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 바르바스트로몬손 교구
Roman Catholic Diocese of Barbastro-Monzón바르바스트로몬손 교구 디에케시스 바르바스트렌시스몬티슨시스 디오체시스 데 바르바스트로몬손 | |
---|---|
![]() | |
위치 | |
나라 | ![]() |
교회주의 주 | 사라고사 |
메트로폴리탄 | 사라고사 |
통계 | |
면적 | 8,213 km2(3,213 sq mi) |
인구 - 총계 - 가톨릭(비회원 포함) | (2012년 기준) 104,700 96,600 (92.3%) |
파리시 | 242 |
정보 | |
디노미네이션 | 가톨릭의 |
수이루리스교회 | 라틴 교회 |
굿 | 로만 레트 |
확립된 | 변경된 이름: 1995년 6월 15일 |
성당 | 바르바스트로 성당 |
공동카트랄 | 몬손에 있는 우리 아가씨의 공동묘지 |
현 리더십 | |
교황 | 프란시스 |
비숍 | 앙헬 하비에르 페레스 푸에요 |
메트로폴리탄 대주교 | 비센테 히메네스 자모라 |
지도 | |
![]() | |
웹사이트 | |
diocesisbarbastromonzon.org |
로마 가톨릭 바르바스트로몬교구(Barbastro-Monzon)는 스페인 북동부, 아라곤 자치사회의 일부인 후에스카 지방에 있다. 교구는 사라고사(도)의 교회성(성)의 일부를 이루고 있으며, 따라서 사라고사 대교구(大敎區)에 해당된다.
바르바스트로 시는 신카 강과 베로 강이 만나는 지점에 있다. 교구는 북쪽으로는 피레네족, 동쪽으로는 레리다 교구(스페인어: 레리다)가, 서쪽으로는 후세카와 자카의 교구가 경계를 이루고 있다.
성당, 성공회 궁전, 신학교, 그리고 파이아리스트들의 사무원 정규 대학, 즉 피아리스트들은 바르바스트로에서 가장 유명한 건물들 중 하나이다.
젊은 성직자들의 교육을 위한 신학교 외에도 교구에는 사색적인 삶과 젊은이들의 교육에 헌신하는 다양한 공동체가 있다: 삐아리스트들, 불결한 성모들의 아들들, 가난한 클레어스들, 카푸친 수녀들은 수도에 기초를 두고 있으며, 푸에요 마을의 베네딕트인들은 그 기초를 두고 있다. 그리고 그라우스와 살라스 알타스에 있는 디스카이드 갈멜라이트도 있다. 교구의 모든 마을에 학교가 있다.
역사
바르바스트로 로다 교구(1101–1149)
8세기 스페인의 움마야드 침공과 함께 무어의 북진으로 레리다가 멸망하고, 716년 레리다 교구가 로다 데 이사베나에게 철거되었다. 12세기에 이르러 스페인의 재구성국은 국경을 다시 남쪽으로 밀어내, 300년 만에 레리다의 교구 통제를 재개할 수 있게 되었고, 바르바스트로(라틴어: 바르바티우스, 프랑스어: 바르바잔, 이탈리아어: 바르바치아, 바르바자, 바르바치)가 전략적으로 로다로부터 성공회를 인수하게 되었다. 1101년 페드로 1세는 바르바스트로의 초대 주교 폰시오를 로마로 보내 교황의 이양허가를 얻도록 하였는데, 이는 승인되었다.
레리다 교구(1149~16세기)
1149년, 레리다의 무어인들은 바르셀로나의 라몬 베렌구어 4세 백작에 의해 패배했고, 도시는 성공회 의석과 대지의 교구 통제권을 되찾았다.
바르바스트로 교구 (1571–1995)
바르바스트로는 16세기에 우에스카 교구에 합병되었으나, 1571년 우에스카의 일부에 바르바스트로 교구가 세워졌다.
1851년의 콩코드는 이름과 행정은 보존하면서 다시 한 번 후스카에 합병했지만, 대신 사도회에 의해 관리되었다.
1907년까지 그 교구는 10명의 대주교, 즉 대리자의 감독하에 154개의 파리로 구성되었다. 인구는 약 24만 명이었다. 성직자는 220여 명, 교회 수는 231개, 예배당은 177개였다.
1951년에 그것은 완전한 독립을 되찾았다.
20세기에 주교의 연장에 대해서는 1955년에 첫 번째, 1995년과 1998년에 두 번째, 즉 두 단계로 두 가지 수정이 있었다.
- 1단계: 1955년 9월 2일 역사적인 이전으로 인해 레리다 행정부와 푸르블 관할이었던 아라곤주 21곳이 바르바스트로의 주교로 아라곤주 교구 행정부로 반환되었다.
- 2단계: 40년 후인 1995년 9월 17일, 서부와 동부의 리바고르자 대교구, 신카 메디오가 아라곤의 행정부로 이관되었다.
