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종교

Earth religion

지구 중심의 종교자연 숭배자연 현상의 숭배에 바탕을 둔 종교의 체계다.[1] 여신 숭배 또는 모계 종교의 다양한 형태와 같이 지구, 자연 또는 다산신앙을 숭배하는 모든 종교를 포괄한다. 어떤 이들은 지구와 가이아 가설의 연관성을 발견한다. 지구종교는 또한 지구보존의 지식을 활용할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오리진스

Annarbor tree.jpg

지구종교원들에 의한 기원 주장들

마리자 김부타스에 따르면, 인도 이전의 유럽 사회는 모계승계를 실천하는 소규모의 가족 중심 사회와 여성으로부터 창조물이 나오는 여신 중심 종교에서[2] 살았다. 그녀는 생명을 주고 빼앗을 수 있는 신성한 어머니다. 아일랜드 신화에서 그녀는 다누이고, 슬라브 신화에서 그녀는 마트젬랴이며, 다른 문화권에서 그녀는 파차마마, 닌순, 테라 마테르, 와, 마트레스 또는 샤크티이다.

1800년대 후반 제임스 위어는 초기 종교적 감정의 시작과 측면을 설명하는 기사를 썼다. 보이어에 따르면, 초기 인간은 본능과 감각에 의해 끊임없이 지시를 받으면서도 생존을 위해 음식과 은신처를 찾아야 했다. 인간의 존재는 자연에 의존했기 때문에 인간은 자연 그 자체와 그 주변에서 종교와 신념을 형성하기 시작했다. 인간이 자신의 감각과 볼 수 있고 만지고 느낄 수 있는 것에 크게 의존했기 때문에 인간의 첫 번째 종교가 물질 세계에서 발전해야 했을 것이 분명하다고 그는 주장한다. 이런 의미에서 자연에 대한 숭배가 형성되어 인간이 생존을 위해 자연에 더 의존할 수 있게 되었다.[3]

네오파간인들은 종교가 지구종교에 해당하는 방법으로 시작되었다고 주장하려고 노력해왔다. 그들의 출판된 작품 중 하나인 우란티아 책에서, 이 자연을 숭배하는 또 다른 이유는 원시인을 둘러싼 세상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되었다.[4] 그의 머릿속에는 복잡한 생각을 처리하고 체로 걸러내는 복잡한 기능이 결여되어 있었다. 그 결과 인간은 매일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바로 그 실체를 숭배했다. 그 실체는 자연이었다. 인간은 폭풍, 광활한 사막, 거대한 산과 같은 그를 둘러싼 다른 자연현상을 경험했다. 가장 먼저 숭배되는 자연의 부분 중에는 돌과 언덕, 식물과 나무, 동물, 원소, 천체, 심지어 인간 자신까지 있었다. 원시인이 자연 예배를 통해 자신의 길을 개척하자, 그는 결국 영혼들을 자신의 예배에 편입시키는 방향으로 나아갔다.[4]


종교의 기원은 인간의 정신의 기능과 처리의 렌즈를 통해 볼 수 있다. 파스칼 보이어는 가장 오랜 기간 동안 뇌는 신체의 단순한 기관으로 생각되었다고 제안한다. 하지만, 그는 뇌에 대해 더 많은 정보가 수집될수록 뇌가 정말로 '빈 슬레이트'가 아니라는 것을 의미한다고 주장한다.[5] 인간은 주변 환경과 주변 환경으로부터 어떤 정보도 배우지 않는다. 자신의 문화 속에서 정보를 분석하고 어떤 정보가 관련되는지, 어떻게 적용할지를 결정하는 정교한 인지 장비를 습득한 것이다. 보이어는 "정상적인 인간의 두뇌를 갖는다고 해서 종교가 있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단지 사람들이 그것을 획득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것뿐인데, 그것은 매우 다르다."[5] 그는 종교가 인간에 대한 해답을 제공하고, 위안을 주고, 사회에 사회질서를 제공하고, 착각에 빠지기 쉬운 인간 정신의 필요성을 충족시키는 이유로 시작되었다고 제안한다.[5] 궁극적으로 종교는 질문에 답하고 사회질서를 하나로 묶어야 하는 우리의 필요성 때문에 생겨났다.

