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킨스 인 아메리카
Dickens in America디킨스 인 아메리카 | |
---|---|
![]() | |
장르. | 다큐멘터리 |
연출: |
|
제시자: | 미리암 마골리스 |
주제곡 작곡가 | 자일스 램 |
원산지 | 영국 |
원어 | 영어 |
No. 계절에 따라 | 1 |
No. 회차의 | 10 |
생산. | |
총괄 프로듀서 |
|
카메라 셋업 | 싱글카메라 |
러닝타임 | 30분 |
제작사 |
|
풀어주다 | |
원네트워크 | BBC4 |
원출시 | 4월 5일[1] – 2005년 6월 7일 ([2] |
미국의 디킨스는 1842년 찰스 디킨스가 미국 전역을 여행한 후 2005년에 방영된 텔레비전 다큐멘터리로, 이 젊은 저널리스트는 여행 책인 아메리칸 노트를 집필했습니다.디킨스의 평생 팬인 영국 여배우 미리암 마골리스가 진행하며 여행기와 인터뷰로 역사를 넘나듭니다.라이온 텔레비전 스코틀랜드가 BBC Four용으로 제작했습니다.나다니엘 파커는 여행 내내 그의 텍스트를 인용하며 디킨스의 목소리를 제공했습니다.[3]
개요
마골리스는 11살 때 디킨스의 작품에 대한 사랑을 키워 올리버 트위스트를 읽었고, 아메리칸 노트에 익숙한 소수의 사람들 때문에 이 시리즈를 만드는 데 영감을 받았습니다.[4]마골리스는 소설과 단편 소설에서 23명의 등장인물을 연기한 그녀의 여성 쇼 디킨스의 여성으로 올리비에상 후보에 올랐습니다.이 쇼는 원래 1989년 에든버러 축제를 위해 고안되었고 마골리스는 2012년 디킨스 200주년 기념식까지 그 역할을 계속 반복했습니다.[5]
디킨스는 1842년 1월 3일 증기선 RMS 브리타니아호에 아내 캐서린과 함께 리버풀을 떠나 미국으로 향했습니다.5개월간의 여행 동안 디킨스는 배, 철도, 무대마차를 타고 서부 세인트루이스까지 여행했습니다. 루이스 그리고 북쪽으로는 퀘벡까지.[6]그는 노예제도를 직접 관찰하기 위해 버지니아주 리치몬드로 특별 여행을 갔을 뿐만 아니라 사회 각층에 걸쳐 수많은 사회 기관을 방문했습니다. 그는 영국으로 돌아오면서 이에 대해 신랄하게 썼습니다.[7]
마골리스는 디킨스의 길을 따라 쿠나드 라인의 동시대 대표격인 퀸 메리 2호를 타고 영국을 떠나 가능한 한 같은 여관에서 잠을 자고 작가가 했던 것과 같은 장소를 방문합니다.그녀는 여행하는 유명인으로서 디킨스 자신의 경험과 그에게 충격을 준 미국 문화의 차이점과 유사점을 모두 추적합니다.[1]이 시리즈는 "...과는 거리가 멀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디킨스의 1842년 여정에 대한 비평적 학술 분석"이지만, 마골리스의 "주관적인 의견"[8]을 통해 시청자들이 작가에게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도록 고안된 작품으로서.
