드로모르니스과

Dromornithidae
드로모르니티스과
시간 범위:올리고세 - 갱신세, 25–0.03 Pre N
Dromornis stirtoni 01.jpg
드로모르니스스튜르토니
과학적 분류 e
왕국: 애니멀리아
문: 챠다타
클래스: 아베스
Clade: 안세리모르파아목
주문: 복족류
패밀리: 드로모르니스과
퓌르브링거, 1888

미히룽(mihirung)으로 알려져 있으며 비공식적으로 천둥새 또는 악마오리알려져 있는 드로모르니티스과(Dromornithidae)는 올리고세부터 플라이스토세 에폭스까지의 크고 날지 못하는 호주 새의 분류군이다.이제 모두 멸종했다.그들은 오랫동안 Struthioniformes로 분류되었지만, 현재는 보통 galloanseres[1][2][3]분류된다.

드로모르니티드는 호주 거대 동물군의 일부였다.종인 Dromornis stirtoni는 키가 3m였다.호주 메가파우나라는 총칭은 50,000년에서 20,000년 전까지 호주에 살았던 많은 비교적 큰 종의 동물들을 묘사하기 위해 사용된다.비록 인간에 의한 사냥이 잠재적인 [4][5]선동자로 확인되었지만, 이 동물들의 실종에 대한 원인은 논란이 되고 있다.

드로모르니티드가 어느 정도 육식동물이었는지는 또한 명확하지 않다.몇몇 종들의 거대하고 찌그러진 부리는 적어도 그 과의 일부 구성원들은 육식 포식자, 청소동물 또는 잡식동물의 조합이었다는 것을 암시한다."발굽 같은" 발, 복부 구조, 그리고 넓은 시야를 만들어냈던 안구 구조와 같은 다른 특징들은 약 40도의 중앙 사각지대를 만들었을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사냥을 크게 방해할 것이다. 이는 더 초식적이고 이동성 생활 방식을 암시한다.현재의 합의는 그들이 정말로 [6]초식동물이었다는 것이다.

학명 드로모르니티스과(Dromornithidae)는 그리스어 ομαοο, 드로마이오스(Dromaios)와 오리(Ornis, 새)에서 유래했다.또한, 이 과는 천둥새, 자이언트 에머스, 자이언트 러너, 악마 오리, 미히룽 [7]등으로 불린다.

분류

1888년 막스 퓌르브링거 "드로마이오스"와 "디노르니스"로부터 오웬이 분리된 것, 그리고 폰 하스트링 드로모니스[8][9]드로마이오스의 결별을 인용하여 이름을 지었다.이 모임의 가장 가까운 친척들이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다.오랫동안 드로모르니티드는 에무스, 카소와리, 레아스, 타조와 같은 와 관련이 있다고 생각되었다.이제 이들 그룹 간의 유사성은 비행 상실에 대한 유사한 대응의 결과라고 여겨진다.두개골의 세부사항을 바탕으로, 드로모르니티드 관계에 대한 최근의 생각은 그들이 물새(Anseriformes)를 포함한 혈통 초기에 진화했다는 것이다.하지만, 몇몇 계통학 연구는 그들을 사냥새[2]더 가깝게 회복시켰다.

아래는 그들이 안세리모르파이[10][11][12][13][14]구성원이라는 가설 아래 계통발생학의 일반적인 합의이다.

오돈토안세라과

Pelagornithidae (의사 이빨새)

안세리모르파아목

가스토르니테스과

드로모르니테스과 (미히룽스)

§ 베가비과

물새목(물새)

워드와 동료들의 거대 가금류의 진화와 계통 발생에 관한 2017년 논문은 미히룽이 가스토르니티과[9]자매 분류군임을 밝혀내는 데 있어 계통 발생학적 뒷받침을 발견했다.워치 외 연구진(2017)은 갈로안세래의 기존 매트릭스에 몇 가지 새로운 분류군과 특성 특성을 통합했고, 이러한 [9]분류를 뒷받침하는 여러 계통 발생을 초래했다.저자들은 부트스트랩 지지대가 약하게 지지되고 있으며, 그들의 계통학 중 하나가 위질형상이 줄기 [9]담즙형인 것을 발견했다.이것들도 약하게 [9]지원되었다.아래는 앤세리모프로서 [9]위석상을 지탱하는 하나의 계통 발생을 나타내는 단순화된 계통 발생이다.