종교의 기원에 대한 추가적인 생각은 인간의 인지 발달에서가 아니라 유인원에서 나온다. 바바라 J. 킹은 인간은 주변 사람들과 감정적인 관계를 맺고 있으며, 그 연결에 대한 욕구는 유인원에서 진화하면서 생겨났다고 주장한다. 인류에 가장 가까운 종은 아프리카 유인원이다.[6] 태어날 때, 유인원은 생존하기 위해 무엇을 원하고 필요로 하는지에 대해 엄마와 협상을 시작한다. 유인원이 태어난 세상은 가까운 가족과 친구들로 가득 차 있다. 이 때문에 유인원의 삶에는 감정과 관계가 큰 역할을 한다. 서로에 대한 반응과 반응은 소속감에 뿌리를 두고 있으며, 이는 유인원의 어머니와 가족에 대한 의존에서 비롯된다. 소속감은 "당신에게 중요한 누군가에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정의된다. 우리의 관계에서 긍정적인 감정을 얻는 것"[6]이라고 말했다. 유인원에서 시작된 이러한 소속감과 욕구는 약 600만~700만년 전에 일어난 유인원의 혈통에서 호민관(인간 조상)이 갈라지면서 비로소 성장했다.[6]

환경의 심한 변화, 인체의 물리적 진화(특히 인간의 두뇌의 발달), 사회적 행동의 변화가 일어나면서 인간은 단순히 타인과의 공감대 형성 및 관계를 형성하려 하는 것을 넘어갔다. 그들의 문화와 사회가 더욱 복잡해짐에 따라, 그들은 그들 주위의 자연적이고 영적인 세계를 이해하기 위해 연습과 다양한 상징들을 사용하기 시작했다. 인간은 단순히 타인과의 관계에서 소속감과 공감을 찾으려고 하는 것이 아니라 그 필요와 탐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신과 영혼을 창조하고 진화시켰다. 킹은 "지구적으로 소속의 필요성이 인간의 종교적 상상력을 이끌어냈고, 따라서 신, 신, 영혼과 관련된 다른 세계의 영역으로 이어졌다"[6]고 주장했다.

아람된 종교

지구종교라는 용어는 지구, 자연 또는 다산의 신이나 여신을 숭배하는 모든 종교를 포괄한다. 다신교, 자연에 바탕을 둔 종교인 이교도, 모든 살아 있는 실체(식물, 동물, 인간)가 정신을 소유한다는 세계관인 애니미즘, 의식마법을 실천할 뿐 아니라 지구 어머니 여신의 개념을 가진 위카, 그리고 드루이디즘, w 등 지구종교에 속하는 집단과 신념들이 줄지어 있다.hich는 자연계와 신성을 동일시한다.

고려해야 할 지구종교의 또 다른 관점은 팬티즘으로, 지구의 중요성과 목적, 그리고 지구와 인간의 관계에 대해 다양한 접근법을 취한다. 그들의 핵심 진술 중 몇몇은 "모든 물질, 에너지, 생명체는 분리할 수 없는 부분인 상호연결된 통합"과 "우리는 자연의 모든 웅장한 아름다움과 다양성 속에서 소중히 여기고 경외하고 보존해야 하는 자연의 필수적인 부분이다"라고 선언하면서 인간이 지구와 공유하는 연결성을 다룬다. 우리는 지역적으로나 세계적으로도 자연과 조화를 이루도록 노력해야 한다"[7]고 말했다.

지구는 또한 많은 볼타이족에게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그 중 많은 사람들은 경제적, 사회적, 종교적 삶이 지구의 영향을 많이 받는 가나 북부의 콘콤바와 같이 "지구를 천국의 아내로 여긴다"[8]고 생각한다. 페요테 종교, 롱하우스 종교, 어스 로지 종교 등 다양한 아메리카 원주민 종교를 고려하는 것도 중요하다.

