켄터키 얼링턴

Earlington, Kentucky
켄터키 얼링턴
The former Hotel Earlington, a local landmark
지역 랜드마크인 구 호텔 얼링턴
Location of Earlington in Hopkins County, Kentucky.
켄터키주 홉킨스 카운티에 있는 얼링턴의 위치.
좌표:37°16′27″N 87°30′41″w/37.27417°N 87.51139°W/ 37.27417; -87.51139좌표: 37°16′27″N 87°30′41″W / 37.27417°N 87.51139W / 37.27417; -87.51139
나라미국
켄터키 주
카운티홉킨스
면적
• 합계2.94 sq mi(7.62km2)
• 육지2.82 sq mi(7.31km2)
• 물0.12 sq mi(0.31km2)
표고
423 ft(m)
인구
(2010)
• 합계1,413
• 견적
(2019)[2]
1,332
• 밀도472.17/sq mi (1971.31/km2)
시간대UTC-6(중앙(CST))
• 여름(DST)UTC-5(CDT)
우편번호
42410
지역 번호270 & 364
FIPS 코드21-23230
GNIS 피쳐 ID0491420
웹사이트earlingtongovcity.com

얼링턴(Earlington)은 미국 켄터키주 홉킨스 카운티있는규칙급 도시[3].2010년 인구조사를 기준으로 이 도시의 인구는 1,413명으로 2000년 인구조사 때의 1,649명에 비해 감소했다.[4]

역사

1870년 성당에 의해 설립되었다.버나드 콜社, 얼링턴社는 1년 후 법인 설립과 동시에 홉킨스 카운티 최초의 상업용 탄광 개업 때 산비탈에 첫 번째 탄광인 존 베이리스 얼을 끼워 넣은 사람으로 임명되었다.얼은 이 지역에서 석탄 산업을 발전시키는데 중심이었던 변호사였다.[5]이 마을이 생긴 직후 루이빌과 내슈빌 철도는 헨더슨에서 얼링턴까지 노선을 완공하여 이 지역의 1차 운반선이 되었다.그 도시는 석탄 중심지로서 그리고 에반스빌 노선의 L&N 사업 중심지로 붐볐다.

얼링턴의 초기 발전은 성에게 가장 쉽게 인정될 수 있다.버나드 석탄 회사의 두 번째 사장 존 B.앳킨슨.뉴저지 출신인 앳킨슨은 토목 공학자가 되기 전에 학교를 가르쳤다.그는 1871년 보스턴에서 켄터키주로 이주하여 얼링턴에서 채굴 업무를 담당하였고, 결국 회사의 사장이 되었다.

앳킨슨은 교육 배경 때문에 얼링턴에 있는 학교에 많은 중점을 두었고, 초등학교와 고등학교를 위한 현대식 건물들이 세인트의 비용으로 지어지고 비치되었다.버나드얼링턴에서 제공되는 다른 편의시설로는 주택, 도서관, 수목원, 교회 등이 있다.[6]그 당시 서부 켄터키에서는 특이한 것이 이 회사의 발전소가 있었는데, 이 발전소는 얼링턴을 이 지역에서 처음으로 완전히 전기가 통하게 된 마을 중 하나로 만들었다.

얼링턴은 처음 40년간 붐을 일으켰고, 주로 흑인 광부들에 의해 일했다.제1차 세계대전을 전후하여 광공업에서의 통합은 석탄회사 본사와 이익을 성 소재 기업에 보냈다.루이, 뉴욕을 비롯한 웨스트 켄터키 석탄회사(뉴저지 소재)를 비롯한 주요 도시들은 얼링턴 작전의 상당 부분을 장악했다.자원의 유출과 지역 통제의 단절은 많은 광산 일자리의 자동화와 마찬가지로 얼링턴과 전국의 다른 광산촌에 깊은 영향을 미쳤다.얼링턴에게는 1960년대 L&N 창고 폐쇄가 또 하나의 큰 타격이었다.[7]

많은 석탄 도시들과 마찬가지로 얼링턴의 인구는 지난 세기에 걸쳐 절반 이상 감소했는데, 특히 1980년대에 광산이 폭발한 이후 더욱 그러했다.오늘날, 이 졸린 마을은 주로 지역 서비스 센터로, 일부 무역업자들은 I-69 인터체인지와 미국 Hwy. 41번지 상업 센터를 따라 교통을 통과한다.

교육

1970년대 중반까지 얼링턴 시는 독자적인 학제를 운영했다.이 제도는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 졸업 때까지 학생들에게 제공되었다.1967년 얼링턴 옐로자켓스가 주 "스위트 16" 농구대회에서 우승했다.1960년대 동안 스위트 16의 챔피언들은 일반적으로 제퍼슨 카운티(루이스빌)나 주 최대의 인구 중심지인 페이엣 카운티(렉싱턴)에서 왔다.얼링턴은 현대에 '스위트 16'을 수상한 가장 작은 학교 중 하나로 남아 있다.이 팀은 1940년대 후반 얼링턴 출신이며 얼링턴에서 농구를 했던 밥 폭스의 지도를 받았다.그는 얼링온에서 141-26으로 인상적인 코칭 기록을 세웠으며 2001년에 KHSAA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다.