안세리모르파아목

물새목(비명 및 물새)

§ 베가비과

복족류

가스토르니테스과

드로모르니테스과 (미히룽스)

2021년 연구에서는 반대로 이들의 내부 두개골 구조가 [15]안세리폼보다 담즙형상과 더 유사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종.

드로모르니스과(Dromornithidae)의 분류군 [15][16]수는 2021년까지 4개 속에 8개 종으로 인식되었으며, 가장 작은 종은 현대의 카소우리와 비슷한 크기의 새인 Barawertornis tedfordi로 무게가 80~95kg(176~209파운드)이다.의 일반도르니스(일반도르니스 로소니와 일반도르니스 우드버네이)는 몸집이 더 컸지만 다른 드로모르니스과보다 다리가 가늘고 체격과 크기가 타조와 비슷했다.Dromornis planei ("죽음의 악마 오리")와 Genyornis newtoni ("미히룽")는 더 무겁고, 키는 약 2.5m (6.6에서 8.2피트)였으며, 무게는 220에서 240kg (490에서 530파운드)에 이르렀을 것이다.가장 큰 드로모르니스과(Dromornis australis)와 거대한 [17]드로모르니스 스터토니(Stirton's underbird)가 그것이다.Genyornis는 그 [citation needed]속들 중에서 가장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종의 분류는 대퇴골의 특징에 따라 이루어졌으며, 모든 종류의 표본은 대퇴골이다.두개골 유골은 한 [3]종에 3개가 할당될 정도로 발생 빈도가 낮습니다.

이러한 드로모르니티드 종의 위치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드로모르니과([15]4속

설명 및 생물학

Genyornis Newtoni의 예술가의 재건.
드로모르니스 스털토니를 재현한 예술가의 작품.

드로모르니티드는 표면적으로 매우 큰 에무스나 모아처럼 보였다.대부분은 튼튼한 다리와 크게 줄어든 날개를 가진 무거운 몸이었다.발가락의 마지막 뼈는 대부분의 새들처럼 발톱보다는 작은 발굽을 닮았습니다.에무스와 날지 못하는 다른 새들처럼, 드로모르니티드는 대부분의 뼈에서 큰 비행 근육을 부착하는 역할을 하는 가슴뼈의 용골을 잃었습니다.그들의 두개골 또한 에무스와는 상당히 달랐다.이 새들은 현대의 약 1.5에서 1.8m 사이즈의 코끼리 새 (Vorombe) 다음으로 가장 큰 새인 Dromornis stirtoni의 경우 최대 3m까지 다양했습니다.

다이어트

드로모르니티드가 식물을 먹는 동물이라고 일반적으로 생각되어 왔으며, 이 믿음은 현재 일반적인 과학적 [18]합의로 여겨지고 있다.이러한 믿음은 다음을 기반으로 합니다.

  • 법안 끝에 갈고리가 없는 것
  • 발가락 발톱의 부족
  • 전어결석(현생 악어 등 일부 육식동물의 위에서도 위석이 발견됨)의 연관성
  • 집단 행동을 암시하는 많은 수의 개체들이 함께 일어나는 것

그러나 불록오르니스의 매우 큰 두개골과 깊은 부리는 [citation needed]모아와 같은 큰 초식성 조류에서 발견되는 것과 매우 다르다.만약 이 드로모르니티드가 식물을 먹었다면, 그것은 지금까지 [citation needed]확인되지 않은 매우 견고한 물질을 처리할 수 있는 장비를 갖추고 있었다.그렇게 큰 머리를 기르고 유지하는 것은 해로울 것이고, 그것이 단지 사회적 [citation needed]신호였을 수도 있지만, 어떤 종류의 실질적인 이익을 제공하지 않는 한 아마 일어나지 않을 것이다.그러나 [citation needed]진화하기 위해서는 고도로 발달하거나 복잡한 사회 구조가 필요하다.

