joshua Project". joshuaproject.net. Retrieved 3 November 2022.
- ^ Philip D. Rasico. "La llengua dels mallorquins de San Pedro (Argentina)" (PDF). Archived (PDF) from the original on 16 November 2020.
- ^ "COMUNITATS CATALANES A L'EXTERIOR – index". catalansalmon.com. Retrieved 3 November 2022.
- ^ Friend, Julius W. (2012). Stateless Nations: Western European Regional Nationalisms and the Old Nations. Palgrave Macmillan. p. 80. ISBN 978-0-230-36179-9. Retrieved 5 March 2016.
- ^ Smith, Nathaniel B.; Bergin, Thomas Goddard (1984). An Old Provençal Primer. New York: Garland. p. 9. ISBN 0-8240-9030-6.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Enciclopèdia Catalana, 페이지 632.
- ^ a b c d e Feldhausen 2010, 페이지 4.
- ^ a b c d e Schlösser 2005, p. 60f.
- ^ Ross, Marc Howard (2007). Cultural Contestation in Ethnic Conflict. Cambridge University Press. p. 139. ISBN 978-1-139-46307-2.
- ^ a b 1925년 주드
- ^ a b 콜론 1993, 33-35쪽.
- ^ a b c d e Moll 2006, 페이지 47.
- ^ a b 포르투갈어와 스페인어는 각각 가뭄, 건기 또는 낮은 수위를 위한 에스티아엠과 에스티아헤를 가지고 있습니다.
- ^ a b 포르투갈인과 스페인인은 각각 베스페라와 비스페라를 전야 또는 전날에 가집니다.
- ^ 스페인어에도 트로조가 있는데, 실제로는 카탈루냐의 트로에서 차용한 것입니다.콜론 1993, p 39.포르투갈어에는 트로소(troço)가 있지만, 외래어라는 뜻 외에도 "사물", "가젯", "도구", "파라페날리아" 등 매우 다른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 ^ 현대 스페인어에도 그리스어가 있지만, 그것은 Occitan의 현대 차용어입니다.원래의 단어는 pardo였는데, "붉은 색, 노란색-주황색, 중간-어두운 색, 중간에서 약한 채도"를 의미합니다.또한 황토색, 창백한 황토색, 어두운 황토색, 갈색, 황갈색, 회색, 회색, 탈수, 더럽고, 어둡고, 불투명한 색을 의미할 수도 있습니다."
- ^ 20세기 프랑스어 소개.
- ^ 콜론 1993, 페이지 55.
- ^ 브루게라 2008, 페이지 3046.
- ^ "Sociolinguistic situation in Catalan-speaking areas. Tables. Official data about the sociolinguistic situation in Catalan-speaking areas: Catalonia (2003), Andorra (2004), the Balearic Islands (2004), Aragonese Border (2004), Northern Catalonia (2004), Alghero (2004) and Valencian Community (2004)". Generalitat of Catalonia. 7 August 2008. Retrieved 13 March 2012.
- ^ Catalan, language of Europe (PDF), Generalitat of Catalonia,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2 December 2012, retrieved 13 March 2012
- ^ 포블라시온 세군렝구아는 습관적입니다. 다토스 비교 2003-2008년 카탈루냐 아뇨 2008, 엔쿠에스타 데 우소스 링귀스티코스 데 라 포블라시온 (2003 y 2008), 이스타디스티카 데 카탈루냐
- ^ Informe sobre la situació de la llengua catalana [Report on the situation of the Catalan language] (PDF) (in Catalan), Xarxa CRUSCAT,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3 January 2013
- ^ Geli, Carles (8 July 2019). "El uso del catalán crece: lo entiende el 94,4% y lo habla el 81,2%". El País (in Spanish). ISSN 1134-6582. Retrieved 8 July 2019.
- ^ Departament d'Estadística. Ajuntament de Barcelona (2011). "Coneixement del català: Evolució de les característiques de la població de Barcelona (Knowledge of Catalan in Barcelona)". Ajuntament de Barcelona (in Catal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December 2015. Retrieved 13 November 2015.
