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날디즘
Donaldism도날디즘은 디즈니 만화나 만화와 관련된 팬덤이다.이름은 도날드 덕을 지칭하며[1] 1971년부터 작가 존 기슬이 에세이 도날디즘엔에서 처음 사용하다가 1973년 그의 저서 도날디즘엔에서 확대됐다.[2][3]
일부(특히 유럽) 국가에서는 도날디즘이 주로 만화나 연재만화에 집중되어 있는 반면, 미국 등 다른 나라에서는 영화나 반바지가 상대적으로 훨씬 더 인기 있는 반면 이러한 것들은 크게 무시되고 있다.원래 지슬이 정의한 용어는 "연구 부문뿐만 아니라 이 연구의 대상인 자료"를 가리켰다.후자의 뜻에서, 이 단어는 모든 디즈니가 서명한 만화 이야기를 의미한다.전자의 의미로는 도날디즘은 만화 연구의 한 분야로 디즈니의 제작에 대한 연구를 전문으로 하고 있다."이 단어의 원래 의미는 1973년에 정의되었지만, 오늘날 도날디즘은 디즈니 만화 속 일반 팬덤과 심지어 영화와 반바지까지 포괄하는 경향이 있다.
이 용어는 덕 우주를 직접적으로 지칭하지만, 다른 디즈니 우주를 포함한다.
도날디스트
도날디스트는 디즈니 만화의 팬이나 연구원 등 도날디즘을 지지하는 사람이다.
1977년 노르웨이 도날디스트 사회 '도날디스트네'의 매니페스트에 따르면 "도날디스트는 사회정치적 구조와 관점에서 도널드 덕앤코[노르웨이 디즈니 만화책, 편집자]를 연구하는 도날디 덕 팬"이라고 한다.게다가, 그들은 그들 자신과 다른 사람들의 소장품을 위해 도날드주의적인 문화 자료를 보존하기 위해 가능한 최선의 방법으로 노력한다."
도날디스트 문화의 일부는 이름과 직함에 대한 백로론을 만드는 것이다; 이 용어는 칼 바크스의 주니어 우드척스 만화에서 유래한다. 스카우트 지도자들은 일반적으로 길고 거만한 직함을 가지고 있었고, 기수적인 두문자어로 이어졌다.
도날디스트라는 용어는 디즈니 공인 출판물에 사용되어왔다: 수집가를 주제로 한 젬스톤 출판 앨범 시리즈인 월트 디즈니 트레져스가 "도날디스트야?"라는 슬로건/질문과 함께 광고되었다.
도날드론 연구
첫 번째 중요한 발견 중 하나는 1960년 미국의 팬인 존 스파이서 씨가 칼 바크스에게 첫 팬레터를 썼을 때인데, 바크스는 이에 대해 이렇게 답했다.그때까지 월트 디즈니는 팬들이 다른 의심을 품었지만 모든 만화를 직접 그리고 쓴 것으로 생각되었다.디즈니 자신이 소수의 만화 제작에만 관여했다는 사실이 나중에 밝혀졌다.
1973년에 존 지슬은 도날드 덕 분석 도날드리스멘을 출판했다. 한스 베르덴의 도널드 덕 위에 있는 문터-비텐스카펠리그.[4]
비록 일반적으로 1970년대와 80년대에 비해 낮은 빈도로 진행되지만, 도날드주의 연구는 여전히 행해지고 있다.오늘날 연구결과는 일반적으로 팬진이나 인터넷 웹사이트에서 발표된다.
덴마크
기슬의 책은 '안데올로기엔'("도널드/오리-올로지엔")이라는 제목으로 덴마크어로 번역됐지만, 도날드의 덴마크어 이름 '안데르스 앤드'에 이어 현재 노르웨이어/국제 용어 '도날드주의'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덴마크에서 도날드주의 연구와 다른 도날드주의 기사의 주요 출처 중 하나는 칼 바크스앤코인데 프레디 밀턴을 편집자 겸 주요 추진력으로 하고 있다.첫 번째 호는 1974년에 출판되었고, 판자인은 다양한 빈도로 2000년까지 계속되었다; 때로는 일년에 몇 가지 이슈를, 때로는 몇 년이 이슈 없이 지나갔다.판자인은 덴마크 디즈니 만화책의 큰 지수(현재 인덕스 프로젝트와 원작자들이 유지하고 있다)를 포함한 많은 도날드주의적인 연구를 제시했다.그 이름에도 불구하고, 이 팬진은 디즈니 만화 속 다양한 분야의 소재들을 포함하고 있었지만, 여전히 칼 바크스에 대한 소재에 과중으로 빠져있었고, 이 소재들이 팬진의 단종을 촉발시켰다.
2001년에는 덴마크의 도날드주의자들 집단에 의해 덴마크의 도날드주의 사회(Dansk Donaldist-Foring in Denish)가 결성되었고, 이듬해 그들의 팬사인 DDF(R)appet의 첫 번째 호가 발행되었다.DDF(R)appet은 연간 발행 빈도가 약 2건이며, 기사 중에는 몇 가지 연구 발표가 있다.
이와 같이 도날디즘적이지는 않지만 여전히 가끔 도날디즘적인 물질을 지니고 있는 다른 주목할 만한 (코믹스) 팬진은 Nørd-nyt, Rackham, Seriejournalen, Strip!이다.
핀란드
핀란드에서 도날디즘은 (핀란드인 앙카로부터, "duck")라는 칭호를 가지고 있다.국내의 저명한 도날드주의자들 중에는 판지네 앙칼린난 파마우스의 창시자인 만화책 작가 티모 론카인, 그리고 아쿠 앙카의 오랜 (1988–2007) 편집장 마르쿠 키베케스 등이 포함되어 있다.[5][6]
프랑스.