일부 드로모르니과의 초식성 징후에도 불구하고, 불록오르니스는 육식동물이었을 수도 있고, 아마도 청소동물이었을 수도 있다는 주장이 제기되었다.그러나 대부분의 당국은 이제 그것을 초식동물로 [18]간주한다.

이동

드로모르니티드는 거대한 크기 때문에 느리고 무거운 동물로 여겨져 왔다.그들의 다리는 달리기에 특화된 에무스나 타조처럼 길고 가늘지 않다.하지만, 부착물과 근육의 추정 크기에 대한 생체역학적 분석은 드로모르니티드가 처음에 생각했던 것보다 훨씬 더 빨리 달릴 수 있었다는 것을 암시하며, 그들의 이상적인 형태가 아닌 힘을 [citation needed]통해 보충할 수 있었다.

성적 이형성

두 가지 형태를 가진 풍부한 Dromornis stirtoni 표본의 퇴적물은 가장 큰 것으로 알려진 그 종에서 성적 이형성의 증거로 밝혀졌다.수컷이 암컷보다 더 건장하고 무거웠지만 반드시 키가 [19]크지는 않았다.

내복 연구

2021년 연구에 따르면 드로모르니티드는 담즙상과 [20]비슷한 내부 두개골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분배

이 새들에 대한 기록은 호주에서만 알려져 있다.비록 화석 증거가 태즈메이니아와 서호주에서도 발견되었지만, 드로모르니티드에 대한 대부분의 기록은 대륙의 동쪽 반쪽에서 왔다.일부 Northern Territory 현장에서는 매우 흔하며, 때로는 화석 물질의 60-70%를 차지하기도 합니다.드로모르니티드 크기의 발뼈 조각이 남극에서 발견되었지만, 이것이 이 새들을 나타내는지는 불확실하다.

확인된 가장 초기의 뼈는 퀸즐랜드 북서부의 리버슬레이에 있는 올리고세 후기 퇴적물에서 발견되었다.퀸즐랜드 남동부의 초기 에오세 때의 발자국이 있는데, 드로모르니티드라고 할 수 있다.Genyornis Newtoni의 가장 최근의 증거는 뉴사우스웨일스 중북부Cuddie Springs에서 발견되었으며 31,000년 [21]전의 것으로 추정됩니다.

멸종

플라이스토세 말기에 호주의 거대 동물군과 함께 이 과 전체가 멸종한 이유는 여전히 논의되고 있다.최초의 인류의 호주 도착(48만~60만년 전)과 그들의 사냥과 지형을 바꾸는 불의 사용이 메가파우나의 소멸에 기여했을지도 모른다는 가설이 있다.하지만, 빙하가 최고조에 달했을 때의 가뭄 상태는 상당히 혼란스러운 요인이다.최근의 연구들은[22] 이것이 멸종의 주된 원인이라고 배제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러한 [23]연구들에 대해서도 약간의 논란이 있다.이 모든 요소들의 조합이 거대 동물군의 종말에 기여했을 가능성이 있다.그러나 각각의 상대적 중요성에 대해서는 상당한 의견 차이가 있다.

검출

가장 최근의 종인 Genyornis newtoni는 플라이스토세 말기에 최초의 사람들에게 확실히 알려져 있었다.이 새를 묘사하는 것으로 생각되는 동굴 벽화는 에뮤스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되는 것보다 더 큰 발자국이 조각되어 있다.쿠디 스프링스에서는 유물과 관련된 제뇨르니스의 뼈가 출토되었다.인간이 드로모르니티드와 그 시대의 다른 큰 동물들에게 얼마나 많은 영향을 미쳤는지에 대한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고 많은 논란이 되고 있다.많은 과학자들은 인간의 정착과 사냥이 호주 거대 동물군의 많은 종의 멸종의 주된 원인이었다고 믿고 있다.