- ^ "Coneixement del català: Evolució de les característiques de la població de Barcelona (Knowledge of Catalan in Barcelona)". Ajuntament de Barcelona (in Catalan). 2011.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December 2015. Retrieved 13 November 2015.
- ^ a b 출처:
- 카탈루냐 주:2001년 인구조사의 통계자료, the Institute d'Estadistica de Catalunya, Generalitat de Catalunya [1].
- 발렌시아의 땅:2001년 인구조사의 통계자료, 발렌시아나의 발렌시아 d'Estadistica, Generalitat Valenciana.
- 발렌시아의 땅:2001년 센서스의 통계 데이터, 발렌시아나의 발렌시아 d'Estadistica, Generalitat Valenciana [2] Wayback Machine에서 2015년 2월 16일 보관.
- 발레아레스 제도:2001년 센서스의 통계 데이터, 발레아레스티카 연구소, Government de Illes Balears[3] 2006년 1월 1일 웨이백 머신에서 보관.
- 카탈루냐 북부:Langedoc-Roussillon 지역의 Principal of Langedoc-Roussillon이 1997년 10월에 의뢰하여 1998년 1월에 발표한 Media Pluriel 설문조사.
- 안도라: 안도라 정부의 사회언어학적 자료, 1999
- 아라곤: Euromosaic의 사회언어학적 데이터 [4].
- Alguer: Euromosaic의 사회언어학적 데이터 [5].
- 그 밖의 세계: 카탈루냐 국가 밖의 페데라시오 데 엔티타츠 카탈루냐인들의 1999년 추정치.
- ^ "Enquesta d'usos lingüístics de la població. 2018" [Survey of the linguistic usage of the population. 2018]. IDESCAT/Generalitat de Catalunya (in Catalan). 2019.
- ^ 에스투디오스 카탈란느의 적크루스카트 델 인스티투토
- ^ "Tv3 – Telediario: La salud del catalán – YouTube". YouTube.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6 May 2015.
- ^ "El català no avança en la incorporació de nous parlants" [Catalan is not progressing in the incorporation of new speakers]. Telenotícies (in Catalan). 23 October 2007.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4 November 2007.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Enciclopèdia Catalana, 페이지 630.
- ^ a b c d e f g h i j k Feldhausen 2010, 페이지 5.
- ^ Wheeler 2005도 동일한 접근 방식을 취합니다.
- ^ Carbonell & Listerri 1999, 페이지 62.
- ^ a b 휠러 2005, 페이지 37, 53–54.
- ^ a b 휠러 2005, 페이지 37.
- ^ a b c d e f g 휠러 2005, 페이지 38.
- ^ a b c 휠러 2005, 페이지 54.
- ^ a b 휠러 2005, 페이지 53–55.
- ^ Carbonell & Listerri 1999, 61-65쪽
- ^ Recasens & Espinosa 2005, 페이지 20.
- ^ Recasens & Espinosa 2005, 페이지 3.
- ^ a b c Carbonell & Listerri 1992, 페이지 53.
- ^ 베니 2007년 51쪽.
- ^ 휠러 2005, 페이지 13.
- ^ Loret 2004, 페이지 278.
- ^ 휠러 2005, 페이지 10.
- ^ Hualde, José (1992). Catalan. Routledge. p. 368. ISBN 978-0-415-05498-0.
- ^ Recasens & Espinosa 2005, p. 1.
- ^ Recasens, Fontdevila & Pallarès 1995, p. 288.
- ^ a b Recasens & Espinosa 2007, 페이지 145
- ^ 1993년 리케이스.여기서 레카젠스는 이 카탈루냐의 소리를 "라미노 알베올라르 팔탈리타데스"라고 명명합니다.
- ^ 리카센 & 팔라레스 2001.여기서 저자들은 이 카탈루냐의 소리를 "우체절음"이라고 명명합니다.
- ^ Padgett 2009, 페이지 432.
- ^ 휠러 1979.
- ^ 자세한 내용은 을 참조하십시오.
- ^ Feldhausen 2010, 페이지 6.
- ^ 휠러 2005, 페이지 2.
- ^ 코스타 카레라스 & 예이츠 2009, 페이지 4.
