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옥시과노신
Deoxyguanosine![]() | |
![]() | |
이름 | |
---|---|
IUPAC 이름 2-아미노-9-[(2R,4S,5R)-4-히드록시-5-(히드록시메틸)옥솔란-2-yl]-3H-푸린-6-1 | |
식별자 | |
3D 모델(JSmol) | |
체비 | |
켐벨 | |
켐스파이더 | |
ECHA InfoCard | 100.012.278 ![]() |
메슈 | 데옥시과노신 |
펍켐 CID | |
유니 | |
CompTox 대시보드 (EPA) | |
| |
| |
특성. | |
C10H13N5O4 | |
어금질량 | 267.1987 g·190−1 |
달리 명시된 경우를 제외하고, 표준 상태(25°C [77°F], 100 kPa)의 재료에 대한 데이터가 제공된다. | |
![]() ![]() ![]() | |
Infobox 참조 자료 | |
디옥시구아노신은 N9 질소에 의해 데옥시리보스의 C1 탄소에 연결된 퓨린 뉴클레오바제 구아닌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아노신과 비슷하지만, 리보스 설탕의 2의 위치에서 1개의 히드록실 그룹이 제거되어(디옥시리보스를 만든다). 인산염 그룹이 5' 위치에 부착되면 디옥시구아노신 단인산염이 된다.
디옥시구아노신은 DNA를 구성하는 네 가지 디옥시리보뉴클레오시드 중 하나이다.[2]
참고 항목
참조
- ^ "2'-deoxyguanosine". PubChem Compound Database. National Center for Biotechnology Information. 24 December 2016.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 January 2017. Retrieved 2 January 2017.
- ^ "Human Metabolome Database (HMDB) metabocard for Deoxyguanosine (HMDB00000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