드로모르니티드의 뼈를 처음 접한 유럽인은 토마스 미첼과 그의 팀이었을 것이다.웰링턴 동굴을 탐험하던 중, 그의 부하 중 한 명이 밧줄을 아래로 내려오려고 할 때 부러진 돌출된 물체에 그의 밧줄을 묶었다.그 남자가 다시 올라간 후, 돌출된 물체가 큰 새의 화석화된 긴 뼈인 것으로 밝혀졌다.최초로 기술된 종은 호주산 드로모르니스였다.이 표본은 퀸즐랜드 피크 다운스의 55미터 깊이의 우물에서 발견되었고, 이후 1872년 리처드 오웬에 의해 설명되었다.

드로모르니테스 화석은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주 캘러보나 호수에서 광범위하게 수집되었다.

1892년, E.C. 스털링과 A. 사우스 오스트레일리아 박물관의 H. C. 지츠는 주 북서부의 건조한 호수 바닥에서 큰 뼈에 대한 보고를 받았다.그 후 몇 년 동안, 그들은 그 장소를 여러 번 방문했고, 몇몇 사람들의 거의 완전한 유골을 수집했다.그들은 1896년에 새로 발견된 종을 Genyornis newtoni라고 명명했다.Genyornis의 추가 유해는 사우스오스트레일리아의 다른 지역과 뉴사우스웨일스, 빅토리아에서 발견되었다.

다른 중요한 장소로는 노던 테리토리에 있는 블록 크릭과 알쿠타있었다.그곳에서 발견된 표본은 1979년 패트리샤 리치가 5종의 새로운 종과 4종의 새로운 [16]속들을 기술할 까지 미지의 상태로 남아있었다.

드로모르니티드의 가장 대표적인 는 척추뼈, 뒷다리뼈, 발가락뼈입니다.갈비뼈와 날개뼈는 이례적으로 보존되어 있다.골격에서 가장 희귀한 부분은 두개골이다.오랫동안 알려진 유일한 두개골은 손상된 Genyornis 표본이었다.드로모르니티드의 초기 재구성은 그들을 거대한 에무스처럼 보이게 했다.호주 노던 테리토리 박물관의 피터 머레이와 더크 메기리언은 불록오르니스의 머리 모양을 알 수 있을 만큼 충분한 두개골 자료를 찾아냈다.현재 불록오르니스의 두개골은 매우 컸으며, 거대한 부리가 그것의 약 3분의 2를 차지했다고 알려져 있다.그 법안은 깊었지만 꽤 좁았다.턱의 앞부분에는 칼날이 있고 뒷부분에는 찌그러진 표면이 있었다.큰 근육에 대한 애착이 있었는데, 이는 불록오르니스가 강한 무침을 가졌음을 보여준다.드로모르니스의 두개골의 더 단편적인 유골은 이 두개골 역시 크기가 너무 컸다는 것을 암시한다.

발견된 드로모르니티드의 유적은 뼈뿐만이 아니다.