- ^ a b Enciclopèdia Catalana, 634-635쪽
- ^ 코스타 카레라스와 예이츠 2009, 페이지 5.
- ^ Dictamen de l'Acadèmia Valenciana de la Llengua sobre els principis i criteris per a la defensa de la denominació i l'entitat del valencià [Resolution of the Acadèmia Valenciana de la Llengua concerning the principles and criteria for protecting the name and identity of Valencian] (PDF) (in Valencian), Acadèmia Valenciana de la Llengua, 2005, archived from the original (PDF) on 23 September 2015
- ^ a b 휠러 2005, 페이지 2-3.
- ^ 휠러 2005, 페이지 53-54
- ^ a b c 휠러 2005, 페이지 53.
- ^ Carbonell & Listerri 1999, 페이지 54–55.
- ^ Recasens 1996, pp. 75–76, 128–129.
- ^ Melchor & Branchadell 2002, p. 71.
- ^ Moll, Francesc de B. (1968). Gramática catalana; referida especialment a les Illes Balears. Palma de Mallorca: Editorial Moll. ISBN 84-273-0044-1. OCLC 2108762.
- ^ a b 휠러 2003, 페이지 170.
- ^ 데크레토 89/2011, 데 5 데 아브릴, 델 고비에르노 데 아라곤, 포엘 케 파푸에반 로스 에스타투토스 데 라 아카데미아 아라고네사 델 카탈란.BOANum. 77, de 18 dabril de 2011
- ^ Ley 10/2009, de 22 de diciembre, de uso, proteccion y promoción de las lenguas propias de Aragón BOE num. 30, de 4 de febrero de 2010.
- ^ D'acordamble a portacions mésolvents de la lomanistica acumulades des del segle XIX fin l'actualitat (d'studis de gramatica hist ò리카, 방언학, 신탁시, 렉시코그라피아…), lallegua pr ò피아 히스트 ò리카 델스발렌시아, des del punt de vista de la filologia, es també la que compartixen les communitats autt ò nomes de Catalunyai de les Balearsiel Principiat d'Andorra. 엑시마테익세스 라렌구아히스트 ò리카 i pr ò피아 달트레스 영토는 란티가 코로나 다라고(la franja oriental aragonesa, lciutat sarda de l'Alguel department francés dels Pirineus Orientals). 엘스디퍼렐라스 데 토테스토스 영지는 ï엑스엔 우날렌구아, 에사디르, 운마틱 « 시스테마 링귀스틱 », 세곤스 라 터몰로지아 델 프라이머 구조주의(부록 1)는 엘 디타멘 델 콘셀 발렌시아 데 컬투라, 퀴 피구라 코마 프리엠불 데 라 레이 드 크레아시오 데 라블을 나타냅니다. 딘스데익스 컨준트 드 파라르, 엘발렌시아 테 라마테익사 제라르퀴아 이 디그나트 케 질레볼 알트라 모달리티 앳 영토 델 시스테마 링귀스틱, 나는 우네스 카레테리스틱스 프리 ò피에스켈'을 제시합니다.AVL 리저버라 i potenciarà d'acord amb la tradició lexicografica i literaria pr ò피아, la realitat lingüistica valenciana i la normativització consolidada a partir de les Normes de Castello.
- ^ "Casi el 65% de los valencianos opina que su lengua es distinta al catalán, según una encuesta del CIS" [Almost 65% of Valencians believe that their language is different from Catalan, according to a CIS survey]. La Vanguardia (in Spanish). Europa Press. 9 December 2004.
- ^ "Llistat dels Acadèmics de número" [List of RACV academics]. Real Acadèmia de Cultura Valenciana (in Valencian).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14 December 2016.
- ^ Isabel i Vilar, Ferran (30 October 2004). "Traducció única de la Constitució europea" [Unique translation of the European Constitution]. I-Zefir (in Valencian). Retrieved 29 April 2009.
- ^ a b c d e f g h i j k l m n o p Enciclopèdia Catalana, 페이지 631.
- ^ a b 휠러 2005, 페이지 6.