전 세계

4월 22일은 2009년 유엔에 의해 국제 어머니 지구의 날로 제정되었지만,[9] 전 세계의 많은 문화들이 수천 년 동안 지구를 기념해 오고 있다. 겨울에는 율레, 동지, 여름에는 타이어간, 쿠팔라 등의 명절로 동지, 하지를 기념한다.

아프리카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의 반투족들[10] 사이에서 애니미즘이 행해지고 있다. 다호메 신화에는 나나 불루쿠, 글레티, 마우, 아사세 야아, 나오 뇨모, 제비오소 같은 신들이 있다.

유럽

발트 신화에서 태양은 여성 신 사울로, 어머니나 신부, 그리고 무네스는 달, 아버지 혹은 남편, 그들의 자녀가 별이 되는 것이다. 슬라브 신화에서 모코쉬와 맷 제믈랴페룬과 함께 판테온의 머리를 든다. 축하와 의식은 자연과 수확의 계절에 초점을 맞춘다. 드라고베테루마니아의 전통적인 봄 명절로 "새들이 베드로트를 타는 날"을 기념한다.

인도

힌두 철학에서 요니는 자연의 창조적 힘이며 생명의 기원이다. 샤크티즘에서 요니는 지구의 월경을 기념하는 연례 다산 축제인 암부바치 멜라 기간 동안 기념되고 숭배된다.[11]

대중문화

지구종교 사상은 수천 년 전부터 존재해 왔지만 1990년대 초가 되어서야 대중문화에 완전히 모습을 드러냈다. X-Files마법과 위카(지구종교 유형) 콘텐츠를 방송한 최초의 전국 방송 텔레비전 프로그램 중 하나이다. 평균적으로 위카(Wicca)를 실천하는 사람들은 이 쇼가 그들의 이상과 신념을 묘사하는 방식에 다소 만족했다. 하지만, 그들은 여전히 그것이 약간 "감각적"이라는 것을 발견했다. 같은 해, 영화 "The Craft"가 개봉되었다. 또한 위카의 예술도 묘사했다. 불행히도, 이 영화적 특징은 The X-Files만큼 행복하게 받아들여지지 않았다.[12]

몇 년 후, 앞에서 언급한 종교적 관행을 보여주는 프로그램인 흡혈귀 슬레이어 차르메드버피와 같은 프로그램이 널리 인기를 끌었다. 비록 샤르메드는 대부분 마법에 집중했지만, 그들이 행한 마법은 위카와는 매우 흡사했다. 한편, 버피는 실제로 위칸 캐릭터를 캐스팅한 최초의 쇼 중 하나이다. 하지만, 이 쇼의 초점은 주로 흡혈귀들이었기 때문에, 위칸은 지구와 조화를 이루기보다는 초자연적인 힘을 가진 것으로 묘사되었다.[12]

지난 수십 년간의 다른 영화와 쇼들도 지구종교라는 장르 아래 놓였다. 그 중에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가장 잘 알려진 영화인 모노노케 공주와 내 이웃 토토로 두 편이 있다. 두 영화 모두 육지, 동물, 그리고 다른 자연의 정령들과 인간의 상호작용을 보여준다. 지구 종교를 위한 연설자들은 이러한 상호작용이 지구 종교의 주제들을 암시한다고 말했다.[13]

몇몇 인기 있는 디즈니 영화들은 또한 지구 종교 영화로도 여겨졌다. 그들 중에는 라이온 킹브라더 베어도 있다. 지구종교를 실천하는 사람들은 라이온 킹을 지구종교로 본다 주로 "연관성"과 "생명의 순환"을 위한 영화로 본다. 그 고리가 깨지면 시청자들은 한때 풍요로웠던 땅 전체에 혼란과 절망감이 퍼지는 것을 보게 된다. 곰형제는 인간이 동물과 지구의 영혼에 반항하거나 반항할 때 상호작용과 결과를 묘사한다.[13]