홈미디어
이 시리즈의 DVD는 2011년 3월 1일 북미에서 발매되었습니다.[9]
에피소드
No. 전반적으로. | No. 인에 계절 | 제목 | 원공영일자 | |
---|---|---|---|---|
1 | 1 | 패시지 아웃 | 2005년 4월 5일 ( | |
미리암은 미국 노트를 다시 읽고 런던의 빅토리아 앤 앨버트 박물관과 찰스 디킨스 박물관을 방문하여 디킨스의 미국 여행 계획에 대해 알게 됩니다.미리암은 RMS 퀸 메리 2호에 탑승해 뉴욕에서 내려 보스턴으로 북상하기 전에 배의 비하인드 투어를 받습니다. 손님: 리사 자딘 교수님, 얀 마크. | ||||
2 | 2 | 보스턴 | 2005년 4월 12일 ( | |
미리암은 매사추세츠 역사학회와 보스턴 미술관뿐만 아니라 보스턴의 수많은 관광지를 방문합니다. 그곳에서 그녀는 일반적인 시야에 잡히지 않는 프란시스 알렉산더의 디킨스 초상화를 봅니다.미리암은 디킨스가 머물던 옴니 파커 하우스에 머물다가 퍼킨스 시각장애학교를 방문합니다.디킨스의 학교에 대한 칭찬은 헬렌 켈러의 어머니가 그녀의 딸을 그곳에 보내도록 영감을 주었습니다. | ||||
3 | 3 | 뉴잉글랜드 | 2005년 4월 19일 ( | |
미리암은 로웰, 메사추세츠 그리고 보스턴 대학교로 기차를 타고 이동하는데, 그곳에서 그녀는 공장과 노동자들에 대한 디킨스의 관심과 미국에서 받은 미국 노트에 대한 일반적으로 부정적인 평가에 대해 알게 됩니다. 디킨스를 주제로 한 바비큐 후에,마골리스는 매사추세츠 대법원을 방문해 디킨스의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를 배웁니다.그녀는 코네티컷 강을 따라 뉴헤이븐으로 가는 배를 타고 노예선 라 아미스타드와 진보적인 교회의 복제품을 보게 되는데, 이것은 디킨스의 마음에 가까운 또 다른 원인이었습니다. | ||||
4 | 4 | 뉴욕 시 | 2005년 4월 26일 ( | |
미리암은 뉴욕으로 가는 기차를 탑니다.여기서 그녀는 디킨스의 국제 저작권에 대한 도전적인 관계, 미국에서의 성공적인 사회 개혁의 부재에 대한 그의 우려, 그리고 10년의 사회적 행사가 된 디킨스의 기념일인 1842년 발렌타인 데이에 열린 보즈 무도회에 대해 알게 됩니다.미리암은 디킨스가 정신병원을 방문했던 이스트 강 한가운데에 있는 루스벨트 섬으로 여행을 떠난 후, 야간 근무를 하는 경찰관들과 함께 그리니치 빌리지 곳곳을 여행합니다. 게스트: 마이클 패트릭 헌 | ||||
5 | 5 | 필라델피아 | 2005년 5월 3일 ( | |
필라델피아에서 마골리스는 조각에 기념되고 싶지 않다는 작가의 명시적인 바람과 달리 유일한 찰스 디킨스의 전신 조각상을 목격합니다.미리암은 디킨스의 여행지인 디킨스 펠로우십, 워너메이커 오르간, 펜실베이니아 병원을 방문하고, 디킨스가 상세히 쓴 동부 주립 교도소도 방문합니다.그는 여행 중에 몇몇 수감자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었습니다. | ||||
6 | 6 | 워싱턴 DC 리치먼드 | 2005년 5월 10일 ( | |
미리암은 포토맥 강을 따라 워싱턴 DC로 가는 배를 타고 디킨스의 뒤를 따릅니다.미리암은 디킨스가 미국에 강력한 비정부 서비스나 목적이 없었기 때문에 미국의 수도로서 살아남을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미리암은 버지니아주 리치몬드로 기차를 타고 가기 전에 의회도서관을 둘러보고 담배 농장을 방문합니다.디킨스는 노예제도에 대한 남부의 지지를 이해하기 위해 리치몬드를 방문했습니다.미리암은 남부의 기자들과 목사들을 만나 그들의 의견을 접하게 됩니다. 손님: 후안 윌리엄스, 빌 슈나이더 | ||||
7 | 7 | 피츠버그에서 루이빌까지 | 2005년 5월 17일 ( | |
피츠버그에서 미리암은 디킨스의 넋두리에 대한 관심을 알게 되고 죄수들의 권리를 전문으로 하는 민권 변호사를 만나게 됩니다.그녀는 오하이오 강을 따라 신시내티로 가는 노 젓는 배를 타고 그곳에서 디킨스가 소중히 여기는 아름다움과 상업 도서관에서 돔비와 손의 초판을 봅니다.미리암은 디킨스가 미국인들의 잘못된 예의범절에 대해 광범위하게 언급했다고 언급하며 에티켓 만찬에 참석합니다.마지막으로 켄터키주 루이빌에서 미리암은 골트하우스 호텔에 묵습니다.그녀는 언어학자 마사 바넷을 만나 남부와 북부 아메리카어 말하기의 차이점을 이해합니다.미리암은 루이빌 주민들이 자신들의 도시 이름의 발음에 동의하지 않는 모습에 놀랍니다. | ||||
8 | 8 | 세인트루이스 미드웨스트 | 2005년 5월 24일 ( | |