- ^ Carreras, Joan Costa, ed. (2009). The Architect of Modern Catalan: Selected writings. Translated by Yates, Alan. John Benjamins Publishing. ISBN 978-9027289247.
- ^ a b c d 휠러 2005, 페이지 7.
- ^ a b c d e f 백조 2001, 97-98쪽.
- ^ Enciclopèdia Catalana, 페이지 630–631.
- ^ Fabra 1926, 페이지 29-30.
- ^ Fabra 1926, 페이지 42.
- ^ 대부분의 방언에서 오래된 것입니다.
- ^ Fabra 1926, 페이지 70-71.
- ^ "Catalan". World Atlas of Language Structures (WALS) Online.
- ^ 휠러, 예이츠 앤 돌스 1999.
- ^ a b 휠러 2005, 페이지 8.
- ^ 법 1/1998 제19.1조는 "카탈루냐의 시민은 카탈루냐의 이름과 성에 대한 적절한 규정을 사용할 권리가 있고 성 사이의 연관성을 도입할 권리가 있습니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 ^ a b 백조 2001, 112쪽.
인용작품
- Dictamen sobre els principis i criteris per a la defensa de la denominació i l'entitat del valencià (in Catalan), Acadèmia Valenciana de la Llengua, 9 February 2005
- Bonet, Eulàlia; Mascaró, Joan (1997). "On the Representation of Contrasting Rhotics". In Martínez-Gil, Fernando; Morales-Front, Alfonso (eds.). Issues in the Phonology and Morphology of the Major Iberian Languages. Georgetown University Press. ISBN 978-0-87840-647-0.
- Britton, A. Scott (2011). Catalan Dictionary & Phrasebook. New York: Hippocrene Books. ISBN 978-0-7818-1258-0.
- Bruguera, Jordi (2008). "Historia interna del catalán: léxico, formación de palabras y fraseología". In Ernst, Gerhard (ed.). Romanische Sprachgeschichte. Vol. 3. Berlin, New York: Walter de Gruyter. pp. 3045–3055.
- Burke, Ulrik Ralph (1900). A History of Spain from the Earliest Times to the Death of Ferdinand the Catholic. Longmans, Green, and Co. p. 154.
- Carbonell, Joan F.; Llisterri, Joaquim (1992). "Catalan".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22 (1–2): 53. doi:10.1017/S0025100300004618. S2CID 249411809.
- Carbonell, Joan F.; Llisterri, Joaquim (1999). "Catalan". Handbook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A Guide to the usage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lphabet.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pp. 61–65. ISBN 0-521-63751-1.
- Collins English Dictionary. HarperCollins Publishers. 1991. ISBN 0-00-433286-5.
- Colón, Germà (1993). El lèxic català dins la Romània. Biblioteca Lingüística Catalana. Valencia: Universitat de València. ISBN 84-370-1327-5.
- Costa Carreras, Joan; Yates, Alan (2009). The Architect of Modern Catalan: Selected Writings/Pompeu Fabra (1868–1948). Instutut d'Estudis Catalans & Universitat Pompeu Fabra & Jonh Benjamins B.V. pp. 6–7. ISBN 978-90-272-3264-9.
- Fabra, Pompeu (1926). Gramàtica Catalana (in Catalan) (4th ed.). Barcelona: Institut d'Estudis Catalans.
- Feldhausen, Ingo (2010). Sentential Form and Prosodic Structure of Catalan. John Benjamins B.V. ISBN 978-90-272-5551-8.
- Ferrater; et al. (1973). "Català". Enciclopèdia Catalana Volum 4 (in Catalan) (1977, corrected ed.). Barcelona: Enciclopèdia Catalana. pp. 628–639. ISBN 84-85-194-04-7.
- Gallego, Rosa; Sanz, Juan Carlos (2001). Diccionario Akal del color (in Spanish). Akal. ISBN 978-84-460-1083-8.
- García Venero, Maximiano (7 July 2006). Historia del nacionalismo catalán: 2a edición. Ed. Nacional. Retrieved 25 April 2010.
- Gove, Philip Babcock, ed. (1993). Webster's Third New International Dictionary. Merriam-Webster, Inc. ISBN 3-8290-5292-8.