다른 지구종교 영화로는 13번째 전사, 감속자들, 마법사, 안코레스, 악마눈, 아고라, 위커맨(1973년 영화)이 있다. 이 영화들은 모두 지구종교와 자연숭배의 다양한 측면을 담고 있다.[13]

논란과 비판

Emirgan 04589.jpg

진행 방해

많은 종교들이 지구종교와 신파간주의에 대해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고정관념을 가지고 있다. '마더 지구'의 자연과 자원을 숭배하는 것에 대한 공통적인 비판은 자연의 권리반생태운동이 인간의 진보와 발전을 저해하는 요인이라는 것이다.[14] 이러한 주장은 '서구적' 세계관으로 사회화된 사람들이 지구 자체가 살아 있는 존재가 아니라고 믿고 있다는 사실에 고무되어 있다. (보수적인 디스커버리 연구소의) 웨슬리 스미스는 이것이 "인간 가족에게 실질적인 해를 끼칠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 반인륜주의"[14]라고 믿고 있다. 스미스에 따르면, 지구 숭배자들은 대규모 개발을 방해하고 있으며, 그들은 진보의 방해자로 간주되고 있다.

부정 대표자

지구종교에 대한 많은 비판은 그들의 행동에 대해 벌을 받은 소수의 사람들의 부정적인 행동에서 나온다. 지구종교를 부정적으로 대표하는 한 사람은 알레이스터 크롤리이다. 그는 타인의 행복을 자신의 마녀회에 넣는 대신 "마법의 힘을 깨우는 데 너무 몰두하고 있다"[15]고 믿어진다. 크롤리는 '올드 조지' 피킬을 존경했다고 한다. 피킬은 부정적으로 여겨지는 또 다른 자연 숭배자였다. 비평가들은 피킹을 사탄주의자이자 "잉글랜드의 가장 악명 높은 마녀"[15]로 여겼다.

크라울리 자신은 "변태였기 때문에 공예품에서 쫓겨났다"[15]고 했다. 그는 고문과 고통에 흥분했고, 여성들에게 "징집당했다"는 것을 즐겼다.[16] 이것은 크롤리의 생활 방식과 행동 때문에 크롤리의 대중적 이미지를 극적으로 손상시켰다. 많은 사람들은 지구종교의 모든 추종자들을 변태적인 사탄주의자로 여겼다.[15]

사탄주의로 기소됨

지구종교의 추종자들은 사탄주의자로 알려진 것으로 인해 수년간 큰 비난을 받아왔다. 어떤 종교 추종자들은 그들의 종교가 아닌 종교가 때로는 잘못되었다고 보는 경향이 있다. 왜냐하면 그들은 그러한 종교를 사탄 숭배 개념의 특징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위트있게 말하면, 위칸인들의 일반적인 관습인 마법은 때때로 이들 집단의 구성원들에 의해 사탄 숭배로 잘못 해석되기도 하고, 또한 특별히 종교적이지는 않지만 이교도 비판적인 종교 추종자들의 세력권 내에 거주할 수도 있는 덜 정보에 입각한 사람들이다. 그러나 위칸의 관점에서 보면 지구종교와 위카는 사탄주의를 아우르는 현상학적 세계 밖에 놓여 있다.[17][18] 모든 악한 존재는 서양의 지구 종교의 종교적인 관점 안에서 존재하지 않는다. 헌신하는 사람들은 지구 자원과 지구 중심 신들을 숭배하고 찬양한다. 사탄주의와 위카는 "신성에 대한 완전히 다른 믿음, 윤리적 행동에 대한 다른 규칙들, 그들의 멤버쉽으로부터의 다른 기대들, 우주에 대한 다른 견해, 다른 계절적 축하일 등을 가지고 있다"고 말했다.[17]

신파간, 즉 지구종교 추종자들은 종종 사탄주의와 무관하다고 주장한다.[19] 신파간인, 위칸인, 지구종교 신자들은 일반적인 셈파종파인 사탄의 종교적 개념에 부합하는 신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는다. 사탄주의는 기독교에서 비롯되는 반면, 지구종교는 오래된 종교 개념에서 비롯된다.[20]