  • 새들이 지그재그(근육의 배)에 넣어둔 광택이 나는 돌은 여러 곳에서 볼 수 있다.위석이라고 불리는 이 돌들은 거친 음식이나 큰 덩어리로 삼킨 물질을 분해함으로써 그들의 소화에 중요한 역할을 했다.
  • 선로라고 불리는 일련의 발자국이 여러 [24][25][26]곳에서 발견되었다.
  • 두개골강 내부(내분비 깁스 또는 내배)의 흔적이 발견되었습니다.내배엽은 퇴적물이 빈 두개골을 채우고 그 후에 두개골이 파괴될 때 형성된다.이 화석들은 드로모르니티드 뇌의 꽤 정확한 그림을 보여준다.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1. ^ Murray, P. F. & Megirian, D. (1998년)
  2. ^ a b c Worthy, T. H.; Mitri, M.; Handley, W. D.; Lee, M. S. Y.; Anderson, A.; Sand, C. (2016-03-30). "Osteology Supports a Stem-Galliform Affinity for the Giant Extinct Flightless Bird Sylviornis neocaledoniae (Sylviornithidae, Galloanseres)". PLOS ONE. 11 (#3): e0150871. Bibcode:2016PLoSO..1150871W. doi:10.1371/journal.pone.0150871. PMC 4814122. PMID 27027304.
  3. ^ a b Murray, P. F. & Vickers-Rich, P. (2004)
  4. ^ Miller, G. H. et al. (1999년)
  5. ^ 로버츠, R. G. 등(2001)
  6. ^ Gerald Mayr, Paleogen Forse Birds, 2009[page needed]
  7. ^ 미히룽 패링말은 빅토리아 서부의 챠푸링족에서 유래한 원주민 단어로 '거대한 새'라는 뜻이다.
  8. ^ Fürbringer, Max (1888). Untersuchungen zur Morphologie und Systematik der Vögel, zugleich ein Beitrag zur Anatomie der Stütz- und Bewegungsorgane. Vol. 2. Amsterdam: T. van Holkema. p. 435.
  9. ^ a b c d e f Worthy, T.H.; Degrange, F.J.; Handley, W.D.; Lee, M.S.Y. (2017). "The evolution of giant flightless birds and novel phylogenetic relationships for extinct fowl (Aves, Galloanseres)". Royal Society Open Science. 11 (#10): 170975. Bibcode:2017RSOS....470975W. doi:10.1098/rsos.170975. PMC 5666277. PMID 29134094.
  10. ^ Murrary, P.F; Vickers-Rich, P. (2004). Magnificent Mihirungs: The Colossal Flightless Birds of the Australian Dreamtime. Indiana University Press.
  11. ^ Bourdon, E. (2005). "Osteological evidence for sister group relationship between pseudo-toothed birds (Aves: Odontopterygiformes) and waterfowls (Anseriformes)". Naturwissenschaften. 92 (#12): 586–91. Bibcode:2005NW.....92..586B. doi:10.1007/s00114-005-0047-0. PMID 16240103. S2CID 9453177.
  12. ^ Agnolín, F. (2007). "Brontornis burmeisteri Moreno & Mercerat, un Anseriformes (Aves) gigante del Mioceno Medio de Patagonia, Argentina". Revista del Museo Argentino de Ciencias Naturales. 9: 15–25. doi:10.22179/revmacn.9.361.
  13. ^ Livezey, B.C.; Zusi, R.L. (2007). "Higher-order phylogeny of modern birds (Theropoda, Aves: Neornithes) based on comparative anatomy. II. Analysis and discussion". The Science of Nature. 149 (#1): 1–95. doi:10.1111/j.1096-3642.2006.00293.x. PMC 2517308. PMID 18784798.
  14. ^ Agnolín, F.L.; Egli, F.B.; Chatterjee, S.; Marsà, J.A.G (2017). "Vegaviidae, a new clade of southern diving birds that survived the K/T boundary". The Science of Nature. 104 (#87): 87. Bibcode:2017SciNa.104...87A. doi:10.1007/s00114-017-1508-y. PMID 28988276. S2CID 13246547.
  15. ^ a b c Handley, Warren D.; Worthy, Trevor H. (15 March 2021). "Endocranial Anatomy of the Giant Extinct Australian Mihirung Birds (Aves, Dromornithidae)". Diversity. 13 (3): 124. doi:10.3390/d13030124.
  16. ^ a b 리치, P. (1979년)
  17. ^ Rich, Pat Vickers (1980). "The Australian Dromornithidae: a group of extinct large ratites". Contributions in Science. 330: 93––103.
  18. ^ a b 피터 F.Murray, Patricia Vickers-Rich, Mihirungs:호주 드림타임의 거대한 날지 못하는 새들
  19. ^ 호주 중부 알쿠타 지방 동물군 DOI:10.1080/02724634.2016.1180298, 수신:2015년 7월 9일 수용:2015년 6월 7일 온라인 출판:2016년 6월 7일 Miosene mihirung Dromornis stirtoni(Aves:Dromornithidae)의 성적 이형성
  20. ^ Handley, Warren D.; Worthy, Trevor H. (2021). "Endocranial Anatomy of the Giant Extinct Australian Mihirung Birds (Aves, Dromornithidae)". Diversity. 13 (3): 124. doi:10.3390/d13030124.
  21. ^ 필드, J. H. & Boles, W. E. (1998)
  22. ^ 로버츠 외 2001년
  23. ^ Wroe 외 2002년
  24. ^ Vickers-Rich, P. & Molnar, R. E. (1996년)
  25. ^ 리치, P. & Gill, E. (1976)
  26. ^ 리치, P. & Green, R. H. (1974년)