피커우소이르
Piccou-Soir는 2019년에 만들어지고 분기별로 발행되며 두 가지 버전(디지털 및 인쇄)으로 이용 가능한 프랑스 팬진이다.
독일.
D.O.N.A.L.D. (Deutsche Organization nichtkommerzieller Anhenger des lauteren Donaldismus 또는 독일 비상업적 도날디즘 단체)는 독일의 도날리즘 사회다.한스 폰 스토치가 설립한 이 회사는 팬사인 더 도날디스트를 통해 도날디스트 연구에 많은 기여를 했다.또한 매년 여러 차례 회의와 한 차례의 회의를 개최한다.
도날디스트들은 순위가 상승했고, 그들이 만화 팬들에게 쉽게 알아볼 수 있는 인용문을 미묘하게 설치하는 프랑크푸르터 알게마이네 차이퉁과 같은 독일의 몇몇 중요한 신문들의 문화 페이지에 적극적으로 침투하고 있다.도날디즘에 대한 독일의 연구는 독일어로 번역된 에리카 푸치의 만화책에 의해 결정적으로 영향을 받는다.
그들은 또한 2015년 에리카-푸흐스-하우스로[7] 불리는 만화 및 언어 예술 박물관이 푸흐스의 주요 거주지인 슈바르젠바흐 안데르 사알레에 문을 열었을 때 영향력이 있었다.
노르웨이
도날디스틴 (도날디스트)
노르웨이의 도날디즘의 본고장에서는 1973년부터 판지네 도날디스틴(The Donaldist)이 출간되고 있다.1975년 설립된 도날드 사회 감멜도날디멘스 베너(Friends of the Early Donaldism)는 1975-88년에 도날디스틴을 발행했다.존 지슬의 도날디즘의 정의에 초점을 맞추어, 그 이슈들은 많은 연구 결과를 담고 있다.
1995년 도날디스틴 출판은 새로운 사회인 도날디스트네(도날디스트)에 의해 계속되었으나, 단 한 권의 발행 이후, 2004년에 또 다른 발행물이 발행될 때까지 9년의 기간이 지났다.새로운 사회는 연구에 집중하지 않고, 도날드주의자들 사이의 일반적인 변화를 반영한다.2007년 중반, 도날디스틴은 여전히 도날디스틴의 두 가지 이슈만을 출판했다.
기타팬진
2007년 3월, 기사, 인터뷰, 리뷰를 가져올 도날디즘에 관한 새로운 노르웨이 팬지네이션 Kvakk!가 발표되었다.팬진 뒤에는 디즈니 만화에서 노르웨이의 가장 인기 있는 웹사이트인 안데비 온라인(Duckburg Online)도 관리하는 사람들이 있다.첫 번째 이슈는 2007년 여름에 나올 것이고, 그 이후에는 매년 4개의 이슈가 나올 것이다.
- 칼 바크스와 올드 마스터의 비밀(1976년, 1호)
- 덕미이트(1979년, 1호)
- 덕버그(1981–82, 4개 이슈)
대학연구
터프 이스만토 호프스타드는 노르웨이 과학기술대학 철학과 종교학과 석사학위 논문에서 도날드 덕 만화에서 종교의 역할에 대해 썼다.[8]
스웨덴
스웨덴은 1977년부터 팬진 NAFS(K)URIREN에 도날드주의 연구와 기타 기사를 게재한 오랜 전통을 갖고 있다.이 팬진은 1976년 9월 21일에 설립된 스웨덴의 도날리즘 사회인 NAFS(K) (Nationella Anchistförbundet i Sverige (kvack)) 또는 스웨덴의 전국도날리즘 협회(kack)가 1년에 한두 번 발행한다.도날디즘의 지역 이름은 '안크리즘'(Ankism)이다."신앙주의").스웨덴에서 도널드 덕의 이름은 "칼레 앙카"("찰리 덕"으로 느슨하게 번역)이다.
미국
- 더 바크스 수집기 (1976- )
- The Comics Journal (1976- ) (일반 만화 정보)
- 덕버그 타임즈 (1977- )
- 바크스 카탈로그
- 바크스부르크 (1982)
- 덕 헌터 (1995-1996)
참고 항목
참조
- ^ Gisle, Jon (1971). "Donaldismen". Vinduet. 25 (3/4): 90–93. ISSN 0042-6288.
Scanned copy of the volume electronically available for Norwegian ip-addresses from Nasjonalbiblioteket, Norway. The essay is on the electronic pages 262-266.
- ^ Janet Wasko (11 April 2001), Understanding Disney: the manufacture of fantasy, p. 255, ISBN 978-0-7456-1484-7
- ^ Gisle, Jon (1973). Donaldismen : et muntert-vitenskapelig studie over Donald Duck og hans verden. Gyldendal. ISBN 8205057087.
- ^ Gabrielsen, Bjørn (21 October 2006). "Kvikt om kvakk". Dagens Næringsliv (in Norwegian). p. 64.
- ^ "Ankisti Markku Kivekäs on kuollut". June 2008.
- ^ "Kirja-arvostelu Roopen vertailua oikeisiin porhoihin ja Akun ammattien kartoitusta – Suomen johtava ankisti kirjoitti syvälle kulttuurihistoriaan meneviä esseitä Carl Barksin ankoista". 28 May 2018.
- ^ "Startseite - Erika-Fuchs-Haus Museum für Comic und Sprachkunst". Erika-Fuchs-Haus.
- ^ Adresseavisen: Kristne ender I Andeby(노르웨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