- Grau Mateu, Josep (2015). El català, llengua de govern: la política lingüística de la Mancomunitat de Catalunya (1914–1924). Revista de llengua i dret, 64.
- Guinot, Enric (1999). Els fundadors del Regne de València: replobament, antroponímia i llengua a la València medieval. Valencia: Tres i Quatre. ISBN 8475025919.
- Hualde, José (1992). Catalan. Routledge. p. 368. ISBN 978-0-415-05498-0.
- Jud, Jakob (1925). Problèmes de géographie linguistique romane (in French). Paris: Revue de Linguistique Romane. pp. 181–182.
- Koryakov, Yuri (2001). Atlas of Romance languages. Moscow.
{{cite book}}
: CS1 유지 관리: 위치 누락 게시자(링크) - Lledó, Miquel Àngel (2011). "26. The Independent Standardization of Valencia: From Official Use to Underground Resistance". Handbook of Language and Ethnic Identity : The Success-Failure Continuum in Language and Ethnic Identity Efforts (Volume 2).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pp. 336–348. ISBN 978-0-19-539245-6.
- Lloret, Maria-Rosa (2004). "The Phonological Role of Paradigms: The Case of Insular Catalan". In Auger, Julie; Clements, J. Clancy; Vance, Barbara (eds.). Contemporary Approaches to Romance Linguistics: Selected Papers from the 33rd Linguistic Symposium on Romance Languages. Philadelphia: John Benjamins. p. 278.
- Marfany, Marta (2002). Els menorquins d'Algèria (in Catalan). Barcelona: Abadia de Montserrat. ISBN 84-8415-366-5.
- Melchor, Vicent de; Branchadell, Albert (2002). El catalán: una lengua de Europa para compartir (in Spanish). Bellaterra: Universitat Autònoma de Barcelona. p. 71. ISBN 84-490-2299-1.
- Moll, Francesc de B. (2006) [1958]. Gramàtica Històrica Catalana (in Catalan) (Catalan ed.). Universitat de València. p. 47. ISBN 978-84-370-6412-3.
- Moran, Josep (1994). Treballs de lingüística històrica catalana (in Catalan). Barcelona: Publicacions de l'Abadia de Monsterrat. pp. 55–93. ISBN 84-7826-568-6.
- Moran, Josep (2004). Estudis d'història de la llengua catalana (in Catalan). Barcelona: Publicacions de l'Abadia de Montserrat. pp. 37–38. ISBN 84-8415-672-9.
- Padgett, Jaye (December 2009). "Systemic Contrast and Catalan Rhotics". The Linguistic Review. 26 (4): 431–. doi:10.1515/tlir.2009.016. S2CID 15197551.
- Recasens, Daniel (1993). "Fonètica i Fonologia". Enciclopèdia Catalana.
- Recasens, Daniel; Fontdevila, Jordi; Pallarès, Maria Dolors (1995). "Velarization Degree and Coarticulatory Resistance for /l/ in Catalan and German". Journal of Phonetics. 23 (1): 288. doi:10.1016/S0095-4470(95)80031-X.
- Recasens, Daniel (1996). Fonètica descriptiva del català: assaig de caracterització de la pronúncia del vocalisme i el consonantisme català al segle XX (2nd ed.). Barcelona: Institut d'Estudis Catalans. pp. 75–76, 128–129. ISBN 9788472833128.
- Recasens, Daniel; Pallarès, Maria Dolors (2001). De la fonètica a la fonologia: les consonants i assimilacions consonàntiques del català. Barcelona: Editorial Ariel. ISBN 978-84-344-2884-3.
- Recasens, Daniel; Espinosa, Aina (2005). "Articulatory, positional and coarticulatory characteristics for clear /l/ and dark /l/: evidence from two Catalan dialects".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35 (1): 1, 20. doi:10.1017/S0025100305001878. S2CID 14140079.
- Recasens, Daniel; Espinosa, Aina (2007). "An Electropalatographic and Acoustic Study of Affricates and Fricatives in Two Catalan Dialects".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Phonetic Association. 37 (2): 145. doi:10.1017/S0025100306002829. S2CID 14275190.