1998년 6월 15일, 바조 신카 주와 라 리터 주(州)에 남아 있는 파리가 이관되었다. 같은 행위에서 산타 마리아 델 로마랄 데 몬손 교회는 바르바스트로몬손 교구 내의 공동 성지가 되었다.

이 단계적 이양 과정이 끝날 무렵 주교는 3만 명의 충신, 153개의 파리에서 10만 개와 264개의 파리로 갔다.
현재 교구는 4명의 대주교 또는 디에니리스로 구성되어 있다.
- Lower Cinca - 19개의 파리와 26,694명의 거주자를 가지고 있다.
- 신카 메디오 - 39개의 파리와 37,150명의 거주자를 가지고 있다.
- 소몬타노 - 25개의 파리와 18,809명의 거주자를 가지고 있다.
- 소브라베-리바고르자 - 159개의 파리와 16,650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바르바스트로몬교구(1995년 이후)
1995년 현재 바르바스트로 교구는 바티칸 법령인 일레르덴시스 외 바르바스트렌시스 데 피넘 돌연변이(Ilerdensis et Barbastrensis de finum intere)에 따라 '바바바스트로몬의 다이오세즈'로 개칭되었다. 레리다 교구의 임시 관리하에 있던 동부 아라곤의 84개 파리를 추가로 포함시키고 바르바스트로몬손의 관리하에 아라곤으로 다시 이관하였다. 1998년에는 27개의 파리가 아라곤주의 행정부에 반환되었다.[1]
파리지스가 아라곤으로 돌아오면서 레리다 성공회 시와 신학교에 보관되어 있던 고대 교구 등록부, 제단 구호물, 묘지, 기타 소송물품 및 예술작품 등 예배 장소에 속하는 재산도 마찬가지로 반환되었어야 했다. 그러나 이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고 레리다도 로마에 재산을 유지할 것을 호소했다. 바티칸 재판소는 아라곤의 파리를 각각의 소송 재산과 예술 작품의 정당한 소유자로 선언하고 레리다에게 그 정당한 소유자와 예배 장소에 반환하라고 판결했다. 레리다는 바티칸의 결정을 공개적으로 받아들였지만 그 결정에 따르지 않기로 결정했고 카탈루냐 당국의 요청에 따라 대신 이 작품을 보관하기 위해 민사 소송 절차를 밟았다. 바티칸 재판소의 판결에 따라 레리다 씨는 반환을 거부한 아라곤어 작품 중 일부만 전시하는 교구 박물관 건립에 착수했다. 승진, 영토확장주의, 국가로부터의 탈출을 원하는 지역 당파적인 카탈루냐 정치는 아라곤주의 정부에 아라곤주의 파리의 반환이 라 프란자 사람들을 스페인어를 사용하는 주류 신도들에 대한 문화적 동화 전략의 일환이라는 반카탈란 정서를 부추겼다.문화적 뿌리에서 벗어나게 하는 [2]거지 카탈루냐 민사소송절차는 지금까지도 성공하지 못했으며, 2019년을 기점으로 바티칸 판결의 완성을 지연시킬 뿐, 지난 2017년 시게나 왕립 수도원을 비롯한 여러 파리에 예술 작품이 점진적이고 부분적인 반환을 거듭해 왔다.[3]
로다의 주교 (1101년까지)
모든 이름은 스페인어로 주어진다.
- 887–922 : Adulfo - (887 - 922 이전부터)
- 923–955 : 아톤
- 955-975 : 오디센도
- 988–991 : Imerico - (988 ~ 991 이전부터)
- 996--?--: 야코보 - (996년 이전부터)
- 1006–1015 : Imerico II - (1006-1015 이전부터)
- 1017-1019 : 보렐
- 1023-1067 : 아르눌포
- 1068-1075 : 살로몬
- 1075-1076 : 아르눌포 2세
- 1076-1094 : 페드로 라몬 달마시오
- 1094-1096 : 루포
- 1097-1100 : 폰시오
1101년 로다 교구는 바르바스트로에게 양도된다.
바르바스트로-로다 주교(1101–1149)
1101년 로다 교구는 바르바스트로에게 양도된다. 모든 이름은 스페인어로 주어진다.
- 1101–1104 : 폰시오
- 1104–1126 : 성 라몬 — (카톨릭 백과사전에는 라몬 2세라는 이름이 있음)
- --------1126 : 에스테반
- 1126–1134: 페드로 기예르모
- 1134 : 아라곤 왕가의 왕자 라미로 — (선출)
- 1135–1143 : 고프리도
- 1143–1149 : 기예르모 페레스 데 라비타츠
바르바스트로 주교 (1571–1995)
1571년 후에스카 교구의 일부에서 바르바스트로 교구가 세워진다.