마골리스는 디킨스가 택한 길을 따라 증기 동력 패들보트를 타고 오하이오 강을 따라 내려갑니다.마골리스는 디킨스와 그의 아내 캐서린이 미시시피 강에서 결혼 6주년을 맞이했다고 언급했습니다.마골리스는 마틴 추즐위트에서 에덴의 처참한 발전의 모델이 된 일리노이주 카이로에 들릅니다.마골리스는 현지 역사학자인 프레스턴 유잉 주니어와 카이로의 역사에 대해 토론합니다.마골리스는 세인트루이스의 9학년 교실을 방문합니다. 미주리주 찰스는 분리된 나라에서 온 두 명의 북미 원주민인 다나 클라와 노엘 프레이저를 만납니다.마골리스와 일행은 디킨스의 것과 비슷한 피크닉 바구니를 들고 Looking Glass Preray를 방문합니다. | ||||
9 | 9 | 캐나다 | 2005년 5월 31일 ( | |
원래 디킨스는 캐나다에 대해 글을 많이 쓰지 않으려고 했지만, 그는 캐나다에서 5주를 보낼 정도로 캐나다를 매우 좋아했습니다.마골리스는 나이아가라 폭포와 그에 딸린 박물관뿐만 아니라 나이아가라 요새를 포함하여 디킨스가 했던 많은 곳을 방문합니다.마골리스는 토론토로 여행을 가서 보즈 앤 프렌즈 레어 북스의 디킨스 수집가 댄 칼리네스쿠를 만납니다.몬트리올에서, 그녀는 말이 끄는 마차를 타고 도시를 여행하고, 숙녀의 하녀가 되는 법을 배우고, 콩코르디아 대학 연극부에서 하는 쇼에 참여합니다. | ||||
10 | 10 | 저니의 끝" | 2005년 6월 7일 ( | |
디킨스는 그의 배가 항해하기 전에 뉴욕에서 5일을 있었고 그는 더 많은 주의 모습을 보기 위해 그것을 사용했습니다.허드슨 강을 거슬러 올라가 웨스트포인트까지 갔답니다마골리스는 사관학교에 가서 사관생도들을 만납니다.그녀는 Old Chatham에 있는 Shaker 박물관과 도서관을 둘러봅니다.마골리스는 2004년 12월 18일 토요일 뉴욕 공공 도서관의 브루노 월터 오디토리움에서 특별 공연으로 미국 투어를 마칩니다.그녀는 혼자 무대에 올라 여행에 대한 흥미로운 이야기를 들려줍니다.디킨스처럼, 마골리스는 미국 여행으로 인해 자신이 변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
참고문헌
- ^ a b "Miriam Margolyes: In Dickens' footsteps". The Independent. 5 April 2005. Retrieved 6 July 2022.
- ^ "Dickens in America: The Passage Out". BBC Genome. British Broadcasting Corporation. 5 April 2005. Retrieved 6 July 2022.
- ^ "Dickens in America". Nathaniel Parker Official Homepage. 11 March 2006. Retrieved 6 July 2022.
- ^ Margolyes, Miriam (2 April 2005). "In the footsteps of Dickens: my American odyssey". Times of London. Retrieved 6 July 2022.
- ^ Jones, Kenneth (9 November 2012). "Miriam Margolyes Brings Dickens' Women to NYC's Morgan Library Nov. 9-10". Playbill. Retrieved 6 July 2022.
- ^ Perdue, David A. "Charles Dickens in America". The Charles Dickens Page. Retrieved 6 July 2022.
- ^ Dickens, Charles (1987). American Notes for General Circula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pp. 228–243. ISBN 0192545221.
- ^ Kaczmarek, Agnieszka (2013). "Dickens and Margolyes in America". Explorations: A Journal of Language and Literature. 1: 105–124. Retrieved 6 July 2022.
- ^ Lambert, David (22 February 2011). "Dickens In America – The 2005 Documentary Hosted by Miriam Margolyes Comes to DVD". tvshowsondvd.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25 February 2011. Retrieved 27 February 2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