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에나벤투라두루티
Buenaventura Durruti![]() |
부에나벤투라두루티 | |
---|---|
![]() 1936년 두루티 | |
생년월일 | 호세 부에나벤투라 두루티 뒤만주 |
태어난 | 레온, 스페인 | 1896년 7월 14일
죽은 | 1936년 11월 20일( 스페인 마드리드 | (40세)
파묻힌 | |
얼리전스 | ![]() |
서비스 | ![]() ![]() ![]() |
근속 연수 | 1920–1936 |
명령어 보유 | 두루티 컬럼 |
로 알려져 있다 | 아나코생디칼리즘 |
전투/전투 | 스페인 내전 |
배우자 | 에밀리엔 모랭 |
아이들. | 콜레트 두루티 |
서명 | ![]() |
호세 부에나벤투라 두루티 두만지(1896년-1936년)는 스페인 내전 전과 내전 기간 동안 CNT와 FAI에 관여한 스페인 폭동, 무정부주의자 무장단체였다.두루티는 스페인 혁명 동안 영향력 있는 역할을 했고 무정부주의자 운동의 영웅으로 기억된다.
전기
시리즈의 일부 |
무정부주의 |
---|
![]() |
초기 생활
호세 부에나벤투라는 스페인 레온에서 아나스타샤 뒤만지와 산티아고 두루티의 아들로 8남매 중 둘째로 태어났다.그는 5살 때 초등학교에 입학했고 4년 [1]후 칼레 미세리코디아 학교로 옮겼다.
1910년, 14세의 나이로, Duruti는 레온의 철도 야드에서 연습 정비사가 되기 위해 학교를 떠났습니다.그는 [2]18살 때 마탈라나 데 토리오에서 첫 일을 시작했다.그의 아버지처럼, 그는 사회주의자 유니온 데 트라바자도르(UGT)에 가입했다.1917년 8월 정부가 노조와 고용주의 합의를 뒤집었을 때 UGT가 주장한 파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정부는 파업을 진압하기 위해 스페인 군대를 투입했다; 그들은 70명의 사람들을 죽이고 500명 이상의 근로자들을 다치게 했다. 파업자 중 2,000명은 재판이나 법적 절차 없이 투옥되었다.두루티는 탈출에 성공했지만 프랑스로 도피해야 했고 그곳에서 망명 무정부주의자들과 접촉했다.무정부주의에 대한 스페인 국가의 잔혹성은 젊은 두루티에게 심오하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쳤다.1917년 가을부터 1920년 초까지 두루티는 파리에서 기계공으로 일했다.그리고 나서 그는 스페인으로 돌아가기로 결심하고 국경을 넘어 바스크 지방의 산 세바스찬에 도착했다.이곳에서 그는 수베르비올라, 루이스, 알다바트레쿠 또는 마르셀리노 델 캄포와 같은 지역 무정부주의자들을 소개받았고, 그와 함께 무정부주의 준군사조직 로스 저스티시에로스("어벤져스")를 결성했다.1921년, 산 세바스찬에서 대 쿠르살(Great Kursaal)의 취임식 동안, 이 그룹의 구성원들은 알폰소 [3]13세를 암살하려 했지만 실패했다.최근에 결성된 무정부주의자 지배하의 나시오날 델 트라바호(CNT)의 당시 회장이었던 부에나스카는 두루티를 설득하여 무정부주의 운동과 신디칼리스트들이 잔인하게 탄압받고 있는 바르셀로나에서 노동자들을 조직하고 대부분의 구성원들은 투옥되거나 처형되었다.이곳에서 그는 후안 가르시아 올리버, 프란시스코 아스카소, 미겔 가르시아 비반코스, 알폰소 미겔, 리카르도 산즈, 아우렐리오 에르난데스와 함께 소위 그루포스 데 아비니다드 [4]중 가장 유명한 것 중 하나인 로스 솔리데라스를 설립했습니다.1923년 이 단체는 무정부주의자 노조 활동가 살바도르 [3]세귀의 살해에 대한 보복으로 후안 솔데빌라 이 로메로 추기경의 암살에도 연루되었다.1923년 미겔 프리모 데 리베라가 스페인에서 권력을 잡은 후, 두루티와 그의 동료들은 바르셀로나에 있는 군 막사와 프랑스 근처의 국경 지대에 대한 공격을 조직했다.이러한 공격은 실패했고 꽤 많은 무정부주의자들이 죽었다.이러한 패배에 뒤루티, 아스카소, 올리버는 라틴 아메리카로 도망쳤다.그 후 그들은 쿠바를 방문했고 [5]칠레와 아르헨티나에서 은행 강도짓을 했다.
