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노카리온
Dinokaryon디노카리온은 디노플라겔라테스에 존재하는 진핵핵으로, 염색체가 외관상(즉, 마스킹되지 않은 DNA 섬유)이며, 거의 연속적으로 응축된다.
핵 봉투는 유사분열 중에 분해되지 않으며, 따라서 폐쇄된 유사분열 또는 "이뇨증"이라고 불린다.[1] 그 유사분열축은 외핵이다.[2]
히스톤이 없어.[3] 그러나, 최근의 EST 시퀀싱은 디노플라겔라테이트와 가장 가까운 것 중 하나인 퍼킨소스 마리누스와 초기 브랜칭 디노플라겔라게이트인 헤마토디늄 sp에 히스톤의 존재를 밝혀냈다.[4] 그러나 박테리아 기원의 히스톤 유사 단백질은 디노카리온의 염색체 주변부 코딩 영역에서 발견된다.[5]
참조
- ^ Gavelis, Gregory S.; Herranz, Maria; Wakeman, Kevin C.; Ripken, Christina; Mitarai, Satoshi; Gile, Gillian H.; Keeling, Patrick J.; Leander, Brian S. (2019-01-29). "Dinoflagellate nucleus contains an extensive endomembrane network, the nuclear net". Scientific Reports. 9 (1): 839. doi:10.1038/s41598-018-37065-w. ISSN 2045-2322. PMC 6351617.
- ^ Gornik, SG; Hu, I; Lassadi, I; Waller, RF (8 August 2019). "The Biochemistry and Evolution of the Dinoflagellate Nucleus". Microorganisms. 7 (8). doi:10.3390/microorganisms7080245. PMC 6723414. PMID 31398798.
- ^ 펜솜 R.A., 테일러 F.J.R., 노리스 G., 사르장트 W.A.S., 와튼 D.I. & 윌리엄스 G.L. 1993. 생물 분류와 디노플라겔라테스 화석. 미국 자연사 박물관, 미생물학, 특별 출판물 7: 1-351
- ^ Gornik, S.G., Ford, K.L., Mulhern, T.D., Bacic, A., McFadden, G.I., Waller, R.F. (2012). 핵분열 DNA 결로의 상실은 디노플라겔라테이트에서 새로운 핵 단백질의 출현과 일치한다. 커어. 비올 22, 2303–2312
- ^ Gavelis, Gregory S.; Herranz, Maria; Wakeman, Kevin C.; Ripken, Christina; Mitarai, Satoshi; Gile, Gillian H.; Keeling, Patrick J.; Leander, Brian S. (2019-01-29). "Dinoflagellate nucleus contains an extensive endomembrane network, the nuclear net". Scientific Reports. 9 (1): 839. doi:10.1038/s41598-018-37065-w. ISSN 2045-2322. PMC 6351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