시 교육위원회가 홉킨스 카운티 학교 시스템과 합병하기로 결정했을 때, 지역 사회는 분열되었다.학생들의 절반은 남쪽으로 약 5km 떨어진 사우스 홉킨스 고등학교에 재학 중이었고, 나머지 절반은 서쪽으로 8마일 떨어진 웨스트 홉킨스 고등학교에 진학했다.그 분할은 마을을 이등분하는 철로를 따라 이루어졌다.

얼링턴은 또한 1970년대까지 운영되는 사립학교를 가지고 있었다.얼링턴에서 유일하게 로마 가톨릭 교구였고 홉킨스 카운티에서 가장 오래된 교구인 무정수개념은 1890년대부터 건물의 상태 때문에 학교가 문을 닫을 때까지 주기적으로 학교를 운영했다.그 학교는 유치원부터 6학년까지 학생들을 위해 봉사했었다.교구 건물 건너편에 위치한 옛 학교 건물은 이제 철거되었다.

지리

로치 메리 저수지

얼링턴은 홉킨스 카운티 중앙의 남동쪽에 위치한 37°161627″N 87°30′41″W / 37.27417°N 87.51139°W / 37.27417; -87.51139(37.274050, -87.511388)이다.[8]군청매디슨빌과 북쪽으로 접해 있다.미국 41번 국도(홉킨스빌 로드)는 얼링턴의 중심을 통과해 북쪽으로 4마일(6km)을, 남동쪽으로 7마일(11km) 떨어진 매디슨빌을 지나 노턴빌로 이어진다.69번 주간 고속도로는 111번 출구로부터 접근하여 시내에서 동쪽으로 3마일(5km)을 통과한다.

미국 인구조사국에 따르면 얼링턴의 총 면적은 2.5km2(2.4평방마일)이며 이 중 2.4평방마일(6.2km2)은 육지, 4.1평방마일(0.3km2)(4.55%)은 물이다.[4]

인구통계학

역사인구
인구조사 Pop.
1880907
18901,74892.7%
19003,01272.3%
19103,93130.5%
19203,652−7.1%
19303,309−9.4%
19402,858−13.6%
19502,753−3.7%
19602,7861.2%
19702,321−16.7%
19802,011−13.4%
19901,833−8.9%
20001,649−10.0%
20101,413−14.3%
2019년(최상)1,332[2]−5.7%
미국 십수년 인구[9] 조사

2000년 인구조사[10] 기준으로 시내에는 1649명, 681가구, 439가구가 거주하고 있다.인구밀도는 평방마일(190.6/km2)당 493.1명이었다.평방마일(92.2/km2)당 평균 밀도 238.6의 798채의 주택이 있었다.도시의 인종 구성은 백인 75.80%, 흑인 또는 흑인 23.29%, 아메리카 원주민 0.18%, 아시아인 0.06%, 태평양 섬사람 0.06%, 다른 인종 0.06%, 2인 이상 인종 0.55% 순이었다.히스패닉계 또는 라틴계 인종이 인구의 0.73%를 차지했다.

681가구로 이 중 18세 미만 자녀가 함께 사는 가정이 29.7%, 부부 동반 41.7%, 남편이 없는 여성 가구주가 18.8%, 비가족이 35.5%로 전체 가구의 31.6%가 개인으로 구성됐고, 17.6%가 65세 이상 독거 가구였다.가구원수는 평균 2.42명, 가구원수는 평균 3.03명이었다.

도시에서는 18세 미만 26.1%, 18세에서 24세 10.0%, 25~44세 25.3%, 45세에서 64세 21.5%, 65세 이상 17.2% 등으로 인구가 분산됐다.중위연령은 37세였다.암컷 100명당 수컷은 78.7마리였다.18세 이상 여성 100명당 남성은 74.9명이었다.

도시의 한 가구의 중위소득은 2만1696달러였고, 한 가구의 중위소득은 2만4167달러였다.남성의 중간 소득은 27,344달러였고 여성의 경우 20,341달러였다.도시의 1인당 국민소득은 1만2088달러였다.18세 미만 54.8%, 65세 이상 18.8% 등 약 25.7%, 30.1%가 빈곤선을 밑돌았다.

주목할 만한 거주자

참조

  1. ^ "2019 U.S. Gazetteer File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Retrieved July 24, 2020.
  2. ^ a b "Population and Housing Unit Estimates". United States Census Bureau. May 24, 2020. Retrieved May 27, 2020.
  3. ^ "Summary and Reference Guide to House Bill 331 City Classification Reform" (PDF). Kentucky League of Cities. Retrieved December 30, 2014.
  4. ^ a b "Geographic Identifiers: 2010 Demographic Profile Data (G001): Earlington city, Kentucky". American Factfinder. U.S. Census Bureau. Retrieved July 5, 2017.[데드링크]
  5. ^ Rennick, Robert M. (1987). Kentucky Place Names. University Press of Kentucky. p. 87. Retrieved 2013-04-28.
  6. ^ 맥켄지 마틴, "Century of Carn Mining", DiscoverKYHistory, 2019년 5월 5일에 접속.
  7. ^ 붐 투 버스트:켄터키 얼링턴의 역사, wkms.조직, 2013년 3월 3일, https://www.wkms.org/post/boom-bust-history-earlington-kentucky
  8. ^ "US Gazetteer files: 2010, 2000, and 1990". United States Census Bureau. 2011-02-12. Retrieved 2011-04-23.
  9. ^ "Census of Population and Housing". Census.gov. Retrieved June 4, 2015.
  10. ^ "U.S. Census website". United States Census Bureau. Retrieved 2008-01-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