두루티와 그의 동료들은 스페인과 바르셀로나로 돌아와 당시 스페인에서 가장 큰 무정부주의자 조직인 페데라시온 아나르키스타 이베리카(FAI)와 무정부 신디칼리스트 노동조합인 남부나시오날 델 트라바호(CNT)에서 영향력 있는 무장 단체가 되었다.CNT 내부에서 얻은 두루티의 세력은 1931년 앙헬 페스타냐가 이끄는 개혁파가 탈당해 신디칼리스트당을 결성하는 등 분열을 초래했다.
남북전쟁에서
FAI와 CNT 두루티에서 그의 동료들과 긴밀히 협력한 것은 고데드 장군이 바르셀로나를 장악하려는 시도를 막기 위해 필수적인 노력인 민족주의 파벌의 군사적 봉기에 대한 무력 저항을 조정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아타라자나스 병영 전투 중에 두루티의 오랜 동료이자 가장 친한 친구 아스카소가 총에 맞아 죽었다.1주일도 지나지 않은 1936년 7월 24일 두루티는 3,000명이 넘는 무장 무정부주의자들을 이끌고 바르셀로나에서 사라고사로 갔다.카스피(아라곤)에서 벌어진 유혈전투 이후 이들은 정규군 장교의 조언에 따라 부자랄로스와 '벤타 데 산타 루시아'인 피나 데 에브로에 멈춰 사라고사에 대한 공격을 연기했다.이 지역에서 Simone Weil의 존재는 이 시기에 아나키스트 칼럼에 이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죽음.
11월 정부를 대표해 무정부주의자 지도자 페데리카 몬세니가 아라곤을 떠나도록 설득한 뒤 두루티는 민병대를 이끌고 마드리드로 건너가 도시 방어를 도왔다.11월 19일, 그는 카사 데 캄포 지역에서 반격을 이끌다가 총에 맞았다.
스페인 내전(1982)의 안토니 비보르는 두루티가 동료의 기관총이 실수로 발사되었을 때 사망했다고 주장한다.그는 당시 무정부주의자들이 사기와 선전을 위해 자신이 적 저격수의 총탄에 맞았다고 거짓말을 했다고 평가했다.첫 번째 사망설은 그가 규율을 강요했기 때문에 동료들에게 총을 맞았다는 것이었다.
Duruti는 1936년 11월 20일 40세의 나이로 리츠 호텔에 세워진 임시 수술실에서 사망했다.총알은 심장에 박혔다; 기록된 진단은 "흉막 출혈로 인한 사망"이었다.스페인 혁명에 관한 그의 이후 저서 두루티에서 두루티는 흉부에 9mm의 총탄에 맞아 사망했다고 한다.부검 결과:
"두루티는 가슴이 매우 발달했어요.흉곽의 지형을 봤을 때 수술이 불가능하다는 진단이 틀렸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수술로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었지만 환자는 분명 살아남지 [6]못했을 것입니다."
큰 장례 [7]행렬에 이어 그는 바르셀로나의 몬주크 묘지에 [8]묻혔다.
두루티가 죽은 지 몇 시간 후, 호세 루손 모랄레스는 보복으로 칼레 데 산타 엔그라시아의 [9]수도원에 포로로 잡혀 있던 52명의 경찰들을 처형하라고 명령했다.
레거시
처음에 두루티의 죽음은 사기상 공개되지 않았다.두루티의 시신은 그의 장례식을 위해 전국을 가로질러 바르셀로나로 운구되었다.5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코르테지가 몬주엑 묘지로 가는 길에 동행하기 위해 거리를 가득 메웠다.그것은 스페인 내전 동안 무정부주의자들의 힘을 보여주는 마지막 대규모 공개 시위였다.
휴 토마스는 "두루티의 죽음은 스페인 무정부주의의 고전적 시대의 종말을 알렸다.한 무정부주의자 시인은 두루티가 살아 있는 동안 고귀한 존재로 인해 뒤루티의 군단이 그의 뒤에 나타나게 될 것이라고 선언했다.[10]
1937년 CNT-FAI의 공화당 정부 참여에 대한 반응으로, 1937년 바르셀로나에서 노동절 이후 혁명의 무정부주의 원칙을 구하기 위해 두루티 그룹의 친구들이 설립되었습니다.두루티의 이름은 혁명적인 헌신과 그가 여전히 무정부주의자 진영에서 그것을 지지한다는 상징 때문에 분명히 받아들여졌다.두루티의 친구들 모임은 '엘 아미고 델 푸에블로'라는 신문을 가지고 CNT의 평신도들 사이에서 혁명적인 선전을 시도했다.그러나 이 단체는 공화당 정부와 협력하여 CNT의 개혁파에 의해 맹렬히 탄압을 받았다.
Strasbourg 대학 학생들의 상황주의 그룹은 1966년 학생연합의 예산을 거대한 플라이 포스트 만화 한 권에 썼다.두 명의 카우보이들이 철학적 재현을 논의하는 것을 주제로 한 패널 중 하나는 두루티의 군부대를 언급하여 "두루티 기둥의 귀환"이라고 불렸다.이는 토니 윌슨의 영국 포스트 펑크 밴드인 듀루티 [11]컬럼의 명칭에 영향을 미쳤다.
