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보룩스 로드
Des Voeux Road ![]() 2015년 3월 센트럴의 데스보우 로드 센트럴 | |||
네이티브 이름 | 德輔道 (웨 중국어) | ||
---|---|---|---|
이전 이름 | Shōwa-dori(일본 주둔군, 대외 관계 및 동안). | ||
네임스케이크 | 윌리엄 데스 턱스 | ||
위치 | 홍콩 섬 | ||
건설 | |||
공사시작 | 1857년; | 전(||
완성 | 1904년; | 전 (
데스보우 로드 센트럴 | |||||||||||
---|---|---|---|---|---|---|---|---|---|---|---|
중국어 번체 | 德輔道中 | ||||||||||
중국어 간체 | 德辅道中 | ||||||||||
| |||||||||||
데스보우 로드 웨스트 | |||||||||||
중국어 번체 | 德輔道西 | ||||||||||
중국어 간체 | 德辅道西 | ||||||||||
|
데스보우 로드 센트럴과 데스보우 로드 웨스트(Des Voeux Road Central)는 홍콩 섬 북쪽 해안에 있는 두 개의 도로다. 그것들은 홍콩의 10대 주지사인 윌리엄 데스 부스의 이름을 따서 지어졌다. 그 이름은 때때로 전쟁 전 문서에서 끈 œ과 함께 철자를 쓰기도 했지만 오늘날에는 공식적으로 Des Voeux Road로 표기되고 있다.
역사
1857년에 시작된 홍콩 섬 북부 해안(일명 빅토리아 시티)은 존 보링 당시 주지사 밑에서 일련의 소동을 겪었다. 프라야 간척계획의 1단계는 홍콩 식민지 시대에 프라야 센트럴로 알려졌던 이 현재의 거리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1] 보링의 계획은 중부 지역에 땅을 가지고 있던 영국 상인들의 반대에 부딪혔고, 이에 대응하여 정부는 대신 중국 인구밀집지역의 토지 매립 작업에 착수했다. 간척지가 센트럴로 확장될 무렵, 서양의 새로 간척된 땅은 이미 정착되어 있었고, 간척된 해안선의 서부와 중부를 따라 흐르는 두 도로 사이에는 불연속성이 있었다. 완공되자마자, 이 도로들은 각각 보링 프라야 웨스트와 보링 프라야 센트럴로 명명되었다.
1887년 당시 주지사였던 데스보우에 의해 또 다른 대규모 간척사업이 시작되었다. 1904년 완공된 보우링 프라야 웨스트와 보우링 프라야 센트럴(당시 해안선으로부터 내륙에 위치하던 곳)은 1890년 콘나트 공작의 홍콩 방문 중 당시 식민지 장관이었던 프랜시스 플레밍 주지사 대행이 지시하여 각각 데스보우 로드 웨스트와 데스보우 로드 센트럴로 개칭되었다.
1942년부터 1945년까지 도로 일제 강점기 정부에 의해 Shōwa-dori으로 변경되었다.
데스보우 로드 센트럴
Des Voeux Road Central은 서양에서 센트럴까지 운행한다. 서양의 온타이 스트리트와의 교차로에서 시작하여 퀸즈 로드 센트럴(그리고 후에 헤네시 로드)이 되는 퀸즈 로드 센트럴과 합쳐진다. Des Voeux Road Central을 따라 있는 랜드마크는 다음을 포함한다.
- 차이나 클럽이 입주해 있는 뱅크 오브 차이나 빌딩(#2A)
- HSBC 빌딩
- 퀸즈 로드 센트럴 9
- 동상 광장
- 프린스 빌딩
- 알렉산드라 하우스
- 스탠다드 차타드 은행 건물
- 랜드마크
- 월드 와이드 하우스
- 센트럴 마켓
- 항셍은행 본점 건물 (#83)
- 맨이 빌딩
- 윙 온 하우스 (#71)
- 웨스턴 마켓 (#323)[2]
데스보우 로드 웨스트
데스보우 로드 웨스트는 서부 셰크통추이에서 운행한다. 코나우트 로드 웨스트와의 분기점에서 몇 블록 아래 정렬에 도달하여 셰크통추이의 케네디 타운 프라야가 된다.
데보우 도로 센트럴 보행자 제안
여러 단체들은 오랫동안 데스보우 로드 센트럴의 한 구역을 보행자로 만들자고 제안했다.
이 아이디어는 홍콩기획연구원(HKIP)이 2000년 교통개선 방안으로 처음 제안했다. 그 계획은 기술적으로 타당하다고 여겨졌으나 그 당시에는 정부에 의해 실행되지 않았다. 2014년 홍콩의 대표적인 교통 엔지니어링 회사인 MTR, MVA와 협력하여 교통 개선 계획으로 환경을 개선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한 추가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 계획에는 페더 가와 서부 시장 사이의 데스보우 로드 센트럴의 1.4km 구간을 자동차 전용도로에서 보행자 전용도로로 전환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전차는 제자리걸음을 하고 교차로는 교통에 개방된 채로 유지될 것이다. 버스 노선은 코너트 로드로 우회될 것이다. 그 보행자 구역은 배달 차량과 긴급 서비스에 개방되어 있을 것이다.
서로 다른 이해관계자 그룹의 큰 지원과 함께 홍콩의 보행성과 오픈 스페이스 문제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높이기 위해 2016년 9월 25일 바로 DVRC 행사가 시작되었다. 하루 동안의 성공적인 실험은 대부분의 트래픽에 대한 DVRC 폐쇄가 실제로 트래픽과 기업에 부정적인 영향 없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2017년 1월 NGO인 워크 DVRC Ltd.를 설립하여 이 이니셔티브를 추진하였다.
대중교통
데스보우 로드 센트럴은 자동차 교통과 전차 노선 사이에 공유되며, 도로 한가운데에 설치된 전차들을 위한 선로와 예비 차선이 있다. 버스 차선이 그 길의 대부분을 도로를 따라 달린다. MTR 아일랜드 라인의 일부도 데스보우 로드 아래를 달린다.
데스보우 도로 중서부의 불연속 때문에, 전차 노선은 코나우트 로드 웨스트를 따라 우회한 다음 케네디 타운을 향해 데스보우 로드 웨스트를 따라 계속된다.
센트럴-미드레벨 에스컬레이터는 드스보룩스 로드 센트럴과 중간레벨의 도관로를 연결하며 좁은 길을 통과한다.
흥홈 데스보룩스 로드
흥홈베이를 따라 카우룽에 데스보룩스 로드라는 거리가 있었다. 그 지역의 광범위한 재개발에 따라 그 거리는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다.
참고 항목
참조
- 렁, 토(1992년). 홍콩 스트리트 네임의 기원. 도시 의회.
- ^ Wordie, Jason (2002). Streets: Exploring Hong Kong Island. Hong Kong: Hong Kong University Press. ISBN 962-209-563-1.
- ^ "Declared Monuments in Hong Kong: Western Market". Government of Hong Kong. 18 January 2013.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 March 2014. Retrieved 23 January 2013.
외부 링크
![]() | 위키미디어 커먼즈에는 데스보우 로드와 관련된 미디어가 있다. |
- 홍콩 플레이스: 식민지 총독의 이름을 딴 홍콩 거리 (중국어로)
- 데스보우 로드 중앙 초기화(보행 제안)
좌표: 22°16′58.62″N 114°9′25.25″E / 22.2829500°N 114.1570139°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