사탄주의를 종교적 괴롭힘으로 비난

일부 지구종교 신자들은 종종 통일되지 않은 셈족종파인 사탄 숭배 종교 개념으로부터 거리를 두어야 하는 사회적 압력에 내재된 종교적 괴롭힘을 문제 삼는다. 그들의 세계관에 속하지 않는 종교적 개념에서 자신을 "다른" 것으로 정의해야 한다는 것은 어느 정도의 외부인이 계획적이고 비공식적이지만 기능적인 종교적 제약이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데, 이는 그 외부인의 형이상학적, 신화적 종교적 신념에만 기반을 두고 있다. 이는 외부인이 비난의 의도를 가지고 사탄주의에 대한 비교를 시작한 것이, 쉽게 반박할 수 있을 때에도, 받아들일 수 있는 관습, 신념, 종교적 행동 양식에 대한 외부인의 인식에 부합하도록 지구 종교 추종자들에게 사회적 압력의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지구 중심 신앙 체계가 사탄주의자들이 기념하는 휴일과 비슷하거나 동일하다고 간주한 휴일을 채택한다면 사탄주의 주장 이외의 '기타'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사탄주의자들은 역사적으로 다양한 이교도 전통에 기원을 둔 명절들을 채택하는 경향이 있었는데 표면적으로는 이러한 전통적인 명절들이 서양에서 전통적인 유대교 이전의 종교적 관습의 마지막 잔재물들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 사탄주의자들은 아마도 비이성적으로 비유대적인 휴일을 반기독교적인 것으로 해석하기 쉬우며 따라서 그들의 세계관을 암묵적으로 대표한다. 이는 사실 삼하인과 같은 휴일을 해석하는 기독교인이 얼마나 많은지를 감안하면 그리 놀라운 일이 아니다. 다른 어떤 집단이 갖고 있는 결함 있는 인식이나 근거에도 불구하고, 지구 중심의 종교 추종자들은 사탄 숭배자들을 포함한 외부의 종교 추종자나 비판자들에 의해 만들어진 그들의 관습에 대한 잘못된 해석을 인정하지 않는다.

조직화된 사탄 숭배는 셈족적 세계관에 의해 정의되고 정박된 것으로, 20세기 중반에 대부분 등장한 비교적 체계적이지 못하고 종종 이질적인 일련의 움직임과 집단이 특징적이다. 따라서, 그들의 채택된 관습은 다양하고, 계속 다양하며, 따라서 믿음과 관습의 움직이는 대상은 지구 중심의 종교 추종자들에 의해 정당화되거나 지속적으로 설명될 수 없다. 일단 사탄주의 집단이 휴일을 채택하면, 사회적 오명은 언제 그리고 어떤 목적으로 휴일을 기념했는지에 대해 차별 없이 휴일과 이를 준수하는 모든 사람들을 부당하게 더럽힐 수 있다. 이러한 사실들을 고려할 때, 많은 지구 중심의 종교 신자들은 자연에서 본질적으로 억압적인 사탄주의와의 비교를 발견한다. 이 논리는 기도, 마술, 의식, 그리고 신의 특징에 의도하지 않은 유사성을 포함하기 위해 모든 종교적인 관습으로 옮겨간다(예: 뿔 달린 전통적 실체 판은 일반적인 뿔 달린 사탄의 묘사와 유사한 신체적 특성을 가지고 있다).