레퍼런스

  • Field, J. H.; Boles, W. E. (1998). "Genyornis newtoni and Dromaius novaehollandiae at 30,000 b.p. in central northern New South Wales". Alcheringa. 22 (#2): 177–188. doi:10.1080/03115519808619199.
  • Murray, P. F.; Megirian, D. (1998). "The skull of dromornithid birds: anatomical evidence for their relationship to Anseriformes (Dromornithidae, Anseriformes)". Records of the South Australian Museum. 31: 51–97.
  • Murray, Peter; Vickers-Rich, Patricia (2004). Magnificent mihirungs : the colossal flightless birds of the Australian dreamtime. Bloomington: Indiana University Press. ISBN 978-0-253-34282-9.
  • Miller, G. H.; Magee, J. W.; Johnson, B. J.; Fogel, M. L.; Spooner, N. A.; McCulloch, M. T.; Ayliffe, L. K. (1999). "Pleistocene extinction of Genyornis newtoni: human impact on Australian megafauna". Science. 283 (#5399): 205–208. doi:10.1126/science.283.5399.205. PMID 9880249.
  • Rich, P (1979). "The Dromornithidae, an extinct family of large ground birds endemic to Australia" (PDF). Bulletin of the Bureau of Mineral Resources, Geology and Geophysics. 184: 1–190.
  • Rich, P.; Gill, E. (1976). "Possible dromornithid footprints from Pleistocene dune sands of southern Victoria, Australia". Emu. 76 (#4): 221–223. doi:10.1071/mu9760221.
  • Rich, P.; Green, R. H. (1974). "Footprints of birds at South Mt Cameron, Tasmania". Emu. 74 (#4): 245–248. doi:10.1071/mu974245.
  • Roberts, R. G.; Flannery, T. F.; Ayliffe, L. A.; Yoshida, H.; Olley, J. M.; Prideaux, G. J.; Laslett, G. M.; Baynes, A.; Smith, M. A.; Jones, R.; Smith, B. L. (2001). "New ages for the last Australian megafauna: continent-wide extinction about 46,000 years ago". Science. 292 (#5523): 1888–1892. Bibcode:2001Sci...292.1888R. doi:10.1126/science.1060264. PMID 11397939. S2CID 45643228.
  • Vickers-Rich, P.; Molnar, R. E. (1996). "The foot of a bird from the Eocene Redbank Plains Formation of Queensland, Australia". Alcheringa. 20: 21–29. doi:10.1080/03115519608619220.
  • Williams, D. L. G. (1981). "Genyornis eggshell (Dromornithidae; Aves) from the Late Pleistocene of South Australia". Alcheringa. 5 (#2): 133–140. doi:10.1080/03115518108565426.
  • Williams, D. L. G.; Vickers-Rich, P. (1992). "Giant fossil egg fragment from the Tertiary of Australia". Contributions in Science, Natural History Museum of Los Angeles County. 36: 375–3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