- 1573–1585 : Felipe de Uriés y Uriés
- 1585–1595 : 미겔 케르시토 베레테라
- 1596–1603 : 카를로스 무뇨스 세라노
- 1604–1616 : 후안 모리즈 데 살라자르
- 1616–1622 : 제로니모 바우티스타 라누자
- 1622–1625 : 페드로 아팔라자 라미레스
- 1625–1639 : 알론소 드 레퀴센스 y 페놀렛
- 1640–1643 : 베르나르도 라카브라
- 1643-1647 : 디에고 추에카
- 1647–1656 : 미겔 데 에스카틴 아르베사
- 1656–1673 : 디에고 프랑세스 데 우리리티고이티 이 레르마
- 1673–1680 : 이니고 로요 라시에라
- 1681-1695 : 프란시스코 로페스 데 우라카
- 1695-1696 : 제로니모 로페스
- 1696-1699 : 호세 마르티네스 델 빌라르
- 1700–1708 : 프란시스코 데 파울라 가르체스 이 마르실라
- 1708-1714 : 페드로 그레고리오 파딜라
- 1714-17 : 페드로 테오도로 그라넬 몽포르
- 1717–1739 : 카를로스 알라만 이 페러
- 1739-1747 : 프란시스코 안토니오 부스타만테 히메네스
- 1748-1750 : 베니토 마린
- 1750–1755 : 후안 라드론 데 게바라 이 페레스 데 라 토레
- 1755-1766 : 디에고 리베라 이 페르난데스 데 베게라
- 1766-1772 : 펠리페 페랄레스 메르카도
- 1773-1789 : 후안 마누엘 코넬 라리바
- 1790-1813 : 아구스틴 이뇨고 아바드 이 라시에라
- 1815–1828 : 후안 네포무체노 데 레라 이 카노
- 1828-1855 : 제이미 포트 이 푸이그
- 1855–1896 : See administered by Capitular Vicars, Sede vacante (Vicarios Capitulares: 1855-1862 : Basilio Gil Bueno, 1862-1881 : Francisco Rufas Corz, 1881-1892 : Juan Antonio Puicercús Abizanda, 1893-1896 : José Laplana Matheo).
- 1896–1898 : 카시미로 피녜라 이 나레도 — (오비스포 십일절 데 안치알론 이 사도 행정관 데 바르바스트로)
- 1898–1905: 후안 안토니오 루아노 이 마르틴 - (아포스트릭 행정관) 1848년 11월 3일 살라망카 교구의 기주데 델 바로에서 태어나 클라우디폴리스의 십일절 주교와 1898년 11월 3일 바르바스트로 행정관을 임명하고 1905년 12월 14일 렐리다로이전하였다.
- 1907–1917 : 이시도로 바디아 이 사라델 - (오비스포 십일절 드 아스칼론 이 사도교 행정관 데 바르바스트로)
- 1918–1926 : 에밀리오 히메네즈 페레즈 - (오비스포 십일절 데 안테돈 이 사도회 행정관 데 바르바스트로)
- 1927–1935 : Nicanor Mutiloa e Iurita — (Obispo titular de Querarapolis y Afortholic Administrator de Barbastro)
- 1935-1936 : 플로렌티노 아센시오 바로소 — (오비스포 십일조 드 유레아 데 에피로 이 사도 행정관 데 바르바스트로)
- 1938-1946 : 리노 로드리고 루스카 (Obispo de Huesca y Abdomistic Administrator de Barbastro)
- 1946–1950 : Arturo Tabera Araoz - (Obispo titular de Lirbe y Afortholic Administrator de Barbastro)
- 02/02/1950 - 13/05/1950: Arturo Tabera Araoz - (Obispo electo de Barbastro)
- 1950-1952 : Arturo Tabera Araoz - (Obispo de Albacete y 사도 관리자 de Barbastro)
- 1951-1953 : 페드로 칸테로 쿠아드라도
- 1954-1959 : 세군도 가르시아 데 시에라리 므엔데스
- 1960-1970 : 제이미 플로레스 마틴
- 1970-1974년 : 다미안 이구아센 보라
- 1974-1995년 : 암브로시오 에체바리아 아로이타
바르바스트로몬의 주교(1995년 이후)
- 1995-1999년 암브로시오 에체바리아 아로이타
- 1999-2004 : 후안 호세 오멜라 오멜라
- 2004-2014 : 알폰소 밀리안 소리바스
- 2014년 현재 : 앙헬 하비에르 페레스 푸에요
참고 항목
참조
이 기사는 다른 위키백과 기사와 다음 세 가지 출처에서만 인용된다.
- (영어로) 1907년과 1910년 가톨릭 백과사전: "바르바스트로"와 "레리다"
- (스페인어) IBERCRONOX: Obispado de Barbastro-Monzon
- 메모들
- ^ 세그레가시오 델 비스바트 데 릴리다
- ^ 매니페스트 소브레 라 유니타트 델 르리다 디오포르테사 아이 코마르칼
- ^ "Catalonia independence: Spain removes art work from Lleida". BBC News. 11 December 20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