이 문제는 여러 셈파 전체에 걸쳐 존재하는 사탄의 내경 및 외경 신화가 원래 다른 집단의 이교도 종교를 비유적으로 악마화하도록 진화했을 것이라는 이론에 의해 더욱 복잡해진다. 따라서 사탄, 즉 '적대자'라는 개념은 모든 비유대 종교를 대표하고, 나아가 그들을 믿는 사람들을 대표했을 것이다. 비록, 때로는, 경쟁하는 셈족의 종파를 특징 짓기 위해 "다른" 악마의 개념도 사용되었다. 다른 목적들 중에서도, 그러한 믿음은 기독교에 유리하게 전통적인 부족 신앙을 유럽으로 정화하는 심리적이고 물리적인 과정 동안에 특히 유용했을 것이다. 이러한 가능성은 예를 들어, 기독교 당국이 이교도의 종교적 맥락에서 행해지는 대부분의 이교도의 풍습을 악마적인 것으로 간주하는 역사적 경향을 설명할 것이다. 어떤 현대적인 기준으로 보아도 그러한 현재의 믿음은 오랜 기간 동안 지배되어 온 종교 집단의 문화의 보존에 비현실적일 뿐만 아니라 종교적 관용의 서구적 개념을 위반할 것이다.

윤리학

지구종교라는 칭호에 해당하는 종교의 광대한 다양성 때문에 신앙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지 않다.[21][22] 그러나 대부분의 종교의 윤리적 신념은 겹친다. 가장 잘 알려진 윤리 강령은 위칸 레이드다. 지구종교를 실천하는 많은 사람들은 환경적으로 활동적인 것을 선택한다. 어떤 사람들은 재활용이나 퇴비화와 같은 활동을 하는 반면 다른 사람들은 영적으로 지구를 지탱하려고 노력하는 것이 더 생산적이라고 느낀다.[21] 윤리에 대한 이 여섯 가지 신념은 보편적인 것으로 보인다.

  1. 신의 판단은[23] 없다.
  2. 무엇이[24][25][26][27] 윤리적인지 결정하는 것은 각 개인의 몫이다.
  3. 각 개인은 자신의 행동에[23][24][25][26][28] 대해 책임을 진다.
  4. 자연과 모든 생명체는 존중되어야[29][30] 한다.
  5. 올바른 길이나 종교는 하나도 없고, 오직 각 개인에게[29] 가장 잘 맞는 것만이 있다.
  6. 도덕적 행위는 보상을[25][28] 위해서가 아니라 그들 자신을 위해서 행해진다.

위칸 레이드

"아무에게도 해가 되지 않는다면, 네 뜻대로 해라."[21]
현대 영어에서는 흔히 "누구에게도 해가 되지 않는다면, 하고 싶은 대로 하라"[24]고 한다. 이 격언은 20세기 중반 도린 발리엔테 신부가 말한 후인 1964년에 처음 인쇄되었으며, 위칸과 일부 이교도들에 대한 대부분의 윤리적 믿음을 지배하고 있다. 신념에 대한 합의는 없지만, 이 개정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윤리적인 것을 해석하는 출발점을 제공한다.[21][29] 개정안은 해를 끼치지 않겠다고 분명히 말하고 있지만 무엇이 해로 간주되고 어느 정도의 사리사욕이 허용되는지 협상할 수 있다.[21][23] 많은 위칸인들은 이 구절을 "네가 해치지 않을 일을 하라"로 바꾸는데, 이것은 "아무에게도 해가 되지 않는다면 네가 원하는 것을 하라"[24]는 뜻이다. 그 차이는 크지 않아 보일지 모르지만 그것은 그렇다. 첫째는 해를 끼치지 않는 것이 좋다는 것을 의미하지만, 그렇게 하는 것이 반드시 비윤리적이라고 말하지 않고, 둘째는 모든 형태의 위해가 비윤리적임을 암시한다. 두 번째 구절은 거의 따라갈 수 없다. 이러한 변화는 위칸의 "해롭지 않은" 것을 강조할 뿐만 아니라 이 문구를 현대 영어에 더 잘 적응시키려 할 때 일어났다. 다시장의 진정한 본성은 단순히 당신의 행동에 대한 개인적인 책임이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하고 싶은 대로 해도 되지만 모든 행동에는 업보 반응이 있다.[24] 비록 이것이 가장 잘 알려진 관습이라고 할지라도, 그것을 따르지 않기로 선택한 사람들이 비윤리적이라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다른 집단들이 따르는 많은 다른 관행의 법칙들이 있다.[22]