2019년 대량추방을 위해 미국 이민세관국(ICE)이 운영하는 버스 한 대를 무력화하려다 숨진 미국 무정부주의자 빌럼 반 스프론센은 두루티의 성을 [12][13]가명으로 사용했다.
갤러리
바르셀로나 몬주크 묘지에 있는 두루티의 무덤
「 」를 참조해 주세요.
메모들
- ^ 2006페이지, 4-5페이지.
- ^ 2006페이지, 6-9페이지.
- ^ a b 로덴탈 2017, 페이지 63
- ^ 알렉산더 1999, 페이지 83
- ^ 페이지 2006, 페이지 47~92.
- ^ 2006페이지, 600페이지
- ^ Preston 2006, 176-177페이지.
- ^ 코모토 2022, 페이지 108
- ^ 루이즈 2014, 페이지 284
- ^ 토마스 2001, 페이지 471
- ^ Reade, Lindsay (2016). Mr Manchester and the Factory Girl: The Story of Tony and Lindsay Wilson. Plexus Publishing. p. 104. ISBN 978-0-85965-875-1.
- ^ Cleary, Tom (July 14, 2019). "Willem Van Spronsen aka Emma Durutti: 5 Fast Facts You Need to Know". Heavy.com. Retrieved December 22, 2019.
- ^ Collective, CrimethInc Ex-Workers. "CrimethInc. : On Willem Van Spronsen's Action against the Northwest Detention Center in Tacoma : Including the Full Text of His Final Statement". CrimethInc. Retrieved December 22, 2019.
레퍼런스
- Alexander, Robert J. (1999). The Anarchists in the Spanish Civil War. London: Janus Publishing Company. ISBN 978-1-85756-400-6.
- Beevor, Antony (2006) [1982]. The Battle for Spain: The Spanish Civil War 1936–1939. London: Weidenfeld & Nicolson. ISBN 0-297-84832-1.
- Comotto, Agustín (2022). The Weight of the Stars: The Life of Anarchist Octavio Alberola. AK Press. ISBN 978-1-84935-409-7.
- Enzensberger, Hans Magnus (2018). Anarchy's Brief Summer: The Life and Death of Buenaventura Durruti. Translated by Mitchell, Mike. Seagull Books. ISBN 9780857426000. OCLC 1077270536.
- Fraser, Ronald (2001) [1984]. "The popular experience of war and revolution 1936–9". In Preston, Paul (ed.). Revolution and War in Spain 1931–1939. London: Routledge. pp. 225–242. ISBN 0-415-09894-7. OCLC 803661954.
- Graham, Helen (2002). The Spanish Republic at War, 1936–1939.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0-521-45932-X. OCLC 464890766.
- Loadenthal, Michael (2017). "Anarchism". In Joseph, Paul (ed.). The SAGE Encyclopedia of War: Social Science Perspectives. Thousand Oaks: SAGE Publishing. pp. 60–64. ISBN 978-1-4833-5989-2.
- Paz, Abel (2006) [1996]. Durruti in the Spanish Revolution. Translated by Morse, Chuck. Edinburgh: AK Press. ISBN 1-904859-50-X. LCCN 2006920974. OCLC 482919277.
- Preston, Paul (2006). The Spanish Civil War: Reaction, Revolution, and Revenge. New York: W. W. Norton & Company. ISBN 0-393-32987-9.
- Ruiz, Julius (2014). The 'Red Terror' and the Spanish Civil War.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ISBN 9781107054547.
- Thomas, Hugh (2001) [1961]. The Spanish Civil War. New York: Modern Library. ISBN 0-375-75515-2.
추가 정보

- Acerete, Julio C. (1975). Durruti (in Spanish). Editorial Bruguera. ISBN 978-84-02-04322-1. OCLC 1977102.
- Amodia, Jose (1995). "Durruti Dominguez, Buenaventura". In Lane, A. Thomas (ed.). Biographical Dictionary of European Labor Leaders. Vol. 2. Greenwood Publishing Group. pp. 283–284. ISBN 978-0-313-26456-6.
- Bookchin, Murray (1998). The Spanish Anarchists: The Heroic Years 1868–1936. AK Press. ISBN 978-1-873176-04-7.
- Dupuy, Rolf; Enckell, Marianne (2020). "Durruti Buenaventura". Le Maitron (in French). Maitron/Editions de l'Atelier.
- Goldman, Emma (1936). "Durruti is Dead, Yet Living".
- Guérin, Daniel, ed. (2005). "Durruti and Libertarian Warfare". No Gods, No Masters: An Anthology of Anarchism. Translated by Sharkey, Paul. Oakland: AK Press. pp. 619–652. ISBN 1-904859-25-9. LCCN 2005930956. OCLC 11561299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