- Riquer, Martí de (1964). "Vol.1". Història de la Literatura Catalana (in Catalan). Barcelona: Ariel.
- Russell-Gebbett, Paul, ed. (1965). Mediaeval Catalan Linguistic Texts. Dolphin Book Co. Ltd., Oxford.
- Schlösser, Rainer (2005). Die romanischen Sprachen. Munich: C.H. Beck.
- Swan, Michael (2001). Learner English: A Teacher's Guide to Interference and Other Problems, Volume 1.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0-521-77939-5.
- Thomas, Earl W. (1962). "The Resurgence of Catalan". Hispania. 45 (1): 43–48. doi:10.2307/337523. JSTOR 337523.
- Wheeler, Max W. (1979). Phonology of Catalan. Oxford: Blackwell. ISBN 978-0-631-11621-9.
- Wheeler, Max; Yates, Alan; Dols, Nicolau (1999). Catalan: A Comprehensive Grammar. London: Routledge.
- Wheeler, Max (2003). "5. Catalan". The Romance Languages. London: Routledge. pp. 170–208. ISBN 0-415-16417-6.
- Wheeler, Max (2005). The Phonology of Catala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 54. ISBN 978-0-19-925814-7.
- Wheeler, Max (2006). Encyclopedia of Language and Linguistics.
- Wheeler, Max (2010). "Catalan". Concise Encyclopedia of Languages of the World. Oxford: Elsevier. pp. 188–192. ISBN 978-0-08-087774-7.
- Veny, Joan (1997). "greuges de Guitard isarn, Senyor de Caboet (1080–1095)". Homenatge a Arthur Terry. Barcelona: Publicacions de l'Abadia de Montserrat. pp. 9–18. ISBN 84-7826-894-4.
- Veny, Joan (2007). Petit Atles lingüístic del domini català. Vol. 1 & 2. Barcelona: Institut d'Estudis Catalans. p. 51. ISBN 978-84-7283-942-7.
외부 링크
이 글의 외부 링크 사용은 위키백과의 정책이나 지침을 따르지 않을 수 있습니다.(2016년 11월) (이 를 및 |
인스티튜트스
카탈루냐어 정보
- 카탈루냐 정부의 llengua.gencat.cat
- 카탈루냐 연구소의 그라마티카 데 라 랑구아 카탈루냐 문법
- 아카데미아 발렌치아나 데 라 렌구아에서, Gramatica Normativa Valenciana (2006, 발렌치아 문법)
- verbs.cat (온라인 트레이너와 카탈란 동사 결합)
- 카탈루냐어와 그 방언들
- LEXDIALGRAM – 바르셀로나 대학이 주최하는 카탈루냐어의 19세기 방언 사전 및 문법 작품 온라인 포털
단일언어사전
- DIEC2, the Institute d'Estudis Catalans 에서
- Gran Diccionari de la Llengua Catalana 2016년 5월 18일 Enciclopédia Catalana 포르투갈 웹 아카이브에서 보관됨
- Diccionari Catala-Valenciah-Balear d'Alcoveri Moll 2004년 8월 26일 Wayback Machine에서 보관, the Institute d'Estudis Catalans.
- 디치오나리 노르마티우 발렌시아 (AVL), 아카데미아 발렌시아나 데 라 렌구아 출신
- diccionarivalencia.com (온라인 발렌시아 사전)
- Diccionari Invers de la Llengua Catalana (Catalan 단어의 철자를 거꾸로 쓴 사전)
이중언어 및 다국어 사전
- Diccionari de la Llengua Catalana Multilingüe (카탈란 ↔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스페인어), Enciclopédia Catalana 출신
- DACCO – 오픈 소스, 협업 사전(카탈란–영어)
자동번역시스템
- 카탈루냐 정부가 gencat.cat 에서 제공하는 텍스트 및 웹 페이지(Catalan ↔ 영어, 프랑스어 및 스페인어)의 온라인 번역 자동화
문구집
학습자원
- 카탈루냐어의 스와데시 목록 부록에 수록된 기본 어휘 목록
카탈루냐어 온라인 백과사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