삼중의 법칙

삼중법은 모든 행동에는 항상 인과관계가 있다는 믿음이다. 취한 모든 행동에 대해, 선한 의도와 악의가 세 배로 액션 테이커에게 되돌아간다. 이 때문에 위칸 레드가 일반적으로 뒤따르는 것은 그 해로운 작용으로부터 3배의 복귀를 두려워하기 때문이다.[31]

명예

Leaf at Rocky Point of McDonald Lake.jpg

이 용어는 Emma Restall Orr이 그녀의 저서 Living with Honour: A Panisan Ethics에서 지구에 대한 경외라고 부르는 것이다. 그녀는 이 용어를 용기, 관대함, 충성심 또는 정직, 존경, 책임의 세 부분으로 구분한다. 자연에는 악한 힘이 없다.[28][32] 자연 이상의 것은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신성한 판단 때문에가 아니라 윤리적이라고 선택하는 것은 개인의 몫이다. 모든 존재는 지구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모든 존재는 공평하게 다루어져야 한다.[28] 환경에 대한 책임감이 있고 자연과의 조화를 찾아야 한다.[29][33]

지구종교반대 결의안(1988)

다음은 1988년 만국교회에서 저술한 것으로, 고대길의 이반 에큐메니컬 컨퍼런스(캘리포니아, 5월 27~30일)와 이반정령모임(위스콘신, 6월 17일)에서 확인되었다.[30][34] 그 후 오하이오주의 파간 지역사회 위원회는 그것을 W.I.C.C.A.의 북동부 의회에 제출했다.[30]

"우리, 하등 서명한 사람들은 위카나 마법을 포함한 파가나와 구, 네오파간 지구 종교의 신자로서 우리 자신과 지구의 치유에 헌신하는 신앙을 긍정하는 다양한 긍정적이고 삶을 실천한다. 이와 같이, 우리는 법에 의해 금지된 행위들을 포함하여 다른 사람들을 희생시키는 어떠한 행위도 옹호하거나 묵인하지 않는다. 우리가 가장 널리 받아들여지는 교훈 중 하나가 "아무도 해치지 말라"는 위칸 레드의 명령이기 때문에, 우리는 아동학대, 성적 학대와 그러한 학대의 희생자들의 신체, 정신, 영혼에 해를 끼치는 다른 형태의 학대의 관행을 절대적으로 비난한다. 우리는 대지의 어머니에게서 자연의 신성을 인정하고 경배하며, 윤리적이고 온정적이며 체질적으로 보호받는 방식으로 예배의식을 행한다. 우리는 기독교 악마인 "사탄"을 인정하거나 숭배하지 않는다. 그는 우리 이교도 팬텀에 있지 않다. 우리는 우리의 사원, 성직자 또는 사원 조립자에 대한 비방이나 명예훼손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우리는 우리가 필요하고 적절하다고 생각하는 그러한 법적 조치로 우리의 민권을 방어할 준비가 되어 있다."[30][32][34][35]

참조

  1. ^ 브리태니커 백과사전
  2. ^ French, Marilyn (2002). From Eve to Dawn: A History of Women in the World. McArthur. ISBN 9781558616288.
  3. ^ Weir, James (16 July 2008). "Lust and Religion" (EBook). Retrieved 19 Mar 2013.
  4. ^ a b Bright Morning Star (2005). The Urantia Book. New York: Uversa Press. pp. 805–810. ISBN 0965197220.
  5. ^ a b c Boyer, Pascal (2001). Religion Explained. New Work: A Member of the Perseus Book club. pp. 1–5. ISBN 0465006965.
  6. ^ a b c d King, Barbara J. (2007). Evolving God: A Provocative View of the Origins of Religion. New York: Doubleday Religion. ISBN 978-0385521550.
  7. ^ "WPM Statement of Principles". World Pantheism. Retrieved 19 March 2013.
  8. ^ Zimoń, Henryk (2003). "The Sacredness of the Earth Among the Konkomba of Northern Ghana". Anthropos. 98 (2): 421–443.
  9. ^ "General Assembly Proclaims 22 April 'International Mother Earth Day' Adopting By Consensus Bolivia-Led Resolution". United Nations. 2009-04-22. Retrieved 2011-04-22.
  10. ^ Chidester, David; Kwenda, Chirevo; Wratten, Darrell; Petty, Robert; Tobler, Judy (1997). African Traditional Religion in South Africa: An Annotated Bibliography p 372. ISBN 9780313304743.
  11. ^ Chawla, Janet (September 16, 2002). "Celebrating The Divine Female Principle". Boloji.com.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31 January 2010. Retrieved 24 December 2009.
  12. ^ a b "The Juggler". Retrieved 14 March 2013.
  13. ^ a b c krasskova (3 November 2010). "My Top 10 Pagan/Heathen Movies". Retrieved 12 March 2013.
  14. ^ a b Smith, Wesley (29 December 2011). "Ecocide is Earth Religion". Human Exceptionalism. National Review Online. Retrieved 21 March 2013.
  15. ^ a b c d Slater, Herman (1976). "Earth Religion News". geraldgardner.com. I (1): 2–3. Retrieved 12 March 2013.
  16. ^ Symonds, John (1952). The Great Beast. Roy. p. 23. ISBN 0356036316.
  17. ^ a b "What is Wicca?". An Eclectic Neopagan Circle. The Circle of the Sacred Well. 2009. Retrieved 12 March 2013.
  18. ^ "Wicca: a Neopagan, Earth-centered religion". Religioustolerance.org. Ontario Consultants on Religious Tolerance. Retrieved 15 March 2013.
  19. ^ "Neo-Pagan Witchcraft vs Satanism". Confusions and Distinctions. The Pagan Library. 2000. Retrieved 20 March 2013.
  20. ^ Vera, Diane. "Is Satanism "Pagan"?". Retrieved 19 March 2013.
  21. ^ a b c d e McColman, Carl. "Principles of Moral Thought and Action". Patheos.com. Retrieved 14 Mar 2013.
  22. ^ a b Lark (22 Nov 2010). "Beyond The Wiccan Rede - Other Pagan Ethics". realpagan.net. Archived from the original on 4 March 2016. Retrieved 15 Mar 2013.
  23. ^ a b c Wigington, Patti. "Pagan Ethics: Is it Really All About You?". About.com. Retrieved 22 March 2013.
  24. ^ a b c d e Piper, David. "Wiccan Ethics And The Wiccan Rede". paganlibrary.com. Retrieved 15 Mar 2013.
  25. ^ a b c Brown, Nimue (7 May 2012). "Godless Pagan Ethics". Retrieved 22 March 2013.
  26. ^ a b sky (14 Feb 2013). "Ethics and Morality". earthenspirituality.com. Retrieved 18 Mar 2013.
  27. ^ Sky (19 Feb 2013). "Reasoning and Knowing". earthenspirituality.com. Retrieved 18 Mar 2013.
  28. ^ a b c d Sky (9 February 2013). "Introduction to Pagan Ethics". earthenspirituality.com. Retrieved 18 March 2013.
  29. ^ a b c d "Pagan Ethics". ppo-canada.ca. Retrieved 18 Mar 2013.
  30. ^ a b c d Skelhorn, Angie (15 May 2011). "The Earth Religion". witchkel.com. Retrieved 18 Mar 2013.
  31. ^ Wren (16 Jul 2000). "The Law of Three". witchvox.com. Retrieved 19 Mar 2013.
  32. ^ a b "WFT Ethics". Retrieved 28 March 2013.
  33. ^ Orr, Emma (1 April 2008). Living With Honour: A Pagan Ethics. Moon Books. ISBN 978-1846940941.
  34. ^ a b "The Laws of Witchcraft". witchsanctuary.com. Retrieved 18 Mar 2013.
  35. ^ "Ethics: The Earth Religion Anti-Abuse Resolution (1988)". jesterbear.com. Retrieved 18 Mar 2013.